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006Y1 - 이동식 완강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006Y1
KR200414006Y1 KR2020060002494U KR20060002494U KR200414006Y1 KR 200414006 Y1 KR200414006 Y1 KR 200414006Y1 KR 2020060002494 U KR2020060002494 U KR 2020060002494U KR 20060002494 U KR20060002494 U KR 20060002494U KR 200414006 Y1 KR200414006 Y1 KR 200414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upport
wheel
bra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202006000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0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대상체에 거치 되도록 양단부가 상호 마주 보게 절곡된 한쌍의 지지축을 구비한 거치대와; 거치대에 체결 되도록 일단부에 연결고리가 결합된 지지판과, 지지판에 사이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덮개가 결합 되는 몸체와; 일측에는 상호 인접한 한쌍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몸체에 회동 되도록 축 결합된 상태로 외주면에 감겨진 로프의 전달하중에 따라 좌우 회동하는 로프휠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돌기 사이에 걸림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로프휠의 회동 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탄성지지체와;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로프휠이 회동 되면 로프와 접촉되면서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완강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식 완강기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외형이 작고 가벼우며, 탈부착이 가능한 거치대와 함께 휴대하여 화재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한 장소에서의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로프휠이 제동부와 접촉하면서 제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속도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완강기, 거치대

Description

이동식 완강기{Descending device of movable typ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완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완강기 및 거치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완강기의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완강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동식 완강기 200...거치대
210...지지축 220...이송레버
230...체결고리 240...요철판
300...몸체 310...연결고리
320...지지판 330...덮개
400...로프휠 410...고정판
411...지지홈 420...지지돌기
430...회전휠 431...제동홈
432...제동피스 440...가이드돌기
500...탄성지지체 600...제동부
610...제동판 620...제동편
621...제동면
본 고안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화재에 의한 비상대피시 안전한 장소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상가,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발생 시 계단이나 승강기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외부로 통하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부근에 설치된 지지축에 완강기를 체결한 후 사용자가 하강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완강기(10)는 고리가 체결되도록 일단부에 연결공(21)이 형성된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일측에는 로프가 감긴 상태로 상기 지지판(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대기어(40)와, 상기 대기어(40)와 치합된 상태로 일측에는 감속휠(51)이 결합된 소기어(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감속휠(51)의 가장자리에서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속편(52)과, 상기 감속편(52)이 원심력에 의해 내측면과 마찰 되도록 상기 감속휠(51)과 감속편(52)을 감싸는 감속커버(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완강기(10)는 상기 연결공(21)에 의해 거치대에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70)에 연결된 안전밸트(71)에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기어(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소기어(50)는 기어차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속휠(51)에 배치된 상기 감속편(52)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감속커버(6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급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편(52)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마찰저항이 상기 대기어(40)에 전달되면서 상기 대기어(40)가 서서히 회전하게 되어 상기 로프(70)의 하강속도를 제동시켜 사용자를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완강기(10)는 반드시 고정된 거치대가 구비된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화제로 인해 거치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신속한 대피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강기(10)는 상기 감속편(52)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이 사용자의 평균체중에 기준 되게 제작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하강속도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체중이나 대피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 선 시킨 이동식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식 완강기는, 지지대상체에 거치 되도록 양단부가 상호 마주 보게 절곡된 한쌍의 지지축을 구비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체결 되도록 일단부에 연결고리가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사이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덮개가 결합 되는 몸체와; 일측에는 상호 인접한 한쌍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 회동 되도록 축 결합된 상태로 외주면에 감겨진 로프의 전달하중에 따라 좌우 회동하는 로프휠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걸림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프휠의 회동 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탄성지지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휠이 회동 되면 로프와 접촉되면서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는 지지대상체에 압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레버를 구비하며, 이송되는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는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프휠은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과; 일측에는 상기 지지홈에 대응되는 제동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쌍의 회전휠과; 상기 제동홈에 인입 설치되며, 상기 회전휠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지지홈에 걸림 되어 상기 회전휠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피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완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완강기(100)는 지지대상체에 거치되는 거치대(200)와, 상기 거치대(200)에 체결되는 몸체(300)와, 외주면에 로프가 감긴 상태로 상기 몸체(300)에 결합 되는 로프휠(40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00)에 고정되어 상기 로프휠(400)에 걸림 설치되는 탄성지지체(500)와, 상기 몸체(300)에 결합 되어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는 제동부(600)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200)는 지지대상체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가 체결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거치대(200)는 지지대상체에 거치 되도록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게 절곡된 한쌍의 지지축(2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에는 지지대상체에 압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210)를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레버(220)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레버(2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지지축(210)의 일측에는 체결고리(2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210)의 각 일단부에는 지지대상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요철판(240)이 힌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판(240)은 수직 회동이 가능하여 상기 지지축(210)를 건물외벽에 거치할 경우 접촉면에 평행되게 회전하여 요철에 의해 건물외벽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건물기둥이나 파이프에 거치 될 경우에는 상기 요철판(240)을 수직회전하여 건물기둥의 일단이나 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림 되도록 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상기 몸체(300)는 상기 거치대(200)에 걸림된 상태로 내부구조물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몸체(300)는 상기 체결고리(230)와 체결 되도록 일측에 연결고 리(310)를 구비한 지지판(320)과, 상기 지지판(320)에 결합 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3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300)는 상기 지지판(320)과 상기 덮개(330)가 복수개의 리벳으로 결합 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물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로프휠(400)은 외주면에 로프가 감긴 상태에서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좌우 회동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로프휠(400)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300) 내측에 축 결합하며, 축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휠(400)은 일측에 지지홈(411)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이격 되어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410)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410)의 타측에는 한쌍의 지지돌기(420)를 구비한다.
또한, 일측에 상기 지지홈(411)에 대응되는 제동홈(43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410) 사이에서 한쌍의 회전휠(4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동홈(431)에는 상기 회전휠(430)의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제동피스(4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로프휠(400)은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로프와 상기 회전휠(430)의 마찰력에 의해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거나, 좌우 회동하게 되는데 어린아이와 같은 저체중의 사용자는 로프와 상기 회전휠(430)의 마찰력에 의해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휠(430)을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로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으로써 어린아이와 같은 저체중의 사용자를 안전하게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휠(43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피스(432)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홈(411)에 걸림 되면서 상기 회전휠(43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로프와 상기 회전휠(430)의 마찰력에 의해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거나, 상기 로프휠(400)을 좌우 회동 되게 한다.
또한, 상기 로프휠(400)의 외주면에는 로프가 복수회 감긴 상태로 이송되며, 로프의 이송간 이송방향을 조절하여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4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체(500)는 상기 로프휠(400)과 일체로 회동 되면서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탄성지지체(500)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300)의 지지판(320)에 고정된 상태로 막대형상의 금속이 웨이브형으로 굴곡 되어 타단부가 금속의 강도에 의해 좌우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체(500)는 타단부가 상기 지지돌기(410) 사이에 걸림 설치되어 상기 로프휠(400)과 일체로 회동 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반경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제동부(600)는 로프와 접촉되면서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동부(600)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300)의 지지판(320)에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에 의해 로프와 점진적으로 접촉되도록 굴곡 된 상태로 탄성력을 가지는 한쌍의 제동판(61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동판(610)은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좌우 회동하는 상기 로프휠(400)의 로프와 접촉되면서 로프와 상기 제동판(610)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로프의 진행을 제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동판(610)은 로프와의 마찰력이 증가 되도록 로프와 접촉하는 일면이 요철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동부(6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300)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 되며, 일단부에는 요철형상의 제동면(621)을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돌기(410)에 걸림 되는 한쌍의 제동편(620)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동편(620)은 타단부가 상기 로프휠(40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로프휠(400)이 회동 되면 상기 제동면(621)은 축 결합에 의해 회동 되면서 로프를 가압하여 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완강기(100)의 작동을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거치대(200)를 지지대상체에 걸림 되도록 상기 이송레버(220)를 조절하여 안전한 장소에 거치한 다음 상기 체결고리(230)에 상기 연결고리(310)를 체결하여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체결 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에 연장된 로프에 매달린 상태 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어린아이와 같이 저체중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휠(430)이 회전하면서 로프와 상기 로프휠(400)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휠(4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피스(432)가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지지홈(411)에 걸림 되어 상기 회전휠(43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체중이 가벼운 사람의 경우에는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휠(43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휠(430)과 로프의 마찰력만으로 제동되거나,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동판(610)과 접촉되면서 제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프휠(400) 회동하면 상기 탄성지지체(500)가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탄성력을 발생하여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 반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판(610)과 로프의 접촉면적이 좁게 되어 로프가 정지되지 않고 일정속도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의 경우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게 작용하게 되어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반경이 커지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로프와 상기 제동판(610)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큰 하중에도 로프가 급하강 하지 않고 일정 속도로 이송되게 한다.
즉,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는 상기 탄성지지체(500)의 탄성력과 로프에 가 해지는 하중이 비례관계를 가지게 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로프와 접촉되는 마찰력을 조절하게 되어 사용자를 항상 안전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는 상기 거치대(200)가 일정장소에 고정되지 않고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완강기(100)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상기 회전휠(430)이 회전되면서 제동하거나, 상기 탄성지지체(500)에 의해 상기 로프휠(400)의 회동반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로프가 상기 제동판(610)과 접촉되어 제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하강 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완강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완강기와 거치대의 동시 휴대가 가능하며, 거치대가 일정 장소에 고정되지 않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화재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 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다.
둘째, 회전휠의 회전에 의해 마찰력을 감소하거나, 탄성지지체가 로프휠의 회동반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로프가 제동부와 점진적으로 접촉하여 제동함으로써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나 무거운 사람에 관계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이동식 완강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 며,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지지대상체에 거치 되도록 양단부가 상호 마주 보게 절곡된 한쌍의 지지축을 구비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체결 되도록 일단부에 연결고리가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사이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덮개가 결합 되는 몸체와;
    일측에는 상호 인접한 한쌍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 회동 되도록 축 결합된 상태로 외주면에 감겨진 로프의 전달하중에 따라 좌우 회동하는 로프휠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걸림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프휠의 회동 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휠이 회동 되면 로프와 접촉되면서 로프의 진행을 제동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는 지지대상체에 압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레버를 구비하며, 이송되는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는 체결고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각 일단부에는 지지대상체에 견고히 고정되거나 걸림 되도록 요철판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휠은,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과;
    일측에는 상기 지지홈에 대응되는 제동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쌍의 회전휠과;
    상기 제동홈에 인입 설치되며, 상기 회전휠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지지홈에 걸림 되어 상기 회전휠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로프가 상기 로프휠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에서 꼬이지 않고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막대형상의 금속이 웨이브형으로 굴곡 되어 금속의 강도에 의해 좌우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 내측에 고정되며, 일측이 로프와 점진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로프휠에 대응하게 굴곡 되어 상기 로프휠이 회동 되면 로프와 접촉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로프를 제동하는 한쌍의 제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판은 로프와 접촉될 때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로프와 접촉하는 일단은 요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몸체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일단부에는 요철형상의 제동면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돌기에 걸림 되도록 하여 상기 로프휠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동면이 로프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한쌍의 제동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완강기.
KR2020060002494U 2006-01-26 2006-01-26 이동식 완강기 KR200414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94U KR200414006Y1 (ko) 2006-01-26 2006-01-26 이동식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94U KR200414006Y1 (ko) 2006-01-26 2006-01-26 이동식 완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66 Division 2006-01-26 2006-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006Y1 true KR200414006Y1 (ko) 2006-04-13

Family

ID=4929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494U KR200414006Y1 (ko) 2006-01-26 2006-01-26 이동식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05B1 (ko) * 2019-08-01 2020-02-07 한의현 고정부재 일체형 완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05B1 (ko) * 2019-08-01 2020-02-07 한의현 고정부재 일체형 완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018B1 (ko) 원심 브레이크 메커니즘
CN101920075B (zh) 高楼逃生器
US4448284A (en) People rescue device
KR101731636B1 (ko)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WO2019148883A1 (zh) 一种高层逃生背包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20080038984A (ko) 완강기
KR200414006Y1 (ko) 이동식 완강기
KR101713273B1 (ko) 건축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20080024352A (ko) 완강기
KR101700447B1 (ko)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EP0876987A1 (en) Outside up-down elevator
CA2470126C (en) Constant velocity rappelling device with braking device
KR20100007707A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101274197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2020217B1 (ko) V홈 브레이크 방식 완강기
CN204106879U (zh) 一种具有双向救援功能的高空速降逃生器
KR20090131590A (ko)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CN102302827A (zh) 缓降器
KR20100112981A (ko) 완강기
CN206355459U (zh) 一种重力平衡抱闸式制动高楼缓降紧急救生器
KR200346396Y1 (ko) 완강기
CN211434820U (zh) 逃生背包缓降装置的刹车机构
CN207539215U (zh) 一种具有离心自控变速机构的缓降逃生装置
KR20200090521A (ko)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