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32A -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32A
KR20110019632A KR1020090077251A KR20090077251A KR20110019632A KR 20110019632 A KR20110019632 A KR 20110019632A KR 1020090077251 A KR1020090077251 A KR 1020090077251A KR 20090077251 A KR20090077251 A KR 20090077251A KR 20110019632 A KR20110019632 A KR 2011001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gear
guide
main housing
decel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209B1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09007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2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하우징에 구비되어 모노레일의 가이드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하우징이 모노레일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편; 상기 거치편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경우 모노레일의 가이드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가이드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와 동일축에 치합된 종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의 감속휠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감속피스; 및 상기 감속휠과 감속피스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상기 감속휠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피스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감속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감속커버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
건물, 화재, 피난, 대피, 탈출, 완강기, 로프, 레일, 빔, 기어, 감속

Description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ing apparatus using monorail}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설치된 모노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대피자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층건물의 하부로 하강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대피자는 천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기 등과 같은 하강수단을 한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하는 경우 한 명의 대피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대피자가 상기 하강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나머지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상기 로프가 흔들리거나 하는 경우 대피자가 건물의 외벽이나 상기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발코니 창문 등과 같은 설치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부상을 당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설치된 모노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모노레일에 복수개의 비상탈출장치가 거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고정된 모노레일을 따라 하강하는 비상탈출장치를 통하여 대피자가 탈출하도록 하여 대피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하우징에 구비되어 모노레일의 가이드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하우징이 모노레일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편; 상기 거치편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경우 모노레일의 가이드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가이드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와 동일축에 치합된 종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의 감속휠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감속피스; 및 상기 감속휠과 감속피스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상기 감속휠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피스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감속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감속커버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발코니 외측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설치된 모노레일에 비상탈출장치가 거치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가 모노레일을 따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모노레일에 복수개의 비상탈출장치가 거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층건물의 외벽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고정된 모노레일을 따라 하강하는 비상탈출장치를 통하여 대피자가 탈출하도록 하여 바람 등에 의해 대피자가 하강 중 이동하다 외벽의 설치 부재 등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이 고층건물의 최상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으부터 2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까지 구비되고 일측에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와 연동하는 방범시스템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인이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실내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 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모노레일과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의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모노레일과 비상탈출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200)는,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모노레일(100)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일정 속도로 하강하는 완강기 등과 같은 탈출장치로써, 상기 화재대피공간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모노레일(100)은, 고층건물의 최상층 발코니의 외벽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대응되는 높이로부터 상기 고층건물의 지면 또는 2층 발코니의 외벽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대피공간이란, 예를 들면, 아파트 등의 세대와 세대간의 발코니 경계 구역 등에 마련되는 안전대피구역으로서, 윗층과 아래층을 수직하게 연통하는 통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통로에 상기 모노레일(100)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100)은, 원통형 또는 육면체 또는 'H'빔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대향되는 면에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래 크기어 등과 같은 가이드기어(120)가 일체 또는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와 가이드기어(120)가 구성되지 않은 양측면에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13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노레일(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의 최상층으로부터 지면에까지 구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인이 상기 모노레일(100)을 따라 건물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층으로부터 2층의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모노레일(100)의 하단부에는 지면 또는 1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보조 모노레일(100-1:도 6c 및 도 6d 참조)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모노레일(100-1)의 신장은 공지의 태엽스프링이나 유압 방식으로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보조 모노레일(100-1)의 절곡된 단부에 후술된 비상탈출장치(200)의 손잡이(G) 부분이 거치되도록 하여 상기 비상탈출장치(200)가 상기 보조 모노레일(100-1)의 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게 하여 안전한 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하강 완료후 거치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노레일(100)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또는 발코니 외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모노레일(100)에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된 상태에서 모노레일(100)을 따라 비상탈출장치(200)가 하강되도록 하여, 종래의 로프와 달리 외부의 바람 등에 흔들리지 않아 대피자의 탈출시 건물 외벽의 설 치부재와의 충돌 등을 방지하여 대피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200)는, 메인하우징(H1)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하우징(H1)이 모노레일(100)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편(210), 상기 거치편(210)이 상기 가이드홈(130)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기어(220), 상기 회전기어(220)와 동일한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22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종동기어(230), 상기 종동기어(230)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종동기어(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속기어(240), 상기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감속피스(250), 상기 감속휠(241)과 감속피스(250)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피스(250)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을 방지하는 감속커버(260) 및 상기 회전기어(220)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27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디스크브레이크(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외부 양측에는 메인하우징(H1)의 세로 방향으로 대피자가 비상탈출장치(200)의 외측을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G)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에는 대피자의 상체를 안전하게 구속하여 하강시 추락 등을 방지하는 안전벨트(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200)는, 상기 메인하우징(H1)의 하측에 상기 메인 하우징(H1)이 대피자의 가슴 높이 부위에 대응되도록 보조하우징(H2)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하우징(H2)은,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의 거치편(210)이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어 상기 메인하우징(H1)의 회전기어(220) 회전시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되는 보조 회전기어(220-1)와, 대피자의 대피시 대피자의 발 부위가 지지되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걸이(R)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편(210)은,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메인하우징(H1)이 모노레일(100)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외부 양측부에 위치된 삽탈홈(211), 상기 삽탈홈(211)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축(212), 상기 가이드축(212)의 내부 중공에 끼워진 스프링(213)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탈홈(211)에 가이드축(212)을 따라 탄성적으로 삽탈되는 거치구(214) 및 상기 가이드홈(130)에 상기 거치구(214)의 거치시 상기 가이드홈(130)의 벽을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롤러(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구(214)는, 상기 가이드홈(130)에 보다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기어(120)가 형성된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부위를 지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거치구(214)가 삽탈홈(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214a)과, 상기 경사면(214a)이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부위를 완전히 지났을 경우 상기 거치구(214)가 삽탈홈(211)으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홈(13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직면(214b) 및 상기 스프링(213)의 압축 또는 신장시 상기 가이드축(212)이 삽탈 가이드되는 가이드공(214c)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편(210)에 의하면, 대피자가 상기 메인하우징(H1)의 거치편(210)이 형성된 부위를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강제로 가이드홈(130)을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거치구(214)의 경사면(214a)이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를 지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213)이 압축되면서 거치구(214)가 가이드축(212)을 따라 삽탈홈(211)에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거치구(214)의 경사면(214a)이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를 완전히 지나게 되면, 반대로 상기 스프링(213)이 신장되면서 거치구(214)가 가이드축(212)을 따라 삽탈홈(21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거치구(214)가 가이드홈(120)에 거치되게 되고, 이때, 상기 연직면(214b)에 형성된 가이드롤러(215)가 가이드홈(130)의 벽을 따라 가이드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탈홈(211)과 거치구(214)는 각각 상기 메인하우징(H1) 내부의 회전기어(220)가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완전하게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이드홈(130)에 거치구(214)가 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홈(130)으로부터 거치구(214)가 자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이즈와 삽탈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기어(220)는,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화재 발생에 따른 하강 동작시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기어(120)와 회전기어(220)는 상기 가이드홈(130)에 거치된 거치편(210)에 의해 완전 치합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20)가 공회전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감속기어(240)는,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상기 회전기어(220)의 동일한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22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는 종동기어(230)에 치합되도록 축설되는 것으로, 회전기어(220) 또는 종동기어(230)의 회전축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감속휠(241)이 구성되고, 상기 감속휠(241)에는 다수개의 구획돌기(242)가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감속피스(250)는, 상기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에 돌출된 구획돌기(242) 사이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20)가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즉, 하강 속도가 빠른 경우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감속피스(250)가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각각 상기 구획돌기(242)를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 상기 감속커버(260)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감속휠(241)이 제동되게 한다.
상기 감속커버(260)는,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감속휠(241)과 감속피스(250)를 감싸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각각 상기 구획돌기(242)를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감속피스(250)가 내면에 접촉되게 한다.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는, 상기 메인하우징(H1)의 거치편(210)이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거치된 상태에서, 대피자가 안전벨트(B)와 보조하우징(H2)의 발걸이(R)를 착용하거나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H1)의 회전기어(2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기어(220)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기어(271)와 상기 브레이크기어(27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레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에 의하면, 대피자가 상기 거치편(210)을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안전벨트(B)와 보조하우징(H2)의 발걸이(R)를 착용하거나 지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레버의 조작을 통하여 브레이크기어(27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회전기어(220)를 이용한 하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에 의하면, 상기 비상탈출장치(200)를 모노레일(100)에 거치하여 하강 중 위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지상까지 하강하지 않고 안전 지역에 일시적으로 비상탈출장치(200)의 하강이 멈추도록 하여 대피자의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편(210)의 거치구(214)는 상기 삽탈홈(211)에 강제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30)으로부터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하우징(H1)과 보조하우징(H2)은, 상기 보조하우징(H2)의 발걸이(R)를 지지한 대피자의 가슴부위에 상기 메인하우징(H1)이 위치되도록 하여 하강시 대피자가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손잡이(G)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외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모노레일(100)에 거치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일정 속도로 안전하게 하 강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고, 하나의 모노레일(100)에 복수개의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기어(220)와 종동기어(230)의 기어비는 약 1 대 3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회전기어(220)의 회전이 너무 빠른 경우 종동기어(230)에 치합된 감속기어(240)의 회전을 빠르게 하여 감속피스(250)를 통한 감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의 탈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의 최상층 발코니 외벽이나 화재대피공간 등으로부터 상기 고층건물의 지면 또는 2층 발코니 외벽 또는 화재대피공간 등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대피자의 접근이 용이한 간격을 가지며 모노레일(100)이 구비된다.
이후,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의 메인하우징(H1)의 외부에 구비된 거치편(210)이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H1) 내부에 축설된 회전기어(220)가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완전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의 디스크브레이크(270)의 레버에 의해 상기 가이드기어(120)에 상기 거치편(210)의 거치시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271)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외부에 구비된 안전벨트(B)가 대피자의 허리부위 또는 어깨부위에 착용되고 보조하우징(H2)에 구비된 발걸이(R)에 대피자의 발이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기어(120)에는 보조하우징(H2)에 구비된 보조 회전기어(220-1)도 치합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노레일(100)에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되고 대피자에게 비상탈출을 위한 안전수단이 모두 착용된 상태에서, 대피자에 의해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의 레버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기어(271)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되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20)가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비상탈출장치(2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20)와 동일축에 축설된 종동기어(23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기어(220) 또는 종동기어(23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종동기어(230)에 치합된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에 배치된 감속피스(250)가 상기 감속기어(240) 또는 감속휠(24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피스(250)가 감속휠(241)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감속커버(260)의 내면에 접촉되어 감속휠(241)의 회전을 제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기어(220)가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서서히 회전하기 때문에 비상탈출장치(200)의 하강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노레일(100)이 고층건물의 2층 발코니 외벽 또는 화재대피공간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경우, 상기 비상탈출 장치(200)가 모노레일(100)의 하단부까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모노레일(100)의 하단부의 위치로부터 지면 또는 1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보조 모노레일(100-1)이 서서히 신장하게 되어 대피자가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편(210)은 자동으로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 하단부로 벗어난 상태를 가지게 되어 연속적으로 상기 모노레일(100)을 따라 하강하는 다른 대피자의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노레일(100)에 비상탈출장치(200)의 거치시, 상기 가이드기어(120)가 구비된 일면에 접촉되는 메인하우징(H1)의 일면에는 상호간의 마찰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상기 감속피스(250)와 감속커버(260)의 마찰 작용과 더불어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의 하강 속도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비상탈출장치(200)를 모노레일(100)에 거치하여 하강 중 위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크브레이크(270)의 레버 조작을 통하여 상기 비상탈출장치(200)의 하강 동작을 멈추고 안전지역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때, 상기 거치편(210)의 거치구(214)는 상기 삽탈홈(211)에 강제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30)으로부터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200)는 일정한 속도로 비상탈출장치(200)가 하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감속기어(240)의 회전에 따른 원 심력에 의해 감속피스(250)가 감속커버(260)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이 제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감속피스(250) 대신에 상기 감속기어(24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속기어(240)의 회전수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감속휠(241) 또는 감속커버(260)에 자기장에 따른 브레이크패드(미도시)를 접촉시키는 공지의 마그네틱제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마그네틱제동부재와 감지센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와 동작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모노레일(100)을 따라 외부인이 실내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노레일(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레일(100)의 일측면이나 고정부재(110) 등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센서나 적외선센서 등과 같은 센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재의 동작시 이에 대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수단과 건물의 외벽을 촬영하는 카메라수단이 연동되는 방범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방범시스템은 콘트롤박스(수신반)로부터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센서부재와 카메라수단의 동작을 정지하여 비상상황시 비상탈출장치(200)를 이용하여 하강 동작하는 대피자의 움직임을 외부인의 침입으로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설치된 모노레일(100)에 비상탈출장 치(200)를 거치하여 상기 비상탈출장치(200)가 모노레일(100)을 따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모노레일(100)에 복수개의 비상탈출장치(200)가 거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고정된 모노레일(100)을 따라 하강하는 비상탈출장치(200)를 통하여 대피자가 탈출하도록 하여 바람 등에 의해 대피자가 하강 중 이동하다 외벽의 설치 부재 등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100)이 고층건물의 최상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으부터 지상이나 2층 발코니 또는 화재대피공간까지 구비되고 일측에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와 연동하는 방범시스템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인이 상기 모노레일(100)을 따라 실내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화재대피공간에 구비된 상태에서 모노레일에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200)는 비교적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대피자가 힘이 약한 어린이나 여성 및 노약자인 경우 상기 비상탈출장치(200)를 직접 모노레일(100)에 보다 쉽게 거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하우징(H1)의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L)이 상기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근접한 위치까지 신장되거나 절첩되는 슬라이드봉(S)의 슬 라이드홈(S1)에 끼워진 채로 구비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상기 슬라이드봉(S)을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신장시키거나 절첩시킨 후 슬라이드홈(S1)으로부터 슬라이드블록(L)을 모노레일(100)을 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비상탈출장치(200)가 슬라이드홈(S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모노레일(100)에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봉(S)은 화재대피공간의 일측벽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탄성적으로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설치벽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진 후 상기 비상탈출장치(200)가 모노레일(100)에 거치된 다음에 원위치로 접혀지거나, 또는 상기 설치벽에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신장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200)가 모노레일(100)에 거치된 다음에 원위치로 압축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모노레일과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의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모노레일과 비상탈출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평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의 탈출 동작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가 화재대피공간에 구비된 상태에서 모노레일에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2)

  1. 메인하우징(H1)에 구비되어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하우징(H1)이 모노레일(100)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편(210);
    상기 거치편(210)이 상기 가이드홈(130)에 끼워지는 경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기어(220);
    상기 회전기어(220)와 동일축에 치합된 종동기어(230)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H1)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종동기어(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속기어(240);
    상기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감속피스(250); 및
    상기 감속휠(241)과 감속피스(250)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피스(250)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을 방지하는 감속커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220)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27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디스크브레이크(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외부 양측에는 손잡이(G)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안전벨트(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하측에 상기 메인하우징(H1)이 대피자의 가슴 높이 부위에 대응되도록 보조하우징(H2)이 연장되며,
    상기 보조하우징(H2)은,
    상기 거치편(210)이 모노레일(100)의 가이드홈(130)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모노레일(100)의 가이드기어(120)에 치합되어 상기 메인하우징(H1)의 회전기어(220) 회전시 상기 가이드기어(120)를 따라 회전되는 보조 회전기어(220-1)와;
    대피자의 대피시 대피자의 발 부위가 지지되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걸이(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210)은,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외부 양측부에 위치된 삽탈홈(211);
    상기 삽탈홈(211)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축(212);
    상기 가이드축(212)의 내부 중공에 끼워진 스프링(213)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탈홈(211)에 가이드축(212)을 따라 탄성적으로 삽탈되는 거치구(214); 및
    상기 가이드홈(130)에 상기 거치구(214)의 거치시 상기 가이드홈(130)의 벽을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롤러(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214)는,
    상기 가이드홈(130)에 보다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기어(120)가 형성된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부위를 지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거치구(214)가 삽탈홈(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214a);
    상기 경사면(214a)이 모노레일(100)의 모서리부위를 완전히 지났을 경우 상기 거치구(214)가 삽탈홈(211)으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홈(13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직면(214b); 및
    상기 스프링(213)의 압축 또는 신장시 상기 가이드축(212)이 삽탈 가이드되는 가이드공(2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240)는,
    상기 회전기어(22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감속휠(241)이 구성되고,
    상기 감속휠(241)에는 다수개의 구획돌기(242)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피스(250)는,
    상기 감속기어(240)의 감속휠(241)에 돌출된 구획돌기(242) 사이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20)가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복수개의 감속피스(250)가 상기 감속휠(241)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각각 상기 구획돌기(242)를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 상기 감속커버(260)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강한 마찰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피스(250) 대신에,
    상기 감속기어(24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속기어(240)의 회전수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감속휠(241) 또는 감속커버(240)에 자기장에 따른 브레이크패드(미도시)를 접촉시키는 마그네틱제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100)은,
    고층건물의 최상층 화재대피공간으로부터 지상 또는 2층 화재대피공간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대향되는 면에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기어(120)가 일체 또는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 재(110)와 가이드기어(120)가 구성되지 않은 양측면에 일정 깊이로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100)은,
    2층 화재대피공간에 높이까지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구비되는 경우,
    상기 모노레일(100)의 하단부에는 1층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보조 모노레일(100-1)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H1)의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L)이 상기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근접한 위치까지 신장되거나 절첩되는 슬라이드봉(S)의 슬라이드홈(S1)에 끼워진 채로 구비되어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상기 슬라이드봉(S)을 모노레일(100)을 향하여 신장시키거나 절첩시킨 후 슬라이드홈(S1)으로부터 슬라이드블록(L)을 모노레일(100)을 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블록(L)이 슬라이드홈(S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모노레일(100)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20090077251A 2009-08-20 2009-08-20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104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51A KR101040209B1 (ko) 2009-08-20 2009-08-20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51A KR101040209B1 (ko) 2009-08-20 2009-08-20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32A true KR20110019632A (ko) 2011-02-28
KR101040209B1 KR101040209B1 (ko) 2011-06-09

Family

ID=4377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51A KR101040209B1 (ko) 2009-08-20 2009-08-20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20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511A (zh) * 2013-11-16 2014-03-12 汪风珍 高层建筑逃生装置
CN108283764A (zh) * 2018-04-02 2018-07-17 彭方 环楼救援逃生装置
CN108452446A (zh) * 2018-03-15 2018-08-28 深圳市齐创美科技有限公司 一种高建筑物使用的火灾逃生装置
CN111529976A (zh) * 2020-04-17 2020-08-14 杨琳君 一种消防用逃生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98154B1 (ko) * 2021-03-17 2021-09-07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피난시설 시스템
KR102298795B1 (ko) * 2021-03-25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102298796B1 (ko) * 2021-03-22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장소 추적 시스템
KR102334812B1 (ko) * 2021-03-30 2021-12-07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 대피시스템
KR102371817B1 (ko) * 2021-04-26 2022-03-10 (주)비앤와이이엔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382271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393184B1 (ko) 2021-05-06 2022-05-02 (주)디딤돌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2393170B1 (ko) 2021-05-06 2022-05-02 (주)디딤돌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20230126379A (ko) * 2022-02-23 2023-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발판용 안전고리 장치 및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19B1 (ko) 2011-04-29 2012-11-09 (주)케이피엠 완강기
KR102224499B1 (ko) * 2019-03-29 2021-03-09 (주)디딤돌 승강안내부 이동형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2224501B1 (ko) * 2019-03-29 2021-03-09 (주)디딤돌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듀얼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145592B1 (ko) * 2019-06-24 2020-08-18 주식회사 디딤돌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004974B1 (ko) * 2019-03-29 2019-07-30 주식회사 디딤돌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349A (en) 1981-05-19 1983-09-27 Andrew Vilchek Escape apparatus
AR225874A1 (es) 1982-02-23 1982-04-30 Fontan Nestor R Un aparato para evacuar personas de edificios de gran altura en estado de emergencia
US4828072A (en) 1986-11-14 1989-05-09 Ho I Chung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511A (zh) * 2013-11-16 2014-03-12 汪风珍 高层建筑逃生装置
CN108452446A (zh) * 2018-03-15 2018-08-28 深圳市齐创美科技有限公司 一种高建筑物使用的火灾逃生装置
CN108452446B (zh) * 2018-03-15 2020-11-03 泉州台商投资区润通商贸有限公司 一种高建筑物使用的火灾逃生装置
CN108283764A (zh) * 2018-04-02 2018-07-17 彭方 环楼救援逃生装置
CN111529976B (zh) * 2020-04-17 2021-11-02 烟台隆泰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用逃生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529976A (zh) * 2020-04-17 2020-08-14 杨琳君 一种消防用逃生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98154B1 (ko) * 2021-03-17 2021-09-07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피난시설 시스템
KR102298796B1 (ko) * 2021-03-22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장소 추적 시스템
KR102298795B1 (ko) * 2021-03-25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102334812B1 (ko) * 2021-03-30 2021-12-07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 대피시스템
KR102382271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371817B1 (ko) * 2021-04-26 2022-03-10 (주)비앤와이이엔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393184B1 (ko) 2021-05-06 2022-05-02 (주)디딤돌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2393170B1 (ko) 2021-05-06 2022-05-02 (주)디딤돌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20230126379A (ko) * 2022-02-23 2023-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발판용 안전고리 장치 및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209B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JP5823570B2 (ja) 非常脱出装置
KR20110005130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US10065053B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US20080314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Evacuating an Individual During an Emergency From a Tall Structure
US4828072A (en)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CA1187458A (en) Device to evacuate people from very high buildings in state of emergency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200375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2095868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US4919231A (en) Device with a lifeline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20100112981A (ko) 완강기
US20190255365A1 (en)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JP3129440U (ja) 避難装置
KR102004974B1 (ko)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346396Y1 (ko) 완강기
WO2013009076A2 (ko) 비상탈출장치
JP2011125648A (ja) 緊急避難用降下装置
KR102592783B1 (ko) 대피시설용 완강장치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