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493B1 -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493B1
KR100550493B1 KR1020037010702A KR20037010702A KR100550493B1 KR 100550493 B1 KR100550493 B1 KR 100550493B1 KR 1020037010702 A KR1020037010702 A KR 1020037010702A KR 20037010702 A KR20037010702 A KR 20037010702A KR 100550493 B1 KR100550493 B1 KR 10055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member
sheave
rop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591A (ko
Inventor
아사노다카시
고다요스케
야마모토겐이찌
하라다마모루
Original Assignee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7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friction gear, e.g. belt linking motor to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7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ope clim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카(1)와, 카(1)의 승강에 수반하여 승강해야 할 카운터 웨이트(2)와, 카(1)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승강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구동 기구는 승강로 내에 배치된 시브(42)와, 상기 시브(42)를 경유하는 경로에 걸쳐진 로프(3)와, 상기 로프(3)에 결합하는 구동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 장치(5)는 로프(3)에 부가하여 설치되어 상기 로프(3)의 걸침 경로에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벨트 전동 기구와, 상기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을 상기 로프(3)에 압접시키기 위한 압박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트랙션 시브를 이용하는 일 없이 카를 승강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카, 시브, 로프, 카운터 웨이트, 롤러, 압축 스프링

Description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BOTH-WAY MOVABLE BODY DRIVING MECHANISM AND ELEVATO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 및 왕복 이동로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왕복 구동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9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 시브(9), 카(1)나 카운터 웨이트(2)에 부착된 방향 전환용 시브(4, 43) 등, 복수의 시브를 경유시켜 복수개의 로프(3)를 걸쳐 상기 로프(3)의 양단부(31, 32)를 고정함으로써, 카(1)와 카운터 웨이트(2)를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한 승강 구동 기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O) 내에, 카(1), 카운터 웨이트(2) 및 상술한 승강 구동 기구가 수용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14, 14)에 의해 카(1)의 승강이 안내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15, 15)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2)의 승강이 안내되고 있다. 구동 모터(91)에는 도시를 생략한 제어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카(1)의 승강 이동과, 카 도어(11)가 승강층 도어(12)에 합치하는 위치에서의 정지가 제어된다.
그러나, 도24 및 도25에 도시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91)에 의해 트랙션 시브(9)를 회전시켜 카(1)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트랙션 시브(9)에 권취된 로프(3)가 트랙션 시브(9)에 대해 미끄러짐이 생기는 일 없이 트랙션 시브(9)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행할 필요가 있고, 그로 인해 카(1)의 경량화가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션 시브(9)에 권취된 로프(3)에 대해 이완측으로 장력(T1), 긴장측으로 장력(T2)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 로프(3)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트랙션 시브(9)와 로프(3) 사이의 마찰 계수를 μ, 권취 각도를 θ라 하였을 때, 다음의 수학식 1의 관계(아이텔와인의 식)가 성립될 필요가 있다.
T2/T1 ≤ e × p(μㆍθ)
예를 들어, 이완측의 장력(T1)을 카(1)의 중량에 의한 것이라 하면, 카(1)의 탑승인 수가 적은 상태에서는 장력(T1)이 작아져, 상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시킬 수 없어 로프(3)에 미끄러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카(1)의 자중을 1500 ㎏, 적재 능력을 1000 ㎏, 카운터 웨이트(2)의 중량을 카(1)의 자중에 적재 능력의 50 %를 가산한 값으로 한 경우, 적재 중량이 0일 때와 만적재일 때에 상기 수학식 1의 좌변은 각각 다음의 값이 된다.
T2/T1 = 2000/1500 = 1.33
T2/T1 = 2500/2000 = 1.25
여기서 카(1)의 자중을 1000 ㎏까지 경량화한 경우, 상기 수학식 2의 값은 각각 다음과 같이 된다.
T2/T1 = 1500/1000 = 1.5
T2/T1 = 2000/1500 = 1.33
이와 같이, 카의 자중이나 적재 중량의 변화에 의해 충족시켜야 할 수학식 1의 좌변(T2/T1)의 값이 크게 변동하게 되어, 특히 카(1)의 경량화에 수반하여 이 값이 증대되어 카(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종래에는 탑승인 수가 적을 때라도 로프(3)에 미끄러짐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카(1)에 무게를 부여하는 등의 대책이 취해지고 있었다. 이 결과, 카(1) 자체의 중량이 커져 있던 것이다. 카(1) 자체의 중량이 커지면, 승강 구동 기구가 대형화, 중량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승강 구동 기구의 동력원인 구동 모터(91)의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91)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그 설치 공간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션 시브를 이용하는 일 없이 카 등의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할 수 있는 구동 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를 채용한 새로운 왕복 구동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를 한번에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는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로프형 혹은 벨트형의 장력 부재와, 상기 장력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장력 부재의 일정 영역을 측방으로부터 압박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장력 부재의 직선 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 영역을 압박하는 것이다. 혹은, 상기 구동 장치는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원호 영역을 상기 시브를 향해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에 따르면, 구동 장치에 의해 장력 부재가 마찰 구동되고, 이에 의해 왕복 이동체가 왕복 구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장력 부재에 부가하여 설치되어 상기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벨트 전동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을 상기 장력 부재에 압접시키기 위한 압박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왕복 이동로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왕복 이동체와,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왕복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왕복 구동 기구는 일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시브와, 상기 시브를 경유하는 경로에 걸쳐진 로프형 혹은 벨트형의 장력 부재와, 상기 장력 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을 측방으로부터 압박하여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왕복 이동체는 승객실 혹은 화물실이 설치된 카나, 상기 카에 대한 카운터 웨이트의 상위 개념을 의미하고 있다. 장력 부재는 1개 혹은 복수개의 로프나 벨트의 상기 개념을 의미하고 있다. 왕복 이동에는 수직 방향, 수평 방향, 경사 방향, 혹은 굴곡로에 따르는 방향의 왕복 이동이 포함된다.
구동 장치로서는 상기 장력 부재의 직선 영역을 압박하여 구동하는 제1 타입(이하, 직선 구동 타입이라 함)과,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따라서 배치된 1개 혹은 복수의 시브 중 적어도 하나의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을 상기 시브를 향해 압박하여 구동하는 제2 타입(이하, 원호 구동 타입이라 함) 중 어는 한 쪽, 혹은 양 쪽의 조합이 채용된다.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로서는 상기 장력 부재에 부가하여 설치되어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벨트 전동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을 상기 장력 부재에 압접시키기 위한 압박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로서는 상기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압접되어 회전운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회전운동 경로에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에 의해 벨트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벨트의 표면에 의해 장력 부재가 마찰 구동되고, 이 결과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장력 부재가 미끄러짐을 발생하지 않는 조건은 구동 장치로부터 양 방향으로 신장되는 장력 부재의 이완측의 장력을 T1, 긴장측의 장력을 T2,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과 장력 부재 사이의 마찰 계수를 μ, 벨트면의 장력 부재에 대한 압박력을 N이라 한 경우,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T2 - T1 ≤ μㆍN
따라서, 예를 들어 이완측의 장력(T1)을 왕복 이동체(카)의 중량에 의한 것이라 하면, 카의 탑승인 수가 적은 상태에서 장력(T1)은 작아지지만, 압박력(N)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수학식 4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장력 부재에 미끄러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치예와 같이 카의 자중을 1500 ㎏, 적재 능력을 1000 ㎏, 카운터 웨이트의 중량을 카의 자중에 적재 능력의 50 %를 가산한 값으로 한 경우, 적재 중량이 0일 때와 만적재일 때에 상기 수학식 4의 좌변은 각각 다음의 값이 된다.
T2 - T1 = 2000 - 1500 = 500
T2 - T1 = 2500 - 2000 = 500
여기서 카의 자중을 1000 ㎏까지 경량화한 경우, 상기 수학식 4의 값은 각각 다음과 같이 된다.
T2 - T1 = 1500 - 1000 = 500
T2 - T1 = 2000 - 1500 = 500
이와 같이, 카의 자중이나 적재 중량이 변화하였다고 해도, 충족시켜야 할 수학식 4의 좌변(T2 - T1)의 값은 일정하고, 이 값보다도 큰 구동력을 구동 장치 에 의한 마찰 구동에 의해 발휘하면, 장력 부재에 미끄러짐이 생기는 일 없이 카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는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직선 구동 타입의 경우에는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의 직선 영역에 따라서 배치하고, 원호 구동 타입의 경우에는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따라서 배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는 승강로 내에 수용 배치된다. 또한, 구동 장치는 장력 부재의 구동에 필요한 힘(T2 - T1)의 크기에 따라서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따른 복수 부위에 배치할 수 있다.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전동 기구는 한 쌍의 롤러(53, 54) 사이에 메인 벨트(6)를 걸쳐 구성되고, 압박 기구는 메인 벨트(6)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64, 65) 사이에 보조 벨트(62)를 걸쳐 구성되는 보조 벨트 전동 기구와, 보조 벨트(62)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압박 롤러(68)와, 이들 복수의 압박 롤러(68)를 메인 벨트(6)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스프링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복수의 압박 롤러(68)가 보조 벨트(62)측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보조 벨트(62)가 메인 벨트(6)측에 압박되어 상기 메인 벨트(6)의 벨트면이 장력 부재에 압접된다. 여기서, 보조 벨트(62)는 메인 벨트(6)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자유로이 회전운동하고, 상기 보조 벨트(62)와 압박 롤러(68) 사이에는 구름 마찰이 생기는 것에 불과하므로, 압박 기구가 메인 벨트(6)의 구동에 대해 저항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압박 기구로서는 스프링(57) 등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력을 이용한 것이나, 유체압을 이용한 것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메인 벨트(6)의 내주면과 보조 벨트(62)의 외주면에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벨트(6)와 보조 벨트(62) 사이의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벨트 전동 기구를 구성하는 벨트에는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장력 부재가 접촉하는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벨트와 장력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장력 부재와의 접촉면을 조한면으로 마무리함으로써, 벨트와 장력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는 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전동 기구(제1 벨트 전동 기구)와의 대향 위치에 배치된 제2 벨트 전동 기구를 구비하여 양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에 의해 장력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협지 압박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제1 벨트 전동 기구의 메인 벨트(6)가 장력 부재를 압박하는 힘이 제2 벨트 전동 기구의 메인 벨트에 의해 받쳐지고, 양 벨트면에 의해 장력 부재가 확실하게 협지되므로, 보다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벨트 전동 기구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띠형의 벨트를 걸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체인 스프로킷 사이에 체인(7)을 걸치고, 상기 체인(7)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복수의 압박 부재(71)을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여기서, 각 압박 부재(71)에는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장력 부재의 단면 형상에 따른 오목면을 형성함으로써, 압박 부재(71)와 장력 부재 사이에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압박 기구에 카(1)의 중량에 따라서 압박력을 가감하는 조정 기구를 장비하면, 예를 들어 탑승인 수에 따라서 상기 수학식 4의 우변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인 수에 상관없이 장력 부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장력 부재의 장력을 원동력으로 하여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에 대한 압박력을 발휘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채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탑승인 수에 따라서 장력 부재의 장력이 변화하므로, 압박력의 조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로서는 지레 기구 등을 이용한 기계적인 동력 전달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에 의해 장력 부재의 장력을 검지하여 그 검지 신호에 따라서 압박력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동력 전달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부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벨트는 장력 부재에 강하게 압접되어 벨트와 장력 부재 사이에 큰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30)에 상기 복수의 롤러를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에 장력 부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장력 부재의 장력 에 의해 프레임(130)이 시브측으로 구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복수의 롤러에 걸쳐진 벨트가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압접된다. 이 결과, 벨트에 대해 항상 충분한 크기의 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따라서, 장력 부여 기구에 특별한 동력원은 불필요하고, 이에 의해 장력 부여 기구의 구성이 간이한 것이 된다.
다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30)에 상기 복수의 롤러가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와 상기 장력 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지레 기구(14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지레 기구(140)는 장력 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부위를 역점(力点),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와 대향하는 부위를 작용점으로 하여 장력 부재의 장력을 프레임(130)의 구동력으로 변환한다. 이에 의해, 벨트의 장력이 필요한 크기의 작용력으로 조절된다.
또 다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56)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156)은 상기 시브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압박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양측의 복수의 롤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일정한 높이 위치에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내측의 1개 혹은 복수의 롤러는 상기 아암(156) 상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아암(156)이 시브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내측의 롤러가 시브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벨트에 장력이 부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장력 부재를 마찰 구동하는 구동 장치의 장비에 의해 트랙션 시브에 의한 구동은 불필요해져 카 등의 왕복 이동체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승강 구동 기구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장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상기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6은 상기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은 메인 벨트와 보조 벨트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8은 압박 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9는 압박 기구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0은 체인을 이용한 벨트 전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장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기 배치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13은 다른 기기 배치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14는 지레 기구를 이용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15는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6은 원호 구동 타입의 다른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7은 상기 구동 장치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8은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9는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0은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1은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2는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3은 원호 구동 타입의 또 다른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6은 트랙션 시브에 권취된 로프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장력 부재로서의 로프를 마찰 구동하는 구동 장치로서 로프의 직선 영역을 압박하여 구동하는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 후, 시브에 권취된 로프의 원호 영역을 시브에 압박하여 구동하는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구성
도1은,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 내의 일정 위치에 부착된 시브(42)나, 카(1) 및 카운터 웨이트(2)에 부착된 시브(4, 43) 등, 복수의 시브를 경유시키고, 로프(3)가 걸쳐져 상기 로프(3)의 걸침 경로에 카(1)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5)가 배치되는 동시에, 양 로프 단부(31, 32)가 고정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1O) 내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O) 내에, 카(1), 카운터 웨이트(2), 복수의 시브(42, 4, 41, 43) 및 구동 장치(5)가 수용 배치되어 있어 가이드 레일(14, 14)에 의해 카(1)의 승강이 안내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15, 15)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2)의 승강이 안내되고 있다.
구동 장치(5)에는 도시를 생략한 제어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카(1)의 승강 이동과, 카 도어(11)가 승강층 도어(12)에 합치하는 위치에서의 정지가 제어된다. 또한, 도1 및 도3에는 간략화를 위해 1개의 로프(3)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개의 로프가 동일 경로에 걸쳐져 있다. 또한, 도4에 있어서는 로프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도2는, 구동 장치(5)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5 및 도6은 상기 구동 장치(5)의 더욱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5)는 하우징(51)의 내부에 원동측과 종동측의 한 쌍의 벨트 구동 기구(Ma, Mb)를 배치하 여 구성되어 있다. 원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a)는 로프(3)에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롤러(53, 54) 사이에 메인 벨트(6)를 걸쳐 이루어지는 메인 벨트 전동 기구와, 메인 벨트 전동 기구의 한 쪽 롤러(53)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52)와, 메인 벨트(6)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64, 65) 사이에 보조 벨트(62)를 걸쳐 이루어지는 보조 벨트 전동 기구와, 보조 벨트(62)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압박 롤러(6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종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b)는 로프(3)에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롤러(55, 56) 사이에 메인 벨트(61)를 걸쳐 이루어지는 메인 벨트 전동 기구와, 메인 벨트(61)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66, 67) 사이에 보조 벨트(63)를 걸쳐 이루어지는 보조 벨트 전동 기구와, 보조 벨트(63)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받침 롤러(6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벨트 구동 기구(Ma, Mb)에 있어서, 보조 벨트(62, 63)의 로프(3)측의 외주면은 메인 벨트(6, 61)의 로프(3)측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벨트 구동 기구(Ma, Mb)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53 내지 56, 64 내지 67) 및 종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b)를 구성하는 복수의 받침 롤러(69)는 고정 프레임(50) 상에 각각 피봇 지지되어 있는 데 반해, 원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a)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박 롤러(68)는 고정 프레임(50) 상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베이스(60) 상에 각각 피봇 지지되어 있고, 보조 벨트(62)에 대해 접근 이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프레임(50) 상에는 복수의 스프링(57)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7)에 의해 가동 베이스(60)를 보조 벨트(62)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상기 압박력에 의해 압박 롤러(68)가 보조 벨트(62)를 메인 벨트(6)측으로 압박하고, 이에 의해 메인 벨트(6)의 벨트면이 로프(3)에 압접되어 있다. 이 결과, 메인 벨트(6)의 벨트면과 로프(3) 사이에 상기 수학식 4의 압박력(N)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보조 벨트 전동 기구에 의해 메인 벨트(6)에 대한 압박 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5)에 있어서는 원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a)를 구성하는 구동 모터(52)에 전원이 투입되면, 메인 벨트(6)가 회전운동을 개시하여 상기 메인 벨트(6)와 로프(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로프(3)가 일방향으로 견인된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종동측의 벨트 구동 기구(Mb)를 구성하는 메인 벨트(61)가 회전운동한다. 또한, 양 메인 벨트(6, 61)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양 보조 벨트(62, 63)도 회전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프(3)가 일방향으로 견인됨으로써, 도1에 도시한 활차 기구가 동작하여 카(1)와 카운터 웨이트(2)가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메인 벨트(6)의 벨트면과 로프(3)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57)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상기 수학식 4를 충족시키는 압박력(N)이 발생하므로, 메인 벨트(6)와 로프(3)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는 일은 없다.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5)를 승강로(1O) 내의 로프 걸침 경로에 따르는 빈 공간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5)의 설치 공간을 새롭게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도1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빈 공간에 제2 구동 장 치(5)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벨트(62)의 외주면과 메인 벨트(6)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림 가능한 요철면을 형성하면, 메인 벨트(6)와 보조 벨트(62)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벨트(6)에 대한 압박 기구로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벨트(6)에 따라서 배치한 압박판(201)을 스프링(202)에 의해 메인 벨트(6)측으로 압박하여 메인 벨트(6)를 압박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인 스프로킷(205, 205)에 걸친 체인(203)의 전체 둘레에 다수의 평판 부재(204)을 부착하여, 도시를 생략한 스프링에 의해 각 평판 부재(204)을 메인 벨트(6) 측으로 압박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평판 부재(204)은 1개 혹은 복수개의 로프마다 1열씩 배치된다.
또한, 벨트 전동 기구로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인 스프로킷(도시 생략) 사이에 체인(7)을 걸치고, 상기 체인(7)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복수의 압박 부재(71)을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각 압박 부재(71)에는 로프(3)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로프(3)의 단면 형상에 따른 오목한 곡면(72)을 형성함으로써 압박 부재(71)와 로프(3) 사이에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고, 카(1)와 카운터 웨이트(2)를 연결하는 로프(3)가 프레임(8) 상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시 브(45, 46)에 권취되어 있고, 양 시브(45, 46) 사이를 신장하는 로프(3)에 따라 구동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5)는 복수의 압박 롤러(81, 81, 81)와, 이들의 압박 롤러(81, 81, 81)에 권취된 벨트(82)와, 1개의 압박 롤러(81)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83)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압박 롤러(81, 81, 81)에 의해 벨트(82)가 로프(3)에 압접되어 있다.
또한, 도12의 (a 내지 f) 및 도13의 (a 내지 f)는 구동 장치(5)의 수 및 위치, 시브의 수 및 위치, 로프(3)의 걸침 경로 등에 변경을 가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2의 (a, b)에 있어서는 복수 부위에 구동 장치(5)가 배치되어 있다. 도12의 (c)에 있어서는 카(1)에 구동 장치(5)가 부착되어 있고, 도12의 (d)에 있어서는 카운터 웨이트(2)에 구동 장치(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12의 (e, f)에 있어서는 주 줄이 되는 로프(3) 이외에 보조 줄이 되는 로프(31)가 걸쳐지고, 상기 로프(31)에 구동 장치(5)가 결합되어 있다.
도13의 (a)에 있어서는 로프(3)의 양단부에 카(1) 및 카운터 웨이트(2)가 연결되는 동시에, 카(1) 및 카운터 웨이트(2)에 부착한 구동 장치(5, 5)가 각각 보조 줄 로프(31)에 결합되어 있다. 도13의 (b)에 있어서는 로프(3)의 양단부에 카운터 웨이트(2, 2)가 연결되고, 도13의 (c)에 있어서는 로프(3)의 양단부에 카(1) 및 카운터 웨이트(2)가 연결되어 상기 로프(3)에 구동 장치(5)가 결합되어 있다. 도13의 (d)에 있어서는 로프(3)의 일단부에 카(1)가 연결되고, 상기 로프(3)에 구동 장치(5)가 결합되어 있다. 도13의 (e)에 있어서는 카(1)의 천정부에 한 쌍의 시브와 구동 장치(5)가 부착되고, 양 시브 사이의 로프(3)에 구동 장치(5)가 결합되어 있 다. 또한 도13의 (f)에 있어서는 승강로 내에 부착된 2개의 시브 사이의 로프(3)에 구동 장치(5)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5)의 배치에 큰 자유도가 있으므로,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로프(3)에 발생하는 장력을 지레 기구(200)의 역점에 작용시켜 상기 지레 기구(200)의 작용점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구동 장치(5)의 벨트면을 로프(3)에 압박하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로프(3)의 장력, 즉 카(1)의 중량에 따른 압박력을 구동 장치(5)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카(1)의 탑승인 수에 따라서 압박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탑승인 수에 상관없이 로프(3)와 구동 장치(5)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로프(3)의 이완측의 장력(T1)과 긴장측의 장력(T2)의 차에 따른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 장치(5)의 장비에 의해 종래의 트랙션 시브에 의한 구동은 불필요해져 카(1)나 카운터 웨이트(2)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종래는 구동 장치의 설치 장소가 기계실, 승강로 상부, 피트 등으로 한정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동 장치의 설치 장소에 상관없다.
2. 로프의 직선 영역을 협지 압박하여 구동하므로 로프에 대한 부담이 적고, 로프의 재질로서 강철, 합성 섬유,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3. 종래의 트랙션 시브를 이용한 구동 장치는 카와 카운터 웨이트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대규모의 것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이들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 장치만의 제거, 부착이 가능하여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4. 카(1)나 카운터 웨이트(2)가 경량화됨으로써 구동 모터(52)의 소용량화가 가능하여 이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절감이 가능하다.
5. 구동 장치(5)에 의한 압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로프(3)에 대한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균형 체인이나 균형 로프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안전성과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구성
도15 내지 도22는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복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5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승강로 내의 일정한 높이 위치에 설치된 시브(42)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100)는 시브(42)의 외주면에 따라서 배열된 4개의 롤러(101, 101, 101, 101a)에 벨트(102)를 걸치는 동시에, 그 중 하나의 롤러(101a)에 모터(103)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트(102)는 그 약 반바퀴가 시브(42)의 외주면에 따라서 원호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시브(42)에 권취된 로프(3)의 원호 영역을 시브(42)를 향해 압박하고 있다. 모터(103)를 구동하여 벨트(102)를 회전운동시키면, 로프(3)는 벨트(10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도16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시브(42)의 중앙부에 개방 설치된 공동에 구동원이 되는 모터(10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모터(104)의 출력축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 풀리(105)가 부착되고, 상기 원동 풀리(105)의 회전이 벨트(107)를 거쳐서 종동 플리(106)로 전달된다. 상기 종동 플리(106)에는 도16에 도시한 롤러(101a)가 연결되어 있다. 모터(104)의 회전은 원동 풀리(105), 벨트(107) 및 종동 플리(106)를 경유하여 롤러(101a)로 전달지고, 이에 의해 벨트(102)가 회전운동하여 로프(3)를 마찰 구동한다.
도18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2개의 롤러(110, 110)에 벨트(111)를 걸치고, 한 쪽 롤러(110)에 모터(112)를 연결하고 있다. 벨트(111)는 그 약 반바퀴가 시브(42)의 외주면에 따라서 원호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시브(42)에 권취된 로프(3)의 원호 영역을 시브(42)를 향해 압박하고 있다. 모터(112)를 구동하여 벨트(111)를 회전운동시키면, 로프(3)는 벨트(11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도19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도18의 구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2개의 롤러(121, 121)에 벨트(122)를 걸친 것이지만, 양 롤러(121, 121)는 시브(42)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20)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20)의 자유단부에는 압축 스프링(123)을 거쳐서 로프 소킷(124)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로프 소킷(124)에는 카운터 웨이트(2)의 시브(43)를 경유한 로프(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로프(3)의 장력이 구동 장치(100)의 프레임(120)에 작용하여 양 롤러(121, 121)는 시브(42)를 향해 구동된다. 이에 수반하여 벨트(122)는 시브(42) 에 권취된 로프(3)의 원호 영역에 강하게 압접되고, 이에 수반하여 벨트(122)에는 충분한 크기의 장력이 부여된다. 이 결과, 벨트(122)와 로프(3)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로프(3)는 벨트(122)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는 일 없이 구동된다.
도20에 도시한 구동 장치(1O0)는 도15에 도시한 구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4개의 롤러(131, 131, 131, 131)에 벨트(132)를 걸친 것이지만, 이들 롤러(131, 131, 131, 131)는 시브(42)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30)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에는 압축 스프링(123)을 거쳐서 로프 소킷(124)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로프 소킷(124)에는 카운터 웨이트(2)의 시브(43)를 경유한 로프(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로프(3)의 장력이 구동 장치(100)의 프레임(130)에 작용하여 4개의 롤러(131, 131, 131, 131)는 시브(42)를 향해 구동된다. 이에 수반하여 벨트(132)는 시브(42)에 권취된 로프(3)의 원호 영역에 강하게 압접되고, 벨트(132)에는 충분한 크기의 장력이 부여된다. 이 결과, 벨트(132)와 로프(3)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로프(3)는 벨트(132) 사이에 미끄러짐을 발생하는 일 없이 구동된다.
도21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도20에 도시한 구동 장치의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와 로프(3)의 일단부 사이에 지레 기구(140)를 개재시킨 것이다. 지레 기구(140)의 아암부(140a)에는 압축 스프링(123)을 거쳐서 로프 소킷(124)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로프 소킷(124)에 로프(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지레 기구(140)는 로프(3)의 일단부가 연결된 부위를 역점,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와 대향하는 부위를 작용점으로 하여, 로프(3)의 장력을 프레임(130)의 구 동력으로 변환한다. 이에 의해 벨트(132)에 부여되게 되는 장력이 적당한 크기로 조절되게 된다.
도22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시브(42)의 상방 위치에 요동 아암(156)을 배치하고, 상기 요동 아암(156)의 기단부는 빔(150) 상의 일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한 회전축(157)에 의해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요동 아암(156)의 선단부(158)는 스프링(159)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또한, 시브(42)의 주위에 벨트(155)를 걸쳐야 할 4개의 롤러(151, 152, 153, 154) 중, 양측 2개의 롤러(151, 154)는 빔(150) 상의 일정한 높이 위치에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내측 2개의 롤러(152, 153)는 요동 아암(156) 상에 피봇 지지하고 있다. 상기 구동 장치(100)에 있어서는 스프링(159)에 의해 요동 아암(15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고, 이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의 2개의 롤러(152, 153)가 밀어 올려져 벨트(155)에 장력이 부여된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구동 장치(100)는 프레임(160)에 시브(42)를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시브(42)의 상방과 양측의 3부위에 롤러(161, 162, 163)를 배치하고, 이들 롤러(161, 162, 163)에 벨트(164)를 걸쳐 상기 벨트(164)에 의해 시브(42)에 권취된 로프(3)를 시브(42)를 향해 압박하는 것이며, 상방의 롤러(161)에는 프레임(16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롤러(162, 163)는 각각 위치 조절 기구(165)에 의해 높이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높이 위치의 조절에 의해 벨트(164)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직선 구동 타입보다도 구동 장치의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대경의 시브에 권취된 로프의 원호 영역에 대해 벨트를 압접시키므로, 벨트와 로프 사이의 면압의 크기 및 그 변동율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론적인 검산에 따르면, 직선 구동 타입인 경우의 로프면 및 벨트면의 면압의 최대치는 각각 약 4 ㎫인 데 반해, 원호 구동 타입인 경우의 로프면 및 벨트면의 면압의 최대치는 각각 약 2 ㎫ 및 약 1 ㎫로 작은 것이 된다. 이에 의해, 벨트와 로프에 부여되는 손상이 방지되어 긴 수명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는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보다도 구성이 간이하고, 기계적인 손실이 작기 때문에 모터의 소용량화가 가능하고, 이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이론적인 검산에 따르면,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 효율은 약 70 %인 데 반해,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 효율은 약 95 %로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를 구성해야 할 벨트는 그 장력에 의해 로프의 원호 영역에 압접되므로,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와 같이 소경의 압박 롤러에 의해 벨트를 압박하는 방식에 비해 벨트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상기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의 소경화, 구동 모터의 소용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에 따르면, 발생하는 소음도 대폭으로 억제된다. 게다가, 보수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프를 마찰 구동하는 벨트에 있어서, 로프와 접촉하는 벨트면은 단면 원호형의 오목한 곡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V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의 홈을 오목하게 마련하는 것도 유리하다. 이에 대해, 롤러와 접촉하는 벨트면은 경면 마무리로서 롤러와의 밀착도를 올리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로프를 마찰 구동하는 벨트는 로프(3)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벨트 부재로 구성하고, 각 벨트 부재를 1개 혹은 복수개의 로프(3)와 접촉시키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로프를 마찰 구동하는 벨트는 고장력, 고강도를 갖는 코어 부재를 내장하는 동시에, 로프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아미드 직포의 층과, 아라미드 코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가 유효하다. 또한, 로프와 벨트의 재질로서 종탄성 계수(스프링 정수)가 같은 것을 채용하면, 양자의 미끄러짐이 적어져 마모가 억제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력 부재로서의 로프(3) 대신에 벨트형의 장력 부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상기한 벨트와 동일한 구조의 벨트를 채용하면, 서로 접촉하는 벨트끼리의 종탄성 계수(스프링 정수)가 동일하게 되어, 미끄러짐이 적어져 마모가 억제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는 도2나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의 중심축에 연결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에 내장하여 상기 롤러를 내측으로부터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직선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5)와 원호 구동 타입의 구동 장치(100)는 어느 한 쪽의 타입을 복수 부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 타입을 병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한 승강 이동형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이동형의 엘리베이터 장치, 양측에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케이블카, 로프웨이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로프형 혹은 벨트형의 장력 부재와, 상기 장력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장력 부재의 일정 영역을 측방으로부터 압박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시브에 권취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원호 영역을 상기 시브를 향해 압박하면서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장력 부재에 부가하여 설치되어 상기 원호 영역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벨트 전동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의 벨트면을 상기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압박 접촉시키기 위한 압박 기구와, 벨트 전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는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왕복 이동로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왕복 이동체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왕복 구동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왕복 구동 기구는,
    일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시브와,
    상기 시브를 경유하는 경로에 걸쳐진 로프형 혹은 벨트형의 장력 부재와,
    상기 장력 부재에 접촉하여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을 측방으로부터 압박하여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시브에 권취된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을 상기 시브를 향하여 압박하면서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장력 부재의 원호 영역에 압박 접촉되면서 회전운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회전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는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장력 부재가 접촉하는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5.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장력 부재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개의 벨트 부재로 구성되고, 각 벨트 부재가 1개 혹은 복수개의 장력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6.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고장력, 고강도를 갖는 코어 부재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7.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장력 부재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8.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부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30)에 상기 복수의 롤러를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에 장력 부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30)에 상기 복수의 롤러가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130)의 자유단부와 상기 장력 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지레 기구(14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기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56)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156)은 상기 시브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압박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양측의 복수의 롤러는 상기 시브에 대해 일정한 높이 위치에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내측의 1개 혹은 복수의 롤러는 상기 아암(156) 상에 피봇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2.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왕복 이동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3.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장력 부재의 걸침 경로에 따라서 복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10702A 2001-02-16 2002-02-14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50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9609 2001-02-16
JPJP-P-2001-00039609 2001-02-16
JP2001223374 2001-07-24
JPJP-P-2001-00223374 2001-07-24
PCT/JP2002/001220 WO2002064482A1 (fr) 2001-02-16 2002-02-14 Mecanisme d'entrainement de corps mobile dans deux directions et dispositif d'elevateur utilisant ledit mecanis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591A KR20040010591A (ko) 2004-01-31
KR100550493B1 true KR100550493B1 (ko) 2006-02-09

Family

ID=2660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702A KR100550493B1 (ko) 2001-02-16 2002-02-14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78637B2 (ko)
EP (1) EP1367019B1 (ko)
JP (1) JP4096117B2 (ko)
KR (1) KR100550493B1 (ko)
CN (1) CN1283544C (ko)
CA (1) CA2438037C (ko)
HK (1) HK1062669A1 (ko)
TW (1) TW522134B (ko)
WO (1) WO20020644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19B1 (ko) * 2015-05-06 2017-07-21 (주)신우유비코스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1603B2 (ja) * 2002-01-18 2007-05-30 ニッ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用ベルト
CN1681730A (zh) * 2002-07-03 2005-10-12 纳博特斯克株式会社 电梯的提升装置
JP2004262651A (ja) * 2002-09-11 2004-09-24 Inventio Ag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メンテナンス方法、エレベータの最新化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用のクランプ装置
EP1407996A3 (de) * 2002-09-11 2008-11-05 Inventio Ag Antriebssystem für Aufzug
MY134592A (en) * 2002-10-17 2007-12-31 Inventio Ag Belt with an integrated monitoring mechanism
EP1770045B1 (en) 2004-05-27 2015-04-01 Nitta Corporation Belt device for driving elevator
JP4925106B2 (ja) * 2004-09-09 2012-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JP4527485B2 (ja) * 2004-09-29 2010-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トラクション式巻上機装置
JP4543865B2 (ja) * 2004-10-08 2010-09-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プブレーキ
JP4591027B2 (ja) * 2004-10-08 2010-12-0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等の駆動装置
JP2006111392A (ja) * 2004-10-14 2006-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ープ式エレベータ装置
CN101039869B (zh) * 2005-06-17 2010-11-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绳索制动装置
JP2008050071A (ja) * 2006-08-22 2008-03-06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8150129A (ja) * 2006-12-15 2008-07-03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2008230766A (ja) * 2007-03-20 2008-10-02 Nitta Ind Corp 伝動ベルトを用いたエレベータ駆動装置
US7607644B1 (en) * 2008-06-09 2009-10-27 Acculift, Inc. Boat lift assembly
US8602169B2 (en) 2009-10-13 2013-12-10 Greenpoint Technologies, Inc. Aircraft elevator system and method
CN102781806B (zh) * 2010-03-04 2016-04-06 通力股份公司 无配重的带驱动的电梯
WO2013190342A1 (en) 2012-06-20 2013-12-27 Otis Elevator Company Actively damping vertical oscillations of an elevator car
JP5492949B2 (ja) * 2012-07-18 2014-05-14 学校法人神奈川大学 自走式昇降装置
PL2703331T3 (pl) * 2012-09-03 2015-06-30 Soletanche Freyssinet System ciągowy stosujący linę wielocięgnową z kątem odchylenia
CN104884133B (zh) 2013-03-14 2018-02-23 艾肯运动与健康公司 具有飞轮的力量训练设备
US9403047B2 (en) 2013-12-26 2016-08-02 Icon Health & Fitness, Inc. Magnetic resistance mechanism in a cable machine
JP5787422B1 (ja) * 2014-04-11 2015-09-30 東亜工業株式会社 ワーク積載装置
CN106470739B (zh) 2014-06-09 2019-06-21 爱康保健健身有限公司 并入跑步机的缆索系统
TWI644702B (zh) 2015-08-26 2018-12-2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力量運動機械裝置
US10940360B2 (en) 2015-08-26 2021-03-09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CN106545781B (zh) * 2015-09-23 2021-05-28 大金工业株式会社 照明组件、空调室内机面板及空调室内机
CN106564797A (zh) * 2015-10-13 2017-04-19 肖斌 反射式电梯中央控制系统
US9790070B2 (en) * 2015-11-03 2017-10-17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Rope hoisting system
CN105398916A (zh) * 2015-12-24 2016-03-16 李见光 钢带卷扬四点提升电梯
US10293211B2 (en) 2016-03-18 2019-05-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weight selection
US10441840B2 (en) 2016-03-18 2019-10-15 Icon Health & Fitness, Inc. Collapsible strength exercise machine
US10252109B2 (en) 2016-05-13 2019-04-09 Icon Health & Fitness, Inc. Weight platform treadmill
US10661114B2 (en) 2016-11-01 2020-05-26 Icon Health & Fitness, Inc. Body weight lift mechanism on treadmill
CN109399421A (zh) * 2017-08-17 2019-03-01 张旻贞 用于电梯的平衡绳
JP7389454B2 (ja) * 2019-08-02 2023-11-30 ライフィット有限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装置
US11673773B2 (en) * 2020-11-07 2023-06-13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propul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4477C (de) * 1933-04-09 1935-06-08 E H Heinrich Aumund Dr Ing Treibscheibenantrieb mit Aussenantrieb
JPS524814B2 (ko) * 1972-01-10 1977-02-07
US3878916A (en) * 1973-02-07 1975-04-22 Jr Gerome R White Rack and pinion drive counterbalanced hoist systems
JPS524814A (en) 1975-06-30 1977-01-1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87342B2 (ja) 1978-12-07 1983-02-0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剪断破砕機
JPS55180683U (ko) * 1979-06-12 1980-12-25
JPS5860735U (ja) * 1981-10-21 1983-04-23 日本ビソ−株式会社 ゴンドラ等のロ−プ牽引装置
JPS59120662U (ja) * 1983-02-02 1984-08-14 株式会社ト−ホ−製作所 搬送装置
JPS6214078A (ja) 1985-07-11 1987-01-22 Toshiba Corp 放射線診断装置
US4620615A (en) * 1985-11-14 1986-11-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62126098A (ja) * 1985-11-22 1987-06-08 日綜産業株式会社 巻取機
JPH0636052Y2 (ja) * 1986-02-15 1994-09-21 チルホ−ル株式会社 ウインチ
JPS6410294A (en) 1987-07-02 1989-01-13 Ricoh Kk Character font output device
JPH021075A (ja) 1988-03-19 1990-01-05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処理方法
JPH0636052A (ja) 1992-07-21 1994-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モリ保存・読み出し方法
US5921352A (en) * 1997-09-09 1999-07-13 Otis Elevator Company Device for enhancing elevator rope traction
ES2336495T3 (es) * 1998-02-26 2010-04-13 Otis Elevator Company Ascensor de elevacion por correa que tiene la unidad de accionamiento en el contrapeso.
US6138799A (en) * 1998-09-30 2000-10-31 Otis Elevator Company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US6397974B1 (en) * 1998-10-09 2002-06-04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elevator system using flexible, flat rope and a permanent magnet machine
US6776263B2 (en) * 2000-05-19 2004-08-17 Esw-Extel Systems Wedel Gesellschaft Fuer Austruestung Mbh Elevator system for the vertical transport of loads in an aircraft
US6742627B2 (en) * 2001-07-27 2004-06-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ressure traction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19B1 (ko) * 2015-05-06 2017-07-21 (주)신우유비코스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7019A4 (en) 2004-06-23
WO2002064482A1 (fr) 2002-08-22
CN1283544C (zh) 2006-11-08
JPWO2002064482A1 (ja) 2004-06-10
HK1062669A1 (en) 2004-11-19
US20040050627A1 (en) 2004-03-18
CA2438037A1 (en) 2002-08-22
KR20040010591A (ko) 2004-01-31
EP1367019B1 (en) 2015-09-23
JP4096117B2 (ja) 2008-06-04
US7178637B2 (en) 2007-02-20
CN1491181A (zh) 2004-04-21
EP1367019A1 (en) 2003-12-03
CA2438037C (en) 2008-03-11
TW522134B (en) 200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493B1 (ko) 왕복 이동체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CA2465038C (en) Lift system
US6193017B1 (en) Pulley-driven elevator
KR100921360B1 (ko) 견인 요소로서 평벨트를 포함하는 승강기
EP1688384B1 (en) Elevator hoist rope with thin high-strength wires
EP1056676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JP3921603B2 (ja) エレベータ駆動用ベルト
EP109710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KR102520029B1 (ko) 엘리베이터 벨트를 위한 종단
EP1097102A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and common drive and suspension rope
JP4226894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用トラクション増加装置
JP4135379B2 (ja) 往復移動体駆動装置
JP4232379B2 (ja) 往復移動体装置
KR100619203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808399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SU74978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вышени т говой способности шкивов трени подъемной машины
JP4591027B2 (ja) エレベータ等の駆動装置
EP1911715A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JP4123864B2 (ja) 往復移動体駆動装置
JP4310977B2 (ja) 往復移動体駆動装置の調整方法
SU1572971A1 (ru) Шахтный подъемник
JP4123797B2 (ja) 往復移動体駆動装置
KR20010041323A (ko) 승강로 측벽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위치된 구동 모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