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65Y1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865Y1 KR200416865Y1 KR2020060006382U KR20060006382U KR200416865Y1 KR 200416865 Y1 KR200416865 Y1 KR 200416865Y1 KR 2020060006382 U KR2020060006382 U KR 2020060006382U KR 20060006382 U KR20060006382 U KR 20060006382U KR 200416865 Y1 KR200416865 Y1 KR 2004168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lift car
- communication cable
- roller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몸체 양측 상방부에는 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지지체의 하부 지지편을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 지지편에는 아이들 로울러를 축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카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되, 상기 로울러와 리프트 카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의 아이들 로울러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이 이탈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의 지지에 따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아이들 로울러가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리프트 카, 전력 케이블, 도르래, 아이들 로울러, 통신 케이블, 지지체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건설용 리프터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종래 건설용 리프터 중 아이들 로울러가 구비된 이동형 도르래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종래 건설용 리프터 중 아이들 로울러가 구비된 이동형 도르래의 확대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건설용 리프터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장치가 이동형 도르래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 장치가 이동형 도르래에 설치된 상태의 확대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프트 카 2 : 마스트
3 :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 4 : 로프
5 : 지지바 6 : 전력 케이블
7 : 이동형 도르래 8, 74 : 아이들 로울러
9 : 유,무선 중계기 10 : 통신 케이블
12 : 지지체 71 : 몸체
72 : 가이드봉 73 : 중심축
75 : 간격 유지구 121 : 상부 지지편
122 : 하부 지지편 123 : 횡판
124 : 볼트 122a, 122b : 통공
본 고안은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인가시켜 주는 전력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리프트 카의 이동 높이에 부응하여 상하로 로프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하나의 아이들 로울러를 설치하여 리프트 카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달용 통신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통신케이블의 지지에 따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아이들 로울러가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승하강 리프터(Lifter)는 건설현장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자재 및 인부의 층간 이동 또는 수하물의 수직방향 이송등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설비 장치를 말한다.
대개, 건설용 리프터는 적재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지만, 자재 및 인부를 태울수 있는 박스형의 리프트 카와, 설치 자리면에서 원하는 높이까지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리프트 카의 승하강 경로가 되는 마스트(mast)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리프트 카와 마스트는 레일을 이용하여 서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어진다.
또, 상기 리프트 카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와, 리프터의 정지를 위한 제동장치와, 제동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하여 이중 안전장치의 일종인 낙하방지장치 및 안전고리, 그리고 철구조물로서 소정 체적을 갖는 박스형의 적재함과, 구동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력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는 다수의 고강도 구조관으로 트러스트 구조를 이루며 차례로 조립시킨 골격 구조물로서, 건설현장의 설치 자리면에서 승하강 리프터가 올라가야 하는 필요 높이까지 조립하여 수직으로 건축물을 따라 세워지게 한 골격 구조물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리프트 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공급장치에는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전력 케이블은 지상의 전력 공급기에 일단부를 고정하고 그 중간부는 마스트의 상단부에 설치한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치고 타단부는 상기 리프트 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하되, 상기 로울러와 리프트 카 전력 공급장치 사이의 전력 케이블상에는 중량체를 갖는 이동형 도르래를 설치하여 마스트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리프트 카의 위치에 부응하여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가 회동되며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흔들리지 않고 승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는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릴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와 지면 사이에 로프를 두줄로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동형 도르래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로프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에 부응하여 전력 케이블이 승하강 이동될 때 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로울러가 전력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의 축상에서 아이들 회동하면서 그 자체가 상기 로프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도르래 자체가 승하강 이동될시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전력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히 승하강 이동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카의 승하강 운전 제어 및 그 상태 확인은 단방향 및 양방향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단방향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에 의한 제어방식의 경우, 무인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면, 무선 관리국으로부터 사용 주파수를 할당 받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무선통신 제어 장비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또 건축 현장의 여건이나 상황이 무선통신상에 미치는 통신간섭 등 악영향이 많아 잦은 통신에러로 인한 아프터 써 비스 요청이 많음은 물론 그로 인해 운영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선의 경우 주변 잡음 등에 별 문제가 없고 장비의 설치비는 적게 드는 잇점이 있는 반면, 전담 운전원이 상주해야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고, 특히 통신케이블을 리프트 카의 하방부로 처지게 설치하거나 전력 케이블 자체에 삽입 설치한 형태를 갖고 있어 전자의 경우는 사용중 늘어진 통신 케이블이 꼬이거나 하중 장력에 의해 단선되는 경우가 많고, 후자의 경우는 하중에 의한 장력이 전력 케이블에 비해 약하여 쉽게 단선되어 결국 양자 모두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0373177호(2005. 7. 23.자로 기술평가 유지결정됨)로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리프트 카(1)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설치되는 마스트(2)와;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로프(4)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마스트(2)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바(5)와;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각각 지상 및 리프트 카(1)의 전력 공급장치(11)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6)과;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에 위치된 전력케이블(6)의 절곡부 위치 이동에 부응하여 상기 지지바(5)와 지상 사이에 설치된 로프(4)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형 도르래(7)로 구성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몸체 (71) 저부와 양측으로 아이들 로울러(8)들을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카(1)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10)을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로 늘어진 통신 케이블(10)의 절곡부가 상기 아이들 로울러(8)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아이들 로울러(8)의 본체(81)에는 통신 케이블(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편(82)이 일체로 절곡 형성하며, 상기 아이들 로울러(8)는 이동형 도르래(7) 몸체(71) 상에 직접 용접 고정 설치하거나, 볼트(83) 등을 이용하여 도르래 몸체(7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었고,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들을 "U"자형의 지지편을 구비한 본체를 통해 도르래 몸체에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동형 통신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품의 수가 많고, 이에 따른 조립공정 수가 많아 제품의 생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가 저부와 양측에 구비된 중량체의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아이들 로울러들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고안한 것으로, 건설용 리프트 카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인가시켜 주는 전력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리프트 카의 이동 높이에 부응하여 상하로 로프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하나의 아이들 로울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첫째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리프트 카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전력 케이블과 함께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위치된 아이들 로울러에 재치시키는 방식을 통해 설치시켜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넷째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통신케이블의 지지에 따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여섯째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아이들 로울러가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형 리프트 카와; 상기 리프트 카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설치되는 마스트와;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와 로프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마스트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바와;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각각 지상 및 리프트 카의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과; 상기 로울러와 리프트 카 사이에 위치된 전 력케이블의 절곡부 위치 이동에 부응하여 지지바와 지상 사이에 설치된 로프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형 도르래로 구성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몸체 양측 상방부에는 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지지체의 하부 지지편을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 지지편에는 아이들 로울러를 축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카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와 리프트 카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의 아이들 로울러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의 하부 지지편에는 이동형 도르래의 중심축과 이동형 도르래 몸체의 상방부 양측에 결합되는 볼트가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은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중심축 상에는 이동형 도르래의 아이들 로울러 양측부와 몸체의 내측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는 와셔형 링 또는 베어링과 같은 간격 유지구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건설용 리프터의 개략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 고,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 장치가 이동형 도르래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 장치가 이동형 도르래에 설치된 상태의 확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 장치는, 박스형 리프트 카(1)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설치되는 마스트(2)와;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로프(4)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마스트(2)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바(5)와;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각각 지상 및 리프트 카(1)의 전력 공급장치(11)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6)과;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에 위치된 전력케이블(6)의 절곡부 위치 이동에 부응하여 상기 지지바(5)와 지상 사이에 설치된 로프(4)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형 도르래(7)로 구성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몸체(71) 양측 상방부에는 측단면이 "H"자 형상을 갖는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을 용접 또는 볼트(124)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2)의 상부 지지편(121)에는 통신 케이블 안내용 아이들 로울러(8)를 축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카(1)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10)을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10)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12)의 아이들 로울러(8)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에는 이동형 도르래(7)의 중심축 (73)과 이동형 도르래(7) 몸체(71)의 상방부 양측에 결합되는 볼트(124)가 끼워지는 통공(122a)(122b)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122a)(122b)은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를 몸체(71)상에 축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 하단부를 이동형 도르래(7)의 몸체(71) 중앙에 고정시켜 주는 중심축(73)의 양단부에는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 양측부와 몸체(71)의 내측면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구(75)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구(75)는 와셔형 링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은 마스트(2)에 설치되어 리프트 카(1)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래크 기어이고, 41은 지상에서 로프(4)를 고정시켜 주는 로프 고정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리프터는 기본적으로 유/무선 제어를 병행하기 위하여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와 리프트 카(1)에 설치된 제어부(도면상 전력 공급장치내에 내장된 것으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함) 사이에 통신 케이블(10)을 설치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으로 한다.
즉, 지상의 운전원은 상기 유,무선 중계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조정기를 휴대하고 리프트 카(1)의 운전 제어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트 카의 운전 상태 또는 위치 등을 조정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하고, 운전원에 의해 조작된 리프트 카(1) 운전 제어신호는 유,무선 중계기 를 통해 수신되어 그에 연결된 통신 케이블(10)을 통해 리프트 카(1)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리프트 카의 상태 데이타는 이와 반대로 통신 케이블을 통해 유,무선 중계기로 전달되어 유,무선 송출된 후 운전원이 휴대하고 있는 유,무선 조정기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와 마스트(2)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리프트 카(1)의 제어부 사이에 통신 케이블(10)을 그대로 설치할 경우, 통신 케이블이 리프트 카(1)와 유,무선 중계기(9) 사이에서 늘어진 상태를 갖게 되므로 리프트 카(1)의 승하강시 통신 케이블(10)이 꼬이거나 자중 등에 의해 단선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기 설치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6)의 승하강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몸체(71) 양측 상방부에 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을 용접 또는 볼트(124)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2)의 상부 지지편(121)에는 통신 케이블 안내용 아이들 로울러(8)를 축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카(1)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10)을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10)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12)의 아이들 로울러(8)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체(12)의 상,하부 지지편(121)(122)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횡판(123)이 설치되어 있고, 횡판(123)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부 지지편(121)은 아이들 로울러(8)의 지름보다 비교적 높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아이들 로울러(8)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통신 케이블(10)의 절곡부가 아이들 로울러(8)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아이들 로울러(8)의 지지체(12)를 형성할 때 중간의 횡판(123)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아이들 로울러(8)를 축지시킬 수 있는 상부 지지편(121)을 아이들 로울러(8)의 지름보다 비교적 길게 돌출 형성하고, 하부에는 이동형 도르래(7) 몸체(71)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하부 지지편(122)을 돌출 형성하여 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을 갖도록 지지체(12)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아이들 로울러(8)와 지지체(12)의 횡판(123) 사이에 통신 케이블(10)의 지름보다 더 큰 공간부가 상부 지지편(121)의 높이에 부응하여 형성되므로 통신 케이블(10)이 지지체(12)를 이탈하지 않음은 물론 그의 외피가 횡판(123)과 부딪히지 않아 크게 마모되지 않는 상태에서 원활히 이 공간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이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들을 "U"자형의 지지편을 구비한 본체를 통해 도르래 몸체의 저부에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지 않고 이동형 도르래(7)의 상방부로 지지체(12)를 통해 하나의 아이들 로울러(8)를 설치하여 통신용 케이블(10)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에 비하여 구성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지지체(12) 및 아이들 로울러(10)가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 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에는 이동형 도르래(7)의 중심축(73)과 이동형 도르래(7) 몸체(71)의 상방부 양측에 결합되는 볼트(124)가 끼워지는 통공(122a)(122b)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중심축(73)과 볼트(124)를 이용하여 아이들 로울러(8)가 구비된 상기 지지체(12)를 고정 설치할 때 상기 중심축(73) 및 볼트(124)의 고정위치 변화를 통해 아이들 로울러(8)의 설치 높이를 도 7의 가상선 및 실선과 같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와 상기 지지체(12)의 하부 지지편(122) 하단부를 중심축(73)을 이용하여 이동형 도르래(7)의 몸체(71)에 그대로 축지 및 고정시켜 주게 되면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 양측부와 몸체(71)의 내측면이 맞닿아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아이들 로울러(74)가 중심축(73) 상에서 회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중심축(73) 양단부에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 양측부와 몸체(71)의 내측면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구(75)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간격 유지구(75)가 아이들 로울러(74)의 양측면이 몸체(71)의 내측면에 맞닿지 않고 일정 거리를 유지시켜 주게 되어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가 중심축(73) 상에서 원활히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바(5)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3)와 리프트 카(1) 사이에서 늘어져 처진 상태에 있는 전력 케이블(6)과 통신 케이블(10)의 절곡부를 중 량체인 이동형 도르래(7) 자체 및 지지체(12)를 통해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로울러(8)에 접동되도록 설치할 때 상기 통신 케이블(10)을 전력 케이블(6) 보다 더 느슨하게 설치하여 도르래(7)의 전체 하중이 통신 케이블(10)보다 굵고 강한 전력 케이블(6)에 집중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전력 케이블(6)은 통상 그 외경이 25mm이고 피복 두께는 5mm인 것을 사용하고, 통신 케이블(10)에 내장되는 와이어의 외경은 약 4mm이며 이 와이어들의 외부에 설치되는 고압호스는 내경이 12mm이고 피복두께가 5mm이므로 통신 케이블(10) 자체도 어느 정도의 장력에 견딜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대략 15Kg의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7)를 포함한 케이블 전체의 중력이 전력 케이블(6)에 집중되므로 통신 케이블(10)에는 큰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중량체인 상기 도르래(7)의 몸체(71)의 전후부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한쌍의 가이드봉(72)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봉(72)의 내부로는 상기 지지바(5)와 지면의 로프 고정구(41) 사이에서 팽팽하게 두 줄로 설치되어 있는 로프(4)가 끼워진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카(1)의 승하강 이동에 부응하여 전력 케이블(6)이 승하강 이동될 때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아이들 로울러(74)는 전력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71)의 중심축(73) 상에서 아이들 회동하면서 그 자체가 상기 로프(4)를 따라 전력 케이블(6)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리프트 카(1) 및 전력 케이블(6)의 승하강에 부응하여 이동형 도르래(7)가 로프(4)를 따라 승하강 이동될시 이동형 도르래(7)의 상방부에 지지체(12)를 통해 축지되어 있는 아이들 로울러(8)에 결합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10)도 자동적으로 승하강 이동된다.
따라서 리프트 카(1)를 원격지에서 유,무선 제어할 때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9)와 리프트 카(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10)도 전력 케이블(6)에 결합되어 로프(4)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형 도르래(7)와 함께 지지체(12)에 축지된 아이들 로울러(8)의 지지를 받으며 승하강 이동되므로 전력 케이블(6)은 물론 상기한 통신 케이블(10)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꼬이지 않고 원활이 승하강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이동형 도르래(7)의 하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6)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통신 케이블(10)이 이동형 도르래의 하중 등에 의해 절단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건설용 리프트 카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인가시켜 주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리프트 카의 이동 높이에 부응하여 상하로 로프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지지체를 통해 하나의 아이들 로울러를 설치하여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리 프트 카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전력 케이블과 함께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설치된 아이들 로울러에 재치시켜 줌으로써, 첫째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이 이탈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넷째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통신케이블의 지지에 따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여섯째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아이들 로울러가 다른 물체들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 박스형 리프트 카가 승하강되는 마스트와;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와 로프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게 마스트 상단부에서 설치되는 지지바와;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로울러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지상 및 리프트 카의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와 리프트 카 사이에 위치된 전력케이블의 절곡부 위치 이동에 부응하여 지지바와 지상 사이에 설치된 로프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형 도르래로 구성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몸체 양측 상방부에 지지체의 하부 지지편을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 지지편에는 아이들 로울러를 축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카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되, 상기 로울러와 리프트 카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의 아이들 로울러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지지체의 하부 지지편에는 이동형 도르래의 중심축과 이동형 도르래 몸체의 상방부 양측에 결합되는 볼트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통공은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중심축 상에는 이동형 도르래의 아이들 로울러 양측부와 몸체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격 유지구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간격 유지구는 와셔형 링 또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382U KR200416865Y1 (ko) | 2006-03-09 | 2006-03-09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382U KR200416865Y1 (ko) | 2006-03-09 | 2006-03-09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865Y1 true KR200416865Y1 (ko) | 2006-05-22 |
Family
ID=4176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6382U KR200416865Y1 (ko) | 2006-03-09 | 2006-03-09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86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372Y1 (ko) * | 2010-05-14 | 2011-02-22 | 서일수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
KR101034774B1 (ko) * | 2010-07-30 | 2011-05-17 | (주)챔피온코리아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리프트 장치 |
KR20220065342A (ko) * | 2020-11-13 | 2022-05-20 |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
-
2006
- 2006-03-09 KR KR2020060006382U patent/KR2004168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372Y1 (ko) * | 2010-05-14 | 2011-02-22 | 서일수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
KR101034774B1 (ko) * | 2010-07-30 | 2011-05-17 | (주)챔피온코리아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리프트 장치 |
KR20220065342A (ko) * | 2020-11-13 | 2022-05-20 |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
KR102457959B1 (ko) | 2020-11-13 | 2022-10-24 |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5826B1 (ko) |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 |
KR101130129B1 (ko) |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 | |
JP5069468B2 (ja) | エレベータの設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 |
CN202080836U (zh) | 一种高空作业物料提升设备 | |
KR200416865Y1 (ko)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
JP5459558B2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KR20110009738A (ko) | 고소작업용 전동 레일카 | |
JP5112162B2 (ja) |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 |
CN210795435U (zh) | 一种同步施工升降机 | |
CN219567291U (zh) | 一种管桩吊具 | |
JP5927718B2 (ja) |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 |
KR200416866Y1 (ko)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
KR200373177Y1 (ko)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
KR101034774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리프트 장치 | |
JP4120861B2 (ja) | ケーブルの案内装置 | |
KR20100003351U (ko) |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 |
KR20100009390U (ko) | 엘리베이터 균형체인 가이드 브러쉬 | |
CN202508723U (zh) | 一种新型施工升降机 | |
KR102457959B1 (ko) |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 |
CN111792498B (zh) | 一种用于电梯曳引机的撑托安装机构及其使用方法 | |
KR200435532Y1 (ko) | 철탑 조립용 회전식 붐 | |
CN209493195U (zh) | 电梯井内物料提升装置 | |
CN106092616A (zh) | 车轮定位仪升降装置及车轮定位仪 | |
CN205634711U (zh) | 一种防超载式建筑吊篮 | |
CN211622501U (zh) | 一种钢结构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