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80B1 - 반좌식 벨트 - Google Patents

반좌식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380B1
KR101375380B1 KR1020120034508A KR20120034508A KR101375380B1 KR 101375380 B1 KR101375380 B1 KR 101375380B1 KR 1020120034508 A KR1020120034508 A KR 1020120034508A KR 20120034508 A KR20120034508 A KR 20120034508A KR 101375380 B1 KR101375380 B1 KR 10137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orker
support band
semi
mai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264A (ko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김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현 filed Critical 김진현
Priority to KR102012003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3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좌식 벨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서 일하는 작업자의 허리와 엉덩이를 받쳐서 작업자의 다리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줄 수 있는 반좌식 벨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좌식 벨트는 고정대와, 지탱밴드와, 주벨트와, 보조벨트와,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는 작업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며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탱밴드는 상기 고정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주벨트는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서 상기 허리를 지지한다. 상기 보조벨트는 상기 주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둔부를 감싸서 상기 둔부를 지지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주벨트를 상기 지탱밴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서서 작업하더라도 작업자의 체중을 고정대로 전달시킬 수 있는 반좌식 벨트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다리에 모든 체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작업자의 다리가 쉽게 피곤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좌식 벨트{Sit-down type belt}
본 발명은 반좌식 벨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서 일하는 작업자의 허리와 둔부를 받쳐서 작업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줄 수 있는 반좌식 벨트에 대한 것이다.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종에서 일하는 작업자는 보통 하루종일 서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작업자의 몸무게가 모두 다리에 작용하므로 다리에 무리를 일으킨다. 이로 인하여 노동부의 통계에 따르면 하루 일과를 서서 일하는 작업자 중 74.6%는 근육통, 65.9%는 무릎 및 관절 질환, 58.4%는 요통이나 디스크 질환, 47.4%는 하지정맥류 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하루종일 서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다리에 온몸의 하중이 전달되므로 쉽게 피로를 느끼고 다리에 질환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서 일하는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서 다리에 무리한 하중이 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반좌식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좌식 벨트는 고정대와, 지탱밴드와, 주벨트와, 보조벨트와,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는 작업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며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탱밴드는 상기 고정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주벨트는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서 상기 허리를 지지한다. 상기 보조벨트는 상기 주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둔부를 감싸서 상기 둔부를 지지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주벨트를 상기 지탱밴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준다.
또한, 상기의 반좌식 벨트는 조절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누르면 상기 지탱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탱밴드가 감기는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반좌식 벨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벨트는 일단은 상기 주벨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주벨트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서서 작업하더라도 작업자의 체중을 고정대로 전달시킬 수 있는 반좌식 벨트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다리에 모든 체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작업자의 다리가 쉽게 피곤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좌식 벨트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좌식 벨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좌식 벨트의 일 실시예는 고정대(1)와, 지탱밴드(3)와, 주벨트(5)와, 보조벨트(7)와, 연결수단(9)과, 권취수단(11)을 포함한다.
고정대(1)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대(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된다. 지탱밴드(3)는 작업자의 체중을 고정대(1)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탱밴드(3)는 일단이 고정대(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고정대(1)에 결합된다. 즉 지탱밴드(3)는 자유롭게 고정대(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주벨트(5)는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서 허리를 지지한다. 주벨트(5)는 작업자의 허리에서 탈착가능하다.
보조벨트(7)는 주벨트(5)에 연결되며, 작업자의 둔부를 감싸서 둔부를 지지한다. 즉 보조벨트(7)는 작업자의 앞쪽에서 주벨트(5)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둔부를 감싼다. 이때 보조벨트(7)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보조벨트(7)는 주벨트(5)에 결합시 일단은 주벨트(5)에 고정결합되지만 타단은 보조벨트(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주벨트(5)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주벨트(5)에 한 쌍의 조절편(5a, 5b)이 설치되며, 보조벨트(7)의 타단이 한 쌍의 조절편(5a, 5b)에 끼워져서 주벨트(5)에 고정된다. 보조벨트(7)의 타단을 조절편(5a, 5b)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조벨트(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조벨트(7)의 길이를 늘이면 둔부를 지지하는 주벨트(5)와 보조벨트(7)의 간격이 넓어지며, 보조벨트(7)의 길이를 줄이면 둔부를 지지하는 주벨트(5)와 보조벨트(7)의 간격이 좁아진다. 그래서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서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조벨트(7)에는 고리(15)가 형성되어 조절편(5a, 5b)을 통과한 보조벨트(7)의 타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보조벨트(7)의 타단이 보조벨트(7)에서 벗어나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연결수단(9)은 주벨트(5)를 지탱밴드(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수단(9)은 일단은 주벨트(5)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크 고리로 형성되어 지탱밴드(3)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권취수단(11)은 지탱밴드(3)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탱밴드(3)는 권취수단(1)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권취수단(11)의 조절버튼(12)을 누르면 지탱밴드(3)가 권취수단(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권취수단(11)의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조절버튼(12)을 누르면 지탱밴드(3)는 권취수단(11)에 자동으로 감긴다. 그러나 작업자가 조절버튼(12)을 누른 상태에서 스프링 보다 큰 힘으로 지탱밴드(3)를 땡기면 지탱밴드(3)가 풀린다. 따라서 작업자는 권취수단(11)의 조절버튼(12)을 눌러서 지탱밴드(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가 서서 작업시 주벨트(5)와 보조벨트(7)를 허리와 둔부에 착용한 후 연결수단(9)을 지탱밴드(3)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권취수단(11)의 조절버튼(12)을 눌러서 지탱밴드(3)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약간 비스듬하게 서있으면 작업자의 체중의 일부가 지탱밴드(3)를 통하여 고정대(1)에 전달된다. 즉 작업자의 다리에 전달되는 하중이 감소된다. 그래서 장시간 서 있더라도 다리에 무리를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조절편(5a, 5b)를 따라 보조벨트(7)의 타단을 이동시키면서 보조벨트(7)의 길이를 조절하면 작업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보조벨트(7)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1 : 고정대 3 : 지탱밴드
5 : 주벨트 5a, 5b : 조절편
7 : 보조벨트 9 : 연결수단
11 : 권취수단 12 : 조절버튼
15 : 고리 20 : 작업대

Claims (3)

  1. 작업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된 봉형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지탱밴드와,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서 상기 허리를 지지하는 주벨트와,
    상기 주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둔부를 감싸서 상기 둔부를 지지하는 보조벨트와,
    상기 주벨트를 상기 지탱밴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좌식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누르면 상기 지탱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탱밴드가 감기는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좌식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벨트는 일단은 상기 주벨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주벨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좌식 벨트.
KR1020120034508A 2012-04-03 2012-04-03 반좌식 벨트 KR101375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08A KR101375380B1 (ko) 2012-04-03 2012-04-03 반좌식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08A KR101375380B1 (ko) 2012-04-03 2012-04-03 반좌식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64A KR20130112264A (ko) 2013-10-14
KR101375380B1 true KR101375380B1 (ko) 2014-03-17

Family

ID=4963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508A KR101375380B1 (ko) 2012-04-03 2012-04-03 반좌식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91B1 (ko) * 2021-06-25 2023-09-19 한국전력공사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85B2 (ja) * 1991-08-01 2001-06-18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安全ベルト
KR100845340B1 (ko) * 2007-02-07 2008-07-10 정채균 완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85B2 (ja) * 1991-08-01 2001-06-18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安全ベルト
KR100845340B1 (ko) * 2007-02-07 2008-07-10 정채균 완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64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495B1 (en) Hamstring brace
KR101727502B1 (ko) 착용의자
ES2138329T3 (es) Arnes de seguridad.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MX2018003111A (es) Pantalones con pretina de proteccion de cintura.
KR101375380B1 (ko) 반좌식 벨트
KR20130029978A (ko)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된 아기띠
WO2009148225A3 (ko) 자세교정용 벨트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CN202580541U (zh) 摄像机固定装置
KR20160025899A (ko)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CN206963359U (zh) 一种可平衡负重的割灌机背负架
KR101710380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168893B1 (ko) 작업용 목보호대
KR20180028422A (ko) 작업용 의자
JP2012152366A (ja) 作業補助具
GB249891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earable supports
KR200470822Y1 (ko) 다기능 허리 보정기
KR20140066951A (ko) 가방의 어깨 너비 조절장치
KR20110080787A (ko)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KR200484108Y1 (ko) 아기띠
KR20190059743A (ko) 자세교정 조끼 및 등 부착 보조 띠
KR102294679B1 (ko) 작업용 의자
CN204071280U (zh) 一种桌用吊床
KR102294683B1 (ko) 작업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