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340B1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340B1
KR100845340B1 KR1020070012557A KR20070012557A KR100845340B1 KR 100845340 B1 KR100845340 B1 KR 100845340B1 KR 1020070012557 A KR1020070012557 A KR 1020070012557A KR 20070012557 A KR20070012557 A KR 20070012557A KR 100845340 B1 KR100845340 B1 KR 10084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ope
case
distres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채균
Original Assignee
정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균 filed Critical 정채균
Priority to KR102007001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라 하강속도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된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일측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회전유니트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수단과, 상기 로프 또는 상기 케이스 중 선택된 하나에 설치되며, 조난자를 상기 로프에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완강기의 구성이 간단하며,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라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층 건물로부터 지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완강기 {A drop controller of emergency-escape-ro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완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완강기의 감속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완강기 12; 고정벨트
14; 안전벨트 20; 케이스
30; 회전유니트 31; 풀리
35; 로프 40; 감속수단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하강속도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발생시 로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로프에 조난자가 매달리 게 되면 그 자중에 의한 급속추락이 방지되고 안전하게 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완강기는 건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의 중심축에 로프 풀리가 설치되는데 로프풀리는 일측 내연에 내치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치기어에 피동되는 복수의 피동기어가 브레이크 드럼에 설치되고, 상기 피동기어들에 피동되는 종동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되는 회전반이 구비된 가속회전자가 상기 중심축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브레이크 드럼은 고정체인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에 고정된다. 또한 가속회전자의 회전반은 외연에 브레이크 패드가 삽입설치되도록 방사상으로 칸막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대략 "ㄷ'자 형상의 브레이크 패드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 기술의 피난 로프 완강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로프의 일측에 하중이 걸리면, 다시 말해 조난자가 로프의 일측에 매달리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하여 로프가 하강하는 동시에 로프 풀리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로프 풀리의 일측 내연에 형성된 내치기어가 피동기어들을 회전시키고 피동기어들은 가속회전자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력이 로프 풀리의 내치기어 - 피동기어 - 가속회전자로 전달되는 동안에 기어의 잇수비에 의하여 상기 가속회전자는 로프 풀리에 비하여 회전속도가 급속히 가속된다. 그리고 회전반의 외연에 방사상으로 삽입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는 원심력에 의하여 그 외측에 위치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되려한다. 이에 따라 가속회전자에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 설치부의 칸막이가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게되고 그 제동력이 회전력이 전해진 역순으로 로프 풀리에 가해짐으로 로프 풀리의 회전속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완강기의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른 하강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로프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의 제동력이 일정한 상태에서는 일반인들에 비해 비교적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성인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의 제동력이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른 하강력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여 하강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조난자의 안전한 착지를 유도하지 못할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어린이의 하중에 의한 로프의 하강력에 비해 브레이크 패드의 제동력이 지나치게 커서 하강속도가 더뎌, 신속한 조난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몸무게에 상관없이 모든 조난자가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건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의 발명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라 제동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모든 조난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물로부터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일측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회전유니트 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수단과, 상기 로프 또는 상기 케이스 중 선택된 하나에 설치되며, 조난자를 상기 로프에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니트는 조난자의 하강 후, 로프를 풀리에 되감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풀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풀리의 양측 외주면과 접촉하여 풀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로부터 연장되며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마찰부가 풀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조난자가 선택적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장부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10)는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건물에 설치되는 앵커부재(11)에 고정시킨 후 조난자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대피시키는 것으로서, 앵커부재(11)에 고정되는 고정고리(13)가 마련된 고정벨트(12)와, 고정벨트(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유니트(30)와, 케이스(2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유니트(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수단(40)과, 조난자를 케이스(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35)에 고정시키는 안전벨트(14)를 구비한다.
케이스(20)는 결합나사(27)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바디(21)와 커버(25)를 구 비한다. 바디(21)의 상부 외면에는 고정벨트(12)가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2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22)과 인접된 바디(21)의 외측면에는 감속수단(40)이 설치되는 힌지브라켓(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23)을 중심으로 케이스(20)의 양 측면에는 감속수단(40)이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유니트(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0)의 하부에는 회전유니트(30)의 로프(35)가 케이스(20)의 내부로부터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케이스(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25)에는 상기 회전유니트(30)의 풀리(31)가 케이스(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풀리(31)의 중공에 삽입되는 회전축(26)이 바디(21)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회전유니트(3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31)와, 일측이 상기 풀리(31)에 권취되고 타측이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35)와, 일측이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풀리(31)에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36)을 포함한다.
풀리(31)는 중공을 갖는 원통부(32)와, 원통부(32)의 양단에 연결된 마찰판(33)을 갖는다. 원통부(32)는 상기 케이스(20)의 커버(25)로부터 연장된 회전축(26)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케이스(2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원통부(32)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마찰판(33)은 후술하는 감속수단(40)에 의해 풀리(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감속수단(40)의 마찰부(41)와 접촉되는 마찰면(34)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마찰판(33)은 감속수 단(40)과의 마찰에 의해 풀리(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마찰열 또는 감속수단(40)의 압축력에 의해 형태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35)는 일측이 상기 원통부(32)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타측은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타측 단부에는 안전벨트(14)가 설치된다. 로프(35)는 조난자를 지지하여 건물로부터 지상으로 안전하게 조난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조난자의 이동중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럴 스프링(36)은 상기 풀리(31)가 회전되어 조난자가 지상에 도달한 후 다시 풀리(31)를 역회전시켜 로프(35)를 풀리(31)에 되감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파이럴 스프링(36)의 일단부는 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풀리(31)에 고정된다. 조난자의 이동을 위해 풀리(31)를 회전시키면 원통부(32)에 결합된 스파이럴 스프링(36)의 타단부가 풀리(31)를 따라 회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36)에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조난자가 지상에 도착한 후 로프(35)로부터 분리되면 로프(35)에 가해지는 하중이 소멸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31)는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프(35)가 다시 풀리(31)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프(35)가 풀리(31)에 재권취 되도록 하기 위해 스파이럴 스프링(36)이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케이스(20)의 외부로 풀리(31)를 회전시킬수 있는 레버를 설치하여 건물에 남아있는 사람이 상기 레 버를 이용해 풀리(31)를 회전시켜 로프(35)가 풀리(31)에 다시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안전벨트(14)는 조난자가 로프(35)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인이 착용할 수 있는 제1 벨트부(15)와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어린이를 위한 제2 벨트부(16) 및 조난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로프(35)에 설치되는 로프손잡이(17)를 구비한다.
제1 벨트부(15)는 조난자의 양 어깨에 착용하는 어깨걸이(15a)와,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15b)와, 양 다리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리벨트(15c)를 포함한다. 어깨걸이(15a)는 양 어깨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허리벨트(15b)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버클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버클을 이용해, 하강시 버클을 결합하여 신체를 로프(35)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건물로부터 대피가 이루어지면 버클을 분리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벨트부(16) 역시 제1 벨트부(15)와 마찬가지로 어깨걸이(16a)와 허리벨트(16b) 및 다리벨트(16c)가 마련되어 있는데, 제2 벨트부(16)는 어린이가 착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벨트부(15) 및 제2 벨트부(16)는 조난자가 용이하게 성인용과 아동용을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 파란색과 붉은색으로 제작되어 있다.
로프손잡이(17)는 조난자가 하강시 상기 로프손잡이(17)를 파지할 수 있도록제1 및 제2 벨트부(15,16)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로프(35) 상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속수단(40)은 회전유니트(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조 난자가 안전하게 지상에 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풀리(31)의 각 마찰판(33)에 마련된 마찰면(34)과 접촉하는 두 개의 마찰부(41)와, 각 마찰부(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 및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3)를 구비한다.
마찰부(41)는 상기 마찰면(34)과 접촉하여 풀리(31)의 회전 속도에 따른 조난자의 하강속도가 조난자의 안전을 위협할 만큼 빨라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찰부(41)는 마찰판(33)과 마찬가지로 풀리(31)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형태가 쉽게 변하거나 또는 마찰열에 의해 쉽게 닳지 않는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2)는 상기 각 마찰부(4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20)의 설치홀(24)을 통과하여 케이스(20)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재(42a)와 제2 연장부재(42b)로 이루어진다. 제1, 제2 연장부재(42a,42b)는 케이스(20)에 마련된 힌지브라켓(23)의 힌지핀(29)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제2 연장부재(42a,42b)의 각 단부에는 클램핑손잡이(45)가 연장되어 있어서, 조난자는 상기 클램핑손잡이(45)를 이용해 상기 마찰부(41)와 마찰면(34) 사이의 접촉 압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후술하는 고정부(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3)는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제1 연장부재(42a)에 제1 연장부재(42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제2 연장부재(42b)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내지 제4 고정홈(44a,44b,44c,44d) 중 선택된 하나와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43)의 길이가 일정하고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고정부(43)가 하방으로 회동할수록 고정부의 타단과 제1 연장부재(42a) 사이의 이격거리가 점점 짧아지게 되므로 제2 연장부재(42b)의 최상단에 형성된 제1 고정홈(44a)에 고정부(43)가 결합 될 때보다 제2 내지 제4 고정홈(44b,44c,44d)에 고정부(43)의 타단이 결합 될 때, 제1, 제2 연장부재(42a,42b)의 이격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 압력도 차례로 상승하게 된다. 각 사람의 몸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마찰판(33)과 마찰부(41)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해 있으면 몸무게가 무거운 사람은 하중에 의해 하강속도가 빨라지고, 몸무게가 가벼운 성인 또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하강속도가 느려서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람의 몸무게에 따라 적절한 마찰판(33)과 마찰부(41)의 접촉 압력이 발생하도록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고정부(43)를 이용해 조절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의 경우 몸무게가 어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나가므로 신속한 대피를 위해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 압력을 작게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3 또는 제4 고정홈(44c,44d)에 고정부(43)를 결합시킨 후, 어린이를 대피시킨다. 이와는 달리 어른들의 경우에는 몸무게가 많이 나가 하강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질 수 있으므로, 고정부(43)를 제1 또는 제2 고정홈(44a,44b)에 고정시켜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 압력을 크게하여 적정속도를 유지하면서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완강기(10)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가 앵커부재(11)에 결합되고, 케이스(20)의 내부에 권취된 로프(35)만 풀리(31)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조난자가 지상에 도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 리 케이스(20)의 일측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로프(35)가 앵커부재(11)에 결합되고, 조난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14)는 케이스(20)의 타측에 마련된 고정벨트(12)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완강기(10)는 조난자가 건물로부터 탈출할 때, 회전유니트(30)가 장착된 케이스(20)가 조난자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조난자가 직접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감속수단(40)에 설치하여 조난자가 하강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10)는 로프(35)를 재 권취하기 위해 케이스(20)의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36)이 설치되었는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6)의 탄성변형 내에서 풀리(31)가 회전되어야 하므로 풀리(31)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35)의 높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완강기(10)로 사용 가능한 높이를 벗어나는 고층빌딩에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복수개의 완강기(10)를 직렬로 결합하여 복수개의 완강기(10)를 통해 고층 빌딩에서도 지상으로 조난자가 신속하게 구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1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완강기(10)의 고정벨트(12)를 건물에 설치된 앵커부재(11)에 결합시킨다. 조난자는 안전벨트(14)를 착용한 다음 안전벨트(14)를 로프(35)의 하단에 연결시킨다. 이후 자신의 몸무게에 맞는 제1 내지 제4 고정홈(44a,44b,44c,44d)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부(43)를 결속시키고 건물 아래로 뛰어내린다.
마찰부(41)가 조난자의 몸무게에 맞는 적정 압력으로 마찰판(33)과 접촉되므로 조난자는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하여 건물로부터 대피할 수 있다. 건물에 남아있는 사람이 있다면 앞선 사람이 지상에 도착한 다음 고정부(43)를 고정홈(44)으로부터 분리시켜 마찰부(41)와 마찰판(33) 사이의 접촉을 해제시킨다. 지상에 도착한 조난자가 안전벨트(14)를 벗으면 로프(35)에 작용하던 하중이 제거되므로 풀리(31)는 스파이럴 스프링(36)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로프(35)가 풀리(31)에 재 권취되어 다음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100)는 복수개의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완강기(10)는 스파이럴 스프링(36)에 의해 풀리(31)의 회전수가 제한되며, 그에 따라 설치되는 로프(35)의 길이도 제한될수 밖에 없다. 따라서 고층건물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완강기(10)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다.
본 실시예의 완강기(100)는 풀리(131)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풀리(131)에 권취되는 로프(35)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두 개의 제1 및 제2 스프링(144,145)을 설치하였다.
풀리(131)는 두 개의 스프링이 권취될 수 있도록 두께가 두꺼우며, 따라서 로프(35)도 풀리(131)에 두 줄로 감겨질 수 있으므로 더 높은 건물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로프(35)의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풀리(131)에는 회전축(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풀리회전 축(13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풀리회전축(135)에 스프링결합부(140)가 설치된다.
스프링결합부(140)는 제1 스프링(144)이 설치되는 제1 결합부(142)와, 제2 스프링(145)이 설치되는 제2 결합부(143) 및 상기 제1, 제2 결합부(142,143)를 구획하여 제1 스프링(144)과 제2 스프링(145)이 상호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141)을 구비한다.
제1 스프링(144)은 외측 단부가 바디(21)의 내부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가 제1 결합부(142)에 고정된다. 제2 스프링(145)은 내측 단부가 제2 결합부(143)에 고정되고 외측 단부가 풀리(131)의 내면에 마련된 스프링결합공(136)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풀리(131)가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로프(35)가 하방으로 연장되면 스프링결합부(140)가 풀리(13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제1, 제2 스프링(144,145)이 함께 스프링결합부(140)의 제1 결합부(142)와 제2 결합부(143)에 각각 권취되며, 제1 스프링(144)의 외측 단부가 바디(21)에 결합되고 제2 스프링(145)의 외측 단부가 풀리(131)의 내면에 결합되므로 로프(35)가 지면을 향해 연잘될 수 있도록 회전된 풀리(131)는 하중이 사라지면 상기 제1 스프링(144)과 제2 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로프(35)를 재권취 할 수 있도록 역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131)의 역회전을 유도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144,145)이 두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풀리(131)의 회전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완강기(10)에 비해 두 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연장되는 로프의 길이도 두 배로 늘어나 고층의 건물에서도 조난자가 본 실시예의 완강기를 사용해서 지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파이럴 스프링을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의 스프링결합부(140)를 설치하였으나,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두 개의 스프링이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1차 스프링의 내측 단부는 풀리(131)에 고정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연결되는 2차 스프링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2차 스프링의 외측 단부는 바디(21)에 고정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서 조난자의 하강을 위해 풀리(131)가 회전하면 1차 스프링이 먼저 권취된 후 2차 스프링이 권취됨으로써 조난자가 지상으로 대피한 뒤 풀리(131)가 역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완강기의 구성이 간단하며, 조난자의 몸무게에 따라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층 건물로부터 지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일측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회전유니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수단;
    상기 로프 또는 상기 케이스 중 선택된 하나에 설치되며, 조난자를 상기 로프에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풀리의 양측 외주면과 접촉하여 풀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로부터 연장되며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마찰부가 풀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조난자가 선택적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장부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니트는 조난자의 하강 후, 로프를 풀리에 되감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풀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삭제
KR1020070012557A 2007-02-07 2007-02-07 완강기 KR10084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557A KR100845340B1 (ko) 2007-02-07 2007-02-07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557A KR100845340B1 (ko) 2007-02-07 2007-02-07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340B1 true KR100845340B1 (ko) 2008-07-10

Family

ID=3982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557A KR100845340B1 (ko) 2007-02-07 2007-02-07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3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80B1 (ko) * 2012-04-03 2014-03-17 김진현 반좌식 벨트
KR101492979B1 (ko) 2014-02-28 2015-02-12 박종문 완강기
KR101825833B1 (ko) 2016-09-27 2018-02-06 이남희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완강기
CN110279950A (zh) * 2019-07-26 2019-09-27 王守正 一种高空可控速缓速下降器
KR102075305B1 (ko) * 2019-08-01 2020-02-07 한의현 고정부재 일체형 완강기
WO2020103179A1 (zh) * 2018-11-19 2020-05-28 麦啸川 一种智能绳索缓降救生背包
CN115554628A (zh) * 2022-09-16 2023-01-03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施工用安全绳固定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46Y1 (ko) * 1999-11-30 2000-04-15 주식회사한중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46Y1 (ko) * 1999-11-30 2000-04-15 주식회사한중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80B1 (ko) * 2012-04-03 2014-03-17 김진현 반좌식 벨트
KR101492979B1 (ko) 2014-02-28 2015-02-12 박종문 완강기
KR101825833B1 (ko) 2016-09-27 2018-02-06 이남희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완강기
WO2020103179A1 (zh) * 2018-11-19 2020-05-28 麦啸川 一种智能绳索缓降救生背包
CN110279950A (zh) * 2019-07-26 2019-09-27 王守正 一种高空可控速缓速下降器
CN110279950B (zh) * 2019-07-26 2024-04-26 王守正 一种高空可控速缓速下降器
KR102075305B1 (ko) * 2019-08-01 2020-02-07 한의현 고정부재 일체형 완강기
CN115554628A (zh) * 2022-09-16 2023-01-03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施工用安全绳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340B1 (ko) 완강기
US4406349A (en) Escape apparatus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GB2306107A (en) Safety device
CN213087905U (zh) 一种消防逃生绳梯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102393170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US20070235254A1 (en)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 mechanism
JP641095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907005B1 (ko) 리프트형 완강기
KR20090131590A (ko)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KR20080038984A (ko) 완강기
JP2005506890A (ja) 建物、ボー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船舶等のような建築物から人を救出するための装置
KR20200090521A (ko)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
KR101590425B1 (ko)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346396Y1 (ko) 완강기
CN208229228U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JP5148105B2 (ja) 避難装置
JPH11267230A (ja) 避難用の緩降具
KR102393184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850002860Y1 (ko) 안전 탈출장치
KR101212443B1 (ko) 비상 예비용 완강 보조기
CN108543240A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