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666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666B1
KR100645666B1 KR1020047016077A KR20047016077A KR100645666B1 KR 100645666 B1 KR100645666 B1 KR 100645666B1 KR 1020047016077 A KR1020047016077 A KR 1020047016077A KR 20047016077 A KR20047016077 A KR 20047016077A KR 100645666 B1 KR100645666 B1 KR 10064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elevator
drive sheave
main rop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565A (ko
Inventor
미츠이아츠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장치의 구동 시브에는, 주 로프가 감아 걸려져 있다. 주 로프에는 승강기 및 균형 추가 매달려 있다. 구동 시브의 균형 추측에는,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주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에 의한 승강기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EQUIPMRNT}
본 발명은, 구동 시브(drive sheave)에 감아 걸려진 주 로프에 의해 승강기가 승강로 내에 매달려져, 구동 시브와 주 로프 사이의 견인력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어떤 원인에 의해 승강기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상방으로 이동하고,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하면, 균형 추가 승강로 바닥부의 완충기에 충돌해서 정지한다. 균형 추의 하중이 완충기에 의해 지지되면, 구동 시브에 있어서의 견인력이 급격히 저하하고, 구동 시브의 회전이 계속하여도, 구동 시브는 주 로프에 대하여 미끄러져 공전한다. 이 때문에, 균형 추가 완충기에 충돌하면 승강기의 상승도 정지된다.
한편,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1-262482 호 공보에는, 주 로프의 외주에 수지가 피복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 시브와 주 로프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하고, 견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인 능력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 추가 완충기에 충돌해서 정지해도, 견인력의 저하가 작아, 승강기가 원활하게 정지하지 않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고 양정(high lift)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의 자중이 크기 때문에, 동일하게, 균형 추가 완충기에 충돌해서 정지했을 때의 견인력의 저하가 적은 것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상은 충분한 견인 능력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균형 추 또는 승강기가 통상의 승강행 정도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견인력을 적당히 저하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 시브에 감겨져 있는 주 로프, 구동 시브에 대하여 일측에서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 및 구동 시브에 대하여 타측에서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구동 시브의 균형추측에는,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주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에 의한 승강기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 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 시브에 감겨져 있는 주 로프, 및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 및 균형 추를 구비하고, 주 로프는 승강기 및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을 승강하고 있을 때 구동 시브를 통과하는 제 1 부분과,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구동 시브와 접촉하는 제 2 부분을 갖고, 제 1 부분의 외주는, 고 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고 마찰 피복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제 2 부분의 외주의 마찰계수는, 고 마찰 수지재의 마찰계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 시브에 감겨져 있는 주 로프, 구동 시브에 대하여 일측에서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 및 구동 시브에 대하여 외측에서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구동 시브의 승강기측에는, 승강기가 통상의 승강 행정도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주 로프를 쥐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에 의한 균형 추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동 시브의 주 로프과의 접촉 부분과 주 로프를 확대해서 도 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동 시브 및 디플렉터 휠과 주 로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구동 시브 및 디플렉터 휠과 주 로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2)내에는, 기계대(3)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3)에는, 구동장치(4)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4)는, 구동 시브(5)와, 이 구동 시브(5)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6)를 갖고 있다. 기계대(3)에는, 회전 가능한 디플렉터 휠(7)이 구동 시브(5)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탑재되어 있다.
구동 시브(5) 및 디플렉터 휠(7)에는, 복수 라인(도 1에서는 1개만 도시함)의 주 로프(8)가 반 걸이[하프 랩(half-lap)] 식으로 감겨져 있다. 즉, 구동 시브(5) 및 디플렉터 휠(7)로의 주 로프(8)의 감김 각도는 각각 180°미만이다.
승강기(9)는, 구동 시브(5)에 대하여 일측에서 주 로프(8)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주 로프(8)의 일단부는, 승강기측 로프 정지장치(10)를 거쳐서 승강기(9)의 상량(upper beam)(9a)에 접속되어 있다. 균형 추(11)는, 구동 시브(5)에 대하여 타측에서 주 로프(8)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주 로프(8)의 타단부는, 균형 추측 로프 정지장치(12)를 거쳐서 균형 추(11)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기(9) 및 균형 추(11)는, 구동장치(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바닥부(피트: pit)에는, 어떠한 원인으로 승강기(9) 및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도보다도 하방으로 하강한 경우에 승강로(1)의 바닥부로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승강기 완충기(13) 및 균형 추 완충기(14)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 추 완충기(14)에는, 균형 추 완충기(14)의 완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15)가 설치된다.
승강로(1)의 천장부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로서의 연기 감지기(16)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3)에는, 주 로프(8)를 꽉 쥐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5)에 의한 승강기(9)의 승강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7)가 설치된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는, 구동 시브(5)보다도 균형 추(11)측에서 주 로프(8)를 꽉 쥔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는, 제어장치(18)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18)에는, 검출 스위치(15)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 및 연기 감지기(16)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가 입력된다. 즉,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는, 검출 스위치(15)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가 제어장치(18)에 입력되었을 때, 및 연기 감지기(16)로부터의 화재감지 신호가 제어장치(18)에 입력되었을 때 주 로프(8)를 파지하여 제동한다.
또한, 제어장치(18)는, 화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시 관제 운전을 실 시한 후에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를 제동 동작시킨다.
다음에, 도 2는 도 1의 구동 시브(5)의 주 로프(8)와의 접촉 부분과 주 로프(8)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 시브(5)에는, 주 로프(8)가 삽입된 복수의 로프 홈(5a)이 설치된다. 로프 홈(5a)의 바닥부의 단면형상은, 원호형상(반원형상)이다. 즉, 로프 홈(5a)의 바닥부에는, 언더컷 홈(undercut groove)은 설치되지 않는다.
각 주 로프(8)는, 심 로프(21)와, 심 로프(21)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심 로프 피복체(22)와, 심 로프 피복체(22)의 외주에 배치된 외부층(23)과, 외부층(23)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부층 피복체(24)를 갖고 있다.
심 로프(21)는, 서로 꼬아 합쳐진 복수개의 심 스트랜드(core strand)(25)를 갖고 있다. 각 심 스트랜드(25)는, 서로 꼬아 합쳐진 복수개의 강제의 심 소선(core wire)(26)을 갖고 있다.
외부층(23)은 심 로프 피복체(22)의 외주에 꼬아 합쳐진 복수개의 외부층 스트랜드(27)를 갖고 있다. 각 외부층 스트랜드(27)는, 서로 꼬아 합쳐진 복수개의 강제의 외부층 소선(outer layer wire)(28)을 갖고 있다.
심 로프 피복체(22)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층 피복체(24)는, 마찰계수가 0.2 이상의 고 마찰수지재,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8)의 최외부층에 위치하고 로프 홈(5a)과 접촉하는 외부층 피복체(24)가 고마찰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 에, 주 로프(8)를 반 걸이식으로 구동 시브(5) 및 디플렉터 휠(7)에 감아 걸고, 또 로프 홈(5a)의 바닥부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이어도, 충분한 견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로프 홈(5a)의 바닥부에 언더컷 홈을 설치하지 않고 완료했기 때문에, 언더컷 홈에 의해 외부층 피복체(24)가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 로프(8)를 반 걸이식으로 구동 시브(5) 및 디플렉터 휠(7)에 감아 걸었을 경우, 전 걸이(풀 랩: full-lap)식의 경우보다도 구동장치 본체(6)에 작용하는 축 하중을 약 반으로 할 수 있어, 구동장치(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견인 능력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된다.
견인 능력 = e μ.K2.θ
μ: 마찰계수
K2 : 로프 홈과의 접촉 상태(통상은 홈의 형상)에 의한 계수
θ: 주 로프의 시브에 대한 감는 각도
외부층 피복체를 가지지 않는 강제 로프를 전 걸이식으로 구동 시브에 감아 걸고, 로프 홈에는 언더컷 홈을 설치했을 경우, 마찰계수 μ= 0.1, 계수 K2=1.38(언더컷 각도 500°), 감는 각도 θ=330°이 된다.
따라서, 견인 능력 = e(0.1x1.38x330/180xπ) = 2.21 이다.
이와 동등한 견인 능력을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찰계수는, 다음 식에 의해 요구된다.
마찰계수 μ=1n(2.21)/(K2×θ)=1n(2.21)/(1.2×150/180×π)=0.25
단, 계수K2=1.2(언더컷 홈 없음), 감는 각도 θ=150°(330-180=150°)로 했다.
따라서, 외부층 피복체(24)와 구동 시브(5) 사이의 마찰계수를 0.2 이상으로 하면, 거의 충분한 견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층 피복체(24)와 구동 시브(5)의 사이의 마찰계수를 0.25 이상으로 하면, 보다 확실히 견인 능력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검출 스위치(15)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가 제어장치(18)에 입력되었을 때에, 로프 브레이크 장치(17)에 의해 균형 추(11)측에서 주 로프(8)가 파지되어 제동되므로, 균형 추(11)측의 주 로프(8)의 자중이 로프 브레이크 장치(17)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균형 추(11)는 균형 추 완충기(14)에 의해 지지되므로, 균형 추(11) 측의 하중이 작게되어, 구동 시브(5)에서의 견인력을 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균형 추(11)가 균형 추 완충기(14)에 충돌했을 때에, 구동 시브(5)를 공전시켜, 승강기(9)를 스무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외부층 피복체를 가지지 않는 강제 로프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주 로프의 자중이 큰 고 양정도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유효하다.
또한, 연기 감지기(16)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가 제어장치(18)에 입력된 때에도, 로프 브레이크 장치(17)에 의해 주 로프(8)가 파지되어 제동되므로, 화재의 열에 의해 외부층 피복체(24)가 만일 용융해서 견인력이 저하한 경우에도, 구동 시브(5)에 대하여 주 로프(8)가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승강기(9)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8)는, 화재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화재시 관제 운전을 실시한 후에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를 제동 동작시키므로, 화재시에 승강기(9) 내의 승객을 원활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또, 화재 감지기는, 연기 감지기(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 감지기 등, 다른 종류의 것으로도 무방하다.
또한, 화재 감지기는, 엘리베이터 장치 전용에 승강로(1) 내에 배치된 것이어도, 건물측의 예컨대 승강장 등에 배치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동 시브 및 디플렉터 휠과 주 로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은 도 3의 구동 시브 및 디플렉터 휠과 주 로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균형 추가 균형 추 완충기까지 도달했을 때의 구동 시브 및 디플렉터 휠과 주 로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주 로프(31)의 외주는, 수지제의 외부층 피복체(32)에 의해 피복 되어 있다. 외부층 피복체(32)는, 승강기(9) 및 균형 추(11)(도 1 참조)가 통상의 승강 행정을 승강하고 있을 때 구동 시브(5)를 통과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고마찰 피복부(33)와,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이동했을 때에 구동 시브(5)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저마찰 피복부(34)를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주 로프(31)는 승강기(9) 및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을 승강하고 있을 때 구동 시브(5)를 통과하는 제 1 부분과,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구동 시브(5)와 접촉하는 제 2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부분의 외주는 고 마찰 피복부(33)에 의해 피복되고, 제 2 부분의 외주는 저 마찰 피복부(34)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고 마찰 피복부(33)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등의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고 마찰 피복부(33)와 구동 시브(5)의 사이의 마찰계수를 0.2 이상으로 하면, 거의 충분한 견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다. 또한, 고 마찰 피복부(33)와 구동 시브(5)의 사이의 마찰계수를 0.25 이상으로 하면, 보다 확실하게 견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저 마찰 피복부(34)는, 고 마찰 피복부(33)를 구성하는 수지재보다도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재, 나일론, 실리콘, 폴리프로필렌,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고 마찰 피복부(33)와 저마찰 피복부(34)는,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기(9) 및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을 승강하고 있을 때에는, 고 마찰 피복부(33)가 구동 시브(5)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같이 충분한 견인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승강기(9)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즉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저 마찰 피복부(34)가 구동 시브(5)와 접촉하고, 구동 시브(5)와 주 로프(31)의 사이의 마찰력이 보통 때보다도 저감된다.
이 때문에,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견인력이 적당히 저하하고, 구동 시브(5)가 공전하기 쉬워져, 공전시의 구동장치(4)의 소요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층 피복체(34)에 저 마찰 피복부(34)를 설치한 것에 의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검출 스위치(15)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고 마찰 피복부(33)와 저 마찰 피복부(34)는,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 되어 있으므로, 설치시나 주 로프(31)의 교환시에 주 로프(31)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동시에, 균형 추(11)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저 마찰 피복부(34)가 구동 시브(5)에 접촉하고 있는지 어떤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2에서는, 주 로프(31)의 제 2 부분의 외주를 저 마찰 피복부(34)에 의해 피복했지만, 제 2 부분의 외주의 마찰계수를 고 마찰 피복부의 마찰계수보다 작게할 수 있으면 양호하고, 제 2 부분의 외주를 수지로 피복하지 않고, 스트랜드를 노출시켜도 무방하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 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기계대(3)에는, 주 로프(8)를 꽉 쥐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5)에 의한 균형 추(11)의 승강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9)가 설치된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19)는, 구동 시브(5)보다도 승강기(9)측에서 주 로프(8)를 꽉 쥔다. 승강기 완충기(13)에는, 승강기 완충기(13)의 완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20)가 설치된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19)는 제어장치(18)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18)에는, 검출 스위치(20)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인가 입력된다. 즉, 로프 브레이크 장치(17)는, 검출 스위치(15)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가 제어장치(18)에 입력되었을 때에 주 로프(8)를 꽉 쥐어 제동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기(9)가 완충기(13)에 충돌했을 때에, 로프 브레이크 장치(17)에 의해 주 로프(8)가 파지되므로, 구동 시브(5)를 공전시켜, 균형 추(11)를 원활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균형 추(11)가 승강로(1)의 천장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7, 19)를 병용했지만, 로프 브레이크 장치(19)만을 사용하고, 승강기(9)의 밀어올림 방지는 다른 타입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3에 대해서, 외부층 피복체의 내측의 주 로프의 단면구조는, 도 2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층수나 스트랜드의 배치 등에 대해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진 주 로프,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일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 려져,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승강기, 및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타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시브의 상기 균형 추측에는, 상기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주 로프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상기 승강기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균형 추의 하방에는, 균형 추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균형 추 완충기에는, 상기 균형 추 완충기의 완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진 주 로프,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일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 려져,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승강기, 및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타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시브의 상기 균형 추측에는, 상기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주 로프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상기 승강기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주 로프의 외주는, 고 마찰 수지제의 외부층 피복체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는, 건물 및 상기 승강로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시 관제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5.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 있는 주 로프, 및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상기 주 로프는, 상기 승강기 및 상기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을 승강하고 있을 때에 상기 구동 시브를 통과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균형 추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구동 시브와 접촉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부분의 외주는, 고 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고 마찰 피복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의 마찰계수는, 상기 고 마찰 수지재의 마찰계수보다도 작게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는, 상기 고 마찰 수지재보다도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저 마찰 피복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마찰 피복부와 상기 저 마찰 피복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브에는, 상기 주 로프가 감아 걸려지는 로프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 홈의 바닥부의 단면형상은 원호형상이고, 상기 주 로프는, 상기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디플렉터 휠과, 반 걸이식으로 감아 걸려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브와 상기 고 마찰 피복부의 사이의 마찰계수는 0.2 이상인
    엘리베이터 장치.
  10.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본체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주 로프,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일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 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 및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타측에서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 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시브의 상기 승강기측에는, 상기 승강기가 통상의 승강 행정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주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상기 균형 추의 상승을 저지하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 내의 승강기의 하방에는, 승강기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기 완충기에는, 상기 승강기 완충기의 완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삭제
KR1020047016077A 2003-02-27 2003-02-2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4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2242 WO2004076325A1 (ja) 2003-02-27 2003-02-27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565A KR20040104565A (ko) 2004-12-10
KR100645666B1 true KR100645666B1 (ko) 2006-11-14

Family

ID=3292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077A KR100645666B1 (ko) 2003-02-27 2003-02-2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98299B1 (ko)
JP (1) JP4312721B2 (ko)
KR (1) KR100645666B1 (ko)
CN (1) CN100372753C (ko)
WO (1) WO2004076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2296B2 (ja) * 2005-06-28 2012-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JP6527476B2 (ja) * 2016-02-24 2019-06-0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ブレーキ点検方法
WO2019175398A1 (en) * 2018-03-16 2019-09-19 Inventio Ag Elevator arrangement enabling methods for determining and monitoring a minimum counterweight to buffer distance
CN108498962B (zh) * 2018-03-28 2020-12-15 董云涛 一种高层建筑消防救援设备
EP3819245A1 (en) * 2019-11-08 2021-05-12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12242A1 (de) * 1982-12-09 1984-08-08 Hartmut Mauer Seilklemmeinrichtung fuer mehrere tragseile
JPS6226369U (ko) * 1985-07-31 1987-02-18
US5228540A (en) * 1992-07-24 1993-07-20 Hollister-Whitney Elevator Corp.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JPH08259140A (ja) * 1995-03-22 1996-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WO2000078660A1 (en) * 1999-06-19 2000-12-28 Kisan Information System Corp. Emergency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systems
US6371448B1 (en) * 1999-10-29 2002-04-16 Inventio Ag Rope drive element for driving synthetic fiber ropes
JP3724322B2 (ja) * 2000-03-15 200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ヤロープと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KR200221450Y1 (ko) * 2000-10-21 2001-04-16 편준기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299A1 (en) 2005-11-23
EP1598299B1 (en) 2015-12-02
CN100372753C (zh) 2008-03-05
JPWO2004076325A1 (ja) 2006-06-01
JP4312721B2 (ja) 2009-08-12
WO2004076325A1 (ja) 2004-09-10
KR20040104565A (ko) 2004-12-10
EP1598299A4 (en) 2009-09-02
CN1649789A (zh)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5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228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2836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CN107922150A (zh) 电梯控制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WO2014006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7988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試験装置
KR1006456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3093156A1 (fr) Mecanisme elevateur/abaisseur pour ascenseur et procede afferent
JP493969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JP2006240819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EP1325881B1 (en) Elevator device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24225A1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WO200604331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02338A (ja) エレベーターかごの位置検出装置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WO2021090623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7210707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方法
JP3121216U (ja) 昇降機
JP6172082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