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466B1 -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466B1
KR101582466B1 KR1020150080998A KR20150080998A KR101582466B1 KR 101582466 B1 KR101582466 B1 KR 101582466B1 KR 1020150080998 A KR1020150080998 A KR 1020150080998A KR 20150080998 A KR20150080998 A KR 20150080998A KR 101582466 B1 KR101582466 B1 KR 10158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gate
rainwat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기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8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마철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탑승구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철판(30)(40);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바란스(32)(42); 스프링바란스(32)(42)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로프(34)(44)를 가이드철판(30)(40)의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풀리(35)(36)(45)(46); 와이어로프(34)(44)의 하단에 좌우측 상단이 연결되고, 탑승구(24) 앞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빗물차단판(50); 탑승구(24) 앞의 바닥슬래브(25)에 설치되는 바닥철판(52);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과 저면에 부착되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되는 고무자석판(54);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에 설치되어 가이드철판(30)(40)에 흡착되어 구르는 자석롤러(60)(62); 자석롤러(60)(62)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기구(70); 빗물차단판(50)을 수납하기 위해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문틀 형태의 케이싱(90); 케이싱(9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빗물차단판(50)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92a)(92b)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버(92); 및 케이싱(90)에 수납된 빗물차단판(50)의 수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핀(94)(9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Elevator Flood Protection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마철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탑승구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각층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복잡한 전기제어장치와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에는 빗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강우량이 많은 장마철에 공동주택의 저층부 또는 지하층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유입된 빗물에 의해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앞에 모래주머니를 쌓아서 임시로 빗물을 차단하고 있으나 모래주머니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가 매우 어렵고, 집중호우에 의해 빗물이 갑자기 불어난 경우 모래주머니를 쌓기 전에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16997호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바닥에 형성된 계단수납실에 설치된 침수계단을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시켜서 빗물을 차단하도록 된 종래기술 1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침수계단과 계단수납실 내벽 사이의 슬라이딩면에 대한 방수대책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곳의 미세한 틈으로 빗물이 침투되면서 계단수납실과 승강실린더가 침수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1은 엘리베이터 탑승구 측벽의 방수를 위해 동력을 이용하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설치시 점유공간이 커서 공사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압실린더 구동에 필요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부속장치(에어컴프레셔, 공압밸브, 에어배관, 에어레귤레이터 등)를 갖추어야 하므로, 시공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다른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17009호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바닥에 설치된 빗물차단판을 인력에 의해 삼각형으로 세워서 빗물을 차단하도록 된 종래기술 2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측벽과 빗물차단판 간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고 있지 않고 다만 이곳에 실리콘을 발라서 방수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리콘 경화에 걸리는 시간 때문에 신속한 빗물차단이 어렵게 되는 약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실리콘이 탑승구 측벽에 발라지기 때문에 빗물이 빠진 후 실리콘 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2는 빗물차단판의 하단부를 고무바와 빗물차단판 간의 접촉에 의해 방수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빗물차단판이 약간이라도 움직이는 경우 빗물차단판과 고무바 사이가 벌어지면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83122호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바닥에 설치된 물막이판의 양측면을 탑승구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채널에 의해 지지하도록 된 종래기술 3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3은 가이드채널을 탑승구 측벽에 정밀하게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막이판과 가이드채널의 연결부위의 틈을 막기 위해 코너부위에 실리콘을 발라야 하기 때문에 침수방지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1, 2, 3은 모두 엘리베이터 탑승구 좌우측에 마주보는 측벽이 있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기술로 측벽이 없고 트인 공간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57508호에는 마주보는 측벽이 없는 엘리베이터 탑승구에 적용가능한 기술로서,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정면차수판과 측면차수판을 바닥으로부터 "ㄷ"자 모양으로 세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종래기술 4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4는 정면차수판과 측면차수판을 세운 다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서 상호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침수방지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 1, 2, 3, 4는 모두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대부분의 장치들을 엘리베이터 탑승구 바닥에 설치한 상태에서 세우거나 출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슬래브를 수납 가능한 구조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슬래브가 두껍게 되거나 별도의 수납공간을 필요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미 지어진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 구조물을 재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거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169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170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831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575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빗물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구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철판; 탑승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바란스; 스프링바란스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로프를 가이드철판의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풀리;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좌우측 상단이 연결되고, 탑승구 앞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빗물차단판; 탑승구 앞의 바닥슬래브에 설치되는 바닥철판; 빗물차단판의 좌우측 후면과 저면에 부착되어 가이드철판과 바닥철판에 흡착되는 고무자석판; 빗물차단판의 좌우측 후면에 설치되어 가이드철판에 흡착되어 구르는 자석롤러; 자석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기구; 빗물차단판을 수납하기 위해 탑승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문틀 형태의 케이싱; 케이싱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빗물차단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버; 및 케이싱에 수납된 빗물차단판의 수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핀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지지기구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빗물차단판의 후면에 용접되고, 상호 거리를 두고 각각 "V"자 형태로 배치되는 두 쌍의 경사장공이 형성되는 브래킷; 자석롤러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경사장공에 양단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축; 자석롤러의 양단부와 브래킷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 한쪽 롤러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암로드엔드; 다른쪽 롤러축의 양단에 설치되고, 암로드엔드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수로드엔드; 암로드엔드와 수로드엔드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 및 롤러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냅링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하로 승강되는 빗물차단판에 의해 엘리베이터 탑승구로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얇은 바닥철판을 제외한 대부분의 장치가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빗물차단판 등에 의한 무게에 의해 와이어로프에 걸린 장력과 균형을 이루는 힘이 스프링바란스에 의해 와이어로프에 항상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의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차단판을 매우 적은 힘으로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빗물차단판을 승강시킬 때 자석롤러가 가이드철판에 흡착된 상태에서 구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차단판을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되고, 빗물차단판 승강시에 빗물차단판과 가이드철판이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빗물차단판을 승강시킬 때 빗물차단판이 가이드철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이드철판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과 가이드철판 간에 서로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빗물차단판을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볼트나 너트를 이용한 체결이 아닌 빗물차단판의 저면과 후면 좌우측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자석판에 의해 빗물차단판을 가이드철판과 바닥철판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을 가이드철판과 바닥철판에 신속하게 밀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풀리에 의해 가이드철판이 위치된 곳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을 승강시킬 때 엘리베이터의 탑승구에 위치한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걸려서 넘어지는 등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빗물차단판을 바닥철판으로 완전하게 하강시킨 상태에서 빗물차단판을 가이드철판으로 밀게 되면, 자석롤러가 탄성지지기구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갖은 상태로 브래킷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을 가이드철판으로부터 떨어뜨릴 때 탄성지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압축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빗물차단판이 가이드철판으로부터 자동으로 이격되므로, 이격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케이싱에 수납된 빗물차단판을 잠금핀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의 자유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빗물차단판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의 전면을 커버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바란스의 장력조절이나 케이싱 내부의 점검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빗물차단판을 하강시킬 때 커버의 하단부에 형성된 노치를 이용해서 빗물차단판의 하단부에 손가락을 걸거나 잡아서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의 하강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석롤러가 접촉되는 가이드철판의 구름접촉면이 평면에서 볼 때 좌우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차단판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바란스와 빗물차단판이 와이어로프에 의해 연결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문틀로부터 케이싱과 커버 및 잠금핀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으로부터 고무자석판과 와이어로프를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차단판의 후면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롤러와 탄성지지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자석판이 가이드철판과 이격된 상태에서 자석롤러가 가이드철판에서 구르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고무자석판이 가이드철판에 흡착되고, 자석롤러가 탄성지지기구에 의해 브래킷 안쪽으로 수납된 것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철판(30)(40);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바란스(32)(42); 스프링바란스(32)(42)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로프(34)(44)를 가이드철판(30)(40)의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풀리(35)(36)(45)(46); 와이어로프(34)(44)의 하단에 좌우측 상단이 연결되고, 탑승구(24) 앞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빗물차단판(50); 탑승구(24) 앞의 바닥슬래브(25)에 설치되는 바닥철판(52);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과 저면에 부착되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되는 고무자석판(54);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에 설치되어 가이드철판(30)(40)에 흡착되어 구르는 자석롤러(60)(62); 자석롤러(60)(62)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기구(70); 빗물차단판(50)을 수납하기 위해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문틀 형태의 케이싱(90); 케이싱(9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빗물차단판(50)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92a)(92b)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버(92); 및 케이싱(90)에 수납된 빗물차단판(50)의 수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핀(94)(96)을 포함한다.
가이드철판(30)(40)은 탑승구(24) 좌우측의 벽(2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문틀(22)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석롤러(60)(62)가 접촉되는 가이드철판(30)(40)의 구름접촉면(31)(41)은 평면에서 볼 때 좌우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빗물차단판(50)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바란스(32)(42)는 와이어로프(34)(44) 하단부에 매달린 물체인 빗물차단판(50), 고무자석판(54), 자석롤러(60)(62) 및 탄성지지기구(70), 압착볼트(47), 너트(48)에 의해 작용되는 무게와 균형을 이루도록 장력을 조절하여 설정하며, 두 스프링바란스(32)(42)가 각각 절반씩의 장력을 분담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스프링바란스(32)(42)는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구매하여 설치할 수 있다.
커버(92)가 위치되어 걸리는 "L"자 단면의 턱(97)을 케이싱(90)의 전방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며, 커버(92)와 케이싱(90)의 결합은, 예를 들면 커버(92)와 케이싱(90)의 밀착면에 실린콘을 발라서 서로 접착시키거나 태핑스크류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실리콘이나 태핑스크류를 제거하게 되면, 커버(92)를 케이싱(90)으로부터 분리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지지기구(70)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빗물차단판(50)의 후면에 용접되고, 상호 거리를 두고 각각 "V"자 형태로 배치되는 두 쌍의 경사장공(72a)(72b)(73a)(73b)이 형성되는 브래킷(71); 자석롤러(60)(62)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경사장공(72a)(72b)(73a)(73b)에 양단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축(74)(75); 자석롤러(60)(62)의 양단부와 브래킷(71)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74a)(74b)(75a)(75b); 한쪽 롤러축(74)의 양단에 설치되는 암로드엔드(76)(77); 다른 쪽 롤러축(75)의 양단에 설치되고, 암로드엔드(76)(77)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피스톤로드(78r)(79r)를 갖는 수로드엔드(78)(79); 암로드엔드(76)(77)와 수로드엔드(78)(79)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80)(82); 및 롤러축(74)(75)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냅링(84)(85)(86)(87)으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로드엔드(76)(77)의 중심에는 수로드엔드(78)(79)의 피스톤로드(78r)(79r)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77g)이 형성되며, 피스톤로드(78r)(79r)가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가이드홀(77g) 내부에 부압이나 정압이 걸리면서 피스톤로드(78r)(79r)의 움직임에 저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암로드엔드(76)(77)의 측면에 가이드홀(77g)로 이어지는 통공(77h)을 형성하여 안팎의 공기가 소통되도록 한다.
가이드풀리(35)(36)(45)(46)를 설치하기 위한 크로스채널(27)을 상기 가이드철판(30)(40)의 상부를 수평하게 가로지르도록 설치한 다음 크로스채널(27)의 양단을 가이드철판(30)(40)에 용접한다.
상기 빗물차단판(50)의 앞면에는 좌우로 간격을 이루는 수직보강판(58)과 상하로 간격을 이루는 수평보강판(57)을 서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빗물(26)에 의해 빗물차단판(50)에 작용되는 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빗물차단판(50)에 작용되는 수압에 의해 고무자석판(54)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더욱 밀착되면서 동시에 압축되어 누수방지에 도움이 된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상단부에 체결구멍(53)을 형성하고, 와이어로프(34)(44)의 하단부에 압착되는 압착볼트(47)를 체결구멍(53)으로 삽입한 다음 압착볼트(47)를 너트(48)와 결합해서 와이어로프(34)(44)를 빗물차단판(50)에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빗물차단판(50)에 부착되는 고무자석판(54)은, 예컨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해서 부착할 수 있으며, 고무자석판(54)에는 가이드철판(30)(40)에 흡착되는 수직판(55)(56)을 좌우측에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90)과 빗물차단판(50)에는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91)과 걸림구멍(51)을 형성하여 잠금핀(94)(96)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잠금핀(94)(96)에는 손가락을 걸어서 당길 수 있는 고리(96c)를 설치할 수 있다.
롤러축(74)(75)에 스냅링(84)(85)(86)(87)을 설치하기 위해 롤러축(74)(75)의 양단 외주면에 환형의 멈춤홈(74e)(74f)(75e)(75f)을 형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3은 엘리베이터(20)의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마철 대량의 빗물로 인해 저층이나 지하층에 위치된 엘리베이터(20)의 침수가 염려되는 경우 우선 케이싱(90)과 빗물차단판(5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91)과 걸림구멍(51)에 삽입되어 있는 잠금핀(94)(96)에 설치된 고리(96c)에 손가락을 걸어서 제거하게 되면, 잠금이 해제되어 빗물차단판(50)을 케이싱(90)으로부터 하강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후 커버(92)의 하단부에 형성된 노치(92a)(92b)를 통해 노출된 빗물차단판(50)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을 따라 하강된다.
이때 압착볼트(47)와 너트(48)에 의해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상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34)(44)가 인장력을 받으면서 스프링바란스(32)(42)로부터 풀리게 되며, 스프링바란스(32)(42)의 장력이 빗물차단판(50)의 무게와 거의 동일한 장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빗물차단판(50)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빗물차단판(50)은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못하고 공중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바란스(32)(42)로부터 풀려서 인출되는 와이어로프(34)(44)는 가이드풀리(35)(36)(45)(46)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이드철판(30)(40)이 위치된 곳으로 유도되어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 통행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을 따라 하강될 때 빗물차단판(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롤러(60)(62)는 가이드철판(30)(40)에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빗물차단판(50)이 전후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의 직선안내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러운 하강을 돕게 된다.
이때 빗물차단판(50)의 후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54)의 수직판(55)(56)은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철판(30)(40)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하강되기 때문에 가이드철판(30)(40)과 고무자석판(54)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자석롤러(60)(62)의 구름운동에 도움을 주게 된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차단판(50)을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 바닥으로 하강시킨 다음 빗물차단판(50)을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을 향해 누르게 되면, 빗물차단판(50)의 저면과 후면 좌우측에 부착된 고무자석판(54)의 흡착력에 의해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자석롤러(60)(62)가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기구(70)의 브래킷(71) 안쪽으로 수납되면서 빗물차단판(50)의 흡착에 도움을 주게 된다.
즉, 빗물차단판(50)을 가이드철판(30)(40)을 향해 미는 힘에 의해 빗물차단판(50)과 가이드철판(30)(40)의 거리가 서로 좁아지게 되면, 자석롤러(60)(62)가 힘을 받아 브래킷(71) 안쪽으로 수납되면서, 상하측의 롤러축(74)(75)이 "V"자 모양으로 배치된 경사장공(72a)(72b)(73a)(73b)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축간 거리가 좁혀지게 된다.
이때 롤러축(74)(75)의 양단에 설치된 암로드엔드(76)(77)와 수로드엔드(78)(79)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암로드엔드(76)(77)와 수로드엔드(78)(79)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압축스프링(80)(82)이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
또, 압축스프링(80)(82)의 탄성복원력이 고무자석판(54)의 흡착력보다 낮게 설정되면, 압축스프링(80)(82)이 압축된 상태로 빗물차단판(50)이 고무자석판(54)에 의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26)이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를 향해 차오르게 되면,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를 밑에 하강되어 있는 빗물차단판(50)에 의해 차단되면서 엘리베이터(20)의 침수를 예방하게 된다.
이때 고무자석판(54)에 의해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되어 있는 빗물차단판(50)의 밀착력은 빗물(26)에 의해 작용되는 수압에 의해 더욱 더 가중되어 고무자석판(54)과 가이드철판(30)(40) 사이 및 고무자석판(54)과 바닥철판(52) 사이로 빗물(26)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빗물(26)이 배수되어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를 정상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경우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빗물차단판(50)을 잡아당기게 되면,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으로부터 떨어지는 순간 압축스프링(80)(82)이 지니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석롤러(60)(62)가 돌출되면서 빗물차단판(50)의 이격에 도움을 주게 된다.
즉, 고무자석판(54)이 가이드철판(30)(40)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빗물차단판(50)이 흡착력을 잃어버리는 순간 압축스프링(80)(82)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롤러축(74)(75)이 경사장공(72a)(72b)(73a)(73b)을 따라 미끄러게 되고, 롤러축(74)(75)의 이동에 의해 롤러축(74)(75)의 축간 거리가 늘어나게 되면, 자석롤러(60)(62)가 브래킷(71)으로부터 돌출되면서 빗물차단판(50)이 가이드철판(30)(40)으로부터 자동 이격된다.
이후 빗물차단판(50)을 손으로 들어서 상승시키게 되면, 빗물차단판(50)이 스프링바란스(32)(42)와 와이어로프(34)(44)에 의해 상승방향으로 장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빗물차단판(50)을 상승시켜서 문틀(22)의 상부에 설치된 케이싱(90)의 안쪽으로 수납시킨 다음 케이싱(9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91)과 빗물차단판(5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구멍(51)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잠금핀(94)(96)을 관통구멍(91)과 걸림구멍(51)으로 삽입하게 되면, 빗물차단판(50)이 잠금핀(94)(96)에 의해 케이싱(90)에 걸려서 자유낙하할 수 없으므로 안전하게 된다.
20 : 엘리베이터 21 : 벽
22 : 문틀 23 : 도어
24 : 탑승구 25 : 바닥슬래브
26 : 빗물 27 : 크로스채널
30,40 : 가이드철판 31,41 : 구름접촉면
32,42 : 스프링바란스 34,44 : 와이어로프
35,36,45,46 : 가이드풀리 47 : 압착볼트
48 : 너트 50 : 빗물차단판
51 : 걸림구멍 52 : 바닥철판
53 : 체결구멍 54 : 고무자석판
55,56 : 수직판 57 : 수평보강판
58 : 수직보강판 60,62 : 자석롤러
70 : 탄성지지기구 71 : 브래킷
72a,72b,73a,73b : 경사장공 74,75 : 롤러축
74a,74b,75a,75b : 스페이서 74e,74f,75e,75f : 멈춤홈
76,77 : 암로드엔드 77g : 가이드홀
77h : 통공 78,79 : 수로드엔드
78r,79r : 피스톤로드 80,82 : 압축스프링
84,85,86,87 : 스냅링 90 : 케이싱
91 : 관통구멍 92 : 커버
92a,92b : 노치 94,96 : 잠금핀
96c : 고리 97 : 턱

Claims (2)

  1. 엘리베이터(20)의 탑승구(24)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철판(30)(40);
    상기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바란스(32)(42);
    상기 스프링바란스(32)(42)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로프(34)(44)를 상기 가이드철판(30)(40)의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풀리(35)(36)(45)(46);
    상기 와이어로프(34)(44)의 하단에 좌우측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탑승구(24) 앞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빗물차단판(50);
    상기 탑승구(24) 앞의 바닥슬래브(25)에 설치되는 바닥철판(52);
    상기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과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철판(30)(40)과 바닥철판(52)에 흡착되는 고무자석판(54);
    상기 빗물차단판(50)의 좌우측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철판(30)(40)에 흡착되어 구르는 자석롤러(60)(62);
    상기 자석롤러(60)(62)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기구(70);
    상기 빗물차단판(50)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탑승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문틀 형태의 케이싱(90);
    상기 케이싱(9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빗물차단판(50)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92a)(92b)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버(92); 및
    상기 케이싱(90)에 수납된 상기 빗물차단판(50)의 수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핀(94)(96)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기구(70)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상기 빗물차단판(50)의 후면에 용접되고, 상호 거리를 두고 각각 "V"자 형태로 배치되는 두 쌍의 경사장공(72a)(72b)(73a)(73b)이 형성되는 브래킷(71);
    상기 자석롤러(60)(62)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경사장공(72a)(72b)(73a)(73b)에 양단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축(74)(75);
    상기 자석롤러(60)(62)의 양단부와 상기 브래킷(71)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74a)(74b)(75a)(75b);
    상기 한쪽 롤러축(74)의 양단에 설치되는 암로드엔드(76)(77);
    상기 다른쪽 롤러축(75)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암로드엔드(76)(77)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피스톤로드(78r)(79r)를 갖는 수로드엔드(78)(79);
    상기 암로드엔드(76)(77)와 수로드엔드(78)(79)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80)(82); 및
    상기 롤러축(74)(75)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냅링(84)(85)(86)(8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20150080998A 2015-06-09 2015-06-09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KR10158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98A KR101582466B1 (ko) 2015-06-09 2015-06-09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98A KR101582466B1 (ko) 2015-06-09 2015-06-09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466B1 true KR101582466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998A KR101582466B1 (ko) 2015-06-09 2015-06-09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490A (zh) * 2016-07-20 2017-09-08 上海长江斯迈普电梯有限公司 具有主动功能的电梯智慧安全系统及安全修复方法
KR20180016133A (ko) * 2016-08-05 2018-02-14 이복상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556A (ja) * 1994-03-28 1995-10-1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昇降路浸水防止装置
KR200378121Y1 (ko) * 2004-10-18 2005-03-11 홍 대 박 와이어를 이용한 업다운 자동 침수방지 장치
KR101217009B1 (ko) 2012-11-28 2013-01-02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216997B1 (ko) 2012-11-28 2013-01-0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383122B1 (ko) 2013-12-30 2014-04-0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457508B1 (ko) 2014-09-04 2014-11-0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556A (ja) * 1994-03-28 1995-10-1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昇降路浸水防止装置
KR200378121Y1 (ko) * 2004-10-18 2005-03-11 홍 대 박 와이어를 이용한 업다운 자동 침수방지 장치
KR101217009B1 (ko) 2012-11-28 2013-01-02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216997B1 (ko) 2012-11-28 2013-01-0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383122B1 (ko) 2013-12-30 2014-04-0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457508B1 (ko) 2014-09-04 2014-11-0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490A (zh) * 2016-07-20 2017-09-08 上海长江斯迈普电梯有限公司 具有主动功能的电梯智慧安全系统及安全修复方法
KR20180016133A (ko) * 2016-08-05 2018-02-14 이복상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KR101871812B1 (ko) 2016-08-05 2018-06-27 이복상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582466B1 (ko)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JP6433747B2 (ja) 開口部の止水構造
KR101217009B1 (ko)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차단장치
KR101324039B1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장치
US20080256873A1 (en) Automatic sliding door closing device
KR101742996B1 (ko) 소방기술 설비의 재난구조용 완강기 지지대
MX2014005629A (es) Equipo para mover personas en altura en superficies no horizontales con translacion vertical y horizontal.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JP2013028907A (ja) シェルター付建物
CN104929506B (zh) 卷帘式纱窗
CN103225473A (zh) 抗冲击钢质泄爆卷帘门
KR102227580B1 (ko) 내진 시스템
JP7501836B2 (ja) 建物保護装置
JP3981247B2 (ja)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JP2006274755A (ja) 止水装置
CN108969916B (zh) 一种楼房火灾快速自救装置
KR101897261B1 (ko) 지하시설물 점검용 개폐장치
KR102643394B1 (ko) 터널 공동구용 슬라이딩형 덮개
JP3224812U (ja) 防水シート式浸水防止用設備
JP7498441B1 (ja) エレベータ内の電気器具の操作具及び操作方法
JP5921709B2 (ja) 引き戸の振れ止め案内装置用戸側誘導ユニット及び引き戸の振れ止め案内装置
KR200478209Y1 (ko)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JP6915793B1 (ja) 扉止水方法及び装置
JP2016003454A (ja) 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