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167B1 -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167B1
KR102427167B1 KR1020210133582A KR20210133582A KR102427167B1 KR 102427167 B1 KR102427167 B1 KR 102427167B1 KR 1020210133582 A KR1020210133582 A KR 1020210133582A KR 20210133582 A KR20210133582 A KR 20210133582A KR 102427167 B1 KR102427167 B1 KR 10242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unit
vehicle
block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헌
Original Assignee
임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헌 filed Critical 임정헌
Priority to KR102021013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덮개구조물에 의해 커버되며 차량을 통과시키는 지하도로에 설치된 상태로, 홍수 시 지하도로 내부로 흘러드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와 접속되고 감지부로부터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지하도로의 진입구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경광등과; 지하도로의 진입구 전방에 위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차단네트를 노면위로 전개함으로써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메인차단부와; 메인차단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노면의 일부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들어 올려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보조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는, 집중호우나 홍수 등의 재난 상황에서, 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동작하여, 차량의 진입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Disaster prevention vehic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호우 등의 재난 상황에서 자동으로 동작하여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하는,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 이변은, 여러 가지 자연 재해를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규모가 커진 태풍이나 집중호우는 갈수록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내리는 집중호우는, 시내 교통을 마비시키고 하천이나 저수지 등을 범람시키기 일수 이며 수많은 인명피해를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홍수로 인한 가장 큰 재해는 하천 홍수에 의한 것이다. 급격히 불어난 물이 댐이나 제방을 붕괴시키거나 월류 하면서 주변 지역으로 흘러 막대한 침수피해를 주기 때문이다.
한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의한 불투수층이 대부분인 도심의 경우, 집중 호우 시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므로, 가령, 지하도로나 지하주차장이나 지하철로는 물론 저지대 지역이 쉽게 침수될 수 있다.
특히, 지하도로의 경우, 침수가 시작되었지만 신속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차량 운전자는, (침수가 이제 시작되기 시작하였으므로) 물을 통과할 수 있을 줄 알고, 또한 뒤에서 차가 따라오므로, 지하도로에 일단 진입한 후 통과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심 홍수에서의 지하도로의 수위는 급격히 상승하며, 또한 출구측에서 교통정체가 극심할 경우에는 물에 갇힐 수밖에 없다. 더욱이 수위가 계속 올라가면 지하차도에 갇힌 채 익사할 수도 있다. 지하도로의 차량 진입구에 설치되어, 집중 호우 시, 인력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 차단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277753호를 통해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침수검지 시스템은, 차량이 주행하는 지하차도 외부에 구비되는 VMS전광판과, 지하차도 내부 상부에 고정되어 침수지역을 실시간 영상으로 송출하는 검지카메라와, 지하차도 내부 상부에 고정되어 침수지역의 유속 및 수위를 측정하는 검지센서와, 지하차도 내부에 구비되어 침수지역을 모니터링하고 침수발생 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검지센서 및 검지카메라가 연결되는 제어함체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수검지 시스템은, 여러 가지 복잡한 장비를 적용하였지만, 실제로 운전자의 진입을 차단하는 현실적인 구성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단지 침수사실을 VMS전광판을 통해 알려줄 뿐, 진입 자체를 물리적으로 또한 자동으로 차단하는 수단이 없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277753호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32131호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집중호우나 홍수 등의 재난 상황에서, 도로의 침수되기 시작할 때, 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동작하여, 차량의 진입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는, 덮개구조물에 의해 커버되며 차량을 통과시키는 지하도로에 설치된 상태로, 홍수 시 지하도로 내부로 흘러드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와 접속되고 감지부로부터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지하도로의 진입구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경광등과; 지하도로의 진입구 전방에 위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노면위로 전개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네트를 구비하는 메인차단부와; 메인차단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노면의 일부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들어 올려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보조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하도로의 노면에는, 도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개방되며 차단네트를 수용하는 네트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단네트는; 네트수용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감당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호커버와, 보호커버의 저면에 고정되고 도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스트립과, 네트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하단스트립과, 상단스트립과 하단스트립을 연결하며, 상단스트립을 상승시킬 때 펼쳐지는 다수의 탄력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차단부는; 네트수용공간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인양와이어를 통해 보호커버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보호커버를 인양하여 차단네트가 펼쳐지게 하는 인양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양수단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인양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통로를 갖는 지지포스트, 지지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출력하는 인양모터, 인양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와이어통로를 통과하는 인양와이어를 권취하는 보빈을 포함하고, 보호커버의 양단부에는 아이볼트가 고정되며, 인양와이어의 단부에는 아이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하도로의 진입구측 노면에는 보조차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보조차단부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제1힌지부를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부재로서, 저면 중앙에 제2힌지부를 구비하고, 노면의 일부 역할을 하는 노면플레이트와,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링크시켜 노면플레이트가 시소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받침핀과, 상기 받침핀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신축형 워터백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며, 워터백 내의 물을 교환시켜 워터백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노면플레이트가 기울어지게 하는 펌프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는, 집중호우나 홍수 등의 재난 상황에서, 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동작하여, 차량의 진입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1차차단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2차차단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하도록 차량진입 차단장치는, 관리자의 개입 없이 24시간 스스로 동작하므로 기습폭우나 홍수 등이 각종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30)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1차차단부의 내부 구성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2차차단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30)는, 감지부(61), 제어부(63), 스피커(43) 및 경광등(41), 메인차단부(50), 보조차단부(45)를 포함한다.
참고로, 지하도로(11)는, 차량(15)이 통과하는 노면(17)과, 노면을 커버하는 덮개구조물(13)로 이루어진다. 덮개구조물(13)은 노면(17)의 상부에 다른 차량이 통과하도록 도로면을 제공하거나, 도심 미관을 위한 식물 식재 장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지하도로(11)의 구조 자체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부(61)는 수위센서로서, 노면(17)의 가장 낮은 지점에 배치된다. 홍수 시 지하도로 내부로 흘러드는 물(W)의 수위는 감지부(61)에 의해 실시간 체크된다. 감지부(61)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63)로 전달된다.
제어부(63)는 물(W)의 수위에 따른 적절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광등(41), 스피커(43), 인양모터(33), 펌프(49)를 구동한다. 제어부(63)는 컨트롤박스의 형태로 제작하여 지하도로(11)의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부(63)를 덮개구조물(13) 상부에 배치시켰다.
스피커(43)와 경광등(41)의 일부는 지하도로(11)의 진입구(12)측 덮개구조물(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어부(63)에 의해 동작하여 통제신호를 출력한다. 지하도로(11)를 향해 진행하는 차량(15)은 경광등(41)의 불빛과 스피커(43)의 안내 방송을 통해, 지하도로(11)의 침수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차단부(60)는, 차단네트(51)와 인양수단(31)을 포함한다. 메인차단부(60)를 설치하기 위해 지하도로의 진입구(12) 노면에는 네트수용공간(23)이 마련된다. 네트수용공간(23)은 차단네트(51)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도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개방된다. 네트수용공간(23)은 평상시에는 보호커버(52)로 커버되어 있다. 보호커버(52)는 네트수용공간(23)을 덮어, 달리는 차량의 타이어가 네트수용공간(23)에 빠지지 않게 한다. 보호커버(52)는 차단네트(51)의 일부분이다.
차단네트(51)는 접힌 상태로 네트수용공간(23)에 수납되고, 작동 시에는, 인양수단(31)에 의해 상부로 인양되어 펼쳐진다. 차단네트(51)는, 침수상황이 아닌 평상시에서는 네트수용공간(23)에 보관되어 있다.
차단네트(51)는, 보호커버(52), 상단스트립(54), 하단스트립(56), 탄력벨트(58)를 포함한다. 보호커버(52)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판상부재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수용공간(23)을 커버하고,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감당한다.
상단스트립(54)은 보호커버(52)의 저면에 고정되는 선형 부재로서 보호커버(52)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단스트립(54)은 보호커버(52)와 동일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상단스트립(54)은 보호커버(52)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하단스트립(56)은 네트수용공간(23)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막대형 부재로서, 상단스트립(54)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탄력벨트(58)는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탄력성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단스트립(54)에, 타단부는 하단스트립(56)에 고정된다. 탄력벨트(58)로서 띠형 형광고무줄을 사용할 수 있다. 탄력벨트(58)는, 보호커버(52)를 상부로 인양함에 따라 늘어나 인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차단네트(51)는 말하자면 출몰형 바리케이드의 역할을 한다. 지하도로(11)로 향하던 차량의 운전자는, 전개된 상태의 차단네트(51)를 보고 진입을 멈추게 된다. 도 2는 메인차단부(50)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3은 메인차단부(50)가 작동한 모습을 보여준다.
인양수단(31)은, 네트수용공간(23)의 양단부, 즉 차단네트(51)의 양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단네트(51)를 상부로 인양하여 펼치거나 하강시켜 네트수용공간(23)에 원위치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양수단(31)은 제어부(63)에 의해 동작한다.
인양수단(3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31a), 배터리(32), 인양모터(33), 보빈(36), 받침롤러(37), 인양와이어(38)를 포함한다.
지지포스트(31a)는 수직으로 고정된 사각 기둥으로서 내부공간(31e)을 제공하고, 상단부에 와이어통로(31b)를 갖는다. 와이어통로(31b)는 인양와이어(38)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또한 지지포스트(31a)의 상단부에도 경광등(41)이 설치된다.
인양모터(33)는 제어부(63)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토크를 출력한다. 인양모터(33)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은, 외부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배터리(32)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배터리(32)는 충전형 전원으로서, 단전 등에 의해 상용전력의 공급이 차단될 때 사용된다.
또한, 인양모터(33)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34a)가, 보빈(36)의 회전축에는 종동풀리(34b)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풀리(34a)와 종동풀리(34b)는 전동벨트(35)로 연결되어 있다. 인양모터(33)의 회전력이 전동벨트(35)를 통해 보빈(36)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보빈(36)은 인양와이어(38)를 감아 들이거나 풀어내는 원통형 부재로서 회전축이 지지포스트(31a)에 고정된다. 인양와이어(38)는 일단부가 보빈(36)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보호커버(52)에 연결된다.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인양와이어(38)의 타단부에는 후크(39)가 고정되어 있고, 보호커버(52)의 상면 양단에는 아이볼트(52a)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39)는 아이볼트(52a)에 끼움 결합한다. 아이볼트(52a)로부터 후크(39)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양와이어(38)에 대한 차단네트(51)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차단네트(51)의 손상 시 새로운 차단네트(51)로 갈이 끼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보조차단부(45)는, 메인차단부(50)의 전방에 구비되며, 평상 시(지하도로가 침수되지 않은 때) 노면의 일부분의 역할을 하고, 침수 상황시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들어 올려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는 평상시 상태, 도 4b는 침수 상황 시 보조차단부(45)가 동작되어 있는 모습이다.
보조차단부(45)를 설치하기 위해, 노면에 설치공간(21)이 형성된다. 설치공간(21)은 일정깊이를 갖는 사각홈이다.
보조차단부(45)는, 베이스플레이트(45f), 노면플레이트(45a), 받침핀(47), 워터백(48a), 펌프(49)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45f)는 설치공간(21)의 바닥에 고정되는 사각판으로서 중앙부 상면에 제1힌지부(45g)를 갖는다. 베이스플레이트(45f)로서 강철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제1힌지부(45g)는 받침핀(47)을 통해 제2힌지부(45b)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노면플레이트(45a)는 베이스플레이트(45f)의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부재로서, 저면 중앙에 제2힌지부(45b)를 갖는다. 제2힌지부(45b)는 받침핀(47)을 통해 제1힌지부(45g)와 링크된다. 노면플레이트(45a)는 연결핀(47)을 회전축으로 삼아 시소운동이 가능하다.
특히 노면플레이트(45a)는 평상시에는 노면의 일부 역할을 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 시, 노면과 같은 평면을 가져, 주행 중의 차량이 그 위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노면플레이트(45a)의 상면에 차선이 도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면플레이트(45a)는 강철판으로 제작 가능하다.
워터백(48a)은 물이 수용되는 신축성 용기로서, 받침핀(47)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된 상태로 노면플레이트(45a)를 지지한다. 가령 노면플레이트(45a)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워터백(48a)은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부피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진다. 도 4a의 경우 좌우측 워터백(48a)의 높이가 같고, 도 4b의 경우 좌측 워터백(48a)의 높이가 우측 워터백의 높이보다 높다. 각 워터백(48a) 내의 물을 교환시켜 워터백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노면플레이트가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펌프(49)는 제어부(63)에 의해 동작하여, 각 워터백(48a) 내부의 물의 부피를 조절한다. 이를테면 좌측 워터백 내의 물을 우측 워터백으로 옮기거나, 우측 워터백 내부의 물을 좌측 워터백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펌프(49)의 작동에 의해 노면플레이트(45a)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지하도로의 침수 시 노면플레이트(45a)를 기울이는 이유는, 당연히 차량(15)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차량 운전자는 노면플레이트(45a)의 한쪽이 올라오고 반대편이 함몰된 것을 보고, 도로가 주저앉은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켜, 상황을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 신속히 우회하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집중호우에 의해 지하도로(11)에 물이 들어차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감지부(61)가 신호를 발생한다. 감지부(61)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63)로 실시간 전송된다.
제어부(63)는 지하도로(11) 내부의 침수 깊이를 파악한 후, 지하도로의 통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경광등(41)과 스피커(43)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인양모터(33)와 펌프(49)를 구동한다. 즉, 인양모터(33)를 구동하여 메인차단부(50)를 설치하고, 펌프(49)를 동작시켜 노면플레이트(45a)를 기울인다. 이러한 동작은 인력의 개입 없이 24시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운전자는, 노면플레이트(45a)가 올라온 것을 보고, 또한 차단네트(51)가 전개된 것을 보고 차량을 우회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63)는 통신부(65)를 통해 관제센터(67)에 현재 상황을 전달한다. 즉, 현재 해당 지하도로(11)가 침수되고 있으며, 메인차단부(50)와 보조차단부(45)가 동작되어 있고, 경광등(41)과 스피커(43)가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관제센터(67)의 관리자는 통신부(65)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통해 적절한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지하도로 12:진입구 13:덮개구조물
15:차량 17:노면 21:설치공간
23:네트수용공간 30:차단장치 31:인양수단
31a:지지포스트 31b:와이어통로 31e:내부공간
32:배터리 33:인양모터 34a:구동풀리
34b:종동풀리 35:전동벨트 36:보빈
37:받침롤러 38:인양와이어 39:후크
41:경광등 43:스피커 45:보조차단부
45a:노면플레이트 45b:제2힌지부 45f:베이스플레이트
45g:제1힌지부 47:받침핀 48a:워터백
49:펌프 50:메인차단부 51:차단네트
52:보호커버 52a:아이볼트 54:상단스트립
56:하단스트립 58:탄력벨트 61:감지부
63:제어부 65:통신부 67:관제센터

Claims (4)

  1. 덮개구조물에 의해 커버되며 차량을 통과시키는 지하도로에 설치된 상태로, 홍수 시 지하도로 내부로 흘러드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와 접속되고 감지부로부터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지하도로의 진입구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경광등과; 지하도로의 진입구 전방에 위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노면위로 전개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네트를 구비하는 메인차단부와; 메인차단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노면의 일부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들어 올려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보조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도로의 노면에는, 도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개방되며 차단네트를 수용하는 네트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네트는; 네트수용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감당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호커버와, 보호커버의 저면에 고정되고 도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스트립과, 네트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하단스트립과, 상단스트립과 하단스트립을 연결하며, 상단스트립을 상승시킬 때 펼쳐지는 다수의 탄력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차단부는; 네트수용공간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인양와이어를 통해 보호커버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보호커버를 인양하여 차단네트가 펼쳐지게 하는 인양수단을 더 포함하는,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인양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통로를 갖는 지지포스트, 지지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출력하는 인양모터, 인양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와이어통로를 통과하는 인양와이어를 권취하는 보빈을 포함하고,
    보호커버의 양단부에는 아이볼트가 고정되며, 인양와이어의 단부에는 아이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도로의 진입구측 노면에는 보조차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보조차단부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제1힌지부를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부재로서, 저면 중앙에 제2힌지부를 구비하고, 노면의 일부 역할을 하는 노면플레이트와,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링크시켜 노면플레이트가 시소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받침핀과,
    상기 받침핀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신축형 워터백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며, 워터백 내의 물을 교환시켜 워터백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노면플레이트가 기울어지게 하는 펌프가 구비된,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KR1020210133582A 2021-10-08 2021-10-08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KR10242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582A KR102427167B1 (ko) 2021-10-08 2021-10-08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582A KR102427167B1 (ko) 2021-10-08 2021-10-08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167B1 true KR102427167B1 (ko) 2022-07-28

Family

ID=826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582A KR102427167B1 (ko) 2021-10-08 2021-10-08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5589A (zh) * 2023-03-27 2023-04-25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智能式停车场充电桩保护装置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KR101132131B1 (ko) 2011-08-31 2012-04-03 박정식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JP2012185759A (ja) * 2011-03-08 2012-09-27 Kayaba Ind Co Ltd 警告装置
KR101332418B1 (ko) * 2013-07-12 2013-11-22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KR102277753B1 (ko) 2020-09-29 2021-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JP2012185759A (ja) * 2011-03-08 2012-09-27 Kayaba Ind Co Ltd 警告装置
KR101132131B1 (ko) 2011-08-31 2012-04-03 박정식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1332418B1 (ko) * 2013-07-12 2013-11-22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KR102277753B1 (ko) 2020-09-29 2021-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N116005589A (zh) * 2023-03-27 2023-04-25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智能式停车场充电桩保护装置
CN116005589B (zh) * 2023-03-27 2023-06-27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智能式停车场充电桩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167B1 (ko)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US7101114B1 (en)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663059B1 (ko) 신도시 저지대 주택 침수방지시설
KR102227149B1 (ko) 침수 경보장치
KR102245778B1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JP4558242B2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KR102143972B1 (ko)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CN114759665A (zh) 一种城市隧道智能掩藏式防洪设施综合装置及其控制方法
US7037031B2 (en) Automatic barricade for low water crossings
JP2003082956A (j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CN111576586A (zh) 地下车库防淹排涝系统
CN209907131U (zh) 一种自动式行人过街装置
CN217438827U (zh) 自动应急防洪闸门系统
GB2458941A (en) Inflatable flood prevention barrier
CN115749563A (zh) 一种具有良好门间密封效果的防淹应急防汛墙
CN116005620A (zh) 一种河道阻水治理用的翻转式防汛墙阻水装置
CN213061890U (zh) 地下建筑敞口防洪设施
ES2564039B2 (es) Cerramiento de seguridad para animales y personas en vías de comunicación y otros espacios
CN113775018A (zh) 一种地下室施工方法
KR102618076B1 (ko) 출입통제 현수막용 기둥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CN217997953U (zh) 一种电动提升式防汛墙
KR200258028Y1 (ko) 유수 범람방지 장치
CN215977142U (zh) 一种用于地下洞室的防洪闸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