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131B1 -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131B1
KR101132131B1 KR1020110087943A KR20110087943A KR101132131B1 KR 101132131 B1 KR101132131 B1 KR 101132131B1 KR 1020110087943 A KR1020110087943 A KR 1020110087943A KR 20110087943 A KR20110087943 A KR 20110087943A KR 101132131 B1 KR101132131 B1 KR 10113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wall
wall
sub
build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교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박정식
(주)시조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식, (주)시조씨앤씨 filed Critical 박정식
Priority to KR102011008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로 내려가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차수벽을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홍수나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지하공간의 침수를 방지하는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 차수벽을 지하공간의 출입구에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지하 침수를 방지하면서도 평상시엔 상기 차수벽을 제거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출입하는데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상기 차수벽의 폭을 자유자재로 가변하면서 건축물 출입구의 규격에 관계없이 최적의 맞춤상태로 설치가능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A shield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basement space of building}
본 발명은 지하로 내려가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차수벽을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홍수나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지하공간의 침수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공간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시설 또는 지하창고 등이 설치된다.
상기 지하공간의 출입구는 사람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 또는 계단을 형성하거나, 외부 출입자가 무단으로 출입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차단시설을 설치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상기 지하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출입구 측의 높이를 지면보다 약간 높게 시공하여 도로 또는 노면에서 발생하는 우수 등이 지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우수 유입방지를 목적으로 지하공간의 출입구 높이를 지면보다 충분한 높이로 설정하더라도 여름철 홍수 또는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해 강우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우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지 않으면 우수는 낮은 저지대로 모여들게 되고, 이때 모여든 물이 출입구의 높이 이상으로 차오르면 지하공간으로 흘러들어 지하공간을 침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룰러 지하공간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도어 및 차단시설은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 통제를 목적으로 시설되는 것이어서 우수 차단에는 아무런 도움이나 효과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지하공간에 주차되는 차량 침수는 물론 지하공간에 보관된 물품을 훼손시키는 등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578537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21648호」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발명을 비롯한 여타 모든 우수유입 차단장치는 필요 이상으로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됨은 물론 매우 비경제적이며, 특히 차수벽의 좌우 폭을 가변할 수 없는 한정된 폭으로 구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출입구(설치공간) 폭에 알맞도록 맞춤 제작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즉 건축물의 출입구는 규격이 단일화되지 못하고 제 각기 다른 폭으로 시공되고 있으나, 종래의 차수판은 규격이 일정하게 한정됨으로써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할 수 없어 호환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여타 모든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차수벽을 지하공간의 출입구에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지하 침수를 방지하면서도 평상시엔 상기 차수벽을 제거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출입하는데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벽의 폭을 자유자재로 가변하면서 건축물 출입구의 규격에 관계없이 최적의 맞춤상태로 설치가능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차수벽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서브 차수벽을 내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고, 상기 서브 차수벽의 후면 일측에 부착한 시건장치를 건축물 출입구의 양측 벽면에 천공한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차수벽의 하단, 상기 서브 차수벽의 하단 및 일측에 각각 방수패드를 추가로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수벽을 선택적으로 설치/제거함으로써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가 건축물의 지하공간으로 유입됨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지하공간의 침수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또는 보관물품의 파손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차수벽의 양단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서브 차수벽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건축물 출입구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서브 차수벽을 출입구의 규격에 알맞도록 폭을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맞춤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소하여 제작성이 뛰어나고,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하여 경제성의 향상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차수벽 및 서브 차수벽의 조립상태 일부절결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서브 차수벽의 이동에 따른 폭 가변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우수유입 차단장치의 배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이 개방된 사각체의 메인 차수벽(10)과;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내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한 쌍의 서브 차수벽(20)과; 상기 서브 차수벽(20)의 후면에 부착된 시건장치(40)와;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가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건축물의 출입구(1) 양측 벽면(2)에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우수유입 차단장치(B)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지하로 들어가는 건축물의 출입구(1)에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지상에는 우수가 차더라도 지하로는 유입을 차단하여 침수를 방지하기 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 차수벽(10)과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양측에 끼움 설치되는 서브 차수벽(20)의 조립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축물의 출입구(1) 폭이 다르더라도 폭을 가변하면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차수벽(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차수벽(20)이 양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 형성되며, 후면 상부에는 메인 차수벽(10)을 들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견인 손잡이(1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개방된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서브 차수벽(2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 설치됨으로써 자유롭게 폭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차수벽(20)의 후면에는 통상의 시건장치(40)가 부착되고,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는 건축물의 출입구(1) 양측 벽면(2)에 천공한 다수의 고정홀(50)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를 도 1과 같이 출입구(1)의 벽면(2)에 천공된 고정홀(50)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우수유입 차단장치(B)를 출입구(1)에 막음 설치하여 지하공간으로 우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후면 하측에도 시건장치(40)가 추가로 부착되고, 이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는 도 4와 같이 출입구(1)의 바닥면(3)에 천공한 고정홀(50)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50)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벽면(2)에 천공하고, 상기 고정홀(50)에 유동방지홀더(52)를 추가로 끼움 고정함으로써 상기 잠금로드(41)를 유동방지홀더(52)가 감싸면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잠금로드(41)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메인 차수벽(10) 및 서브 차수벽(20)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인 차수벽(10)의 전면 하측은 물론 서브 차수벽(20)의 전면 일측과, 전면 하측에 함몰형성된 패드 장착홈(23)에는 각각 부드러운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방수패드(60)가 밀착되고, 상기 방수패드(60)의 외면에 패드 장착대(61)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패드 장착대(61) 및 방수패드(60)를 동시에 체결구(62)가 관통하여 메인 차수벽(10) 및 서브 차수벽(20)에 각각 부착 설치됨으로써 출입구(1)의 벽면(2)과 서브 차수벽(20) 간의 틈새나 상기 메인 차수벽(10) 및 서브 차수벽(20)과 바닥면(3) 간의 틈새를 통해 지하공간으로 우수가 누설됨을 차단하여 차수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 차수벽(20)에 부착된 방수패드(60)는 메인 차수벽(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우수유입 차단장치(B1)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폭 가변 기능이 생략된 단일 차수벽(10a)의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우수유입 차단장치(B1)는 차수벽(10a)의 후면 상부에 견인 손잡이(12)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차수벽(10a)의 후면 양측 및 하부에는 각각 시건장치(40)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는 건축물의 출입구(1) 양측 벽면(2) 및 바닥면(3)에 각각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차수벽(10a)의 전면 하측 및 양측에 각각 방수패드(60)가 부착 설치된다.
따라서, 비록 폭 가변기능이 생략되었지만 지하공간으로 우수가 유입됨을 차단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함에는 어떠한 무리도 없으며, 오히려 구조 간소화를 이루면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B, B1: 우수유입 차단장치 1: 출입구
2: 벽면 3: 바닥면
10: 메인 차수벽 10a: 차수벽
12: 견인 손잡이 20: 서브 차수벽
40: 시건장치 41: 잠금로드
50: 고정홀 52: 유동방지홀더
60: 방수패드 61: 패드 장착대
62: 체결구

Claims (6)

  1. 내부가 비어 있고, 후면 상부에 견인 손잡이(12)가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사각체의 메인 차수벽(10)과;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내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한 쌍의 서브 차수벽(20)과;
    상기 서브 차수벽(20)의 후면에 부착된 시건장치(40)와;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가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건축물의 출입구(1) 양측 벽면(2)에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후면 하측에는 시건장치(40)가 추가로 부착되고, 상기 시건장치(40)의 잠금로드(41)는 건축물의 출입구(1) 바닥면(3)에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고정홀(50)에는 잠금로드(41)를 감싸면서 유동발생을 억제하는 유동방지홀더(52)가 추가로 끼움 설치되고;
    상기 메인 차수벽(10)의 전면 하측과, 상기 서브 차수벽(20)의 전면 일측 및 전면 하측에 함몰형성된 패드 장착홈(23)에는 각각 방수패드(60)가 밀착되고, 상기 방수패드(60)의 외면에 패드 장착대(61)가 맞대어지며, 상기 패드 장착대(61) 및 방수패드(60)는 체결구(62)로 관통하여 메인 차수벽(10) 및 서브 차수벽(20)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서브 차수벽(20)에 부착된 방수패드(60)는 메인 차수벽(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87943A 2011-08-31 2011-08-31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113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43A KR101132131B1 (ko) 2011-08-31 2011-08-31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43A KR101132131B1 (ko) 2011-08-31 2011-08-31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131B1 true KR101132131B1 (ko) 2012-04-03

Family

ID=4614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43A KR101132131B1 (ko) 2011-08-31 2011-08-31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1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17Y1 (ko) * 2012-04-12 2012-12-26 이경선 지하실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판
KR200480456Y1 (ko) * 2015-03-10 2016-05-27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190056549A (ko) 2017-11-17 2019-05-27 서규호 수해방지용 차수벽 시스템
JP2019100054A (ja) * 2017-11-30 2019-06-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止水板及び浸水防止装置
KR102427167B1 (ko) 2021-10-08 2022-07-28 임정헌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WO2023075398A1 (ko) * 2021-10-27 2023-05-04 황창국 차수문
KR102590781B1 (ko) *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077B2 (ja) * 1999-10-01 2003-10-20 グローバルアーク株式会社 防水装置
KR20040097038A (ko) * 2004-10-19 2004-11-17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077B2 (ja) * 1999-10-01 2003-10-20 グローバルアーク株式会社 防水装置
KR20040097038A (ko) * 2004-10-19 2004-11-17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17Y1 (ko) * 2012-04-12 2012-12-26 이경선 지하실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판
KR200480456Y1 (ko) * 2015-03-10 2016-05-27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190056549A (ko) 2017-11-17 2019-05-27 서규호 수해방지용 차수벽 시스템
JP2019100054A (ja) * 2017-11-30 2019-06-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止水板及び浸水防止装置
KR102427167B1 (ko) 2021-10-08 2022-07-28 임정헌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WO2023075398A1 (ko) * 2021-10-27 2023-05-04 황창국 차수문
KR102590781B1 (ko) *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JP2000345537A (j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JP3542537B2 (ja)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のロック装置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1540644B1 (ko) 탈부착식 방수판이 구비된 셔터
JP2016196729A (ja) 止水ユニット
KR200464317Y1 (ko) 지하실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판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2569525B1 (ko)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KR101158809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635360B1 (ko) 공동주택의 지대가 낮은 건축물의 지하공간의 우수유입 방지구조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200402401Y1 (ko) 조립식 도로옹벽 설치구조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JP2004360430A (ja) 浮力による水防板の注水口
KR101349241B1 (ko) 회전문용 차수막
KR100811136B1 (ko) 건축물 단지의 지하구조물에 설치하는 빗물 차단장치
JP2021102882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ES2410589B1 (es) Sistema de barrera autónoma contra inundación.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KR100872209B1 (ko) 비닐하우스 문 골조
US201703065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of a basement
JP4878412B2 (ja) 駐車スペー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