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425B1 -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 Google Patents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425B1
KR101590425B1 KR1020140152250A KR20140152250A KR101590425B1 KR 101590425 B1 KR101590425 B1 KR 101590425B1 KR 1020140152250 A KR1020140152250 A KR 1020140152250A KR 20140152250 A KR20140152250 A KR 20140152250A KR 101590425 B1 KR101590425 B1 KR 10159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se
centrifugal
groov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환
이원민
오솔길
박성호
탁태오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분리되며 소정 직경의 홈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심 브레이크,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회전되도록 맞물리며 로프의 하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를 마련하여 완강기의 1회 하강 시 2명이 탑승하여 하강할 수 있으며, 2명의 동시에 탑승하여 하강할 수 있어 화재 발생 등의 긴급 피난 시 다수의 인원이 신속하게 대피(또는 탈출)할 수 있고, 홈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제동력이 드럼형과 디스크형의 제동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2개의 원심 브레이크에 의해 완강기가 등속으로 하강할 수 있어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Descending Life Line with Dual Centrifugal Brake}
본 발명은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강기에 2명이 탑승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 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완강기의 로프에 조난자가 매달리게 되면 상기 로프가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서서히 지면으로 하강하면서 화재현상을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피난용 완강기는 구난자가 매달릴 수 있도록 된 로프, 상기 로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 상기 로프, 풀리, 감속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판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 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로프는 풀리의 외주면과 밀접되고, 상기 풀리는 감속부와 결합되어 상기 로프에 사람이 매달리게 되면 감속부의 작용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어 화재현장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강기는 화재 발생 시 1명이 탑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다수의 인원이 신속하게 대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소방 방재청에서 규정하고 있는 완강기의 하강 속도는 0.16~1.5㎧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난용 완강기는 로프와 풀리가 미끄럼 접촉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에 조난자가 매달리게 되면 풀리와 로프간에 슬립이 발생하여 로프의 하강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조난자의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풀리와 로프와의 접촉과정에서 직물지로 감싼 로프의 외주면이 쉽게 마모되어 로프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완강기는 비상 탈출 시 탑승 하중이 100㎏의 하중으로 설계되도록 규정되어 있어, 비상 탈출 시 1인이 탑승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다수의 인원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완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완강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로프 걸이용 도르래, 상기 도르래와 일체로 구성되는 구동기어, 상기 도르래와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제1지축,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 복수의 감속 피스,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감속 피스 각각의 내주면을 구속한 채 재치되는 감속 휠, 상기 감속 피스 각각의 외주면을 구속하는 감속 커버, 상기 피동기어, 상기 감속 휠 및 상기 감속 커버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제2지축, 상기 감속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베이스 플레이에 결합되는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형성된 구동기어축 상기 구동기어축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도르래 및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기어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형성된 피동기어축 상기 피동기어축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피동기어 및 감속휠을 포함하는 피동기어부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기어와 도르래 사이에 상기 구동기어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기어드럼이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드럼에 마찰저항을 주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V형브레이크를 더 구비하되, 상기 V형브레이크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V자형을 이루도록 일정 각도로 벌어져 형성된 V형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기어드럼에 마찰저항을 주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V형브레이크의 제2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로프가 걸쳐지는 원통형의 로프걸이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54886호(2004년 6월 26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1643호(2013년 9월 16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다수의 인원이 비상 탈출하고자 할 때 완강기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이 한 명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제한된 탑승 인원으로 다수의 인원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없고,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하중이 100㎏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완강기의 하강 시 다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명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강기에 2명이 탑승한 상태에서 하강 시 등속도로 하강할 수 있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강기에 2명이 탑승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2명의 탑승 인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완강기의 하강 속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는 양측으로 분리되며 소정 직경의 홈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심 브레이크,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회전되도록 맞물리며 로프의 하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홈부는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결합되는 제1 홈부, 상기 원심 브레이크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심 브레이크는 상기 케이스의 홈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본체,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소정 위치에 상기 회전체와 맞물리는 한 쌍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동력을 갖도록 상기 홈부의 원주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브레이크 및 회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회전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회전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에 의하면, 완강기의 1회 하강 시 2명이 탑승하여 하강할 수 있으며, 2명의 동시에 탑승하여 하강할 수 있어 화재 발생 등의 긴급 피난 시 다수의 인원이 신속하게 대피(또는 탈출)할 수 있고, 홈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제동력이 드럼형과 디스크형의 제동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2개의 원심 브레이크에 의해 완강기가 등속으로 하강할 수 있어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의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의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의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깅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는 양측으로 분리되며 소정 직경의 홈부(13)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홈부(13)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심 브레이크(20), 상기 원심 브레이크(20)가 회전되도록 맞물리며 로프의 하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강기는 2명이 탑승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비상 탈출 시 보다 많은 인원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완강기는 탑승 하중을 150~200㎏의 하중이 실리더라도 규정된 속도로 하강하여 비상 탈출하고자 하는 인원을 한 명이 아닌 두 명씩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150~200㎏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대략 1.2~1.5㎧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완강기에는 로프(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회전체(30)를 장착함은 물론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30)를 안정된 속도로 하강될 수 있도록 2개의 원심 브레이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원심 브레이크(20) 및 회전체(30)를 감싸는 것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원심 브레이크(20) 및 회전체(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11)와 원심 브레이크(20) 및 회전체(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케이스(10) 각각의 내면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원심 브레이크(20)가 결합되는 홈부(13) 및 회전체(30)가 결합되는 회전홈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3)는 원심 브레이크(20)가 끼워지는 제1 홈부(13a)와 원심 브레이크(20)의 회전축(23)이 결합되는 제2 홈부(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홈부(13a)는 원심 브레이크(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원심 브레이크(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홈부(13a)는 원심 브레이크(2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홈부(13a)의 중앙에는 원심 브레이크(20)의 회전축(23)이 결합되도록 제2 홈부(1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홈부(13b)는 회전축(23)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회전체(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 위치에 회전홈부(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홈부(14)는 회전체(30)의 회전축(3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에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구멍(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심 브레이크(20)는 일정 직경을 갖는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본체(21), 브레이크 본체(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브레이크 라이닝(22), 케이스(10)에 결합되는 회전축(23), 상기 회전축(23)에 상기 회전체(30)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본체(21)는 일정 폭을 갖는 동심원상의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케이스(10)의 제2 홈부(13b)에 결합되는 회전축(2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본체(21)는 회전축(2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의 제1 홈부(1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또 브레이크 본체(21)에는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본체(21)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브레이크 라이닝(2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3)에는 회전체(30)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4)가 고정될 수 있으며, 종동기어(24)는 2개의 회전체(30)와 맞물리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는 로프(미도시)가 감기는 것으로,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체(3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회전체(30)에는 케이스(10)의 회전홈부(14)에 결합되는 회전축(31)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케이스(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케이스(10)는 원심 브레이크(20) 및 회전체(3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11)와 원심 브레이크(20) 및 회전체(3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원심 브레이크(20)가 결합되는 홈부(13)가 형성되는데, 원심 브레이크(20)가 결합되는 제1 홈부(13a)와 원심 브레이크(20)의 회전축(23)이 결합되는 제2 홈부(13b)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케이스(10)에는 회전체(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홈부(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케이스(11, 12)에는 2개의 케이스(11, 12)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구멍(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심 브레이크(20)는 제1 케이스(11)의 제1 홈부(13a) 및 제2 케이스(12)의 제1 홈부(1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 본체(21)를 마련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 본체(21)는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본체(21)에는 원심 브레이크(20)의 원심력에 의해 제1 홈부(13a)의 내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22)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 라이닝(22)은 브레이크 본체(21)의 결합홈부(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레이크 본체(21)의 회전에 의해 제1 홈부(13a)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갖도록 한다.
한편 브레이크 라이닝(22)은 마찰 계수의 변화가 적고 기계적 강도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원심 브레이크(20)는 2개의 브레이크 본체(2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23)을 장착하며, 회전축(23)에는 회전체(30)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2개의 종동기어(2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는 2개의 종동기어(24)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체(30)에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31)을 결합할 수 있으며, 회전축(31)은 케이스(11, 12)의 회전홈부(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는 3층 이상의 건물, 다가구가 거주하는 공동주택, 다중이용업소 등의 화재 발생 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건물의 외벽에는 설치금구(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으며, 완강기는 설치금구에 후크 등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되고, 완강기에 감겨 있는 로프(미도시)에는 탑승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벨트 또는 탑승판(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여 비상 탈출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들은 완강기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의 착용 또는 탑승판 등에 탑승하게 됨에 따라 회전체(30)가 회전되면서 로프가 하강하게 된다.
즉, 회전체(30)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31)이 회전되며, 회전체(30)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2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24)에 의해 회전축(23)은 제2 홈부(13b)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종동기어(24)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본체(21)가 회전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본체(21)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22)은 제1 홈부(13a)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 라이닝(22)은 제1 홈부(13a)에 밀착되어 원심 브레이크(2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동력을 얻게 된다.
이에 원심 브레이크(2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며, 종동기어(24)에 맞물려 있는 회전체(3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되며, 회전체(3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됨에 따라 로프의 하강 속도가 저하된다.
즉, 원심 브레이크(20)는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의 홈부(13a)에 밀착되어 제동됨에 따라 보다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로프에 150~200㎏의 하중이 걸리게 되더라도 로프의 하강을 1.5㎧ 이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3층 이상의 건물, 공동주택, 다중이용업소인 게임방, 일반음식점, 노래방, 유흥단란주점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완강기는 2명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으므로 완강기의 하강 시 2명이 동시에 탑승하여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5층 높이에서 완강기를 타고 내려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10초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완강기는 1인이 탑승하여 내려오므로 2명이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0초가 소요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완강기는 한 번에 2명이 탑승하고서 내려올 수 있으므로 동일한 10초에 2명이 긴급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케이스(11, 12)의 양측에 각각 원심 브레이크(20)가 설치되어 있어 150~200㎏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완강기의 하강 속도인 1.5㎧의 등속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심 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라이닝(22)은 제1 홈부(13a)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얻게 되는데, 제1 홈부(13a)의 측면 및 외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얻게 되므로 통상의 브레이크 라이닝(22)보다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라이닝(22)은 드럼(drum)형 또는 디스크(disk)형에 의한 제동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케이스 11: 제1 케이스
12: 제2 케이스 13: 홈부
13a: 제1 홈부 13b: 제2 홈부
14: 회전홈부 15: 결합구멍
20: 원심 브레이크 21: 브레이크 본체
21a: 결합홈부 22: 브레이크 라이닝
23: 회전축 24: 종동기어
30: 회전체 31: 회전축

Claims (5)

  1. 양측으로 분리되며 소정 직경의 홈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심 브레이크,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회전되도록 맞물리며 로프의 하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브레이크는 상기 케이스의 홈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본체,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소정 위치에 상기 회전체와 맞물리는 한 쌍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브레이크 및 회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회전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회전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홈부의 외주면 및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홈부의 외주면 및 측면에 밀착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회전제가 등속도로 하강되는 제동력이 발생되며,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본체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을 동시에 제동하여 2명이 탑승한 상태에서 하강 시 동시에 등속도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홈부는 상기 원심 브레이크가 결합되는 제1 홈부,
    상기 원심 브레이크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동력을 갖도록 상기 홈부의 원주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완강기.
  5. 삭제
KR1020140152250A 2014-11-04 2014-11-04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KR10159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50A KR101590425B1 (ko) 2014-11-04 2014-11-04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50A KR101590425B1 (ko) 2014-11-04 2014-11-04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425B1 true KR101590425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250A KR101590425B1 (ko) 2014-11-04 2014-11-04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2076672B1 (ko) 2018-05-16 2020-02-13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018B1 (ko) 원심 브레이크 메커니즘
TWI645879B (zh) 繞繩下降裝置
KR20110019632A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CN213087905U (zh) 一种消防逃生绳梯
CN108721795B (zh) 一种工况自适应式高层应急逃生装置
KR101590425B1 (ko)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CN102039008B (zh) 一种高空缓降器
KR101685463B1 (ko) 완강장치
KR20090131590A (ko)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CA2470126C (en) Constant velocity rappelling device with braking device
CN211634944U (zh) 自动减速速降装置及高层火灾避烟速降逃生系统
KR20080038984A (ko) 완강기
CN103830852A (zh) 一种警民兼容的缓降器
CN203253069U (zh) 楼房火灾地震救生器
KR20200058257A (ko) 고층건물에서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200090521A (ko)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
JP3129440U (ja) 避難装置
JPH0475671A (ja) 緊急避難装置
CN204106880U (zh) 一种用于双向救援高空速降逃生器的绳索导向器
EP1030720B1 (en) Braking device
KR20190086153A (ko) 완강기
CN201921339U (zh) 一种高空缓降器
JPH11267230A (ja) 避難用の緩降具
KR200346396Y1 (ko)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