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53A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553A KR20210026553A KR1020190107501A KR20190107501A KR20210026553A KR 20210026553 A KR20210026553 A KR 20210026553A KR 1020190107501 A KR1020190107501 A KR 1020190107501A KR 20190107501 A KR20190107501 A KR 20190107501A KR 20210026553 A KR20210026553 A KR 202100265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lifesaving
- fire extinguishing
- unit
- f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는, 2층 이상의 건물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건물의 창틀 부분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붐대; 상기 붐대 상단부에 구비되어 호스에서 제공된 소방수에 의해 창문에 대한 타격작동을 하며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화작동부; 및 상기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키는 구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곳에도 신속하게 설치사용될 수 있어 화재의 초동대처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소방관의 직접적인 투입 없이도 구조자의 대피와 화재진압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소방관이나 구조자의 안전이 근본적으로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층 이상에서 발생한 건물 화재에 진화인력이 직접 접근하지 않고 지상에서 창문을 통해 원격으로 초동 진화할 수 있고, 구조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킬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 소방차는 건물의 2층 이상에서 발생한 화재를 건물 외부에서 직접 진압하기 위해, 소방관을 고층까지 신장되는 사다리 끝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고가 사다리 소방차를 이용하여 고층 건물의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소방관은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층까지 접근한 다음 외부 창문을 도끼 등으로 파괴한 후 내부에 대한 살수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살수작업 전 소방관에 의한 창문 파괴는,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특성을 명확하게 확인 내지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급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소방관은 창문 파괴시 유독가스나 화기의 갑작스런 분출 등과 같은 위험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위험 이외에도 살수작업은, 바람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고가 사다리 위에서 소방관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소방관은 항상 추락사고에 대한 위험에도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고가 사다리 소방차를 활용한 외부 진화방식은, 고층 건물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통해 빠른 화재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위와 같이 소방관의 안전을 완전하게 담보하지 못하고, 특히 화재가 발생한 건물까지 진입로가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초동 진화가 어려워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고가 사다리 소방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는, 소방관의 도움을 얻어 구조자가 스스로 사다리를 걸어서 내려오거나 사다리 끝에 설치된 탑승용 바스켓의 하강작동을 통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도 사다리를 걸어 내려오는 도중에 구조자는 실수에 의한 추락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소방관의 화재진압활동은 인명구조와 동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소방관이나 구조자의 안전을 근본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구조자의 대피와 동시적으로 화재진압활동이 지속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방장치나 장비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곳에도 신속하게 설치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소방관의 직접적인 활동 없이도 구조자의 대피와 화재진압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2층 이상의 건물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건물의 창틀 부분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붐대; 상기 붐대 상단부에 구비되어 호스에서 제공된 소방수에 의해 창문에 대한 타격작동을 하며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화작동부; 및 상기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키는 구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붐대는, 상기 고리부에 걸린 창틀에 대한 가압작동으로 상기 고리부의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부가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화작동부는, 상기 호스와 연통되어 제공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체; 및 소방수의 분사압에 의한 회전작동으로 창문을 타격하여 파괴하도록 상기 노즐체에 결합되는 타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체는, 상기 타격부의 회전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단부노즐이 전방돌출되며 창문을 2차 타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작동부는, 상기 붐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일단부에 구조자가 착용하는 슈트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는 이송유닛; 및 상기 붐대 내부에서 설치된 상태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하강 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붐대의 상부로 회수하는 완강식 권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작동부는, 상기 붐대 일측과 상기 노즐체 간을 연결하며 상기 노즐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동부; 건물 내부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노즐체에 설치되는 촬영부; 및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층 이상의 건물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된 붐대에 구비되어 호스에서 제공된 소방수에 의해 창문에 대한 타격작동을 하며 건물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화작동부와,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키는 구조작동부가 마련됨에 따라 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곳에도 신속하게 설치사용될 수 있어 화재의 초동대처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소방관의 직접적인 투입 없이도 구조자의 대피와 화재진압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소방관이나 구조자의 안전이 근본적으로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 발생 층의 창문을 파쇠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창틀에 붐대를 고정하고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진압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지상으로 소방관의 투입 없이 대피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 발생 층의 창문을 파쇠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창틀에 붐대를 고정하고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진압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지상으로 소방관의 투입 없이 대피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 발생 층의 창문을 파쇠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창틀에 붐대를 고정하고 소방관의 투입 없이 화재진압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소방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지상으로 소방관의 투입 없이 대피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100)는, 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건물(10)의 2층 이상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초동대처에 신속하게 활용될 수 있고, 소방관 등의 직접적인 투입 없이도 구조자(P)의 대피와 화재진압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10), 소화작동부(120) 및 구조작동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위의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붐대(110)는, 지면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2층 이상의 건물(10) 외벽까지 비스듬하게 거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막대형의 구성요소로서, 그 일단부에는 건물(10)의 창틀(12) 부분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붐대(110)는, 필요에 따라 2층이나 3층 등에 각각 대응한 길이로 개별 제작될 수 있고, 특별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2층 내지 5층 이상에 대응하는 길이로 각각 신장되거나 접힐 수 있는 접철식 사다리와 같이 다단형의 중첩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10)의 일측에는 고리부(112)가 아래쪽 창틀(12)에 걸린 상태에서 창틀(12)을 가압하는 고정부(11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창틀(12)에 걸린 고리부(112)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 내지 억제됨에 따라 안정적인 구조자(P)의 대피와 화재진압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가압작동을 하는 고정부(114)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함으로써 창틀(12)을 가압하거나,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 또는 볼스크류를 활용한 직선 구동방식을 통해 창틀(12)을 가압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화작동부(120)는, 호스(121)에서 제공된 소방수(W)에 의해 창문(14)에 대한 타격작동을 수행하는 한편, 소방관 등에 의한 조작 없이 화재가 발생한 건물(10) 내부로 소방수(W)를 분사하여 화재진압활동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붐대(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붐대(110) 내부를 따라 설치된 호스(121)의 일단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호스(121)의 타단부는 소화전 등과 같은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소화작동부(120)에 소방수(W)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소화작동부(120)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체(122), 타격부(124), 회동부(125), 촬영부(126) 및 제어부(12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즐체(122)는 호스(121)와 연통되어 제공된 소방수(W)를 건물(10) 내부로 분사하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그 단부에는 회전에 따라 노즐체(122)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타격부(124)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타격부(12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체(122)의 일측 단부를 감싸듯이 걸림고정된 상태에서는 노즐체(122)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타격부(12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21)를 통해 소방수(W)가 제공되는 경우, 노즐체(122)에 가해진 분사압에 의해 걸림고정이 해제되면서 붐대(110)가 거치된 건물(10)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창문(14)에 대한 타격 및 파괴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소방관 등의 직접적인 투입 없이 노즐체(122)에 힌지결합된 타격부(124)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층의 창문(14)이 안전하게 파괴됨에 따라 건물(10) 내부의 연기는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되고, 이후 건물(10) 내부에 대한 진화와 생존자 확인 등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소방수(W)의 분사압으로 걸림 해제된 후 회전을 통해 창문(14)을 1차 파괴하는 타격부(124)와 함께 노즐체(122) 자체가 창문(14)에 대한 2차 타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즐체(122)는 단부노즐(122a) 및 탄성스프링(1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부노즐(12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체(122)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소방수(W)를 건물(10) 내부로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노즐체(12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노즐체(122)에 대한 슬라이딩 작동을 소정범위에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22b)은, 단부노즐(122a)과 노즐체(122)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노즐(122a)이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구성요소로서, 압축과 탄성복원이 이루어지는 코일형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스프링(122b)은, 도 2a에 도시된 노즐체(122)에 대한 타격부(124)의 걸림고정시 압축변형되고, 도 2c에 도시된 노즐체(122)에 대한 타격부(124)의 걸림 해제시 원상으로 복원되며 단부노즐(122a)을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1차 파괴된 창문(14)을 중첩적으로 파괴하게 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1,2차 타격작동으로 인해 창문(14)은 신속하고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타격부(124)나 단부노즐(122a)을 통한 창문(14) 제거과정이 연이어 수행된 이후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창틀(12)에 고리부(112)가 걸리도록 붐대(11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도 3b와 같이 창틀(12)에 붐대(110)의 고리부(112)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고정부(114)를 작동제어하게 된다.
회동부(125)는, 붐대(110) 일측과 노즐체(122) 간을 연결하며 노즐체(122)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어부(127)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노즐체(122)가 파괴될 창문(14)의 일지점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과적인 화재 진화를 위해 건물(10) 내부의 화재 지점을 지향하도록 회전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부(125)는, 좌우회전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기어조합체의 결합과, 상하회전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기어조합체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어 노즐체(122)를 좌우 및 상하 2축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촬영부(126)는, 건물(10) 내부의 상황 즉, 화재지점이나 구조자(P)의 위치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화와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어부(127)와 연결되어 건물(10)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노즐체(122)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26)로 인해, 건물(10) 내부의 상황이 소방관 등의 직접적인 투입 없이도 손쉽게 파악되고, 구조자(P)와 소통할 수 있게 되어 건물(10) 내 화재의 초동 진화는 물론, 구조자(P)에 대한 구조활동이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7)는, 회동부(125) 및 촬영부(126)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각각의 장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모듈화된 정보처리유닛,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시장치, 위치제어를 위한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각 장치를 제어하고 송수신된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제어부(127)의 일련의 처리과정은, 상술한 정보처리유닛을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조작동부(130)는, 건물(10)의 2층 이상에 고립된 구조자(P)를 지상으로 피난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붐대(1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자(P)를 안전하게 지상으로 안내한 후 붐대(110) 상단부로 복귀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작동부(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위와 같은 기능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이드홈(132), 이송유닛(134) 및 완강식 권취장치(1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132)은, 붐대(110)의 측면을 따라 정현파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슬라이더(134b)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붐대(1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이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132)을 정현파의 홈형태로 제작하는 이유는, 후술할 이송유닛(134)의 증대되는 하강 속도를 기계적 방식으로 저감 내지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유닛(134)은, 신체가 구속된 구조자(P)가 붐대(110)를 따라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34a) 및 슬라이더(134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슈트(134a)는, 후술할 슬라이더(134b)와 연결되는 로프를 매개로 신체가 붐대(110)에 편안하게 구속되도록 구조자(P)가 착용하는 구성요소로서, 이송유닛(134)의 일단부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슈트(134a)는, 구조자(P)가 신속하게 착용하여 신체를 안전하게 구속시킬 수 있는 등산용 하네스 또는 구명조끼 등과 유사한 구조의 장비일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34b)는 가이드홈(132)에 삽입된 상태로 붐대(110)의 가이드홈(132)을 따라 큰 저항 없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이송유닛(134)의 타단부를 이루며 로프를 매개로 상술한 슈트(134a)와 연결된다.
상술한 이송유닛(134)을 구조자(P)를 건물(10) 외벽에 인접한 연직하부가 아닌 붐대(110)를 따라 하향 경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화재시 건물(10) 주변으로 떨어지는 낙하물에 의해 구조자(P)가 2차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권취장치(136)는, 가이드홈(132)의 형상과 함께 슬라이더(134b)의 하강 속도를 감속시키고 슬라이더(134b)를 붐대(110)의 상부로 회수하여 연속적인 구조활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붐대(110) 내부에서 설치된 상태로 와이어(136a)를 통해 슬라이더(134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권취장치(136)는, 완강기와 같이 내부에 감속 브레이크 등이 내장되어 외력 인가시 와이어(136a)의 인출속도를 억제하고, 와이어(136a)에 가해진 외력의 제거시 와이어(136a)를 내부 롤러에 권취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상용화된 제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조작동부(130)에 의하면, 구조자(P)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 창문(14)을 통해 슬라이더(134b)와 슈트(134a)를 연결하는 로프를 손쉽게 잡아 슈트(134a)를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조자(P)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4)을 통해 건물(10) 밖으로 신속하게 탈출하게 되면, 붐대(110)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32)의 안내에 따라 하향 경사방향으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조자(P)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장치(136)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지상까지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지상에 착지한 구조자(P)가 슈트(134a)를 벗어 몸무게에 대응하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권취장치(136)의 와이어(136a) 자동 권취에 의해 슈트(134a)는 붐대(110)의 상단부로 회수되므로, 연이은 구조자(P)의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소방관 등의 투입 없이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건물
12: 창틀
14: 창문 W: 소방수
P: 구조자
100: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110: 붐대 112: 고리부
114: 고정부 120: 소화작동부
121: 호스 122: 노즐체
122a: 단부노즐 122b: 탄성스프링
124: 타격부 125: 회동부
126: 촬영부 127: 제어부
130: 구조작동부 132: 가이드홈
134: 이송유닛 134a: 슈트
134b: 슬라이더 136; 권취장치
136a: 와이어
14: 창문 W: 소방수
P: 구조자
100: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110: 붐대 112: 고리부
114: 고정부 120: 소화작동부
121: 호스 122: 노즐체
122a: 단부노즐 122b: 탄성스프링
124: 타격부 125: 회동부
126: 촬영부 127: 제어부
130: 구조작동부 132: 가이드홈
134: 이송유닛 134a: 슈트
134b: 슬라이더 136; 권취장치
136a: 와이어
Claims (6)
- 2층 이상의 건물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건물의 창틀 부분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붐대;
상기 붐대 상단부에 구비되어 호스에서 제공된 소방수에 의해 창문에 대한 타격작동을 하며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화작동부; 및
상기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키는 구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상기 고리부에 걸린 창틀에 대한 가압작동으로 상기 고리부의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부가 일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작동부는,
상기 호스와 연통되어 제공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체; 및
소방수의 분사압에 의한 회전작동으로 창문을 타격하여 파괴하도록 상기 노즐체에 결합되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체는,
상기 타격부의 회전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단부노즐이 전방돌출되며 창문을 2차 타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작동부는,
상기 붐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일단부에 구조자가 착용하는 슈트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는 이송유닛; 및
상기 붐대 내부에서 설치된 상태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하강 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붐대의 상부로 회수하는 완강식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작동부는,
상기 붐대 일측과 상기 노즐체 간을 연결하며 상기 노즐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동부;
건물 내부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노즐체에 설치되는 촬영부; 및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501A KR102268084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501A KR102268084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553A true KR20210026553A (ko) | 2021-03-10 |
KR102268084B1 KR102268084B1 (ko) | 2021-06-22 |
Family
ID=7514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501A KR102268084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80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5274B1 (de) * | 2021-10-14 | 2023-02-15 | Avl List Gmbh | Löschlanze mit längenverstellbarer festlegeeinrichtu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0804B1 (ko) * | 2021-06-24 | 2022-06-23 |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 다방향 분사장치 |
KR102427899B1 (ko) * | 2021-12-07 | 2022-08-01 | 서울특별시 | 내부 수관을 포함하는 소방용 사다리 |
KR102503829B1 (ko) * | 2022-08-29 | 2023-02-24 | 주식회사 파이어텍 | 전기차를 위한 하부살수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5224A (ko) * | 2007-12-27 | 2010-11-30 |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
KR20120011378A (ko) * | 2010-07-29 | 2012-02-08 | 김유찬 |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
KR20120006410U (ko) * | 2011-03-08 | 2012-09-18 | 손성태 | 와이어 릴 사다리 |
KR101229517B1 (ko) * | 2010-02-22 | 2013-02-04 | 김동섭 | 타격겸용 소방장치 |
KR20180115461A (ko) * | 2017-04-13 | 2018-10-23 | 양모 | 인명구조용 신축레일과 운반대를 포함하는 대피장치 |
-
2019
- 2019-08-30 KR KR1020190107501A patent/KR102268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5224A (ko) * | 2007-12-27 | 2010-11-30 |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
KR101229517B1 (ko) * | 2010-02-22 | 2013-02-04 | 김동섭 | 타격겸용 소방장치 |
KR20120011378A (ko) * | 2010-07-29 | 2012-02-08 | 김유찬 |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
KR20120006410U (ko) * | 2011-03-08 | 2012-09-18 | 손성태 | 와이어 릴 사다리 |
KR20180115461A (ko) * | 2017-04-13 | 2018-10-23 | 양모 | 인명구조용 신축레일과 운반대를 포함하는 대피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5274B1 (de) * | 2021-10-14 | 2023-02-15 | Avl List Gmbh | Löschlanze mit längenverstellbarer festlegeeinrichtung |
AT525274A4 (de) * | 2021-10-14 | 2023-02-15 | Avl List Gmbh | Löschlanze mit längenverstellbarer festlegeeinrichtu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8084B1 (ko) | 2021-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26553A (ko)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
KR101927265B1 (ko) | 화재 인명구조 로봇 | |
US9238573B2 (en) |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 |
CA3014470C (en) | Fireproof escape system | |
CN110354424B (zh) | 一种消防装置 | |
JP2020523507A (ja) |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 |
KR102162840B1 (ko) |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 |
CN105903130B (zh) | 一种多功能消防员救生装置 | |
KR102095630B1 (ko) | 재난구호용 안내 로봇 | |
KR20100092175A (ko) |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 |
KR101771711B1 (ko)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 |
CN108671450A (zh) | 一种可远程遥控进入火灾现场的救援消防车 | |
WO2005025288A3 (en) |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 |
JPH11206903A (ja) | 消火設備 | |
CN104784838A (zh) | 一种具有多功能放绳设备的建筑 | |
CN110732108A (zh) | 一种能够协助火灾救助的移动机械设备 | |
KR200455036Y1 (ko) | 소방차의 방수량 및 방수압력 원격조작장치 | |
KR102629044B1 (ko) |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재난탈출장치 | |
KR102373016B1 (ko) |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 |
KR102251611B1 (ko) | 소방용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사용방법 | |
KR102428006B1 (ko)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
KR200493565Y1 (ko) |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 |
CN214344007U (zh) | 用于应对海上平台火灾的人员安全保障装置 | |
KR101871812B1 (ko) | 케이블을 전자석으로 고정시킨 긴급 화재용 대피 기구 | |
CN205031763U (zh) | 一种多功能放绳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