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99B1 -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99B1
KR101332599B1 KR1020130040753A KR20130040753A KR101332599B1 KR 101332599 B1 KR101332599 B1 KR 101332599B1 KR 1020130040753 A KR1020130040753 A KR 1020130040753A KR 20130040753 A KR20130040753 A KR 20130040753A KR 101332599 B1 KR101332599 B1 KR 10133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late
link unit
area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3004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상사태시 빗물 등 물이 차수구역 내부로 유입되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시켰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 양측 벽체 사이의 차수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차수판 설치홈에 위치되었다가 비상사태시 양측 벽체에 밀착형성되면서 차수구역을 차단하여 물이 차수구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수구역의 바닥과 벽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수구역을 개폐시키되, 차수구역 개방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폐쇄시키며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차수구역 폐쇄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개방시키며 양측 벽체에 밀착되어 차수구역을 폐쇄시키는 차수판;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과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수판을 회동시켜 차수구역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폐고정수단; 및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 및 개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수장치{APPARATUS FOR CLOSING WATER}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상사태시 빗물 등 물이 차수구역 내부로 유입되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지적, 기습적 폭우 증가로 빗물이 넘쳐 들면서 침수피해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평상시에 침수피해지역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방심하던 지역조차 최근의 집중호우 앞에서는 침수 및 산사태의 피해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되었으며,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
이에 차수장치를 설치하는 지역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설치비용 및 설치과정에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 차수장치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공사기간 및 설치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설치되는 구조물들의 크기로 인하여 일정한 공간 이상의 설치면적을 확보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시설 및 구조로 인하여 설치면적이 최소화되고, 사용이 용이하며, 설치비용을 절감시킨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차수장치는, 평상시 양측 벽체 사이의 차수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차수판 설치홈에 위치되었다가 비상사태시 양측 벽체에 밀착형성되면서 차수구역을 차단하여 물이 차수구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수구역의 바닥과 벽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수구역을 개폐시키되,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을 회동시켜 차수구역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폐고정수단 및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 및 개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쇽업쇼버(shock absorber) 및 제1링크유닛과 제2링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관절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의 최대 회동각도는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의 최대 회동각도 상태를 해제시키는 개방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쇽업쇼버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에 접면되어 상기 쇽업쇼버의 타단부를 상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하부에는 상기 차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어 시공이 용이하여 공사기간 및 설치비가 절약되고,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의 축소로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지역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수구역 폐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수구역 개방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수구역의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수장치는 평상시 양측 벽체(10) 사이의 차수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차수판 설치홈(20)에 위치되었다가 비상사태시 양측 벽체(10)에 밀착형성되면서 차수구역을 차단하여 물이 차수구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수구역의 바닥과 벽체(1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수구역을 개폐시키되, 차수구역의 개방시 차수판 설치홈(20)을 폐쇄시키며 바닥면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차수구역의 폐쇄시 차수판 설치홈(20)을 개방시키며 양측 벽체(10)에 밀착되어 차수구역을 폐쇄시키는 차수판(100); 차수판 설치홈(20)의 바닥면과 차수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차수판(100)을 회동시켜 차수구역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폐고정수단(200); 및 차수판(100)을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수판(10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 및 개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벽체(10)는 본 발명인 차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라면 모두 가능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지하차도 또는 지하주차장의 입구 양측에 형성된 벽체이거나 지상에 형성된 벽체일 수 있으며, 차수구역의 양측에 벽체가 형성된 곳은 모두 가능하며, 벽체가 없는 곳이라도 벽체의 역할을 대신하여 차수판(100)과 밀폐되어 차수판(100)을 지지할 수 있는 장소라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는 바닥면을 제외한 차수장치와 벽체(10)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바닥면은 마감부의 상부 높이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수구역은 도 2를 참조하면 양측 벽체(10) 사이의 공간을 가리키는 것이며, 본 발명인 차수장치는 차수구역의 바닥면 후방(도 2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 도 3의 벽체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설치된다.
이때, 차수구역의 바닥면 후방에는 본 발명인 차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차수판 설치홈(20)을 형성해야 하며, 차수판 설치홈(20)을 형성한 후에는 본 발명인 차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프레임(700)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수판(100)은 차수판 설치홈(20)의 상부에 바닥면(미도시)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을 개방시켰다가, 비상사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100)을 이용하여 양측 벽체(10) 및 차수구역의 하부를 밀폐시켜 차수구역을 차단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 개방시에는 차수판(100)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해제수단(300)을 이용하여 마감부(500)에 형성된 잠금해제홀(510)에 잠금상태로 위치시키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사태시에는 잠금해제홀(510)로부터 잠금해제수단(300)을 분리하여 차수구역을 폐쇄시킨다.
잠금해제수단(300)은 차수판(100)을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상에는 열쇄 형상으로 키를 결합하여 잠금해제수단(300)을 잠금 및 해제시키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잠금해제수단(300)의 구조 및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부(50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마감부(500)를 생략시에는 차수판(100)의 길이를 마감부(500)의 위치까지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수판(100)의 후면(도 1에 차수판의 보이는 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차수판 보강부재를 설치하며, 차수판 보강부재의 구조 및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프레임(700)에는 차수구역의 개방시 차수판(100)이 차수판 설치홈(20)의 상부에서 차수구역의 바닥면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차수판(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수단(400)이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수구역의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측면도이다.
즉, 도 3은 차수구역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차수구역의 폐쇄시 차수판(100)이 벽체(10)에 밀착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차수구역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고정수단(200)은 일단부가 차수판 설치홈(20)의 바닥면, 즉, 장착프레임(7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차수판(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쇽업쇼버(210, shock absorber); 및 일단부가 장착프레임(7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유닛(221)과, 일단부가 제1링크유닛(221)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차수판(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유닛(222)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관절링크부재(220)로 구성된다.
이때, 차수구역을 개폐시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회동각도 A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회동각도 B를 이루며, 차수구역을 폐쇄시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이 최대 회동각도를 이루되,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의 최대 회동각도는 180도로 구성된다.
한편, 쇽업쇼버(210)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롤러(211)가 구비되고, 장착프레임(700)에는 차수구역의 폐쇄시 가이드롤러(211)와 접면되어 쇽업쇼버(210)의 타단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유닛(230)이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롤러(211)에 접촉되는 가이드유닛(230)의 접촉면은 도 3을 기준으로 하부 좌측에서 상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만곡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유닛(230)은 쇽업쇼버(210)의 팽창시 차수판(100)으로 전달되는 쇽업쇼버(210)의 팽창력을 상부로 이동시켜 차수판(100)이 원활하게 들어올려지도록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유닛(230)이 없는 상태에서는 쇽업쇼버(210)의 팽창력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수평방향으로만 작동하므로 차수판(100)의 우측을 기준으로 차수판(100)의 좌측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가이드유닛(230)과 같이 쇽업쇼버(210)의 팽창력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차수판(100)을 들어올리는 가이드부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하, 차수판(100)의 개폐상태를 도 3 내지 도 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100)은 바닥면(미도시)과 일직선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차수구역 개방상태)
이때,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은 최소 회동각도 A를 이루며, 쇽업쇼버(210)는 압축된 상태로 가이드롤러(211)는 가이드유닛(230)의 하부에 접촉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잠금해제수단(300)은 잠금해제홀(510)에 체결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을 폐쇄시 잠금해제수단(300)을 잠금해제홀(510)로부터 분리하면(도 2 참조) 쇽업쇼버(210)의 팽창력에 의해 차수판(100)은 우측을 기준으로 좌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진다.
이때,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의 회동각도는 좀더 커지며, 가이드롤러(211)는 가이드유닛(230)의 접촉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로 이동하면서 쇽업쇼버(210)는 조금씩 팽창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의 회동각도가 더욱 커지면서 가이드롤러(211)는 가이드유닛(230)의 상부 접촉면을 벗어나면서 쇽업쇼버(210)는 팽창하여 차수판(100)을 들어올리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쇽업쇼버(210)의 팽창력만으로는 차수판(100)을 벽체(10)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으므로, 회동관절링크부재(220)의 상부에 형성된 폐쇄지지판(250)을 발로 밟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을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도면상에는 폐쇄지지판(250)을 제2링크유닛(222)의 상부에 형성하였으나, 그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수판(100)이 접면되는 벽체(10)와 차수구역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 밀폐시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밀폐부재(600) 등을 부착하며, 밀폐부재(600)는 차수판(100)에도 장착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와 차수구역의 하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링크유닛(221)의 일단부에는 차수구역의 폐쇄상태에서 제1링크유닛(221)의 타단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제1링크유닛(221) 및 제2링크유닛(222)의 최대 회동각도 상태를 해제시키는 개방가이드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즉, 도 7과 같이 차수구역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가이드수단(240)의 일측(도 7을 기준으로 좌측 하부)을 밟으면, 개방가이드수단(240)의 타측이 제1링크유닛(221)의 타단부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서 도 6과 같이 위치되며, 이후, 차수구역 폐쇄상태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구역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10 : 벽체 20 : 차수판 설치홈
100 : 차수판
200 : 개폐고정수단 210 : 쇽업쇼버
211 : 가이드롤러 220 : 회동관절링크부재
221 : 제1링크유닛 222 : 제2링크유닛
230 : 가이드유닛 240 : 개방가이드수단
250 : 폐쇄지지판
300 : 잠금해제수단
400 : 지지수단
500 : 마감부 510 : 잠금해제홀
600 : 밀폐부재
700 : 장착프레임

Claims (6)

  1. 평상시 양측 벽체 사이의 차수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차수판 설치홈에 위치되었다가 비상사태시 양측 벽체에 밀착형성되면서 차수구역을 차단하여 물이 차수구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수구역의 바닥과 벽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수구역을 개폐시키되, 차수구역 개방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폐쇄시키며 바닥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차수구역 폐쇄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개방시키며 양측 벽체에 밀착되어 차수구역을 폐쇄시키는 차수판;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과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수판을 회동시켜 차수구역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폐고정수단; 및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 및 개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쇽업쇼버(shock absorber); 및
    일단부가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유닛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관절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쇽업쇼버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는 차수구역의 폐쇄시 상기 가이드롤러와 접면되어 상기 쇽업쇼버의 타단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차수구역을 개폐시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이 최소 회동각도와 최대 회동각도를 이루며, 차수구역을 폐쇄시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이 최대 회동각도를 이루되,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의 최대 회동각도는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유닛의 일단부에는 차수구역의 폐쇄상태에서 제1링크유닛의 타측을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제1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의 최대 회동각도 상태를 해제시키는 개방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장치.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하부에는,
    상기 차수구역의 개방시 상기 차수판이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상부에서 차수구역의 바닥면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장치.
KR1020130040753A 2013-04-15 2013-04-15 차수장치 KR10133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753A KR101332599B1 (ko) 2013-04-15 2013-04-15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753A KR101332599B1 (ko) 2013-04-15 2013-04-15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599B1 true KR101332599B1 (ko) 2013-11-25

Family

ID=4985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753A KR101332599B1 (ko) 2013-04-15 2013-04-15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069B1 (ko) * 2015-04-22 2015-10-1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신속 전개가 가능한 도로용 매립형 차수벽 장치
KR101569749B1 (ko) * 2015-04-14 2015-11-17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램프의 플립업방식 차수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1865B1 (ko) *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통행로 겸용 차수장치
KR20230075918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오셔닉 조립식 범람 방지 시스템
KR20240030970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552A (ja) * 2005-02-24 2006-09-07 Marushima Sangyo Kk 防水扉
JP2008133708A (ja) * 2006-03-12 2008-06-12 Flood Guard Corp 止水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552A (ja) * 2005-02-24 2006-09-07 Marushima Sangyo Kk 防水扉
JP2008133708A (ja) * 2006-03-12 2008-06-12 Flood Guard Corp 止水板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49B1 (ko) * 2015-04-14 2015-11-17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램프의 플립업방식 차수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9069B1 (ko) * 2015-04-22 2015-10-1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신속 전개가 가능한 도로용 매립형 차수벽 장치
KR20230075918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오셔닉 조립식 범람 방지 시스템
KR102491865B1 (ko) *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통행로 겸용 차수장치
KR20240030970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KR20240032806A (ko) 2022-08-29 2024-03-12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US9752342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EP3485115B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0424060Y1 (ko) 수문의 안전장치
KR200467597Y1 (ko) 자석을 이용하여 신속설치가 가능한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KR200469308Y1 (ko)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US10435908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186612B1 (ko) 차수판
US10435909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JP2001214425A (ja)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及びそのロック装置
KR101060610B1 (ko) 무빙 월
KR101064968B1 (ko) 개인용 주차리프트
KR20230060281A (ko) 차수문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US10435906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7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0480456Y1 (ko)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US11840882B2 (en) Water-blocking device
US20130199876A1 (en) Wind energy installation working gantry and wind energy installation
KR101635360B1 (ko) 공동주택의 지대가 낮은 건축물의 지하공간의 우수유입 방지구조
KR102579544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KR20130078011A (ko)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