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009B1 -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009B1
KR101217009B1 KR1020120136188A KR20120136188A KR101217009B1 KR 101217009 B1 KR101217009 B1 KR 101217009B1 KR 1020120136188 A KR1020120136188 A KR 1020120136188A KR 20120136188 A KR20120136188 A KR 20120136188A KR 101217009 B1 KR101217009 B1 KR 10121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elevator
blocking plate
rubber bar
rainwat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13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유입된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배수로(30)를 형성하고, 경사진 정지면(42)을 갖는 고무바(40)를 배수로(30) 상단에 설치된 사각틀(50)의 후방코너부에 설치하며, 겹쳐서 접히거나 삼각모양으로 기립되는 빗물차단판(60)(70)의 힌지부(62)(72)를 힌지핀(80)에 의해 결합하고, 접힌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을 힌지축(82)에 의해 사각틀(50)에 형성된 힌지구멍(52)(54)에 설치하며, 삼각모양으로 기립된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92)을 갖는 채널부재(90)를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설치하고, 논슬립고무바(95)를 채널부재(90)에 형성된 걸림홈(92)에 끼워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Apartment House Elevator Flooding cut-off Apparatu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유입된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각층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복잡한 전기제어장치와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터에는 수해에 대비한 차단이나 배수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이 저층이나 지하층에 위치된 엘리베이터로 침투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이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앞에 모래주머니를 쌓아서 임시로 빗물을 차단하고 있으나 모래주머니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가 매우 어렵고 집중호우에 의해 빗물이 갑자기 밀려드는 경우 모래주머니를 구하러 간 사이 침수되어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빗물이 엘리베이터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구바닥에 좌우방향으로 배수로를 형성하고, 경사진 정지면을 갖는 고무바를 배수로 상단에 설치된 사각틀의 후방코너부에 설치하며, 겹쳐서 접히거나 삼각모양으로 기립되는 빗물차단판의 힌지부를 힌지핀에 의해 결합하고, 접힌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을 힌지축에 의해 사각틀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설치하며, 삼각모양으로 기립된 빗물차단판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을 갖는 채널부재를 엘리베이터 탑승구바닥에 좌우방향으로 설치하고, 논슬립고무바를 채널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천시 엘리베이터로 유입되는 빗물을 빗물차단판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빗물에 의한 엘리베이터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차단판 앞의 탑승구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에 의해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양의 빗물은 밖으로 배출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차단판을 접어서 배수로의 배수판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행이 불편한 배수판이 은폐되어 통행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정지면을 갖는 고무바에 의해 빗물차단판의 하측부를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채널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논슬립고무바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동시에 논슬립고무바에 의해 통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겹친 상태로 접힌 것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상태에서 빗물이 차단되는 것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겹친 상태로 접힌 것을 보이는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과 사각틀, 고무바, 배수판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부재와 논슬립고무바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구바닥에 설치되는 사각틀과 채널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배수로(30)를 형성하고, 경사진 정지면(42)을 갖는 고무바(40)를 배수로(30) 상단에 설치된 사각틀(50)의 후방코너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사각틀(50)은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L"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하며, 탑승구바닥(22)을 콘크리트로 타설할 때 거푸집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지면(42)은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되었을 때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빗물차단판(60)의 기울어진 각도와 일치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서로 면접촉하여 밀착되도록 한다.
또, 겹쳐서 접히거나 삼각모양으로 기립되는 빗물차단판(60)(70)의 힌지부(62)(72)를 힌지핀(80)에 의해 결합하고, 접힌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을 힌지축(82)에 의해 사각틀(50)에 형성된 힌지구멍(52)(54)에 설치한다.
즉, 빗물차단판(60)(70)의 힌지부(62)(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개맞춤의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 것이며, 이들 힌지부(62)(72)의 중심에 힌지핀(80)을 관통시켜서 연결한다.
또, 사각틀(50)에는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모양으로 기립되었을 때 통행자가 배수로(30)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은 배수판(55)을 설치한다.
또한, 삼각모양으로 기립된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92)을 갖는 채널부재(90)를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설치하고,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이 걸림홈(92)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걸림홈(9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통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고무바(95)를 채널부재(90)에 형성된 걸림홈(92)에 착탈이 가능하게 끼운다.
한편,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상태에서 전방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과 탑승구 좌우측의 측벽(24)(26) 간의 틈새는 실리콘(100)과 같은 메움재를 이용해서 밀봉하게 되면, 이러한 틈새로 빗물(10)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2,34는 배수로(30)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나타낸 것이며, 10은 빗물을 나타낸 것이고, 24,26은 탑승구 좌우측의 측벽을 나타낸 것이며, 28은 엘리베이터(20)의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작스런 집중호우에 의해 공동주택의 지하층이나 저층에 위치된 엘리베이터(20)로 빗물이 유입되려하는 경우 먼저 채널부재(90)의 걸림홈(92)에 끼워져 있는 논슬립고무바(95)를 채널부재(9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다음 상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을 잡고 빗물차단판(60)(70)을 들어 올려서 삼각으로 펼친 후 자유단(74)을 채널부재(90)에 형성된 걸림홈(92)에 끼우게 되면, 첨부도면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단면의 형태를 이루면서 기립된다.
이때 접었을 때 하측에 위치되어 있던 빗물차단판(60)이 고무바(40)의 정지면(42)에 접촉하여 밀착되면서 빗물차단판(60)의 하측을 통해 유입되려는 빗물(10)을 차단하게 되며, 더욱이 정지면(42)이 빗물차단판(60)이 기울어진 각도와 일치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60)과 정지면(42)은 면접촉하여 밀착되어 기밀성이 더욱 향상 된다.
위와 같이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상태에서 전방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과 탑승구 좌우측의 측벽(24)(26) 간의 틈새를 실리콘(100)과 같은 메움재를 이용해서 메우게 되면, 이러한 틈새로 빗물(10)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빗물(10)이 빠진 다음 빗물차단판(60)(70)을 접을 때는 부착된 실리콘(100)은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긁어내면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용에 큰 불편이 없게 된다.
한편, 빗물차단판(60)(70)이 삼각단면의 형태로 기립된 상태에서 빗물(10)이 엘리베이터(20)를 향해 유입되면, 우선 배수판(55)을 통해 배수로(30)로 빠져 배수관(32)(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유입되는 빗물(10)의 양이 배수량에 비해 과다하여 수면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되면, 전방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에 의해 차단된다.
또, 빗물차단판(60)의 하측에 접촉되어 있는 고무바(40)에 의해 빗물차단판(60)의 하측을 통해 유입되려는 빗물이 차단되며, 엘리베이터(20) 탑승구에 있는 측벽(24)(26)과 빗물차단판(60)의 좌우측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새는 이곳에 시공된 실리콘(100)에 의해 차단되어 빗물(10)이 엘리베이터(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후 비가 그치면서 유입된 빗물(10)이 배수로(30)를 통해 모두 배수된 상태에서 기립되어 있는 빗물차단판(60)(70)을 접으려 하는 경우에는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을 채널부재(90)의 걸림홈(92)으로부터 분리하고, 빗물차단판(60)(70)을 겹치는 형태로 접어서 배수판(55) 위에 올려놓게 되면, 통행에 불편이 없게 된다.
또, 논슬립고무바(95)를 채널부재(9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92)에 삽입하여 끼우게 되면, 걸림홈(9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분에 의해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 논슬립고무바(95)의 마찰력에 의해 통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빗물 20 : 엘리베이터
22 : 탑승구바닥 24,26 : 측벽
28 : 도어 30 : 배수로
32,34 : 배수관 40 : 고무바
42 : 정지면 50 : 사각틀
52,54 : 힌지구멍 55 : 배수판
60,70 : 빗물차단판 62,72 : 힌지부
74 : 자유단 80 : 힌지핀
82 : 힌지축 90 : 채널부재
92 : 걸림홈 95 : 논슬립고무바
100 : 실리콘

Claims (1)

  1.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배수로(30)를 형성하고, 경사진 정지면(42)을 갖는 고무바(40)를 배수로(30) 상단에 설치된 사각틀(50)의 후방코너부에 설치하며, 겹쳐서 접히거나 삼각모양으로 기립되는 빗물차단판(60)(70)의 힌지부(62)(72)를 힌지핀(80)에 의해 결합하고, 접힌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된 빗물차단판(60)을 힌지축(82)에 의해 사각틀(50)에 형성된 힌지구멍(52)(54)에 설치하며, 삼각모양으로 기립된 빗물차단판(70)의 자유단(74)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92)을 갖는 채널부재(90)를 엘리베이터(20) 탑승구바닥(22)에 좌우방향으로 설치하고, 논슬립고무바(95)를 채널부재(90)에 형성된 걸림홈(92)에 끼워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20120136188A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21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88A KR10121700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88A KR10121700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009B1 true KR101217009B1 (ko) 2013-01-02

Family

ID=4784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188A KR10121700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0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22B1 (ko) * 2013-12-30 2014-04-0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582466B1 (ko) 2015-06-09 2016-01-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1607170B1 (ko) 2015-11-16 2016-03-30 (주)제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1607185B1 (ko) 2015-11-11 2016-03-30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20210031562A (ko) * 2019-09-11 2021-03-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KR102379884B1 (ko) * 2021-08-30 2022-03-2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860U (ja) * 1991-10-18 1993-05-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浸水防止装置
KR20040097038A (ko) * 2004-10-19 2004-11-17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JP2005082363A (ja) 2003-09-10 2005-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860U (ja) * 1991-10-18 1993-05-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浸水防止装置
JP2005082363A (ja) 2003-09-10 2005-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20040097038A (ko) * 2004-10-19 2004-11-17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22B1 (ko) * 2013-12-30 2014-04-0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582466B1 (ko) 2015-06-09 2016-01-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1607185B1 (ko) 2015-11-11 2016-03-30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1607170B1 (ko) 2015-11-16 2016-03-30 (주)제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20210031562A (ko) * 2019-09-11 2021-03-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KR102306868B1 (ko) * 2019-09-11 2021-09-3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KR20210122216A (ko) * 2019-09-11 2021-10-0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용구역의 침수 방지시스템
KR102331454B1 (ko) 2019-09-11 2021-12-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용구역의 침수 방지시스템
KR102379884B1 (ko) * 2021-08-30 2022-03-2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09B1 (ko)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325480B1 (ko) 지하철 및 건물 외부 출입구용 차수판
KR100549180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1457508B1 (ko)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20160040757A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JP2019527809A (ja) 地下通気孔のための洪水防御
KR200469308Y1 (ko)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KR101186612B1 (ko) 차수판
KR101383122B1 (ko)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JP6967461B2 (ja) 止水構造
JP2007051427A (ja) ゲート設備
ITUD20090238A1 (it) Dispositivo anti-allagamento
US10435906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0464317Y1 (ko) 지하실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판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JP4549932B2 (ja) 排水溝蓋兼用の防潮構造
KR20120004100U (ko) 빗물 막이
KR101216997B1 (ko)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491294B1 (ko) 준설용 맨홀 점검장치
CN209179155U (zh) 一种地下室的排水结构
JP58238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止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4360430A (ja) 浮力による水防板の注水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