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224A -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224A
KR20100125224A KR1020107015631A KR20107015631A KR20100125224A KR 20100125224 A KR20100125224 A KR 20100125224A KR 1020107015631 A KR1020107015631 A KR 1020107015631A KR 20107015631 A KR20107015631 A KR 20107015631A KR 20100125224 A KR20100125224 A KR 2010012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se
evacuation device
pers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헤플리거
안톤 슈바이터
Original Assignee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filed Critical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2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70)에는 사람을 빌딩(2)의 상부 플로어로부터 지표면(28)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구조 부재는 하나 이상의 로프(20), 벨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가지는데 이들은 빌딩(20)의 상부층으로부터 빌딩 벽을 따라 지표면(28)으로 늘어뜨려진다. 상기 로프(20) 상에서 지지 부재(31)들이 특정 간격으로 배열되는데, 각 층에서, 이송 요소(32)가 지지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고, 이 이송 요소 상에서 한 명 이상의 사람이 고정된다. 이송 요소(32)들은 지표면(28) 가까운 영역에서 로프(20)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로부터 자동적으로 탈착가능하다. 이 장치(70)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해 준다.

Description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BUILDING}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어 EP 1 494 758호로부터 공지된다. 상기 장치는 비-작동 위치에서는 접혀지고 작동 위치로 펼쳐지는 튜브를 포함하는데, 이 튜브는 작동 위치에서 빌딩의 상층으로부터 지표면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구조 채널을 형성한다. 구조 채널을 통해 지표면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제동 수단으로서, 튜브의 내부에 가요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 환형 쿠션들이 있는데, 이 환형 쿠션들은 공기 또는 매질을 사용하여 팽창가능하며 튜브가 펼쳐질 때 자동적으로 매질로 채워진다.
본 발명은 대피 절차를 최적화하면서도 구체예에서 간단하고 경제적인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장치를 제조하는 문제에 기초한다.
이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가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따른 장치의 그 외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은 종속항들의 주된 주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어른이든 또는 아이든 상관없이 그리고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 몸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람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피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작동 위치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작동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장치는 사람이 빌딩에서 탈출할 수 있으며 심지어 보다 신속하게 안전하게 될 수 있도록 여러 플로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여러 플로어에서 플랫폼들도 제공될 수 있지만, 플랫폼들로부터 사람은 플랫폼을 지나는 로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 위치에 있는,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한 구체예를 도시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2는 호스를 펼치기 전에 도 1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구조 채널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원칙적으로 시작 위치에 있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한 변형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6은 호스가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 위치에 있는 도 4의 장치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7은 사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빌딩(2)으로부터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장치(1)는 비-사용 위치에서 빌딩(2)의 상부 플로어의 한 플로어 상에 있는 방(3) 내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방(3)으로부터 예를 들어 빌딩(2)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 내에 배열되며, 컨테이너는 플로어 개구(6)를 가진 플래튜(plateau, 5)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상기 장치(1)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컨테이너(4)는 빌딩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빌딩의 여러 플로어들에 걸쳐 몇몇 장치들과 한 플로어당 다수의 이러한 장치들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1)는 아코디언 타입의 접이식 호스(7)를 포함하는데, 이 접이식 호스(7)에는 호스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된 다수의 횡단 링(10)들이 장착된다. 호스가 접혀질 때 횡단 링(10)들은 도 1과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깝게 압축된다.
호스(7)에는 한 단부에서 입구 개구(12)를 포함하는 입구 부분(13)이 장착되며 상기 호스(7)는 횡단 링(10)과 공동-협력하는 이송 체인(18)과 두 개의 휠(16, 17)을 포함하는 이송 장치(15)에 의해 입구 부분(1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단부와 수평의 비-사용 위치로부터 플로어 개구(6) 내로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 링들을 통해 자체 중량으로 밑으로 향하는 호스는 동일하게 낙하되고 자동적으로 펼쳐진다. 이 경우, 횡단 링(10)은 각각의 횡단 링(10)의 내부에서 가이드 요소(22)들과 개구(21)들을 통해 돌출하는 로프(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도 3 참조).
도 2에 따르면, 로프(20)는 한 단부에서 입구 개구(12)에 고정되며 다른 단부에서는 컨테이너(4) 내에 위치된 코일(24) 상으로 감겨지고, 상기 로프(20)는 추(27)가 장착된 하부 롤러(26)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4) 내에 위치된 상부 롤러(25) 주위로 이동되는데, 로프(20)의 주된 기능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장치(1)의 비-사용 위치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4)가 연장되지 않을 때(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하부 롤러(26)는 방(3) 내부의 이송 장치(15) 가까이 컨테이너(4) 내에 위치된다. 이송 장치(15)는 플래튜(5) 상에 조절가능하게 위치된다. 도 2는 호스를 펼치기 전의 위치를 도시하는데, 이 위치에서 이송 장치(15)는 플로어 개구(6) 내에 삽입된 추(27)가 바람직하게 장착된 하부 롤러(26)와 플로어 개구(6)로 이동된다. 추(27)와 함께 롤러(26)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로프(20)는 롤러(26)가 플로어 가까이 이동될 때까지 코일(24)로부터 풀린다. 그동안, 도 1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펼쳐지며 플래튜(5) 상에서 지지되는 입구 부분(13)에 의해 상측 단부에 고정된 호스(7)는 상부 플로어로부터 플로어(28)로 연장되는 구조 채널(29)을 형성하며, 여기서 입구 개구(12)는 플로어 개구(6)에 대해 동축 방식으로 배열된다. 호스(7)의 하측 단부는 신속히 탈출할 수 있게 하는 실질적으로 호 형태의 연장 부분(3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가 펼쳐지고 나면 입구 부분(13) 예를 들어 입구 개구(12)에 의해 고정된 로프(20)의 한 단부는 코일(24)로부터 제거된 다른 단부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롤러(25, 26) 주위로 이동되는 무한 로프(20)가 형성되고, 이 무한 로프(20)의 일부분(20a)은 이미 언급된 가이드 요소(22)로부터 호스의 내부를 통해 돌출되고 무한 로프(20)의 다른 부분(20b)은 호스(7)의 외부 상에서 연장된다. 이송 장치(15)는 플래튜(5) 상에서 플로어 개구(6)로부터 제거되어 빌딩의 내부로 다시 돌아간다.
로프(20)는 빌딩의 상부 플로어로부터 플로어(28)로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이송 수단(carrying means, 3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예를 들어 소위 Talurit clamp의 형태로) 로프(20)에 부착되며, 해당 사람을 지지하는 이송 요소(32)(예를 들어 벨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가 이송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해당 사람은 스스로 또는 감독자의 도움으로 이송 요소(32)를 이송 수단(31)과 연결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결합시키거나 또는 걸쇠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뒤, 로프(20)는, 로프(20)의 일부분(20a)이 호스 내부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동 수단의 도움으로, 사람의 중량에 의해 또는 제동 효과를 가진 모터에 의해 또는 이동된다. 로프(20)가 사람의 중량에 의해 이동되면, 제동 수단은 롤러(25, 26) 중 하나 이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호스(7)의 하부 영역에서 호스(7)로부터 연장 부분(30)으로 변환되기 전에, 로프(20)에 부착된 이송 수단(31)으로부터 이송 요소(32)들이 자동적으로 연결해제하기 위한 메커니즘(33)이 고려된다.
하부 롤러(26)는 자체 중량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다면 추가적인 추(27)에 의해 플로어 영역에 고정되거나 또는 플로어(28)에 끼어맞춤될 수 있고, 빌딩 벽에 대한 호스(7)의 위치는 로프(20)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어 바람 부는 상황에서도 안정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로프(20)는 예를 들어 WO 03/086540호에서 공지된 로프와 같은 인장 로프의 기능을 가지지만 추가적인 인장 로프(로프(20)에 추가하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장치(1)는 호스(7) 내부에 보호 쿠션(40)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보호 쿠션들은 호스가 펼쳐질 때 매질에 의해 자동적으로 팽창된다. 두 개 이상의 보호 쿠션, 가능하다면 네 개의 보호 쿠션(40)(도 3 참조)들의 몇몇 군들은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구조 채널(29)의 길이를 가로질러 배열되고 횡단 링(10)들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따르면, 해당 군의 보호 쿠션(40)들은 팽창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을 위한 관통 개구(41)를 함께 둘러싼다. 보호 쿠션(40)들과 호스(7) 사이에는 공간(42)들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보호 쿠션(40)들은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의 몸통둘레에 따라 변화하는 관통 경로(41)의 수치에 적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도 3으로부터, 로프(20), 예를 들어 호스 내부를 통과하는 로프(20)의 일부분(20a)은 공간(42)들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자명하다. 보호 쿠션(40)들은 팽창 상태에서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횡단면을 포함한다(도 1 참조). 로프(20)는 보호 쿠션(40)들에 의해 구조 채널(29)의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덮힌다.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을 이송 수단(31)에 의해 로프(20)와 연결하는 이송 요소(32)들은 각각 보호 쿠션 군의 두 개의 인접한 보호 쿠션(40) 사이에서 이동되고 횡단 링(10)들에 부착된 가이드 요소(22)를 통과한다. 보호 쿠션들의 최상측 군이 두 개 이상의 보호 쿠션(40)을 포함하며 이 보호 쿠션들이 전체 관통 개구(41)를 둘러싸는 것이 유리하며, 구조 채널(29)에 들어가기 전에 억지로 대피하는 사람이 느끼는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요소(36)들은 안정 로프(37)가 고정되는 횡단 링(10)의 외부에 표시되며, 상부, 예를 들어 호스(7)의 하측 단부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호스(7)는 추가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호스(7)는 비-인화성이며 단열성의 평평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심지어 화재의 경우에서도 호스에 의해 대피되는 사람에게 어떠한 위험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대피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개선시키기 위해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심지어 호스에 윈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공지된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메시(mesh)와 같은 구조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억지로 대피하여 떨어지는 사람은 구조 채널(29) 내부에서 걸릴 수 없으며 또는 두려워서 구조 채널(29)에 고정될 수 없어서, 이에 따라 대피 과정의 속도가 감소될 수 없다.
로프(2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및/또는 소방관을 예를 들어 사용 위치에서 호스(7)를 통해 상부 플로어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구조 요원들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호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원칙적으로는 비슷하나 호스의 시작 위치에서 무한 로프(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시작 위치에서, 도 4에 따르면, 호스(7)는 컨테이너의 내부의 수평 위치에 다시 한번 도시되지만 상세하게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 무한 로프(50)는 로프(50)가 루프(50')의 형태로 코일 스풀(51)의 중앙에서 후크형 부분(53) 주위로 이동되도록 코일 스풀(51) 상에서 감기며, 이 부분(53)으로부터 시작하여 좌측으로 예를 들어 우측으로 그리고 외부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한편으로는 디버팅(diverting) 롤러(54) 주위로 이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디버팅 롤러(52) 주위로 감긴다. 이를 위해 코일 스풀(51) 밑에 전이 로프 가이드(59)가 위치되며, 이를 사용하여 로프(50)는 디버팅 롤러(54, 55)로 안내된다. 디버팅 롤러(54)에서 로프(50)는 호스(7)를 통해 추가적인 디버팅 롤러(56)로 이동되며, 이로부터 하측 단부를 형성하는 추(27)를 가진 롤러(26)로 이동되고, 호스 가까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디스크(55) 주위로 상부 방향으로 다시 이동되며 호스(7)의 외부 상에서 디버팅 롤러(55)로, 그리고 이로부터 코일 스풀(51)로 이동된다.
또한 이빨(tooth, 58)에서 해당 사이 링(10)들을 함께 고정하는 로프(63)가 점선으로 예시된다. 여기에 도시된 접혀진 호스의 위치에서, 상기 로프(63)는 루프를 형성한다. 이 도면에서는 오직 하나의 로프(63)만이 도시되지만, 이러한 타입의 로프(63) 쌍들은 모든 링(10)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타입의 해당 로프(63)는 호스(7)가 연장될 때 연장되며 생성된 힘들의 무게는 호스 자체가 아니라 로프(63)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는 호스(7)의 양 측면에 위치된 디스크(55, 55')를 예시하는데, 이 디스크들은 디스크들의 원주 주위로 분포된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롤러(57, 57')를 포함한다. 롤러(57)는 한편으로는 로프(50)를 안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디스크(55, 55')가 회전할 때 롤러(57')와 같이 로프(50)를 이동시키고, 호스(7)가 사용 위치로 돌아갈 때 호스의 한 측면에서 이빨(58)이 고려되고, 이를 통해 로프(50)가 안내된다. 이 이빨(58)들은 롤러(57) 사이에 위치되고 롤러(57)를 따라 이송된다. 도면에서는 단지 대략적으로 표시된 홀딩 로프(61)가 디스크(57') 근처의 호스(7)의 다른 측면 상에 제공되며, 이빨(58) 사이에 위치되고 호스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연장된 위치에서 함께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이러한 로프(63)들은 각각 디스크(55) 주위로 이동하여 따라서 안내된다.
도 6에서 호스(7)는 연장 부분(30)과 함께 사용 위치에 예시되며, 로프(50)는 후크형 부분(53)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에 도시된다. 코일 스풀(51)이 회전하는 즉시 로프는 코일 스풀(51)에 의해 구속해제되고 오직 디버팅 롤러(55) 주위로만 안내된다. 그 뒤 디버팅 롤러(55)는 도 1에 도시된 롤러(25)와 같이 유사한 위치로 돌아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대피하는 사람이 어른이든 또는 아이든 상관없이 그리고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의 몸통둘레에 관계없이 사람을 안전하고 문제없이 대피시키게 할 수 있다
도 7은 빌딩(2)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70)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도면부호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장치(1)와 동일한 부호를 부분적으로 사용한다.
이 장치(70)는, 비-작동 위치에서, 빌딩(2)의 상부층에 위치된 엔클로저(enclosure, 3)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70)는 엔클로저(3)로부터 또는 빌딩(2)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4) 내에 배치되고, 바닥 개구(6)를 가진 플래튜(5)를 포함한다. 컨테이너(4)는 장치(1)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한 플로어당 이러한 몇몇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러 플로어 몇몇 장치들도 제공될 수 있다.
사람을 지표면(28)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구조 부재로서 롤러(25, 26) 주위로 안내되는 무한 로프(20)가 사용된다. 이 구조 부재는 벨트가 될 수도 있으며; 이제부터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오직 용어 "로프"만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벨트에는 로프 또는 그 내부에 포함된 그 외의 강화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로프 대신 하나 이상의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장치(70)의 비-작동 위치에서 즉 컨테이너(4)가 철회되었을 때, 두 개의 롤러(25, 26)는 컨테이너(4) 내부에 있으며 로프(20)는 스풀(24) 상에서 감긴다. 사용중에 있을 때, 상기 롤러(26),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추(27)로 끼어맞춤되며 그 주위로 로프(20)가 씌워진 롤러는 연장된 컨테이너(4)의 바닥 개구(6) 내로 삽입되고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지면 가까이 도달할 때까지 로프(20)는 스풀(24)로부터 풀려진다. 롤러(25, 26) 주위로 안내되고 스풀(24)로부터 풀려진 로프(20)의 두 단부는 오직 무한 로프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외의 경우 무한 로프(20)는 스풀 윈치(24) 상으로 감겨질 수 있으며 이로부터 풀릴 수 있다. 하부 롤러(26)는 롤러 자체 중량에 의해 지면 구역에 고정되고 필요시에 추가적인 추(27)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지표면(28)에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그 밑에는 롤러가 없을 수 있다.
지지 부재(3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로프(20)에 (예를 들어 소위 Talurit rope clamp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람을 이송하는 이송 요소(32)가 자지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사람은 스스로 또는 감독자의 도움으로 이송 요소(32)를 지지 부재(31)와 연결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결합시키거나 또는 걸쇠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송 요소(32)는 예를 들어 사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슬링 행거(sling hanger) 또는 백(bag)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송 요소(32)는 예를 들어 바스켓과 같이, 들어갈 수 있는 컨테이너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로프(20)는, 제동 수단의 효과 하에서, 사람의 자체 중량에 의해 또는 제동 작동을 가진 모터에 의해 이동되며, 이에 따라 지지 부재(31)들과 연결되고 이송 요소(32)들에 의해 고정되는 사람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로프(20)가 사람의 자체 중량에 의해 이동되면, 제동 수단은 롤러(25, 26) 중 하나 이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표면에서, 로프(20)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로부터 이송 요소(32)들을 자동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메커니즘(33)이 제공되며, 상기 메커니즘(33)은 하부 롤러(26)의 축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70)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하게 하고 안전하게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 요소(32)가 제공되거나 또는 이송 요소(32) 내에 고정된 사람을 위한 실질적으로 만곡된 출구 부분(30)이 상기 메커니즘(33) 밑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구조 요원들을 상부층으로 이송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선택적으로는, 하나의 로프(20) 또는 벨트 대신, 지지 부재(31)들이 제공되고 예를 들어 지지 부재(31)들을 롤러(25, 26) 주위로 안내하며 서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두 개의 로프(20) 또는 벨트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한 명의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두 개의 로프(20) 또는 벨트 중 하나의 로프 또는 벨트의 지지 부재(31)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이송되어야 하는 사람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것이다.
하지만, 여러 플로어 상에 상응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플랫폼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플랫폼 상의 사람을 그들을 지나 이동하는 로프와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되고,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플로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여러 명의 사람을 한 이송 요소에 동시에 체결할 수 있는 것도 자명한데, 예를 들어 몇몇 시트를 가진 후프 또는 그 위에 체결된 몇몇 슬링 행거를 가진 크로스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장치에서 로프는 고정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로프가 디버팅 롤러에 의해 상층으로 복귀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사람들이 고정되는 이송 수단은 각각 고정식 로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레지(sledge)에 의해 안내되고 고정된다. 이 슬레지에는 제동 효과 하에서 로프를 감아 내릴 수 있는 로프를 수용하는 롤러들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뒤 해당 슬레지는 특정 제동 효과의 영향 하에서 로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Claims (25)

  1. 사람을 빌딩(2)의 상부 플로어로부터 지표면(28)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 부재가 제공된, 빌딩(2)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는 빌딩(20)의 상부층으로부터 빌딩 벽을 따라 지표면(28)으로 늘어뜨려진 하나 이상의 로프(20), 벨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가지며 특정 간격으로 상기 로프 또는 벨트 상에 배열된 지지 부재(31)들을 가지고; 각 층에서 이송 요소(32)가 지지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고, 이 이송 요소 상에서 한 명 이상의 사람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 요소(32)들은 지표면(28) 가까운 영역에서 로프(20) 또는 벨트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로부터 자동적으로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지지 부재(31) 상에서 걸려있거나 또는 매어있거나 또는 클램프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슬링 행거(sling hanger)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들어갈 수 있는 컨테이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사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관형 섹션 또는 백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로프(20) 또는 벨트는 롤러(25, 26) 주위로 무한적으로 이동되고, 롤러 중 하나는 각 층까지 배열되며 다른 롤러는 롤러의 자체 중량 하에서 적어도 거의 지표면(28)까지 이동되고, 제동 수단의 영향 하에서, 로프(20) 또는 벨트는 사람의 자체 중량에 의해 또는 제동 효과를 가진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로프(20) 또는 벨트가 사람의 자체 중량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서, 제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롤러(25, 26)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로프(20) 또는 벨트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은 소위 "Talurit clamp"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피용 장치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로프(20) 또는 벨트, 롤러(25, 26) 및 이송 요소(32)들은, 각각 상부층에 위치된, 엔클로저(32) 내에, 빌딩(2)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4) 내에 또는 플랫폼 내에 배열되는데, 지표면(28)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26)는 연장된 컨테이너(4) 또는 플랫폼 내에서 각각 개구(6)를 통과하는 로프(20) 또는 벨트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하부 롤러(26)는 롤러의 자체 중량에 의해 그리고 임의의 경우에서 추가적인 추(27)에 의해 지면 구역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지표면(28)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프(20) 또는 벨트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로부터 이송 요소(32)들을 자동적으로 탈착하기 위한 메커니즘(33)이 제공되며 상기 메커니즘(33)은 하부 롤러(26)의 축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로프(20) 또는 벨트에 부착된 지지 부재(31)들로부터 이송 요소(32)들을 자동적으로 탈착하기 위하여, 이송 요소(32)가 제공되거나 또는 이송 요소(32) 내에 고정된 사람을 위한 만곡된 출구 부분(30)이 상기 메커니즘(33) 밑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31)들이 장착되고 서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두 개 이상의 로프(20) 또는 벨트가 제공되며, 사람을 고정하는 각각의 이송 요소(32)는 두 개 로프(20) 또는 벨트 각각으로부터 하나의 지지 부재(31)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이송 요소(32)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상에 다수의 사람들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빌딩에서, 여러 플로어에 걸쳐 분포된 다수의 장치(1, 70)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빌딩의 여러 층 내에 플랫폼이 제공되며 이 플랫폼 상에서 사람이 플랫폼을 지나는 로프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비-사용 위치에서는 호스(7)가 접혀져 있고 사용 위치에서는 호스(7)가 펼쳐지며, 사용 위치에서 빌딩(2)의 상부 플로어로부터 플로어(28)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 채널(29)을 형성하고, 로프(20)는 상기 구조 채널(29)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롤러(25, 26) 주위로 이동되는 무한 로프(20)는 이 롤러(25, 26)의 구조 채널(29)을 통해 연장되는데, 상기 롤러 중 하나는 해당 플로어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호스(7)가 펼쳐질 때 플로어(28)에 적어도 가까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프(20)의 오직 일부분(20a) 만이 구조 채널(29)을 통해 안내되는데,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프(20)의 다른 부분(20b)은 호스(7)의 외부를 따라 연장되며 이에 따라 호스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호스(7)에는 호스의 길이를 가로질러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분포된 다수의 횡단 링(10)들이 장착되며 예를 들어 아코디언 형태로 펼쳐지는 것과 같이 접혀질 수 있는데, 횡단 링(10)들에는 각각 내부에 가이드 요소(22)가 장착되고, 이송 수단(31)과 연결된 이송 요소(32)의 일부분 뿐만 아니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프(20)의 일부분(20a)의 가이드 요소(22)가 상기 횡단 링(10)들을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하부 롤러(26)는 플로어(28)에 끼어맞춤될 수 있으며, 빌딩 벽에 대한 호스(7)의 위치는 로프(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2.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스(7)가 펼쳐질 때 매질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팽창되는 보호 쿠션들이 호스(7) 내부에 위치되는데, 각각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된 두 개의 이상의 보호 쿠션(40)의 몇몇 군들이 구조 채널(29)의 길이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해당 군의 보호 쿠션(40)들은 팽창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되어야 하는 사람을 위한 관통 개구(41)를 함께 둘러싸며, 보호 쿠션(40)들과 호스(7) 사이에는 사이 공간(42)들이 제공되고,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프(20)의 일부분(20a)은 상기 사이 공간(42)들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보호 쿠션(40)들은 팽창 상태에서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횡단면을 포함하며 구조 채널(29)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프(20)의 일부분(20a)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4.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사용 위치에서 접혀진 호스(7)는 빌딩(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4) 내의 상부 플로어에 있는 방(3) 안에 위치되며, 호스(7)는 컨테이너(4)가 연장될 때 플로어(28) 방향으로 플로어 개구(6)를 통해 펼쳐질 수 있고, 따라서 호스(7)의 입구 개구(12)는 플로어 개구(6)에 동축구성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이송 수단(31)이 장착된 로프(20)는 호스(7)가 펼쳐지고 난 뒤 무한 로프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으며, 입구 개구(12)에 고정된 로프(20)의 한 단부는 로프(7)가 펼쳐질 때 코일(24)로부터 풀리는 다른 로프 단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장치.
KR1020107015631A 2007-12-27 2008-12-23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KR20100125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2021/07 2007-12-27
CH20212007 2007-12-27
CH5082008 2008-04-02
CH00508/08 2008-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224A true KR20100125224A (ko) 2010-11-30

Family

ID=4046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631A KR20100125224A (ko) 2007-12-27 2008-12-23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0742A1 (ko)
EP (1) EP2225004A1 (ko)
KR (1) KR20100125224A (ko)
CN (1) CN102026684A (ko)
WO (1) WO20090832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20210026553A (ko) * 2019-08-30 2021-03-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645A (ja) * 2007-12-27 2011-03-10 エイエイチ・インベンション・アーゲー 建築物から人々を避難させるための装置
DE102012208046A1 (de) 2012-05-14 2013-11-14 AHInvention GmbH Einrichtung zur Evakuierung insbesondere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CN103801013A (zh) * 2012-11-10 2014-05-21 福建省连江县迅捷技术孵化有限公司 一种楼房
CN103801023A (zh) * 2012-11-10 2014-05-21 福建省连江县迅捷技术孵化有限公司 一种建筑
CN103801020A (zh) * 2012-11-10 2014-05-21 福建省连江县迅捷技术孵化有限公司 一种楼房
CN103801012A (zh) * 2012-11-10 2014-05-21 福建省连江县迅捷技术孵化有限公司 一种楼房
CN103007446B (zh) * 2013-01-18 2015-08-1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高层建筑消防逃生的方法
US9108071B2 (en) * 2013-03-27 2015-08-18 Jose CONDE, JR. Deployable fire escape with multiple alternating ramps
CN103230655B (zh) * 2013-04-28 2016-03-09 江苏申锡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吊篮式高层建筑消防装置
CN103239812B (zh) * 2013-05-14 2015-06-03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高层建筑逃生装置
CN105233432A (zh) * 2015-09-25 2016-01-13 惠州莫思特科技有限公司 快速逃生装置
CN107386673A (zh) * 2017-08-25 2017-11-24 陈彬 一种建筑用高层施工人员固定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899144B (zh) * 2017-12-07 2022-11-04 安徽理工大学 一种高楼逃生滑梯
CN108310688A (zh) * 2018-01-30 2018-07-24 马云祥 折叠悬挂式双层逃生装置
CN108100964B (zh) * 2018-02-05 2019-03-12 李月基 一种用于校园安全应急的综合系统
CN108465168B (zh) * 2018-03-01 2020-06-09 温州国军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升降台的消防气囊滑梯
CN109395269B (zh) * 2018-11-25 2020-09-18 林小芬 一种智能楼体消防逃生装置
CN112537710A (zh) * 2020-08-14 2021-03-23 王伟兵 一种升降器及救生保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81A (en) * 1894-07-17 Fire-escape
US536088A (en) * 1895-03-19 Fire-escape
US217142A (en) * 1879-06-07 1879-07-01 Improvement in fire-escapes
IL44907A (en) * 1973-06-05 1980-05-30 Soberal Sa Apparatus for slowing the rate of descent of a falling body
US4705141A (en) * 1985-10-15 1987-11-10 Splaine Constance K Compact fire escape
US4997060A (en) * 1990-03-05 1991-03-05 Sassak John J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scent of a passenger carrying body
WO2003086540A1 (de) * 2002-04-18 2003-10-23 Haefliger Werner Vorrichtung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DE10318301B4 (de) * 2002-04-25 2007-02-22 Sabine Hirsch Einrichtung zur Rettung von Personen, Gegenstände und dergleichen aus Gebäuden
EP1398057A1 (en) * 2002-09-13 2004-03-17 Baron Coates B.V. Rescue arrangement
NO321073B1 (no) * 2003-08-29 2006-03-13 Viking Life Saving Equipment N Anordning ved evakueringssystem
US7537087B2 (en) * 2004-01-23 2009-05-26 Exterior Elevat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EP1723305B1 (en) * 2004-03-12 2008-04-30 Avanti Stigefabrik A/S Method for regulating the traction in a line of a ladder climbing assistance device and ladder climbing assistanc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20210026553A (ko) * 2019-08-30 2021-03-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6684A (zh) 2011-04-20
US20110000742A1 (en) 2011-01-06
WO2009083233A1 (de) 2009-07-09
EP2225004A1 (de)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5224A (ko)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US3994366A (en) Slip down way embarking device
US3973644A (en) Rescue apparatus
CA2481766C (en) Device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building
CN208114951U (zh) 一种自救式高楼快速逃生装置
AU642646B2 (en) Escape chute
KR100845340B1 (ko) 완강기
JP2011507645A (ja) 建築物から人々を避難させるための装置
US6892857B2 (en) Fire escape
US3808625A (en) Device for transferring personnel to and from a vessel
CN105536162B (zh) 缓降式老年人火灾救生管道
WO1996004454A1 (en) An escape apparatus
RU2707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й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из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WO2015075058A1 (en) Marine escape systems
CN103893925A (zh) 一种应急逃生专用设备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CN203802970U (zh) 一种应急逃生专用设备
CN206979851U (zh) 高楼救人布道软滑梯
JP2005506890A (ja) 建物、ボー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船舶等のような建築物から人を救出するための装置
JP5148105B2 (ja) 避難装置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GB2565210B (en) Marine escape systems incorporating a chute and with a platform formed by inner and outer parts that are relatively rotatable
JP2005087267A (ja) 避難装置
KR100557742B1 (ko) 감속기가 내장된 로프롤러 완강기
CN106693221A (zh) 高楼救人布道软滑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