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856A -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856A KR20160125856A KR1020150062007A KR20150062007A KR20160125856A KR 20160125856 A KR20160125856 A KR 20160125856A KR 1020150062007 A KR1020150062007 A KR 1020150062007A KR 20150062007 A KR20150062007 A KR 20150062007A KR 20160125856 A KR20160125856 A KR 201601258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chair
- chair body
- diagonal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벨트의 내구성을 높이고, 벨트가 대퇴부의 측면을 감싸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성 및 이동성이 우수한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와, 의자 몸체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와, 의자 몸체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허리 벨트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 및, 의자 몸체에 결속된 대각 벨트 단부와 허리 벨트 단부에 터짐을 방지하기 위한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진다.
또한 상기의 대각 벨트는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도록 대퇴부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허리 벨트 측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의자 몸체와 결속되는 착용 벨트(허리 벨트, 대각 벨트)의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어져 장시간 사용시에도 착용 벨트의 단부가 터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각 벨트에 의해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작업 중에 일어섰다 앉았다 하더라도 의자 몸체가 볼기 위로 끌려 올라가지 않고 궁둥이에 위치함으로써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꺾임수단이 대각 벨트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꺾임수단이 놓인 위치에 따라 대각 벨트가 꺾이게 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꺾임부의 위치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신체 사이즈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와, 의자 몸체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와, 의자 몸체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허리 벨트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 및, 의자 몸체에 결속된 대각 벨트 단부와 허리 벨트 단부에 터짐을 방지하기 위한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진다.
또한 상기의 대각 벨트는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도록 대퇴부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허리 벨트 측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의자 몸체와 결속되는 착용 벨트(허리 벨트, 대각 벨트)의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어져 장시간 사용시에도 착용 벨트의 단부가 터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각 벨트에 의해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작업 중에 일어섰다 앉았다 하더라도 의자 몸체가 볼기 위로 끌려 올라가지 않고 궁둥이에 위치함으로써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꺾임수단이 대각 벨트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꺾임수단이 놓인 위치에 따라 대각 벨트가 꺾이게 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꺾임부의 위치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신체 사이즈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 벨트의 내구성을 높이고, 벨트가 대퇴부의 측면을 감싸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의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성 및 이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용 벨트의 교체가 가능한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경우 허리와 무릎에 큰 부담이 된다.
쪼그려 앉는 동작은 뒤쪽에서 척추를 지탱해주고 허리를 세워주는 근육인 신전근에 매우 좋지 않은 자세로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휘는 요부변성 후만증이나 디스크가 과중한 압력을 받아 뒤로 밀리면서 허리디스크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무릎을 굽혀 오랜 시간 쪼그린 자세를 유지하면 연골 내 퇴행성 변화로 나이가 들어 무릎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중에 휴대하여 깔고 앉을 수 있는 작업용 의자가 보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8190호(2006. 10. 17. 공개)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상면 후방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시트와; 하부에 상기 힌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암수의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와;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시트의 측면부에 착탈되는 한쌍의 탄력을 가진 시트지지밴드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착탈되는 등받이 고정끈과; 상기 시트의 전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는 중앙끈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의자를 일일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뿐 아니라, 착용한 상태로 쉽게 앉고 일어설 수 있고, 휴식시 등받이를 고정하여 작업중 등받이에 기대서 휴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작업용 의자는 등받이 구성과 시트 구성이 힌지 구성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작업중 상체를 숙이거나 몸통을 좌우로 움직일 경우 상체가 좌우 회동이 불가한 등받이 구성에 묶여 있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힌지 구조의 체결구조가 느슨해질 경우에는 시트를 잡아주기 위한 허리벨트 구성과 시트지지밴드 구성이 모두 등받이 구성에 결속되어 있어 궁둥이와 시트 간의 밀착력이 떨어짐에 따라 일어섰다 앉을 때 매번 시트가 궁둥이 하부에 정위치하도록 잡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작업용 의자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소모품으로 구입하기에는 농촌일용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3763호(2014. 4. 9. 공고)는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허리에 둘러매기 위한 허리띠가 마련되고 엉덩이 부분에 위치하는 방석의자와, 허벅다리에 둘러매기 위한 체결밴드가 마련되고 쪼그려 앉았을 때 종아리와 맞닿아 무릎관절의 부담을 경감하는 삼각쿠션과, 상기 삼각쿠션과 상기 방석의자를 일체로 연결하여 바닥에 앉을 때 상기 방석의자가 엉덩이에 밀착되게 당겨 잡아주는 연결밴드 및,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오리걸음으로 이동시 상기 삼각쿠션이 외측으로 벌어지더라도 원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삼각쿠션 상부 내측과 상기 방석의자 하부 중간에 결속된 탄성밴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방석의자와 삼각쿠션에 의해 바닥에 앉거나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무릎관절의 보호 및 하체근육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고, 방석의자와 삼각쿠션이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착용 및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종래 발명은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무릎관절의 보호 및 하체근육의 피로 경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보급에 어려움이 있었는바, 본 발명에서는 구성의 단순화로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누구나 경제적 부담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궁둥이와 의자 몸체 간의 밀착력을 높여 일어섰다가 앉았을 때 의자 몸체가 정위치하도록 하는 등 선등록 발명의 착용성과 이동성을 더욱 개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용 벨트의 내구성을 높이고, 벨트가 대퇴부의 측면을 감싸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성 및 이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용 벨트의 교체가 가능한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와, 의자 몸체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와, 의자 몸체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허리 벨트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 및, 대각 벨트와 허리 벨트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체결수단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대각 벨트는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도록 대퇴부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허리 벨트 측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꺾임수단은 꺾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대각 벨트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의자 몸체로부터 허리 밸트와 대각 밸트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강 패드 단부에 수단추가 부착되고, 의자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에 수단추에 대응하는 암단추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의자 몸체로부터 허리 벨트와 대각 밸트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강 패드 단부에 후크가 부착되고, 의자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에 후크에 대응하는 체결고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몸체와 결속되는 착용 벨트(허리 벨트, 대각 벨트)의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어져 장시간 사용시에도 착용 벨트의 단부가 터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대각 벨트에 의해 의자 몸체가 궁둥이(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작업 중에 일어섰다 앉았다 하더라도 의자 몸체가 궁둥이 위로 끌려 올라가지 않고 궁둥이에 위치함으로써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꺾임수단이 대각 벨트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꺾임수단이 놓인 위치에 따라 대각 벨트가 꺾이게 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꺾임부의 위치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신체 사이즈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 벨트 또는 대각 벨트의 신축성이 떨어지거나 낡아 해진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꺾임수단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꺾임수단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벨트 탈부착 수단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벨트 탈부착 수단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꺾임수단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꺾임수단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벨트 탈부착 수단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벨트 탈부착 수단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크게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10)와, 의자 몸체(10)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20)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30)와, 의자 몸체(10)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10)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허리 벨트(30)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40) 및, 의자 몸체(10)에 결속된 대각 벨트(40) 단부와 허리 벨트(30) 단부에 터짐을 방지하기 위한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50)가 덧대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의자 몸체(10)는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작업할 시 바닥에 깔고 앉을 수 있는 구성으로, 스티로폼 등의 쿠션재에 커버를 씌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스티로폼 등의 쿠션재가 파손되거나 하중에 의해 찌그러진 경우에 시티로폼 등의 쿠션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지퍼가 마련된다.
허리 벨트(30)는 의자 몸체(10)를 허리에 착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의자 몸체(10)가 볼기에 위치하도록 의자 몸체(10)의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20)이 마련되며, 허리 사이즈에 따른 길이 조절이 불필요하도록 신축 재질로 이루어진다.
대각 벨트(40)는 허리 벨트(30)에 매달려 볼기에 위치한 의자 몸체(10)를 궁둥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의자 몸체(10)의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10) 하측을 대각 방향으로 당겨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신축 재질로 이루어지고 허리 벨트(30)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궁둥이는 살이 불룩한 볼기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을 의미한다.
보강 패드(50)는 의자 몸체(10)에 결속된 대각 벨트(40)의 단부와 허리 벨트(30) 단부에 덧대어 일체로 의자 몸체(10)에 결속되는 구성으로, 비신축 재질인 합성수지 피혁이나 인조 피혁 등으로 이루어져 결속부분의 벨트가 늘어나지 않도록 한다.
즉, 대각 벨트(40)의 단부와 허리 벨트(30)의 단부는 의자 몸체(10)의 커버 내측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재봉틀로 박음질되게 되는데, 신축 재질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박음질 부분이 늘어나 뜯어져 갈라지는 등 터지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의자 몸체(10)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허리 벨트(30)와 대각 벨트(40)가 각 연장 형성되고, 대각 벨트(40)가 허리 벨트(30)의 단부에 연결되어 허리 벨트(30)를 체결하거나 푸는 동작만으로 작업용 의자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벨트(30)에 매달려 볼기에 위치한 의자 몸체(10)는 의자 몸체(10)의 하측에 결속되고 대각 방향으로 허리 벨트(30)의 단부에 연결된 대각 벨트(40)에 의해 몸쪽으로 당겨져 볼기와 허벅지 사이의 경사면인 궁둥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 중에 일어섰다 앉았다 하더라도 의자 몸체(10)가 궁둥이 위로 끌려 올라가지 않고 궁둥이에 위치함으로써 이동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대각 벨트(40)의 단부와 허리 벨트(30)의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50)가 덧대져 의자 몸체(10)에 일체로 결속됨에 따라 결속 부분의 대각 벨트(40)와 허리 벨트(30)가 늘어나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에도 뜯어져 갈라지지 않는 등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체결수단(20)은 벨크로(찍찍이)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허리 벨트(30)의 체결수단(20)은 벨크로의 구성되어 작업자는 벨크로를 떼고 붙이는 동작만으로 작업용 의자를 착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벨크로는 버클 등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의 대각 벨트(40)는 의자 몸체(10)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도록 대퇴부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허리 벨트(30) 측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대각 벨트(40)는 꺾임수단(60)에 의해 대퇴부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과 그로부터 허리 벨트(30)의 단부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의자 몸체(10)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궁둥이 부분에 의자 몸체(10)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일어섰다 앉았다 하더라도 의자 몸체(10)가 볼기 위로 끌려 올라가지 않고 궁둥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꺾임수단(60)에 의해 의자 몸체(10)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고 그 상태에서 대각방향으로 당겨져 의자 몸체(10)가 궁둥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꺾임수단(60)은 대각 벨트(40)를 의자 몸체(10)에서 수평상태로 일부 유지시키고 그로부터 허리 벨트(30) 단부로 상향 경사지도록 대각 벨트(40)의 상측이 일부 겹치도록 접어 재봉틀로 박임질함으로써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꺾임수단(60)은 꺾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대각 벨트(4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꺾임수단(60)은 일측단이 상방향으로 꺾인 케이싱으로, 일정 폭을 갖는 대각 벨트(4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각 벨트(40) 상에서 꺾임수단(60)이 놓인 위치에 따라 대각 벨트(40)가 꺾이게 되어 작업자가 자신에 맞게 끔 꺾임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의자 몸체(10)로부터 꺾임수단(60)을 멀리할수록 대퇴부의 측면을 더욱 감싸게 되고 그로부터 대각 벨트(40)가 허리 벨트(40) 단부로 상향 경사지게 된다.
여기서, 꺾임수단(60)은 단단한 재질보다는 대퇴부의 측면과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나 합성피혁 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허리 벨트(30) 또는 대각 벨트(40)의 신축성이 떨어지거나 낡아 해진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벨트 탈부착 수단이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벨트 탈부착 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몸체(10)로부터 허리 밸트(30)와 대각 밸트(40)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강 패드(50) 단부에 수단추(71)가 부착되고, 의자 몸체(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73)에 수단추(71)에 대응하는 암단추(72)가 부착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벨트 탈부착 수단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몸체(10)로부터 허리 벨트(30)와 대각 밸트(40)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강 패드(50) 단부에 후크(81)가 부착되고, 의자 몸체(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73)에 후크(81)에 대응하는 체결고리(82)가 부착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수단추(71)와 암단추(72)는 요철이 형성된 금속성 단추로 수단추(71)와 암단추(72)를 맞대고 눌러 맞물림으로써 허리 벨트(30)와 대각 벨트(40)를 의자 몸체(1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벨트(30)와 대각 벨트(40)의 보강 패드(50) 단부에 부착된 후크(81)를 의자 몸체(10) 측의 체결고리(82)에 걸어 허리 벨트(30)와 대각 벨트(40)를 의자 몸체(10)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허리 벨트(30)나 대각 벨트(40)의 신축성이 떨어지거나 낡아 해어진 경우에는 탈부착 수단을 통해 의자 몸체(10)로부터 허리 벨트(30)나 대각 벨트(4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의자 몸체
20: 체결수단
30: 허리 벨트
40: 대각 벨트
50: 보강 패드
60: 꺾임수단
71: 수단추
72: 암단추
73: 연장패드
81: 후크
82: 체결고리
20: 체결수단
30: 허리 벨트
40: 대각 벨트
50: 보강 패드
60: 꺾임수단
71: 수단추
72: 암단추
73: 연장패드
81: 후크
82: 체결고리
Claims (6)
-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와,
상기 의자 몸체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와,
상기 의자 몸체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허리 벨트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 및,
상기 대각 벨트와 상기 허리 벨트 단부에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가 덧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벨트는 상기 의자 몸체가 궁둥이에 더욱 밀착되도록 대퇴부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허리 벨트 측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수단은 꺾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대각 벨트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몸체로부터 상기 허리 밸트와 상기 대각 밸트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패드 단부에 수단추가 부착되고, 상기 의자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에 상기 수단추에 대응하는 암단추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몸체로부터 상기 허리 벨트와 상기 대각 밸트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패드 단부에 후크가 부착되고, 상기 의자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패드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체결고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5803 | 2015-04-21 | ||
KR20150055803 | 2015-04-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856A true KR20160125856A (ko) | 2016-11-01 |
Family
ID=5748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007A KR20160125856A (ko) | 2015-04-21 | 2015-04-30 |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585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700009235A1 (it) * | 2017-01-27 | 2018-07-27 | Miriam Santin | Seduta da lavoro portatile per operare sul suolo. |
WO2019124683A1 (ko) * | 2017-12-24 | 2019-06-27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KR20190094840A (ko) | 2018-02-06 | 2019-08-14 | 주식회사케이백 |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
KR102294683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KR102294679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2007A patent/KR201601258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700009235A1 (it) * | 2017-01-27 | 2018-07-27 | Miriam Santin | Seduta da lavoro portatile per operare sul suolo. |
WO2019124683A1 (ko) * | 2017-12-24 | 2019-06-27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CN111601528A (zh) * | 2017-12-24 | 2020-08-28 | 清谷田园有限公司 | 工作椅 |
US11304529B2 (en) | 2017-12-24 | 2022-04-19 | Edenview Co., Ltd | Work chair |
CN111601528B (zh) * | 2017-12-24 | 2023-04-04 | 清谷田园有限公司 | 工作椅 |
KR20190094840A (ko) | 2018-02-06 | 2019-08-14 | 주식회사케이백 |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
KR102294683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KR102294679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813013U (zh) | 臀部座椅支座装置 | |
KR20160125856A (ko) |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
KR101493031B1 (ko) | 힙 시트 캐리어 | |
KR101989880B1 (ko) | 유아용 캐리어 | |
US10881082B2 (en) | Animal back support apparatus | |
US20170258238A1 (en) | Knee pillow | |
US6807697B2 (en) | Postural pillow | |
KR20100068410A (ko) | 조절가능한 등 지지 장치 | |
KR20120032800A (ko) | 아기띠 | |
US20150121600A1 (en) | Knee support | |
KR101383763B1 (ko) |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 |
KR101955475B1 (ko) |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
KR101562177B1 (ko) |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 |
KR20160035495A (ko) | 아기띠 | |
JP7365057B2 (ja) | 姿勢矯正サポーター | |
KR200472601Y1 (ko) |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 |
KR200486269Y1 (ko) |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 |
KR101955476B1 (ko) |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 |
EP2943167B1 (en) | Back support | |
KR200473921Y1 (ko) | 유아용 아기띠 | |
JP2018102344A (ja) | 股関節サポーター | |
KR20130002650U (ko) | 자세교정용 밴드 | |
JP3022290U (ja) | 膝当て及びこれを用いた膝サポーター | |
WO2024004612A1 (ja) | 動作補助装置 | |
JP2006102455A (ja) | 支持部材を備えた補装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