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603B1 -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03B1
KR102063603B1 KR1020180109312A KR20180109312A KR102063603B1 KR 102063603 B1 KR102063603 B1 KR 102063603B1 KR 1020180109312 A KR1020180109312 A KR 1020180109312A KR 20180109312 A KR20180109312 A KR 20180109312A KR 102063603 B1 KR102063603 B1 KR 10206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anel member
chain
sensing uni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성
전홍필
최광수
박성완
최영우
고재모
박남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0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는 복수의 레일과,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복수의 케이지롤러를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케이지에 연결된 체인을 구비하여 케이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풀림감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림감지부는 복수의 센싱부를 구비하여, 상기 센싱부는 풀림감지부로 쌓이는 체인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A Hoist Elevator Having Falling-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호이스트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의 고장 시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의 건물(공장 등)에서 아래층의 물건을 위층으로 올리거나 위층의 물건을 아래층으로 내릴때는 승강기를 이용한다. 도 1은 이러한 승강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2층의 구조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승강기는 3층 이상의 건물에도 설치되어 사용된다. 승강기는 건물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1)을 따라 승강되는 케이지(2)와, 상기 케이지(2)에 연결되어 케이지(2)를 승강시키는 호이스트인 승강구동장치(3)를 포함하며, 각 층에 구비되는 안전펜스(4)를 더 구비하기도 한다.
상기 안전펜스(4)는 일측에 도어(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5)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파이프(6a)와 상기 파이프(6a)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6b)으로 구성된 파이프셔터(6)와, 상기 안전펜스(4)에 형성된 출입구의 상측에 결합되며 둘레면에 상기 파이프 셔터(6)가 권취되는 권취봉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파이프셔터(6)를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권취봉(7)에 권취된 파이프셔터(6)가 풀려나오면서 안전펜스(4)에 형성된 출입구를 막고, 작업자가 상기 파이프셔터(6)를 상측으로 밀면 상기 파이프셔터(6)가 상기 권취봉(7)에 권취되어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5)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셔터와 같은 구조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지(2)가 승강되어 위층 또는 아래층에 정지하였을 때, 도어(5)를 열고 케이지(2)에 화물을 탑재하거나 케이지(2)에 탑재된 화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락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전펜스(4)의 형태나 구조는 공장의 구조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호이스트인 승강구동장치(3)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실1998-014754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42937호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체인(3-1)과 체인(3-1)을 감거나 푸는 권상모터를 가진다.
도 2는 도 1의 "B"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지(2)의 상부에는 승강구동장치(3)의 체인(3-1)이 연결되는 고리(2-1)가 일체로 구비된다. 체인(3-1)의 하단에 후크(3-3)가 구비되고, 후크(3-3)를 고리(2-1)에 걸어 연결되며, 후크(3-3)없이 체인(3-1)의 하단을 바로 고리(2-1)에 연결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2)에는 복수의 롤러(2-3)가 브라켓(2-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지(2)가 승강할 때 롤러(2-3)는 가이드레일(1)을 따라 안내되어 회전한다. 도 3에서 승강구동장치(3)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안전한 동작을 위하여 가이드레일(1)의 일측으로 케이지(2)와 접촉하여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목적 층에 도착하는 경우 권상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에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크(3-2)의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레버(Lever)와 이에 연동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호이스트 몸체에 설치하여 권과시 권상모터의 동력을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5-395845호 참조).
그러나 가이드레일(1)이나 롤러(2-3)가 손상 변형되거나 이물질 등에 의하여 롤러(2-3)가 가이드레일(1)에 끼어 케이지(2)가 정지하는 경우 가이드레일(1)에 의하여 케이지(2)가 지지되므로, (예를들어 도 1의 "A" 위치에서) 승강구동장치(3)에 하강 신호가 전달되면 권상모터는 계속 구동되며 체인(3-1)은 풀리어 케이지(2)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가이드레일(1)이나 롤러(2-3)의 변형을 수리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롤거(2-3)가 회전 가능하게 되면, 케이지(2) 상부에 쌓인 체인(3-1)은 케이지(2)를 지지하지 못하므로 케이지(2)는 자유 낙하되어 화물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체인(3-2)이 끊어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7419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실1998-014754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4293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체인이 풀려 케이지의 상부에 체인이 쌓이더라도 체인 쌓이는 것이 감지되면 권상모터의 전원이 차단되어 체인 풀림에 의한 낙하가 방지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는 복수의 레일과,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복수의 케이지롤러를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케이지에 연결된 체인을 구비하여 케이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풀림감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림감지부는 복수의 센싱부를 구비하여, 상기 센싱부는 풀림감지부로 쌓이는 체인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풀림감지부는 케이지의 상부에 구비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고, 센싱부가 가압되면 감지 신호에 의하여 알림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센싱부가 가압되면 권상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풀림감지부는 케이지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판상의 패널부재와, 상기 케이지와 패널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패널부재를 케이지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케이지와 패널부재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케이지 또는 패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부재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고리는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센싱부는 패널부재와 케이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인의 하단에는 후크가 연결되어 케이지고리에 후크가 결합되고, 패널부재가 상부에서 체인과 후크에 의하여 가압되면 지지스프링이 압축되어 센싱부는 패널부재와 케이지 사이에서 가압되어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는 체인이 풀려 케이지의 상부에 어느 방향으로 체인이 쌓이더라도 체인 쌓이는 것이 감지되면 권상모터의 전원이 차단되어 체인 풀림에 의한 낙하가 방지되고, 그에 따른 화물이나 인명 피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승강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케이지의 상부로 체인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호이스트 승강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호이스트 승강기의 케이지 상부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호이스트 승강기에 구비되는 센싱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호이스트 승강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호이스트 승강기의 케이지 상부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호이스트 승강기에 구비되는 센싱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승강구동장치(3)를 이루는 체인이나 후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5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100)는 레일(110)과, 케이지(120)와,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지(120)에는 풀림감지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일(110)은 건물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레일(110)은 상하 연장되도록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건물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10)은 서로 마주하여 복수로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는 레일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120)는 화물 등의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지(120)에는 케이지고리(121)와, 케이지롤러(12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고리(121)는 케이지(120) 상부의 중심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고리(121)는 상기 케이지(120)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고리(121)에는 승강구동장치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롤러(123)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롤러(123)는 케이지브라켓(125)에 의해 케이지(120)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롤러(123)는 상기 케이지브라켓(125)을 통해 각 레일(110)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롤러(123)는 상하로 이격되어 1개의 레일(110)에 2개의 케이지롤러(1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체인을 승강하는 권상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권상모터에 의하여 승강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은 하단이 상기 케이지(120)의 케이지고리(121)에 연결되거나, 체인의 하단에 후크가 구비되어 후크가 케이지고리(1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감지부(150)는 상기 케이지(1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풀림감지부(150)는 패널부재(151)와, 지지스프링(155)과, 센싱부(153)와, 알림수단(1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부재(151)는 사각형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패널부재(151)는 상기 케이지(120)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패널부재(151)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51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511) 내에는 상기 케이지고리(121)가 위치한다. 상기 케이지고리(121)는 상기 개구부(1511)의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고리(121)는 상기 개구부(1511)를 관통하여 패널부재(151)로부터 상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상기 케이지(120)와 패널부재(15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상기 패널부재(151)가 케이지(12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유지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상기 패널부재(151)의 개구부(1511)의 둘레를 따라 개구부(1511)의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센싱부(153)보다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상기 패널부재(151)의 하부에 하향 개구된 패널부재브라켓(1513)이 구비되고, 케이지(120)의 상부에 상향 개구된 스프링브라켓(127)이 구비되어, 지지스프링(155)의 상단이 패널부재브라켓(1513)에 삽입되고 하단이 스프링브라켓(127)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53)는 상기 패널부재(151)와 케이지(1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센싱부(153)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사각형인 패널부재(15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센싱부(153)는 상기 패널부재(151)의 상부로 쌓이는 체인의 무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싱부(153)는 상기 패널부재(151)와 케이지(120)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케이지(120) 또는 패널부재(151)에 설치된다.
상기 센싱부(153)는 도 6에서와 같이 패널부재(151)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패널부재(151)와 마주하는 케이지(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29는 센싱부(153)를 가압하는 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장치의 체인이 풀리어 후크가 패널부재(151)를 가압하거나 패널부재(151)의 상부로 체인이 쌓일 때, 패널부재(151)가 체인과 후크에 의하여 가압되어 지지스프링(155)이 압축되면, 상기 센싱부(153)는 패널부재(151)와 케이지(120) 사이에서 가압되며 센싱된다.
상기 알림수단(157)은 상기 케이지(1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알림수단(157)은 상기 센싱부(153)가 가압되면 감지 신호에 의하여 작동한다. 상기 알림수단(157)으로는 경고등, 경고음이 발생하는 부저나 스피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센싱부(153)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센싱부(153)에는 제1 센싱단자(1531)와 제2 센싱단자(15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싱단자(1533)는 센싱부(153)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단자(129)의 상단 또는 케이지(120)의 상단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센싱부(153)는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렬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다.
우선, 센싱부(153)가 병렬 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전 제2 센싱단자(1533)는 상기 제1 센싱단자(1531)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싱단자(1533)는 일부가 상기 제1 센싱단자(1531)와 오버랩되도록 구비된다.
체인과 후크에 의해 패널부재(151)가 가압됨에 따라 지지스프링(155)이 압축되면, 상기 제2 센싱단자(1533)가 상향(A 방향)으로 가압되며 제1 센싱단자(1531)와 제2 센싱단자(1533)가 접촉하여 접점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센싱단자(1531)와 제2 센싱단자(1533)가 접촉하여 접점이 형성되면 상기 알림수단(157)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알림수단(157)이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센싱부(153)가 직렬 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전 제1 센싱단자(1531)는 제2 센싱단자(1533)와 접촉부(C)에서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체인과 후크에 의해 패널부재(151)가 가압됨에 따라 지지스프링(155)이 압축되면, 상기 제2 센싱단자(1533)가 상향(A 방향)으로 가압되며 제1 센싱단자(1531)와 제2 센싱단자(1533)의 접촉이 해지된다.
상기 제1 센싱단자(1531)와 제2 센싱단자(1533)의 접촉이 해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의 권상보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권상모터의 작동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호이스트 승강기(100)는 전기적으로 병렬 구조로 연결된 센싱부(153) 또는 직렬 구조로 연결된 센싱부(153)가 별도로 구비되거나, 병렬 구조로 연결된 센싱부(153)와 직렬구조(153)로 연결된 센싱부(153)가 동시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53)가 구비된 풀림감지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구동장치의 체인 풀림 현상이 발생하면 권상모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경보음이 발생되어 체인 풀림에 의한 케이지(120)의 낙하가 방지되고, 그에 따른 화물이나 인명 피해가 방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호이스트 승강기
110: 레일 120: 케이지
150: 풀림감지부

Claims (5)

  1. 복수의 레일(110)과, 레일(110)을 따라 회전하도록 복수의 케이지롤러(123)를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120)와, 케이지(120)에 연결된 체인을 구비하여 케이지(1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120)의 상부에는 풀림감지부(1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림감지부(150)는 복수의 센싱부(153)를 구비하여, 상기 센싱부(153)는 풀림감지부(150)로 쌓이는 체인의 무게를 감지하며;
    상기 풀림감지부(150)는 케이지(120)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판상의 패널부재(151)와, 상기 케이지(120)와 패널부재(151) 사이에 위치하여 패널부재(151)를 케이지(12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스프링(1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153)는 케이지(120)와 패널부재(151)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케이지(120) 또는 패널부재(151)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부재(151)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511)가 형성되어, 케이지고리(121)는 개구부(151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감지부(150)는 케이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알림수단(157)을 더 포함하고, 센싱부(153)가 가압되면 감지 신호에 의하여 알림수단(157)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53)가 가압되면 권상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53)는 패널부재(151)와 케이지(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인의 하단에는 후크가 연결되어 케이지고리(121)에 후크가 결합되고, 패널부재(151)가 상부에서 체인과 후크에 의하여 가압되면 지지스프링(155)이 압축되어 센싱부(153)는 패널부재(151)와 케이지(120) 사이에서 가압되어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KR1020180109312A 2018-09-13 2018-09-13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KR10206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312A KR102063603B1 (ko) 2018-09-13 2018-09-13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312A KR102063603B1 (ko) 2018-09-13 2018-09-13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603B1 true KR102063603B1 (ko) 2020-01-09

Family

ID=6915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312A KR102063603B1 (ko) 2018-09-13 2018-09-13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6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92A (ja) * 2002-10-08 2004-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4084202A (ja) * 2012-10-24 2014-05-12 Sankyo Co Ltd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92A (ja) * 2002-10-08 2004-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4084202A (ja) * 2012-10-24 2014-05-12 Sankyo Co Ltd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460B1 (ko) 작전배치시설의 리프트 장거리 승하강이 가능토록 한 자동 비상 승하강 장치
CN105377738B (zh) 用于平台的防坠保险装置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KR101845861B1 (ko) Cctv 자동 및 수동 승강장치
CN105366524B (zh) 一种扶手电梯可升降的紧急停车连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14259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KR102107753B1 (ko)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JP4397431B1 (ja) 足場作業用リフト
EP3702315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KR101834891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지 추락 방지장치
JP7061030B2 (ja) 状態監視装置と状態監視方法
KR10243485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KR20090006206U (ko) 케이지의 승강 자동감지수단이 부설된 건설용 리프트의통신케이블 권설장치
JP2008184253A (ja) エレベータロープ類の引っ掛り検知装置
KR102037305B1 (ko) 고소작업대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JP4558602B2 (ja) 立体駐車装置の地震被害防止装置
JPH0813835A (ja) 昇降装置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JP2000160863A (ja) 昇降式駐車装置
CN105464436A (zh) 停车升降平台实时防坠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