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923B1 - 버켓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버켓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923B1
KR101321923B1 KR1020110116059A KR20110116059A KR101321923B1 KR 101321923 B1 KR101321923 B1 KR 101321923B1 KR 1020110116059 A KR1020110116059 A KR 1020110116059A KR 20110116059 A KR20110116059 A KR 20110116059A KR 101321923 B1 KR101321923 B1 KR 10132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guide shaft
bucket gate
gate
gat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810A (ko
Inventor
박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9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버켓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을 개폐하는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장치로서, 상기 버켓 커버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상기 버켓 게이트와 접촉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축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켓 게이트 장치{BUCKET GATE DEVICE}
본 발명은 버켓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적열 코크스 버켓이 권상되고 권하됨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는 버켓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된 적열 코크스를 전차에 적치된 적열 코크스 버켓에 담아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Quenching) 포지션까지 들어오게 되면 크레인이 코크스 버켓을 자동 권상하게 된다.
이때, 코크스 연소와 설비 열화 및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버켓 커버 상부에 위치한 모터가 동작하여 버켓 커버를 닫아주어 건식 소화 설비까지 권상하여 건식 소화 설비에 장입을 마치고, 전차 포지션까지 다시 권하가 완료되면 버켓 상부의 모터가 작동 버켓 커버를 열어서 전차 주행이 가능하게 하므로 압출 포지션까지 주행하여 연속적으로 반복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버켓 커버는 버켓 크레인의 상부에 설치된 기계 장치와 모터 장치, 버켓 크레인 커버 내화물을 포함하여 대략 12톤의 중량물이며 버켓 크레인의 권상시 모터가 동작하며 버켓 커버를 개폐하므로, 적열 코크스 버켓 내부에 적재된 적열 코크스가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되면서 분출되는 화염과 유독가스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 모터 손상과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버켓 커버를 상시 열어 놓은 상태로 고정하여 반복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버켓 커버 틈으로 분출되는 화염과 가스에 의한 와이어 로프 열화와 모터가 손상됨과 아울러 대기 오염, 적열 코크스 연소로 인한 코크스의 품질 저하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2006-0073881호(2006.06.29 공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적열 코크스 버켓이 권상되고 권하됨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는 버켓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을 개폐하는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장치로서,
상기 버켓 커버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상기 버켓 게이트와 접촉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축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버켓 게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버켓 게이트는 그 내부가 비워있는 중공부를 갖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켓 게이트의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는 가이드카 레일 지지부재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부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가이드축의 수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의 외측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의 하단부는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단면과 커플링을 개제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컷 게이트의 중공부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의 내, 외부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켓 게이트의 외부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적열 코크스 버켓이 권상되고 권하됨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벼운 무게의 버켓 게이트의 자중과 정지 구조물에 의해 개폐가 되므로 복잡한 기계장치와 전동 모터가 불필요 하므로 손상이나 빈번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열 코스스 연소에 의한 코크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 없이 작동하므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화염 분출에 의한 설비 열화 손상과 가스와 분진 비산에 의한 환경 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버켓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는, 버켓 커버(110)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버켓 커버(110)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100);
상기 버켓 게이트(100)와 접촉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120);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130);
상기 가이드축(130)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축(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40); 및
상기 가이드축(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140)와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축(13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켓 커버(110)는 적열 코크스 등이 저장되는 버켓(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20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버컷(200)의 상부에는 상가 버켓 커버(110)를 개폐하기 위한 모터(4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400)에는 상기 버켓 커버(110)를 권상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4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410)는 와이어 드럼 빔(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와이어 드럼(420)에 감겨진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상기 버켓 커버(110)의 외곽을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하여 환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그 내부가 비워있는 중공부(102)를 갖는 중공형상의 본체(10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1)의 중공부(102)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내, 외부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10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101)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부재(10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1)의 중공부(102)로 단열재(103)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중공부(102)를 덮어주어 상기 본체(101)의 열에 의한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망(10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망(107)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단면과 상기 가이드축(130)의 하단면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본체(101)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스토퍼(120)에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재(10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20)는 가이드카 레일 지지부재(122)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08)의 하단면은 상기 가이드카 레일 지지부재(122)와 용이한 접촉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카 레일 지지부재(122)의 상단면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와이어 드럼 빔(112)과 같은 지지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에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삽입구멍(14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142)에는 상기 가이드축(130)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부시(bush)(14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144)에는 상기 가이드축(13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30)은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 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146)의 단면은 상기 가이드축(13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150)에는 가이드축(13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5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152)에는 상기 가이드축(130)의 수나사부(132)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130)의 수나사부(132)에는 상기 제2 스토퍼(150)가 상기 가이드축(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 너트(154)가 와셔(156)를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30)의 외측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100)와 상기 지지부재(140)의 사이에 탄성부재(134)가 설치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자중에 의하여 내려갈 때 상기 버켓 게이트(100)를 하부로 밀어줌과 아울러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위로 상승할 때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향 이동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130)의 하단부는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상단면과 커플링(136)을 개제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136)은 와셔(137) 및 너트(139)를 개재하여 볼트(138)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축(130)과 상기 버켓 게이트(10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 게이트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차(300)가 코크스 버켓(200)에 적열 코크스를 받아서 크레인 포지션에 들어오면 크레인은 자동으로 적열 코크스 버켓(200)을 권상하게 되는데, 상기 버켓 커버(110)는 모터(40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크레인이 적열 코크스 버켓(200)을 권상하게 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접촉부재(108)가 상기 제1 스토퍼(120)와 이격된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접촉부재(108)가 상기 제1 스토퍼(120)와 이격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자동으로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내려감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축(130)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134)에 의하여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가이드축(130)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부시(144)의 삽입구멍(146)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상기 가이드축(130)을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 스토퍼(150)의 하단면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단면에 걸리면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스토퍼(150)가 상기 지지부재(140)에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축(130)과 버켓 게이트(100)는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정지하게 되고,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상기 가이드축(130)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134)와 자중에 의해, 이미 열려 있던 버켓 게이트(100)가 상기 가이드축(130)을 따라서 하부로 이동되어 모터의 작동 없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버켓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크레인이 권하하여 적열 코크스 버켓(200)이 전차(300)에 안착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의 접촉부재(108)의 하단면은 상기 제1 스토퍼(120)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108)가 상기 제1 스토퍼(120)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는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된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상기 가이드축(130)을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34)를 압축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34)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130)은 상기 지지부재(140)의 부시(144)의 삽입구멍(146)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버켓 게이트(100)도 상기 가이드축(13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상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버켓 게이트(100)가 상기 가이드축(130)을 따라서 탄성부재(134)를 압축하면서 상부로 올라가게 되므로, 모터의 작동 없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므로, 전차(300)가 주행하여 연속 반복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버켓 게이트 110: 버켓 커버
120: 제1 스토퍼 130: 가이드축
140: 지지부재 150: 제2 스토퍼
200: 적열 코크스 버켓 300: 전차
400: 모터

Claims (11)

  1. 버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을 개폐하는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장치로서,
    상기 버켓 커버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버켓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버켓 게이트;
    상기 버켓 게이트와 접촉되면, 상기 버켓 게이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축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버켓 게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게이트는 그 내부가 비워있는 중공부를 갖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게이트의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가이드카 레일 지지부재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부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가이드축의 수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외측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하단부는 상기 버켓 게이트의 상단면과 커플링을 개제하여 결합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게이트의 중공부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의 내, 외부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삽입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게이트의 외부에는 상기 버켓 게이트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버켓 게이트 장치.
KR1020110116059A 2011-11-08 2011-11-08 버켓 게이트 장치 KR10132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059A KR101321923B1 (ko) 2011-11-08 2011-11-08 버켓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059A KR101321923B1 (ko) 2011-11-08 2011-11-08 버켓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10A KR20130050810A (ko) 2013-05-16
KR101321923B1 true KR101321923B1 (ko) 2013-10-28

Family

ID=4866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059A KR101321923B1 (ko) 2011-11-08 2011-11-08 버켓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76B1 (ko) * 2013-06-07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커버 개폐기능을 갖는 버킷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855B (zh) * 2015-08-10 2017-10-27 湖南省九方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物料自动装卸转运装置
CN112552934B (zh) * 2020-12-08 2021-12-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干熄焦焦罐以及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252A (ja) 2005-03-17 2006-09-28 Nippon Steel Corp 旋回コークバケット用蓋の開閉装置
KR20110035073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JP4744644B2 (ja) 2010-06-17 2011-08-10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赤熱コークス受骸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252A (ja) 2005-03-17 2006-09-28 Nippon Steel Corp 旋回コークバケット用蓋の開閉装置
KR20110035073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JP4744644B2 (ja) 2010-06-17 2011-08-10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赤熱コークス受骸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76B1 (ko) * 2013-06-07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커버 개폐기능을 갖는 버킷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10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923B1 (ko) 버켓 게이트 장치
JP4595011B2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WO2011092853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給電装置
JP2007177429A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CN107601226B (zh) 使得能够从电梯轿厢内部触及行进缆线死端搭接件的系统
KR101079762B1 (ko) 다수 배전선 간 합선을 방지하는 완철형 지지대
CN208012995U (zh) 两箱提篮式温度冲击试验箱
JP5997076B2 (ja) エレベータ及びこれに備えられるテールコード制振装置
KR100713146B1 (ko) 지주의 승강식 변압배전장비
KR101112078B1 (ko) 특고압 전기의 송배전선 설치형 절연애자
CN108698798A (zh) 用于电梯的张紧装置
CN100418870C (zh) 具有集成控制器的电梯轿厢框架
KR100717352B1 (ko)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CN202400740U (zh) 高度限位器
JP6285665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外れ防止構造
KR200416865Y1 (ko)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CN209493195U (zh) 电梯井内物料提升装置
KR200468048Y1 (ko)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클러치타입의 전기체인호이스트
CN208280181U (zh) 一种检修孔封盖装置
JP2013096156A (ja) 多重式選択取水装置の扉体の点検方法
CN108442410A (zh) 一种检修孔封盖装置
CN204342234U (zh) 一种一体化的电梯中的电力拖动装置
KR101087219B1 (ko) 안테나폴의 구동관리장치
CN219058394U (zh) 一种用于热浸镀锌环形生产线的电动葫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