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19B1 -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19B1
KR101760019B1 KR1020150063296A KR20150063296A KR101760019B1 KR 101760019 B1 KR101760019 B1 KR 101760019B1 KR 1020150063296 A KR1020150063296 A KR 1020150063296A KR 20150063296 A KR20150063296 A KR 20150063296A KR 101760019 B1 KR101760019 B1 KR 10176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wire rope
rope
pi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178A (ko
Inventor
허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신우유비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유비코스 filed Critical (주)신우유비코스
Priority to KR102015006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stract

타워형 주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주차장치는, 지면 보다 하부에 형성된 장착부; 지면의 상부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승강용 피트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피트의 양측에 다층으로 설치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공간이 형성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시브;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종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프소켓와,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로프소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1로프소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복수개의 종동시브를 경유하며 하부로 배치되어 주동시브에 권취되고, 다시 제2종동시브에 권취되며 피트를 경유하여 제2로프소켓에 연결되는 다수 가닥으로 구성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로프소켓와 제2종동시브 사이의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는 롤러를 갖는 카운터웨이트; 상기 피트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하면서 차량을 운반하는 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TOWER PARKING LOT'S LOWER DRIVEN PARKING DEVICE}
본 발명은 타워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는 타워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각 고층건물에는 지하에 주차장을 마련해두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주차대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건물 상부에도 주차장을 설계하게 된다.
건물 상층에 주차장을 설계하는 경우 차량을 입고 및 출고시키는 작동은 기계식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을 팔레트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팔레트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이동되면서 주차 차량을 보다 정교하게 정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 10-2007-0063651호에는 이러한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 타워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타워형 주차장치는 타워구조물의 내부 양측에 층별로 주차공간을 형성하고, 양 주차공간 사이의 중앙에는 승강로를 형성하였으며, 양측의 주차공간은 각각 다층의 주차실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주차설비는 차량을 승강로를 따라 승강시키는 리프트와, 와이어로프를 이동시켜 리프트의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리프트 상의 차량을 주차실로 수평이동시키거나 주차실 상의 차량을 다시 리프트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구동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주변에 피해를 끼치게 되고, 건물 안전까지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장치를 지하에 설치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교환이나 수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하중의 장치들을 용이하게 지상으로 반출시킬 수 있으므로 정비에 소모되는 비용이나 위험요소를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워형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 보다 하부에 형성된 장착부; 지면의 상부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승강용 피트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피트의 양측에 다층으로 설치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공간이 형성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시브;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형성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종동시브와, 상기 피트의 타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에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종동시브와,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종동시브와, 상기 제2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프소켓와,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로프소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1로프소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종동시브를 경유하며 하부로 배치되어 주동시브에 권취되고, 다시 제2종동시브에 권취되며 피트를 경유하여 제2로프소켓에 연결되는 다수 가닥으로 구성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로프소켓와 제2종동시브 사이의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는 롤러를 갖는 카운터웨이트; 상기 피트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하면서 차량을 운반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주차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는 피트의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레일로드와, 상기 레일로드에 결합되는 롤러가 형성된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구동모터의 주동시브와 외접되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면서 공회전되는 아이들링시브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파손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안전 여부를 통지하는 절단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감지장치는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주동시브의 외주에 가로질러 형성되어 와이어로프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센싱로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센싱로드에 타격이 가해지면 이상 신호로 분류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감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로프소켓 각각은 제2지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및 제2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에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앵커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에 와이어로프의 단부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트의 하단에는 승강기의 케이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완충장치와, 상기 지면의 타측에는 카운터웨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완충장치 및 제2완충장치는 케이지의 하부가 지지되는 버퍼; 상기 버퍼가 부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를 지하에 설치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교환이나 수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하중의 장치들을 용이하게 지상으로 반출시킬 수 있으므로 정비에 소모되는 비용이나 위험요소를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늘어남으로 인해 우려되는 절단사고를 미연에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어 안전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절단감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절단감지장치'를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1로프소켓'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2로프소켓'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1완충장치'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2완충장치'을 나타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절단감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절단감지장치'를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1로프소켓'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2로프소켓'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1완충장치'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의 '제2완충장치'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형 주차장치(A)는, 지면(G) 보다 하부에 형성된 장착부(2); 지면(G)의 상부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피트(30)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피트(30)의 양측에 다층으로 설치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공간(34)이 형성된 구조물(3);을 포함한다.
장착부(2)에는 동력부가 형성되고, 동력부의 동력을 승강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승강기를 포함한다.
동력부는 장착부(2)에 설치되는 프레임(4); 상기 프레임(4)에 장착되는 구동모터(5); 상기 구동모터(5)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시브(미도시) 및 주동시브에 연동되는 와이어로프(7)를 포함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7)의 이동을 안내하며 승강기(8)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7)의 일단에 연결되며 승강기(8)와 상반되게 승강작동하는 카운터웨이트(10)가 포함된다.
승강기(8)는 피트(30)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7)가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하면서 차량(100)을 운반하게 된다.
주동시브(61)는 원판형이되 외주면에 다수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에 와이어로프(7)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후술될 제1종동시브(91), 제2종동시브(92), 제3종동시브(93)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로프(7)가 삽입되도록 환형 홈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9)는 상기 구조물(3)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대(98)와, 구조물(3)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며 피트(30)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대(98)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99)를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부(9)는 상기 구조물(3)의 상단에 형성된 제1지지대(98)와, 상기 제1지지대(98)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종동시브(91)와, 상기 제2지지대(99)에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9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종동시브(92)와, 상기 제1지지대(98)에 형성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9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종동시브(93)를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부(9)는 상기 제2지지대(99)의 일측에 형성되며 와이어로프(7)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프소켓(95)과, 와이어로프(7)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로프소켓(96)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로프(7)는 일단부가 제1로프소켓(95)에 고정되고, 제2종동시브(92)를 경유하여 제1종동시브(91)를 지나 하방으로 수직되게 배치된 후 주동시브(61)를 경유한 후 다시 상방으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3종동시브(93)를 경유한 후 제2로프소켓(96)에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7)는 피트(30)를 지나게 되는데, 피트(30)에 배치된 승강기(8)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7)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승강기(8)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10)는 상기 제2지지대(99)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로프소켓(95)와 제2종동시브(92)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에는 와이어로프(7)가 권취되는 롤러(83)가 형성되며, 롤러(83)에 와이어로프(7)가 권취된다.
상기 승강기(8)는 피트(30)의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레일로드(82)와, 상기 레일로드(82)에 결합되는 롤러(83)가 형성된 케이지(84)로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지(84)에는 차량(100)이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이동장치(85)가 형성된다.
수평이동장치(85)를 차량(100)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한편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4)의 일측에는 구동모터(5)의 주동시브(61)와 외접되며 와이어로프(7)를 지지하면서 공회전되는 아이들링시브(42)가 형성된다.
아이들링시브(42)는 주동시브(6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이들링시브(42)의 외주면과 주동시브(61) 외주면 사이에 와이어로프(7)가 배치되며, 아이들링시브(42)의 외주면이 주동시브(61)의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와이어로프(7)가 만곡지게 꺽이면서 아이들링시브(42)의 외주면과 주동시브(61)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로프(7)를 아이들링시브(42)의 외주면과 주동시브(61)의 외주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7)의 승강작동이 보다 긴밀해지면서 정확도를 갖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7)의 파손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안전 여부를 통지하는 절단감지장치(50)가 형성된다.
절단감지장치(50)는 와이어로프(7)와 근접되게 장착되어 와이어로프(7)가 절단되어 주동시브(61)로부터 이탈되었을때 그 충격을 감지하여 손상 여부를 즉시 제어부(미도시)에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단감지장치(50)는 프레임(4)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2바디(51,52)와, 상기 제1,2바디(51,52)에 연결되며 상기 주동시브(61)의 외주에 가로질러 형성되어 와이어로프(7)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센싱로드(53) 및 이상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감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로프(7)가 절단되면서 일부분이 센싱로드(53)를 타격하게되면, 충격을 받은 센싱로드(53)는 신호를 감시회로(미도시)에 송신하고, 감시회로는 이 신호를 이상 신호로 분류하여 제어부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제1로프소켓(95)은 제2지지지대(99)의 상부에 결합되는 '┏┓' 형상으로 된 브라켓(951)과, 상기 브라켓(951) 및 제2지지대(99)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에는 연결구(95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952)이 장착된 앵커볼트(953)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952)은 상기 앵커볼트(953)에 끼워지며, 일단은 브라켓(951)에 지지되고, 타단은 앵커볼트(953)의 상부에 결합된 와셔(955)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와셔(955)에 접촉되어 앵커볼트(953)에 나사 결합된 너트(956)가 구비되어 너트(956)를 조임에 따라 스프링(952)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954)는 와이어로프(7)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954-2)이 하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개방구(954-4)가 형성되어 와이어로프(7)의 단부에 고정되는 마감구(미도시)가 부착되어 연결구(954)에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제2로프소켓(96)은 제2지지대(99)의 상면에 부착되는 보강판(961)과, 상기 보강판(961) 및 제2지지대(99)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에는 연결구(96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962)이 장착된 앵커볼트(963)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962)은 상기 앵커볼트(963)에 끼워지며, 일단은 브라켓(961)에 지지되고, 타단은 앵커볼트(963)의 상부에 결합된 와셔(965)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와셔(965)에 접촉되어 앵커볼트(963)에 나사 결합된 너트(966)가 구비되어 너트(966)를 조임에 따라 스프링(962)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964)는 와이어로프(7)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964-2)이 하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개방구(964-4)가 형성되어 와이어로프(7)의 단부에 고정되는 마감구(미도시)가 부착되어 연결구(964)에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피트(30)의 하단에는 승강기(8)의 케이지(84)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1완충장치(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면(G)의 타측에는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완충장치(80)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강하는 케이지(84) 및 카운터웨이트(10)가 제1완충장치(70) 및 제2완충장치(80)에 각기 접촉하면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장치(70) 및 제2완충장치(80)는, 케이지(84)의 하부가 지지되는 버퍼(71,81); 상기 버퍼(71,81)가 부착되는 안착판(72,82)과, 상기 안착판(72,82)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G)에 설치되는 포스트(73,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완충장치(70)의 포스트(73)는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케이지(84)의 하부에 형성된 롤러(83)가 지면(G)과 충돌하지 않도록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버퍼가 배치되어 케이지(84)의 하부가 버퍼(71)에 접촉될 수 있도록 포스트(73)가 길게 형성된다.
제2완충장치(80)의 포스트(83)는 짧게 형성된다. 카운터웨이트(10)의 밑면이 평평하므로 포스트(83)는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버퍼(81)는 피트(30) 내에서 케이지(84)의 낙하시 튕겨 올라와 다시 낙하되는 2차 충격을 방지하기위해 연질의 합성수지 혹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케이지(84)의 하부에는 버퍼(8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카운터웨이트(10)의 하부는 버퍼(71,81)와 접촉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부(10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에 다층으로 된 구조물(3)을 시공한다. 구조물(3)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피트(30)가 형성되고, 피트(30)의 양측에 각기 주차공간이 형성된다.
지하에는 구동모터(5)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부(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하 1층 보다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프레임(4)을 설치한다.
프레임(4)에는 구동모터(5)가 장착되고, 구동모터(5)의 축에 연결되는 주동시브(61)가 장착된다.
한편 구조물(3)의 상단에는 제1지지대(98)와 제2지지대(99)가 피트(3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제1지지대(98)에는 제1종동시브(91)와, 제3종동시브(93)가 장착되고, 제2지지대(99)의 중앙부에 제2종동시브(92)가 장착된다.
제2지지대(99)의 양측에 각기 제1로프소켓(95)과 제2로프소켓(96)이 장착된다.
이후 와이어로프(7)의 일단이 제1로프소켓(95)에 연결되고, 카운터웨이트(10)의 롤러(83)를 경유하여 제1,2종동시브(91)(92) 및 주동시브(61) 그리고 제3종동시브(93)를 권취한 후 최종 제2로프소켓(96)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피트(30)에 설치된 승강기(8)의 케이지(84)에 와이어로프(7)가 연결된다.
한편 프레임(4)의 일측에 절단감지장치(50)가 장착되어 와이어로프(7)의 파손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후 주차를 하기 위해 스위치를 온시키면 승강기(8)가 하강하여 1층의 입구에 배치된다.
승강기(8)의 승강 작동은 구동모터(5)의 작동에 의해 주동시브(61)가 회전하고, 아이들링시브(42)에 밀착된 상태인 와이어로프(7)가 일측으로 당겨지면서 카운터웨이트(10)가 상승하고, 이와 상반되게 승강기(8)가 하강하면서 1층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차량(100)이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승강기(8)의 케이지(84)에 안착된 후 원하는 층수로 상승하게 된다. 이는 구동모터(5)의 작동과 이로인해 와이어로프(7)가 이동함으로써 승강기(8)의 상승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원하는 층에 승강기(8)가 도달한 후에는 빈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수평 이동시켜 주차시킨다.
한편 와이어로프(7)의 이동 과정에서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절단감지장치(50)에서 즉시 감지하게 되고, 이상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장착부 3 : 구조물
4 : 프레임 5 : 구동모터
7 : 와이어로프 8 : 승강기
9 : 동력전달부 30 : 피트
42 ; 아이들링시브 50 ; 절단감지장치
51,52 : 제1,2바디 53 : 센싱로드
61 : 주동시브 70 : 제1완충장치
71,81 : 버퍼 73,83 : 포스트
80 : 제2완충장치 82 : 레일로드
84 : 케이지 91 : 제1종동시브
92 ; 제2종동시브 93 : 제3종동시브
95 : 제1로프소켓 96 : 제2로프소켓

Claims (9)

  1. 지면 보다 하부에 형성된 장착부;
    지면의 상부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승강용 피트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피트의 양측에 다층으로 설치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공간이 형성된 구조물;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승강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승강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형성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종동시브와, 상기 피트의 타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에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종동시브와,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종동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종동시브와, 상기 제2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프소켓와,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로프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제1로프소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종동시브를 경유하여 제1종동시브를 지나 하방으로 수직되게 배치된 후 주동시브를 경유한 후 다시 상방으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3종동시브를 경유한 후 제2로프소켓에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로프소켓와 제2종동시브 사이의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는 롤러를 갖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제3종동시브를 경유한 후 피트에 배치된 승강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로프소켓에 고정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구동모터의 주동시브와 외접되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면서 공회전되는 아이들링시브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파손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안전 여부를 통지하는 절단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감지장치는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주동시브의 외주에 가로질러 형성되어 와이어로프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센싱로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센싱로드에 타격이 가해지면 이상 신호로 분류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감시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로프소켓 각각은
    제2지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및 제2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에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앵커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에 와이어로프의 단부가 결속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구동모터의 주동시브와 외접되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면서 공회전되는 아이들링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링시브는 주동시브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이들링시브의 외주면과 주동시브 외주면 사이에 와이어로프가 배치되며, 아이들링시브의 외주면이 주동시브의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와이어로프가 만곡지게 꺽이면서 아이들링시브의 외주면과 주동시브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피트의 하단에는 승강기의 케이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완충장치와, 상기 지면의 타측에는 카운터웨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주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피트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가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며,
    상기 피트의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레일로드와,
    상기 레일로드에 결합되는 롤러가 형성된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주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63296A 2015-05-06 2015-05-06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KR10176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96A KR101760019B1 (ko) 2015-05-06 2015-05-06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96A KR101760019B1 (ko) 2015-05-06 2015-05-06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78A KR20160132178A (ko) 2016-11-17
KR101760019B1 true KR101760019B1 (ko) 2017-07-21

Family

ID=5754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96A KR101760019B1 (ko) 2015-05-06 2015-05-06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8465A (ja) * 2017-04-10 2018-11-1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方式の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108625638B (zh) * 2018-06-22 2020-04-14 贵州大学 一种适用于老旧小区的悬臂式楼顶自动停车装置
CN109681003A (zh) * 2019-01-11 2019-04-26 高忠文 一种停车平台自旋转的可回收势能的立体停车系统
CN110371158A (zh) * 2019-07-24 2019-10-25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一种斜巷防跑车系统
KR102274832B1 (ko) * 2020-12-08 2021-07-08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승강기
CN113085700A (zh) * 2021-04-28 2021-07-09 湖北兴农达畜牧车辆有限公司 一种多层畜禽运输车
CN114530682B (zh) * 2022-01-25 2023-11-07 江苏捷诚车载电子信息工程有限公司 移动式天线展开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244B2 (ja) * 1993-01-07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2002003124A (ja) * 2000-06-23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け装置及びその据付け工法
KR100550493B1 (ko) * 2001-02-16 2006-02-09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347727A (ja) * 2005-06-17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244B2 (ja) * 1993-01-07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2002003124A (ja) * 2000-06-23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け装置及びその据付け工法
KR100550493B1 (ko) * 2001-02-16 2006-02-09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347727A (ja) * 2005-06-17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78A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KR20150095918A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486424B (zh) 电梯绳索止振装置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US7503433B2 (en) Elevator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CN110902526B (zh) 一种单驱动并联电梯、电梯运行系统及控制方法
JP2013010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81337B1 (ko) 주차설비의 리프트 추락방지장치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511248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KR1006456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40375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3531496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CN212450160U (zh) 一种电梯轿厢过载保护装置
KR102146908B1 (ko) 지하 설치용 다층형 주차 리프트
JP2019099149A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CN103492305A (zh) 电梯的门开闭装置
EP1266859A1 (en) Elevator device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