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396Y1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396Y1
KR200346396Y1 KR20-2003-0040713U KR20030040713U KR200346396Y1 KR 200346396 Y1 KR200346396 Y1 KR 200346396Y1 KR 20030040713 U KR20030040713 U KR 20030040713U KR 200346396 Y1 KR200346396 Y1 KR 200346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deceleration
rope
whee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Original Assignee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에 의한 비상대피 시 사용하는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프의 풀림 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구조를 개선하여 비상대피 시 대피자가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판(10)에 체결되어 수용공간(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풀리(31)를 구비하는 대기어(30); 상기 대기어(30)와 치합되도록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감속휠(41)을 구비하는 소기어(40); 상기 감속휠(41)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50); 상기 감속휠(41)과 감속피스(50)를 감싸도록 지지판(10)에 고정되는 감속커버(60); 상기 풀리(31)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20)의 하부로 인출되어 안전벨트(71)와 릴(72)을 구비하는 로프(70); 상기 지지판(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안전고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완강기{Apparatus for descending with speed reducing structure}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에 의한 비상대피 시 사용하는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프의 풀림 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구조를 개선하여 비상대피 시 대피자가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아파트,호텔,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발생 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하여 피난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인명을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완강기는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강하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피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완강기 1대를 여러 명이 교대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완강기는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시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킨 후,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사람은 서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완강기는 구조적으로 감속구조가 로프의 당김 작용 시 마찰력이 그다지 크지 못하여 강하속도의 균일성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완강기의 사용 시 종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완강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로프의 하강속도를 항시 안전하고 균일하게 제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신뢰도와 안전성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완강기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많고 제품의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로프의 풀림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구조를 개선하여 로프의 풀림 작용 시 큰 마찰력이 작용되어 어떠한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항시 일정한 강하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한 완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해 신뢰도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완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판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리벳으로 체결하되, 상기 지지판에 풀리를 구비하는 대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축설하고, 상기 대기어와 치합되도록 지지판에 감속휠을 구비하는 소기어를 축설하며, 상기 감속휠에 원심력을 받도록 다수개의 감속피스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판에 감속휠과 감속피스를 감싸는 감속커버를 고정하며, 상기 풀리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의 하부로 인출되는 로프의 양측으로 안전벨트와 릴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전고리를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예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지판 20 : 하우징
21 : 수용공간 30 : 대기어
31 : 풀리 40 : 소기어
41 : 감속휠 42 : 구획돌기
50 : 감속피스 60 : 감속커버
70 : 로프 71 : 안전벨트
72 : 릴 80 : 안전고리
90 : 가이드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완강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판(10)에 체결되어 수용공간(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풀리(31)를 구비하는 대기어(30); 상기 대기어(30)와 치합되도록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감속휠(41)을 구비하는 소기어(40); 상기 감속휠(41)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50); 상기 감속휠(41)과 감속피스(50)를 감싸도록 지지판(10)에 고정되는 감속커버(60); 상기 풀리(31)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20)의 하부로 인출되어 안전벨트(71)와 릴(72)을 구비하는 로프(70); 상기 지지판(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안전고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0)은 도 1에서와 같이 비상대피 시 건물의 거치대(100)에 안전고리(8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대기어(30)와 소기어(40) 및 후술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9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1)(2)(3)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지지판(10)의 상부에는 안전고리(80)가 끼워지는 고리연결공(1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10)에 다수개의 리벳(4)으로 체결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2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대기어(30)와 소기어(40) 및 감속커버(6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이 구비되고, 하우징(20)의 하부에는 로프(70)를 인출시키는 로프인출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대기어(30)는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비상대피 시 로프(70)의 마찰력을 통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대기어(30)에는 로프(70)를 걸어 돌릴 수 있도록 풀리(31)가 구비되고, 대기어(30)의 중앙부에는 축(1)에 끼워지는 축공(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풀리(31)는 대기어(3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소기어(40)는 대기어(30)와 치합되도록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비상대피 시 대기어(30)를 통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기어(40)에는 회전 시 대기어(3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감속휠(41)이 구비되고, 상기 감속휠(41)에는 감속피스(50)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돌기(42)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소기어(40)의 중앙부에는 축(2)에 끼워지는 축공(4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속휠(41)은 소기어(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감속피스(50)는 감속휠(41)의 구획돌기(42) 사이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완강기 작동 시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피스(50)는 감속휠(41)의 회전 시 원심력을 통해 각각 외측으로 밀려나가 감속커버(60)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감속휠(41)을제동하게 된다.
상기 감속커버(60)는 지지판(10)에 다수개의 볼트(5),너트(6)체결로 고정되어 감속휠(41)과 감속피스(50)를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감속커버(60)의 중앙부와 하부에는 축(2)(1)에 각각 끼워지는 축공(61)(62)이 각각 천공되고, 감속커버(6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에는 볼트(5)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볼트공(63)이 천공된다.
상기 로프(70)는 풀리(31)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20)의 하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로프(70)의 일측에는 비상대피 시 몸에 연결되는 안전벨트(71)가 구비되고, 로프(70)의 타측으로는 비상대피 시 로프(70)를 풀어주는 릴(72)을 구비된다.
상기 안전고리(80)는 지지판(10)의 고리연결공(11)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고리(80)는 비상대피 시 건물의 거치대(100)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10)의 하부에는 로프(70)를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9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가이드롤러(90)의 중앙부에는 축(3)에 끼워지는 축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롤러(90)는 도 3과 도 6에서와 같이 3개가 역삼각형으로 설치되어 로프(70)의 작동을 안내하고, 3개의 가이드롤러(90)의 외측으로는 롤러커버(20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커버(200)에는 축(3)에 각각 끼워지는 3개의 축공(210)이 각각 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시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20)과 릴(72)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거치대(100)에 안전고리(80)를 끼워 지지판(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로프(70)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71)를 몸에 안전하게 걸어 지지시키고 릴(72)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72)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70)의 타단이 땅바닥에 닿도록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로프(70)의 타측을 손으로 잡고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빠져나간다.
로프(70)의 타측을 손으로 잡고 건물 밖으로 나간 상태에서 손을 서서히 놓으면 손으로 잡고 있던 로프(70)의 타측은 대피자의 신체중량에 의해 자연적으로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올라가게 되고, 반대로 손으로 잡고 있던 로프(70)의 타측이 위쪽으로 당겨지는 만큼씩 안전벨트(71)에 매달린 대피자는 하부로 하강하면서 서서히 지상으로 내려가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로프(70)의 작동에 의해 로프(70)가 감겨진 풀리(31)가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풀리(31)의 회전에 의해 대기어(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대피자의 하강에 의해 대기어(30)가 회전하면 대기어(30)에 치합된 소기어(40)가 동시에 연동하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소기어(40)에 일체로 형성된 감속휠(41)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감속휠(41)의 표면에 배치된 다수개의 감속피스(50)들도 감속휠(41)과 같이 동시에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감속휠(41)과 같이 회전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50)에는 강한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다수개의 감속피스(50)는 감속휠(41)의 외측방향으로 밀려 나가게 되고, 이와 같이 감속휠(41)의 표면으로부터 강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감속피스(50)들이 감속커버(60)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이때 발생되는 강한 마찰저항이 감속휠(41)에 전달되어 급격한 제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대기어(30)의 풀리(31)가 서서히 회전하기 때문에 로프(70)의 하강속도는 일정하게 규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의 완강기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로프(70)의 풀림 작용 시 큰 마찰력이 작용되어 어떠한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항시 일정한 강하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즉 로프(70)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71)를 통해 로프(70)에 매달린 대피자는 서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와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고리(80)는 로프(7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벨트(71)는 지지판(10)에 연결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강기는 구조적으로 어떠한 체중이 가해지더라도 로프의 하강속도를 항시 안전하고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으며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완강기에 대한 신뢰도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지지판(10)에 체결되어 수용공간(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풀리(31)를 구비하는 대기어(30); 상기 대기어(30)와 치합되도록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감속휠(41)을 구비하는 소기어(40); 상기 감속휠(41)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50); 상기 감속휠(41)과 감속피스(50)를 감싸도록 지지판(10)에 고정되는 감속커버(60); 상기 풀리(31)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20)의 하부로 인출되어 안전벨트(71)와 릴(72)을 구비하는 로프(70); 상기 지지판(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안전고리(80)를 포함하는 완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31)는 대기어(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휠(41)은 소기어(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휠(41)에는 감속피스(50)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돌기(42)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의 하부에는 로프(70)를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9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80)는 로프(7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벨트(71)는 지지판(1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KR20-2003-0040713U 2003-12-30 2003-12-30 완강기 KR200346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13U KR200346396Y1 (ko) 2003-12-30 2003-12-30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13U KR200346396Y1 (ko) 2003-12-30 2003-12-30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396Y1 true KR200346396Y1 (ko) 2004-03-30

Family

ID=4942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713U KR200346396Y1 (ko) 2003-12-30 2003-12-30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3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60B1 (ko) * 2011-04-13 2012-03-20 임금심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KR101977952B1 (ko) * 2018-02-21 2019-05-13 주식회사 에스엠투 비상탈출용 완강기
CN110075434A (zh) * 2019-05-30 2019-08-02 张立春 一种楼房火灾地震救生器
KR102061744B1 (ko) * 2018-12-27 2020-01-02 노승협 자동감김이 가능한 완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60B1 (ko) * 2011-04-13 2012-03-20 임금심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KR101977952B1 (ko) * 2018-02-21 2019-05-13 주식회사 에스엠투 비상탈출용 완강기
EP3530323A1 (en) * 2018-02-21 2019-08-28 SM2 Co., Ltd.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WO2019164095A1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에스엠투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2061744B1 (ko) * 2018-12-27 2020-01-02 노승협 자동감김이 가능한 완강기
CN110075434A (zh) * 2019-05-30 2019-08-02 张立春 一种楼房火灾地震救生器
CN110075434B (zh) * 2019-05-30 2023-10-13 张立春 一种楼房火灾地震救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US4406349A (en) Escape apparatus
US796337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high altitude rappel escape safety device
EP3030325B1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US4640388A (en) Escape device
JPH02500341A (ja) 降下装置
US6966407B2 (en) Escape-Right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200346396Y1 (ko) 완강기
KR100860286B1 (ko) 개인용 라펠 탈출 안전장치
KR890001125Y1 (ko) 피난용 완강 장치(緩降裝置)
KR20090131590A (ko)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KR102095868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US4919231A (en) Device with a lifeline
WO2022228202A1 (zh) 一种往复式高楼逃生缓降装置
KR100609758B1 (ko) 완강기
CN206355459U (zh) 一种重力平衡抱闸式制动高楼缓降紧急救生器
WO2014071697A1 (zh) 一种建筑
JPH0475671A (ja) 緊急避難装置
JPH11267230A (ja) 避難用の緩降具
KR200360572Y1 (ko) 완강기
KR101590425B1 (ko)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KR100446454B1 (ko) 피난구조용 완강기
KR200414006Y1 (ko) 이동식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