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133A -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133A
KR20180016133A KR1020160100160A KR20160100160A KR20180016133A KR 20180016133 A KR20180016133 A KR 20180016133A KR 1020160100160 A KR1020160100160 A KR 1020160100160A KR 20160100160 A KR20160100160 A KR 20160100160A KR 20180016133 A KR20180016133 A KR 2018001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cable
electromagnet
emergenc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812B1 (ko
Inventor
이복상
Original Assignee
이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상 filed Critical 이복상
Priority to KR102016010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가 개시된다. 옥상에 대피함을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을 열고 상기 대피함을 배출하는 수납부; 무선으로 상기 대피함을 비상 호출하는 호출부;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을 레일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시키는 이동 레일부;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을 풀어 전자석을 내리는 케이블 이송부; 및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하고 대피함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하는 대피함 이송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전자석으로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시키고 케이블을 신속히 고정시킨 다음 대피함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FIRE ELEVATOR FIXED CABLE BY THE ELECTROMAGNET}
본 발명은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피함을 이동시키기 전에 대피함 하단에 구성된 전자석을 지면에 설치된 철판에 가까이 이동시키고, 전자석에 전기를 도통시켜 전자석이 철판에 달라 붙도록 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고, 케이블이 고정되면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시키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화재 발생시 빠른 대피를 위해 대피함을 신속하게 화재 발생한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가 화재 발생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대피함을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빠르게 풀고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케이블을 풀고 바닥에 고정시키는 장치가 공개된 상태이다. 케이블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한 시각이 급한 상황에 긴급 대피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케이블을 풀고 바닥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자동화되어 대피함 이동이 안전해지면 비상 대피가 원활해질 수 있다.
공개번호: 10-2014-0133378(2014.11.19),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공개번호: 10-2007-0004491(2007.01.09),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피함을 이동시키기 전에 전자석으로 케이블을 고정시키고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이동시키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대피함을 안전하게 화재가 발생한 호수로 이동시키고 지면으로 대피함을 안전하게 대피하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옥상에 대피함을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을 열고 상기 대피함을 배출하는 수납부; 무선으로 대피함을 비상 호출하는 호출부;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을 레일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시키는 이동 레일부;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을 풀어 전자석을 내리는 케이블 이송부; 및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하고 대피함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하는 대피함 이송부를 제공한다.
바닥에 철판을 깔고, 케이블 이송부는 전자석을 바닥에 설치된 철판에 가까이 이동시키고, 전자석에 전기를 도통시켜 전자석이 철판에 달라 붙도록 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고, 대피함 이송부는 케이블이 고정되면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이용할 경우에는 대피함을 내리기 전에 전자석으로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시키고 케이블을 신속히 고정시킨 다음 대피함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대피함을 내리기 전에 전자석으로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대피함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대피함을 안전하게 지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아파트에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형 아파트에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레일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함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함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가 아파트 난간에 도착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대피함을 해당 동으로 이동시킨 후 대피함을 화재가 발생한 호수로 이동시키기 전 대피함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케이블을 고정시켜야 한다.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대피함 하단에 설치된 전자석을 지면으로 내리고 전자석에 전기를 도통시켜 자력을 발생시키고 지면에 설치된 철판에 달라붙도록 해서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케이블이 고정되면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안전하게 화재가 발생한 호수로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대피함에 타고 대피를 지시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지면에 고정된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이동시키므로 대피함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아파트에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일반 아파트에 설치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공용으로 사용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하나가 이동하면서 사람을 대피시킨다.
옥상에는 대피함(111)가 수납되어 있고, 비상 호출시 문이 열려 대피함(111)를 배출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산업용 배터리(112)로 전원을 공급한다. 산업용 배터리(112)는 방전을 피하기 위해 옥상에 설치된 전기 단자에 접속 충전된다.
대피함(111) 크기는 4인 가구 기준 4인용이지만 빌딩 규모에 따라 다인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의 일례를 설명하면,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옥상에 대피함(111)를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112)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을 열고 대피함(111)를 배출하는 수납부(113); 무선으로 대피함(111)를 비상 호출하는 호출부(114);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111)가 레일(115)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하는 이동 레일부(116); 대피함(111)가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117)을 풀어 내리는 케이블 이송부(118); 및 케이블(117)을 타고 대피함(111)를 호수로 이동하고 대피함(111)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하는 대피함이송부(119)를 포함한다.
수납부(113)는 옥상에 설치되고, 레일(115)은 옥상 난간에 설치되고, 이동 레일부(116)는 레일(115)을 따라 이동한다. 케이블 이송부(118)는 이동 레일부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대피함 이송부(119)는 케이블(117)에 롤러 결합으로 케이블 이송부(118)에 결합되어 있다. 대피함(111)는 대피함 이송부(119)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 레일부(116)는 케이블 이송부(118), 대피함 이송부(119) 및 대피함(111)를 이동시킨다. 케이블 이송부(118)는 케이블(117)을 이동시키고 대피함 이송부(119)는 대피함(111)를 이동시킨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형 아파트에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신형 아파트는 일반 아파트처럼 동과 호수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지 않다. 신형 아파트에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가 개별로 설치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호에 대응하게 개별 설치된다.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의 일례를 설명하면,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는 옥상에 대피함(211)를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을 열고 대피함(211)를 배출하는 수납부(212); 무선으로 대피함(211)를 비상 호출하는 호출부(213);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211)가 레일(214)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하는 이동 레일부(215); 및 대피함(211)가 해당 동에 위치하면 움직 도르레(216)를 이용하여 대피함(211)를 풀어 내려 대피함(211)를 호수로 이동하고 대피함(211)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하는 대피함 이송부(217)를 포함한다.
수납부(212)는 옥상에 설치되고, 레일(214)은 옥상 난간에 설치되고, 이동 레일부(215)는 레일(214)을 따라 이동한다. 대피함 이송부(217)는 케이블(218)로 이동 레일부(215)에 결합되어 있다. 대피함(211)는 대피함 이송부(217)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 레일부(215)는 대피함 이송부(217) 및 대피함(211)를 이동시킨다. 대피함 이송부(217)는 대피함(211)를 이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수납부(311)는 옥상에 대피함(312)를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313)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314)을 열고 대피함(312)를 배출한다. 산업용 배터리(313)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서 요구되는 전원 용량에 따라 구비된다. 산업용 배터리(313)는 방전을 피하기 위해 옥상에 설치된 전기 단자에 접속 충전된다. 산업용 배터리(313)는 완전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화재 발생시 전원이 차단되므로 산업용 배터리(313)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비상 전원을 제공한다.
호출부는 무선으로 대피함을 비상 호출한다. 호출부는 수납부(311)에 비상 호출을 알려 대피함(312)가 비상 호출한 호에 이동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레일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동 레일부(411)는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412)가 레일(413)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한다.
이동 레일부(411)는 옥상 난간 바깥 변에 나란히 레일(413)을 설치한다. 이동 레일부(411)는 대피함(412)가 레일(41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 레일부(411)는 대피함(412)가 해당 동에 위치하도록 대피함(412)에 달린 롤러(414)가 움직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대피함(512)가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513)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514)을 풀어 내린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감아 있는 케이블(514)을 풀어 말단에 매달린 전자석(513)을 지상으로 내린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이동 레일부 아래에 위치하며 전자석(513)이 매달린 케이블(514)을 풀거나 감는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이동 레일부에 결합되어 있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대피함이 이동하기 전에 전자석(513)을 지상으로 내리고 전자석(513)에 전기를 도통시켜 자력을 발생시키고 지면에 설치된 철판(515)에 달라붙도록 한다. 전자석(513)이 철판(515)에 달라붙어 고정된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대피함 이송부(611)에 대피함 이동을 명령한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전자석(513)을 구동한 후 비치된 방독 마스크함의 잠금을 해제한다.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방독 마스크함에서 방독 마스크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방독 마스크함을 열고 비치된 방독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유독 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대피함이 방독 마스크를 비치함으로써 화재에 대비할 수 있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이동 레일부가 움직여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전자석(513)이 매달린 케이블(514)을 푼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대피함 하단에 구성된 전자석(513)을 풀어 내린다. 케이블 이송부(511)가 대피함이 타고 이동하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전자석(513)을 미리 내려 지면에 고정시킨다. 전자석(513)이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져서 고정되고 대피함이 케이블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자석(513)에는 거리 센서가 구성되어 전자석(513)이 지면에 도달하면 거리 센서가 이를 감지한다. 전자석(513)이 지면에 도달됨을 감지하면 케이블 이송부(511)는 케이블(514) 품을 정지하고 전자석(513)에 전기를 도통시킨다. 거리 센서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지면으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해서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 센서로 측정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이면 거리 센서는 지면에 도달됨을 케이블 이송부(511)로 알린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거리 센서로 감지된 지면 도달을 인식하고 전자석(513)을 구동할 수 있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거리 센서로 전자석(513) 구동 시점을 알 수 있다.
전자석(513)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 세기는 거리에 영향을 받으므로 전자석(513)이 지면에 설치된 철판과의 거리가 중요하다. 거리 센서는 전자석(513)이 지면에 도달해서 철판과의 거리가 근접해져서 자력이 충분히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됨을 알린다.케이블 이송부(511)는 전자석(513)에 전기를 흘려 전자석(513)을 구동한다. 전자석(513)은 지면에 깔린 철판(515)에 달라 붙어 케이블(514)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지면에 깔린 철판(515)은 대피 기구 설치에 앞서 시공된다. 철판(515)은 전자석(513)이 미치는 자력 범위에 맞게 설계 설치된다. 철판(515)이 너무 클 경우 전자석(513)에 자력이 발생하더라도 철판(515)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 고정과 함께 수평 고정이 구성되도록 철판(515) 크기가 전자석(513)의 자력 범위에 맞게 설계된다. 철판(515) 크기가 전자석(513) 크기 정도가 되면 수평 이동이 자유롭지 않고 전자석(513)이 철판(515)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비상 호출이 종료하고 대피함이 옥상으로 이동하면 케이블 이송부(511)는 전자석(513) 구동을 해제하고 풀린 케이블(514)을 감는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풀린 케이블(514)을 감으면 이동 레일부에 수납부 이동을 명령한다. 비상 호출이 종료되면 케이블 이송부(511)는 전자석(513)에 공급되던 전기를 차단하고 자력을 해제한다. 전자석(513)은 철판(515)으로부터 분리된다. 케이블 이송부(511)는 풀린 케이블(514)을 감아 올린다. 전자석(513)이 케이블(514)에 따라 올라간다.
이동 레일부는 대피함을 수납부로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함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대피함 이송부(611)는 케이블(612)을 타고 대피함(613)를 호수로 이동하고 대피함(613)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한다.
대피함 이송부(611)는 케이블(612)에 타고 대피함(613)를 이동시킨다. 대피함 이송부(611)는 케이블(612)과 밀착된 롤러(614)를 모터로 구동하여 케이블(612)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대피함 이송부(611)는 케이블(612)에 밀착된 롤러(614)를 구동하여 대피함(613)를 이동시킨다. 케이블(612)은 체인일 수 있다. 케이블(612)이 체인인 경우 롤러(614)는 톱니를 가진 바퀴이고, 톱니와 체인이 맞물려 대피함 이송부(611)는 대피함(613)를 이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함 이송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대피함 이송부(711)는 대피함(712)가 해당 동에 위치하면 움직 도르레(713)를 이용하여 대피함(712)를 풀어 내려 대피함(712)를 호수로 이동시키고 대피함(712)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대피함(712)를 이동시킨다.
대피함 이송부(711)는 대피함(712)에 설치된 움직 도르레(713)에 구성된 케이블(714)을 감거나 풀어 대피함(712)를 이동시킨다.
대피함 이송부(711)는 움직 도르레(713)에 구성된 케이블(714)을 감거나 푸는 모터를 이동 레일부 하단에 구성하거나 대피함(712) 상단에 구성하여 케이블(714)을 감거나 풀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가 아파트 난간에 도착함을 보인 예시도이다.
대피함(811) 하단이 아파트 난간 밑 10센티미터에 도달하면 문 겸 발판을 내린다. 발판은 대피함(811)의 문이면서 발판으로 사용된다. 발판을 내리면 사람이 발판을 밟고 대피함(811)에 오를 수 있다. 발판은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된다. 발판 재료로 무게가 가벼우면서 단단한 소재가 사용된다. 발판은 아파트 바닥에서 10센티미터 떨어져 있고 전체 높이는 120센티미터 정도 된다. 발판은 두 번 접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발판이 한 번 접혀 아파트 난간에 접하고 다시 두 번째 접혀 발판으로 작용한다.
발판은 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파트 난간을 넘는데 사용된 발판은 다시 접혀 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판은 아파트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발판에 발을 걸치고 아파트 난간을 타고 넘어 대피함(811)에 탑승한다. 발판은 대피함(811)가 하강하면서 닫혀 문으로 사용된다. 발판과 문에 사용되는 경첩은 열고 닫음이 발생할 때 걸림 동작이 작용해서 고정될 수 있다.
대피함(811)는 발판 대신 걸쇠(812)를 이용할 수 있다. 대피함(811)가 아파트 난간에 도달하면 걸쇠(812)를 아파트 난간에 걸어 대피함(811)를 고정할 수 있다. 대피함(811)가 고정된 다음 대피함(811)에 사람이 타고 걸쇠(812)를 풀은 다음 대피함(811) 하강 버튼을 눌러 대피함(811)를 하강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동 레일부는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을 레일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시키고, 케이블 이송부는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을 풀어 내리고, 대피함 이송부는 케이블을 타고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시키고 대피함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대피함을 이동시킨다.
호출부(911)는 호수와 동을 식별하는 식별키를 포함하여 비상 호출한다. 호출부는 무선 또는 전력선 통신으로 제어부(912)를 비상 호출한다. 무선인 경우 호출부(911)에 송신기, 제어부에 수신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전력선 통신인 경우 호출부(911)와 제어부(912)에 통신 단말기를 구성한다.
제어부(912)는 호출부(911)의 호출에 따른 식별키를 인식하고 이동 레일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해당 동으로 대피함을 이동하고, 케이블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케이블을 풀고, 전자석을 구동하여 전자석이 철판에 달라붙고 철판에 케이블을 고정시키고,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해당 호수로 대피함을 이동하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지상으로 이동한다.
제어부(912)는 사람 대피를 마치면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옥상으로 이동시키고, 전자석 구동을 해제하고, 전자석이 철판으로부터 분리되고, 케이블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케이블을 감고, 이동 레일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수납부로 이동시키고, 문을 닫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동 레일부는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대피함을 레일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시키고, 대피함 이송부는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움직 도르레를 이용하여 대피함을 풀어 내려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시키고 대피함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대피함을 이동시킨다.
호출부(1011)는 호수와 동을 식별하는 식별키를 포함하여 비상 호출한다. 호출부는 무선 또는 전력선 통신으로 제어부(1012)를 비상 호출한다. 무선인 경우 호출부(1011)에 송신기, 제어부(1012)에 수신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전력선 통신인 경우 호출부(1011)와 제어부(1012)에 통신 단말기를 구성한다.
제어부(1012)는 호출부(1011)의 호출에 따른 식별키를 인식하고 이동 레일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해당 동으로 대피함을 이동하고,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해당 호수로 대피함을 이동하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지상으로 이동한다.
제어부(1012)는 사람 대피를 마치면 대피함 이송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옥상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레일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피함을 수납부로 이동시키고, 문을 닫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1: 대피함 112: 산업용 배터리
113: 수납부 114: 호출부
115: 레일 116: 이동 레일부
117: 케이블 118: 케이블 이송부
119: 대피함 이송부 211: 대피함
212: 수납부 213: 호출부
214: 레일 215: 이동 레일부
216: 움직 도르레 311: 수납부
312: 대피함 313: 산업용 배터리
314: 문 411: 이동 레일부
412: 대피함 413: 레일
414: 롤러 511: 케이블 이송부
512: 대피함 513: 전자석
514: 케이블 515: 철판
611: 대피함 이송부 612: 케이블
613: 대피함 614: 롤러
711: 대피함 이송부 712: 대피함
713: 움직 도르레 714: 케이블
811: 대피함 812: 걸쇠
911: 호출부 912: 제어부
1011: 호출부 1012: 제어부

Claims (2)

  1. 옥상에 대피함을 수납하고 산업용 배터리로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며 호출시 문을 열고 상기 대피함을 배출하는 수납부;
    무선으로 상기 대피함을 비상 호출하는 호출부;
    비상 호출한 호수의 해당 동을 인식하고 상기 대피함을 레일을 따라 움직여 호출된 해당 동에 위치시키는 이동 레일부;
    상기 대피함이 해당 동에 위치하면 말단에 전자석이 매달려 있고 감아 있는 케이블을 풀어 전자석을 내리는 케이블 이송부; 및
    상기 케이블을 타고 상기 대피함을 호수로 이동하고 상기 대피함에 사람이 타고 하강 버튼이 눌리면 지상으로 이동하는 대피함 이송부를 포함하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철판을 깔고,
    상기 케이블 이송부는,
    상기 전자석을 지면에 설치된 철판에 가까이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도통시켜 상기 전자석이 상기 철판에 달라 붙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고,
    상기 대피함 이송부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면 상기 케이블을 타고 상기 대피함을 상기 호수로 이동시키는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KR1020160100160A 2016-08-05 2016-08-05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KR10187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60A KR101871812B1 (ko) 2016-08-05 2016-08-05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60A KR101871812B1 (ko) 2016-08-05 2016-08-05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33A true KR20180016133A (ko) 2018-02-14
KR101871812B1 KR101871812B1 (ko) 2018-06-27

Family

ID=6122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60A KR101871812B1 (ko) 2016-08-05 2016-08-05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076A (ja) *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KR20070004491A (ko) 2006-12-15 2007-01-0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KR20130123224A (ko) * 2012-05-02 2013-11-12 김영문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20140133378A (ko) 2013-05-10 2014-11-19 윤승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KR101582466B1 (ko) * 2015-06-09 2016-01-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076A (ja) *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KR20070004491A (ko) 2006-12-15 2007-01-0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KR20130123224A (ko) * 2012-05-02 2013-11-12 김영문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20140133378A (ko) 2013-05-10 2014-11-19 윤승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KR101582466B1 (ko) * 2015-06-09 2016-01-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12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592B2 (en) Elevators equipped with emergency medical devices
US7597175B2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CA3014470C (en) Fireproof escape system
CN100522783C (zh) 电梯控制装置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US4640384A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JP2005280906A (ja) 携帯端末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96653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71812B1 (ko)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KR20210026553A (ko)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JP47763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50000953U (ko) 선박용 해치 유닛
WO2015180628A1 (zh) 一种具有灭火救援系统的建筑
JP201024798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561080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탈출 시스템
KR20230142695A (ko) 스마트 사다리
KR101771710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771709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CN109939370B (zh) 高层建筑逃生平台
US7188705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CN106458298A (zh) 用于救援船只上被困人员的救援绳梯系统
CN109487988A (zh) 一种中高层建筑逃生与生活服务系统、便民生活方法
KR102274344B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