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305B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305B1
KR102037305B1 KR1020180089230A KR20180089230A KR102037305B1 KR 102037305 B1 KR102037305 B1 KR 102037305B1 KR 1020180089230 A KR1020180089230 A KR 1020180089230A KR 20180089230 A KR20180089230 A KR 20180089230A KR 102037305 B1 KR102037305 B1 KR 10203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bolt
drum
bracket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to KR102018008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시 필요에 따라 윈치를 장착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추락이나 승강되는 물품의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HIGH PLACE WORKING PLATE}
본 발명은 다단식 붐과, 상기 다단식 붐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함과, 상기 탑승함에 저면에 볼트체결되며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의 저면에 후방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볼트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제1볼트삽입공과 대응되는 제2볼트삽입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절곡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의 제3볼트체결공이 배열형성되는 윈치 고정부로 구성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제3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제4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볼트체결편 및 상기 볼트체결편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드럼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에 볼트체결되는 드럼브라켓과, 상기 드럼고정편과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와이어의 자동 승강을 통해 물품을 소정 위치로 이송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통신주에 매달려 있는 각종 전선의 유지 및 보수, 건물 입구의 간판설치와 같은 공사에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이 다단식 붐의 단부에 장착되며, 고소작업시 상기 탑승함을 다단식 붐을 통해 적정 높이로 상승시켜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시 해당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작업물에 대한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빠트린 공구나 작업물의 수급을 위해 작업 도중에도 몇 번이고 탑승함의 하강과 승강이 반복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3442호의 "보조승강장치가 구비된 버켓"은 버켓본체의 외측면 상에 보조승강장치를 구비하고, 버켓본체의 상단부에는 야간작업을 위한 작업등이 구비된 형태로서, 보조승강장치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 중에 빠트린 간단한 공구나 작업물에 대한 수급이 원활하고, 더 나아가서는 야간에도 일정 범위 내에서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간편한 등의 일부 효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줄을 잡아당겨야 하므로 진행중인 작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어 작업의 효율성이 낮으며, 외줄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 범위 이하의 경량물 이외 다른 물품의 수급에 어려움이 따르고, 무엇보다도 승강시 물품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의 선행기술은 버켓 내에 비치된 물품으로 인한 하중 이외에 상기 보조승강장치를 통해 수급되는 각종 공구나 물품의 하중을 별도로 체크하여 일일이 합산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허용 중량을 초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이 번거롭고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고소작업대가 장착된 고소작업차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고소작업대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윈치 드럼이 메인붐의 하부에 결합되고, 다단붐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함 지지대에는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롤러를 갖는 폴대가 장착되어 와이어를 통해 물품을 소정 높이의 탑승함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폴대에 구비되는 와이어 롤러의 회전축이 와이어를 통해 승강되는 물품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의 역할을 함으로써 허용되는 중량을 초과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고소작업대는 메인붐의 하부에 윈치 드럼이 결합되어 있어서 다단붐의 하부에 와이어가 지나가는 자리마다 별도로 가이드 롤러를 장착해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가이드 롤러의 장착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폴대를 분리할 경우 와이어를 복수의 가이드 롤러로부터 일일이 분리해주어야 하며, 분리된 폴대를 다시 장착할 때에도 와이어를 복수의 가이드 롤러와 폴대의 와이어 롤러에 순차적으로 걸어주어야 하므로 현저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와이어를 통해 승강되는 물품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로드셀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탑승함에 고정되는 윈치 브라켓에 윈치가 신속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필요에 따라 윈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함의 저면에 구비되는 로드셀을 통해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과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초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단식 붐과, 상기 다단식 붐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함과, 상기 탑승함에 저면에 볼트체결되며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의 저면에 후방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볼트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제1볼트삽입공과 대응되는 제2볼트삽입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절곡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의 제3볼트체결공이 배열형성되는 윈치 고정부로 구성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제3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제4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볼트체결편 및 상기 볼트체결편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드럼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에 볼트체결되는 드럼브라켓과, 상기 드럼고정편과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와이어의 자동 승강을 통해 물품을 소정 위치로 이송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브라켓은 상기 권취드럼 상에 소정거리를 두고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측 드럼브라켓의 드럼고정편을 연결하는 소정길이의 지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핀을 걸어 윈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핀이 거치되는 거치편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탑승함과 로드셀의 상호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제5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윈치 브라켓을 볼트체결할 때 탑승함의 볼트공과 로드셀의 볼트공 사이에 상기 제5볼트삽입공을 위치시킨 상태로 볼트 체결하여 상기 로드셀을 통해 탑승함과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윈치 브라켓을 탑승함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를 상기 윈치 브라켓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필요에 따라 상기 윈치를 장착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추락이나 승강되는 물품의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윈치가 탑승함의 하부에 위치하여 와이어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되므로 윈치 구동시 와이어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추가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윈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윈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윈치를 윈치 브라켓에 장착할 때 거치편을 통해 윈치를 거치한 후 볼트로 체결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함의 저면에 구비되는 로드셀을 통해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과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초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고소작업대에서 사용되는 폴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장착된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윈치 브라켓과 윈치를 탑승함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단식 붐과, 탑승함과, 로드셀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라 함은 상기 다단식 붐을 연장시켜 탑승함을 적정 높이로 상승시켜 각종 전선의 유지 및 보수, 건물 입구의 간판설치 등의 고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로서, 예를 들어 고소작업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탑승함(3)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초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함의 저면에는 로드셀(4)이 볼트체결되며, 탑승함(3)의 저면과 로드셀(4)은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볼트공(5a,5b)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셀(4)은 주로 탑승함(3)을 회전시키기 위한 탑승함 회전장치(6)에 장착된다. 탑승함 회전장치(6)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탑승함 회전장치(6)의 형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탑승함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편(10)과, 상기 고정편과 결합되는 윈치 브라켓(20)과, 상기 윈치브라켓에 결합되는 윈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를 탑승함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편(10)은 상기 탑승함(3)의 저면에 후방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서, 한 쌍의 제1볼트삽입공(11)이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볼트삽입공(11)은 후술할 윈치브라켓과 볼트 체결시 볼트를 삽입하는 작업이나 너트를 볼트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탑승함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윈치 브라켓(20)은 상기 고정편(10)과 결합되는 체결부(210)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며 윈치(30)가 결합되는 윈치 고정부(220)가 일체로 구성되어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에는 체결부와 윈치 고정부를 연결하는 보강편(230)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와 윈치 고정부가 맞닿는 절곡 부위에는 체결부의 내주면과 윈치 고정부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ㄴ"자 형상의 보강프레임(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10)는 윈치 브라켓이 탑승함에 고정되도록 하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서, 상기 고정편의 제1볼트삽입공(11)과 대응되는 제2볼트삽입공(211)이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10)는 볼트 체결시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윈치 고정부(220)는 윈치(30)가 볼트 체결을 통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판재로서, 중앙부에는 윈치와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의 제3볼트체결공(221)이 배열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볼트체결공(221)은 도 5와 같이 2x2의 형태로 상하좌우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 고정부(220)는 윈치를 볼트 체결할 때 파손이나 휘어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강도를 확보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치(30)는 자동으로 와이어가 승강하면서 물품을 소정 높이로 승강시켜 주는 것으로, 드럼브라켓(310), 권취드럼(320), 와이어(33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브라켓(310)은 상기 윈치 고정부에 밀착되는 볼트체결편(311) 및 상기 권취드럼을 고정하는 드럼고정편(313)이 대략 "
Figure 112018075722680-pat00001
" 자 형태로 직교를 이루어 구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편(311)은 상기 윈치 고정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직사각편으로써, 윈치 고정부의 제3볼트체결공(221)과 대응되는 제4볼트체결공(31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볼트체결편(311)에는 상하로 소정 거리를 두고 2개의 제4볼트체결공(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편(311)은 볼트 체결시 휘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로 형성되며,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드럼고정편(313)은 상기 볼트체결편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는 판상체로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마모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고정편(313)의 내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권취드럼(320)은 베어링에 고정되어 드럼고정편(313)으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330)는 회전되는 권취드럼(320)을 통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물품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물품을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치(30)는 컨트롤러를 통해 조작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시 필요에 따라 상기 윈치 브라켓(20)에 장착하여 작업자가 지상의 물품을 해당 높이까지 보다 용이하게 승강시켜 탑승함의 작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에 투입되는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작업물에 대한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빠트린 공구나 작업물의 수급을 위해 작업 도중에도 몇 번이고 탑승함의 하강과 승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늘어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사전에 상기 윈치 브라켓(20)을 탑승함(3)에 고정해 둔 상태에서 고소작업 실시 전에 상기 윈치(30)를 윈치 브라켓(20)에 볼트체결하여 탑승함(3)이 해당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필요한 공구나 물품을 와이어를 통해 수급받을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는 윈치를 탈착한 상태로 이동이나 고소작업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필요시 언제든지 윈치(30)를 윈치 브라켓(20)에 볼트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윈치(30)를 윈치 브라켓(20)에 볼트 체결할 때는 윈치 고정부의 제3볼트삽입공(221)에 볼트체결편의 제4볼트삽입공(312)을 일치시킨 후 볼트를 삽입하게 되는데, 작업자 혼자서 비교적 무거운 윈치를 한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로 고정하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브라켓(310)은 상기 권취드럼(320) 상에 소정거리를 두고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측 드럼브라켓의 드럼고정편을 연결하는 소정길이의 지지핀(314)이 구비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핀(314)이 거치되는 거치편(222)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지핀(314)은 거치편(222) 상에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거치편(222)은 상기 지지핀(314)의 양측을 지지하여 기울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핀(314)이 안착되었을 때 기울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 중앙부는 소정길이만큼 평평하게 형성되는 안착부(223)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핀(3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224)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핀(314)을 거치편(222)에 거치시켜 윈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우수하며, 윈치(3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떨어져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윈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소작업대는 허용중량 초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별개로 윈치를 통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이 반드시 장착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로드셀이 장착되면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동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통해 윈치를 통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까지도 감지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2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탑승함과 로드셀의 상호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볼트공(5a,5b)과 대응되는 제5볼트삽입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윈치 브라켓(20)을 탑승함(3)에 볼트체결할 때 탑승함의 볼트공(5a)과 로드셀의 볼트공(5b) 사이에 상기 제5볼트삽입공(212)을 위치시킨 상태로 볼트 체결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윈치 브라켓(20)을 탑승함(3)에 볼트체결하면 상기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탑승함의 저면에 구비되는 로드셀을 통해 탑승함에 적재된 물품의 중량과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중량초과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고소작업대 2 : 다단식 붐
3 : 탑승함 4 : 로드셀
5a, 5b : 볼트공 6 : 탑승함 회전장치
10 : 고정편 11 : 제1볼트삽입공
20 : 윈치 브라켓
210 : 체결부 211 : 제2볼트삽입공
212 : 제5볼트삽입공
220 : 윈치 고정부 221 : 제3볼트삽입공
222 : 거치편 223 : 안착부
224 : 이탈방지핀
230 : 보강편 240 : 보강프레임
30 : 윈치
310 : 드럼브라켓
311 : 볼트체결편 312 : 제4볼트삽입공
313 : 드럼고정편 314 : 지지핀
320 : 권취드럼
330 : 와이어

Claims (3)

  1. 다단식 붐과, 상기 다단식 붐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함과, 상기 탑승함에 저면에 볼트체결되며 탑승함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의 저면에 후방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볼트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제1볼트삽입공과 대응되는 제2볼트삽입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절곡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의 제3볼트체결공이 배열형성되는 윈치 고정부로 구성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제3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제4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볼트체결편 및 상기 볼트체결편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드럼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에 볼트체결되는 드럼브라켓과, 상기 드럼고정편과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소작업시 와이어의 자동 승강을 통해 물품을 소정 위치로 이송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윈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브라켓은 상기 권취드럼 상에 소정거리를 두고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측 드럼브라켓의 드럼고정편을 연결하는 소정길이의 지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윈치 고정부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핀을 걸어 윈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핀이 거치되는 거치편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탑승함과 로드셀의 상호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제5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윈치 브라켓을 볼트체결할 때 탑승함의 볼트공과 로드셀의 볼트공 사이에 상기 제5볼트삽입공을 위치시킨 상태로 볼트 체결하여 상기 로드셀을 통해 탑승함과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물품의 중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180089230A 2018-07-31 2018-07-31 고소작업대 KR10203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30A KR102037305B1 (ko) 2018-07-31 2018-07-31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30A KR102037305B1 (ko) 2018-07-31 2018-07-31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305B1 true KR102037305B1 (ko) 2019-10-29

Family

ID=6842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230A KR102037305B1 (ko) 2018-07-31 2018-07-31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16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53B1 (ko) * 2007-08-30 2008-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러그용 핸들링 작업장치
KR20100013442A (ko) * 2008-07-31 2010-02-10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보조승강장치가 구비된 버켓
KR20120015496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KR20140070379A (ko) * 2012-11-29 2014-06-1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KR20160113870A (ko) * 2015-03-23 2016-10-04 심완섭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53B1 (ko) * 2007-08-30 2008-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러그용 핸들링 작업장치
KR20100013442A (ko) * 2008-07-31 2010-02-10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보조승강장치가 구비된 버켓
KR20120015496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KR20140070379A (ko) * 2012-11-29 2014-06-1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KR20160113870A (ko) * 2015-03-23 2016-10-04 심완섭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16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KR102497551B1 (ko) 2021-06-11 2023-02-08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81B1 (ko) 승강기 통로에 안내 레일의 설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617121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n elevator
CN105377738B (zh) 用于平台的防坠保险装置
US3519101A (en) Construction elevator system
US20130037768A1 (en) Portable hoist for hand trucks
US20090114613A1 (en) Hoist for low space crane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US6048012A (en) Understructure lifting beam
US7475867B1 (en) Fairleads for building platforms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US11845638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system
KR102037305B1 (ko) 고소작업대
KR101224416B1 (ko)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US11279593B2 (en) Compensation line storing apparatus, jump lift and the usage method thereof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KR20120070304A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1410863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안전곤돌라
CN110745683A (zh) 地下连续墙钢筋笼吊装装置及方法
CN210176369U (zh) 管道操作移动平台
CN210855050U (zh) 路缘石安装小车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CN114165061A (zh) 一种垂直运输系统的施工方法
WO20230701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installation without scaffold assembly
KR20230018623A (ko) 캐리어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퍼즐식 주차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6639288B (zh) 外墙脚手架内石材垂直运输平台的安装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