KR101332418B1 -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18B1
KR101332418B1 KR1020130082477A KR20130082477A KR101332418B1 KR 101332418 B1 KR101332418 B1 KR 101332418B1 KR 1020130082477 A KR1020130082477 A KR 1020130082477A KR 20130082477 A KR20130082477 A KR 20130082477A KR 101332418 B1 KR101332418 B1 KR 10133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wire
guide
moving block
bin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길원
Original Assignee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8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 건축 단지의 진출입로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 제1 와이어 승강부(110)와 제2 와이어 승강부(1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에 의해 승강하는 와이어 차단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SAFE COMING AND GOING APPARATUS US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공중으로 승하강시켜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이나 전용 주차장에 설치되는 차단기에는 차단기에는 외팔보 상태의 차단봉을 상하 방향으로 약 90도 정도 선회시켜 유료 주차장이나 아파트 단지 주차장으로 차량이 출입하는 것을 단속하는 일명 코끼리 차단기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이 외팔보의 차단봉을 사용하는 코끼리 차단기는 차량의 출입을 단속하는 구동수단이 간단하여 대형 건물의 주차장 및 유료 주차장 등에 많이 쓰이고 있으나, 아파트 단지 주차장과 같이 가족 단위의 생활이 주를 이루는 공간에서는 사무적이면서 경직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고, 특히 활동력이 왕성한 어린이들의 출입이 잦은 위치에 외팔보의 차단봉을 설치하게 되어 어린이들에게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
또한, 외팔보의 차단봉은 전기적 또는 기계적 오동작으로 인하여 차단 해제를 위해 공중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을 향해 회전하여 파손되고 차량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의 출입로 등에는 이동식 장애물이 사용되거나 출입로의 양측에 각각 포스트를 설치하고 이 두 포스트 사이에 쇠사슬을 늘어뜨려 놓고 필요에 따라 쇠사슬을 일정한 높이까지 끌어올려 차량의 출입을 단속케 하는 쇠사슬 차단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쇠사슬 차단기는 외팔보의 차단봉을 사용하는 차단기와 같은 사무적이거나 경직된 분위기를 연출하지는 않으면서 어린이들의 안전사고에 대한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지만 차량의 출입로에서 경비원이 직접 쇠사슬을 끌어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등 취급상 많은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8437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와이어를 공중으로 승하강시켜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제1 가이드 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되는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결속 고리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이동블록과, 상기 제1 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제1 이송스크루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블록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1 가이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제1 와이어 승강부; 일측에 제2 가이드 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이격되게 지면에 기립되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관과, 상기 제2 가이드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결속 고리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2 이동블록과, 상기 제2 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제2 이송스크루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이동블록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2 가이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제2 와이어 승강부; 및 상기 제1 와이어 승강부와 상기 제2 와이어 승강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양 단부가 제1 결속 고리 및 제2 결속 고리에 각각 결속되는 승강 와이어와, 상기 승강 와이어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상기 승강 와이어에 고정되는 와이어 네트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이 지면에 고정하도록 지면에 매립되며, 내면 중앙부에 제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의 하단에 접합되며 하면에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과, 하단부 및 상단부가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에 각각 접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에 각각 접합되는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커버하는 고무판을 구비하며, 상기 고무판에 상기 제1 결속 고리 및 상기 제2 결속 고리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절개라인이 형성되는 홀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에 의하면, 와이어를 공중으로 승하강시켜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는 건축 단지의 진출입로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 제1 와이어 승강부(110)와 제2 와이어 승강부(1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에 의해 승강하는 와이어 차단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를 각각 지지하도록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140)와,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를 커버하기 위한 홀 커버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 동시에 구동하면서 와이어 차단부(130)를 지면에서 상승시켜 진출입로를 차단하거나,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 동시에 구동하면서 와이어 차단부(130)가 지면으로 하강하여 진출입로를 개방한다.
더하여,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이 탄성 지지부(140)에 의해 흡수되어 충돌에 의한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의 파손이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와이어 승강부(110)는 일측에 제1 가이드 홀(11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 지지부(140)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관(111), 이 제1 가이드관(1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가이드 홀(1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결속 고리(113a)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이동블록(113), 이 제1 이동블록(113)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제1 이송스크루(115a)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제1 이동블록(113)을 승강시키는 제1 구동모터(115)를 구비한다. 이때, 제1 구동모터(115)는 제1 가이드관(1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제1 이송스크류(115a)가 정역 회전하여 제1 이동블록(113)을 승강시킨다.
제1 이동블록(113)은 중앙부에 제1 이송스크류(115a)가 삽입되는 암나사홀(113b)이 형성되고 외면이 제1 가이드관(111)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한, 제1 이동블록(113)은 제1 결속 고리(113a)에 와이어 차단부(130)가 연결된다.
제1 가이드관(111)은 상단부가 제1 캡 부재(117)의 결합을 통해 커버되며, 제1 가이드 홀(111a)이 홀 커버부(150)의 결합에 의해 커버된다. 이로 인하여 제1 가이드관(111)의 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승강부(120)는 제1 와이어 승강부(120)와 쌍을 이루어 와이어 차단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2 가이드관(121), 제2 이동블록(123) 및 제2 구동모터(125)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관(121)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제2 가이드 홀(12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이 탄성 지지부(14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가이드관(121)은 제2 가이드 홀(121a)이 홀 커버부(150)에 의해 차단된다.
제2 이동블록(123)은 제2 구동모터(125)와 연결되도록 제2 가이드관(121)의 내부로 삽입되며, 중앙부에 암나사홀(123b)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가이드 홀(1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하는 제2 결속 고리(123a)가 형성된다. 제2 결속 고리(123a)에는 와이어 차단부(130)가 결속된다.
또한, 제2 구동모터(125)는 제2 이동블록(123)의 암나사홀(123b)에 삽입되는 제2 이송스크루(125a)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제2 이동블록(123)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제2 구동모터(125)는 제2 가이드관(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와이어 차단부(130)는 양 단부가 제1 결속 고리(113a) 및 제2 결속 고리(113a)에 각각 결속되어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와이어 승강부(120)의 구동에 의해 제1 와이어 승강부(110)와 제2 와이어 승강부(120) 사이에서 승강하는 승강 와이어(131)와, 이 승강 와이어(131)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승강 와이어(131)에 고정되는 와이어 네트(133)를 구비한다.
또한, 와이어 차단부(130)는 승강 와이어(13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승강 와이어(131)를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승강 와이어(131)가 분할 형성되며, 분할된 중앙부가 탄성부재(135)에 의해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승강 와이어(131)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차단부(130)는 와이어 네트(133)가 수용되도록 지면에 매립되는 수용 케이스(137)를 더 포함한다. 수용 케이스(137)는 상면이 개방되며, 내면에 와이어 네트(133)의 하단부가 결속된다.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40)는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제1 와이어 승강부(110) 및 제2 가이드 승강부(12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탄성 지지부(140)는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이 지면에 고정하도록 지면에 매립되며, 내면 중앙부에 제1 결합돌기(141a)가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41)과,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의 하단에 접합되며 하면에 제2 결합돌기(143a)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143)과, 하단부 및 상단부가 제1 결합돌기(141a) 및 제2 결합돌기(143a)에 각각 접합되어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45)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 지지부(140)는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이 스프링부재(135)를 기준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41)을 커버하는 고무커버(147)를 더 포함한다. 고무커버(147)는 하우징(141)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홀 커버부(150)는 제1 가이드 홀(111a) 및 제2 가이드 홀(121a)을 커버하도록 제1 가이드관(111) 및 제2 가이드관(121)에 각각 접합되는 사각 프레임(151)과, 이 사각 프레임(151)을 밀폐하도록 사각 프레임(151)에 결합되는 고무판(153)을 구비한다.
이때, 고무판(153)은 제1 결속 고리(113a) 및 제2 결속 고리(123a)가 각각 관통하여 노출된 후,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라인(153a)이 형성되고, 이 절개라인(153a)과 수직을 이루는 다른 절개라인(153a)이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 결속 고리(113a) 및 제2 결속 고리(123a)가 고무판(153)에 관통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함은 물론 제1 가이드 홀(111a) 및 제2 가이드 홀(121a)을 보다 긴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제1 와이어 승강부 111 : 제1 가이드관
113 : 제1 이동블록 115 : 제1 구동모터
120 : 제2 와이어 승강부 121 : 제2 가이드관
123 : 제2 이동블록 125 : 제2 구동모터
130 : 와이어 차단부 131 : 승강 와이어
133 : 와이어 네트 140 : 탄성 지지부
141 : 하우징 143 : 고정판
145 : 스프링부재 150 : 홀 커버부
151 : 사각 프레임 153 : 고무판

Claims (3)

  1. 일측에 제1 가이드 홀(11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되는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관(111)과, 상기 제1 가이드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결속 고리(113a)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이동블록(113)과, 상기 제1 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제1 이송스크루(115a)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블록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1 가이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115)를 구비하는 제1 와이어 승강부(110);
    일측에 제2 가이드 홀(12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이격되게 지면에 기립되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관(121)과, 상기 제2 가이드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결속 고리(123a)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2 이동블록(123)과, 상기 제2 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제2 이송스크루(125a)를 구비하며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이동블록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2 가이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125)를 구비하는 제2 와이어 승강부(120); 및
    상기 제1 와이어 승강부와 상기 제2 와이어 승강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양 단부가 제1 결속 고리 및 제2 결속 고리에 각각 결속되는 승강 와이어(131)와, 상기 승강 와이어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상기 승강 와이어에 고정되는 와이어 네트(133)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차단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이 지면에 고정하도록 지면에 매립되며, 내면 중앙부에 제1 결합돌기(141a)가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41)과,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의 하단에 접합되며 하면에 제2 결합돌기(143a)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143)과, 하단부 및 상단부가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에 각각 접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45)를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상기 제2 가이드관에 각각 접합되는 사각 프레임(151)과, 상기 사각 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커버하는 고무판(153)을 구비하며, 상기 고무판에 상기 제1 결속 고리 및 상기 제2 결속 고리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절개라인이 형성되는 홀 커버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KR1020130082477A 2013-07-12 2013-07-12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KR10133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77A KR101332418B1 (ko) 2013-07-12 2013-07-12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77A KR101332418B1 (ko) 2013-07-12 2013-07-12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418B1 true KR101332418B1 (ko) 2013-11-22

Family

ID=498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477A KR101332418B1 (ko) 2013-07-12 2013-07-12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67B1 (ko) * 2021-10-08 2022-07-28 임정헌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499U (ko) * 1980-07-31 1982-02-20
JP2004162423A (ja) * 2002-11-14 2004-06-10 Hiroyuki Yoshimura 地下収納型ゲート装置
JP2004268634A (ja) 2003-03-05 2004-09-30 Kawasaki Heavy Ind Ltd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KR20050019065A (ko) 2002-02-07 2005-02-28 유니버설 세이프티 리스폰스, 인크. 에너지 흡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499U (ko) * 1980-07-31 1982-02-20
KR20050019065A (ko) 2002-02-07 2005-02-28 유니버설 세이프티 리스폰스, 인크. 에너지 흡수 시스템
JP2004162423A (ja) * 2002-11-14 2004-06-10 Hiroyuki Yoshimura 地下収納型ゲート装置
JP2004268634A (ja) 2003-03-05 2004-09-30 Kawasaki Heavy Ind Ltd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67B1 (ko) * 2021-10-08 2022-07-28 임정헌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260B1 (ko) 승강식 월파 방지벽
ES2726299T3 (es) Escalón escamoteable con una función de elevación y de rampa
KR100759957B1 (ko)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ES2799183T3 (es) Mecanismo de elevación en el vehículo
KR101230711B1 (ko) 감시카메라 지주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32418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CN203403381U (zh) 一种可以避免撞击损坏的道闸栏杆装置
KR200429331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US20170275836A1 (en) Unidirectional bend drive chain and lift mechanism and boom barrier including same
KR101117877B1 (ko)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JP6292853B2 (ja) 密閉式開閉装置
JP5953983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15175219A (ja) 開閉装置
KR101063326B1 (ko)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KR200477570Y1 (ko)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KR102253170B1 (ko)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KR20150017946A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CN204224033U (zh) 一种升降机吊笼
KR101321923B1 (ko) 버켓 게이트 장치
KR101798568B1 (ko) 자동차 주차용 리프트
JP2007239205A (ja) 防水扉装置
ES2928490T3 (es) Dispositivo de vallado para instalar y/o retirar una va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