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800A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800A
KR20120032800A KR1020100094333A KR20100094333A KR20120032800A KR 20120032800 A KR20120032800 A KR 20120032800A KR 1020100094333 A KR1020100094333 A KR 1020100094333A KR 20100094333 A KR20100094333 A KR 20100094333A KR 20120032800 A KR20120032800 A KR 2012003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aby
coupled
support
should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102010009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800A/ko
Publication of KR2012003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부의 양측 하부날개에 부착되어 있는 링을 통과하여 고정되어 있는 지지띠의 일 단을 어깨벨트의 일단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띠의 타 단을 상기 어깨벨트의 타 단과 체결수단으로 결합하게 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아기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 어깨벨트와 지지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띠에 업힌 유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리개방부를 조이면서도, 유아와 띠 자체를 보호자에게 밀착시키는 조작을 동시에 그리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본 발명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를 앞이나 뒤로 업는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유아를 보호자의 몸에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운반용 띠가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조일 수 있으며, 유아의 연약한 목과 머리를 보호하는 방법이 보다 편리하게 달성되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대기는 보호자와 아기를 동시에 감쌀수 있는 크기의 덮개에 결속끈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아기의 안전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호자와 아기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포대기가 다수 안출되었다.
최근에는 등판의 하부에 엉덩이받침부가 형성되고, 측부에 암수 홀더로 결속되는 어깨벨트가 형성된 포대기를 제공하여, 경험이 없는 보호자도 손쉽게 아기를 업을 수 있고,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5773호는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어깨벨트가 형성된 포대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풍성을 갖는 등받이; 등받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 일단은 등받이의 양 측부에 장착되고, 타단은 엉덩이 받침의 양 측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 및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판을 포함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11232호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베이비 밴드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는 머리부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본체와, 상기 머리부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경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현수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현수 보드를 거쳐서 상기 머리부 지지부의 상기 폭방향 양측이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문헌에서는, 예를 들어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허벅지 안쪽과 그 둘레 부분이 다리 개방부와 접촉한다. 허벅지 안쪽 또는 그 둘레 부분 사이의 간격은 엉덩이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다. 다리 개방부의 폭이 뒤로 돌린 자세 받침과 앞으로 돌린 자세 받침 양쪽에서 동일하다면 다리 개방부는 아기의 허벅지 안쪽을 압박하여 아기에게 불편한 느낌을 줄 것이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리 개방부의 폭을 조절하는 몇 가지 구조들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제안된 구조는 다리 개방부에 부착된 체결구를 포함하며, 체결구는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다리 개방부의 폭을 좁힌다. 다른 구조는 다리 개방부의 안쪽에 배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완충 부재의 유연성이 다리 개방부로부터 아기의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제안에도 불구하고, 유아가 편한 상태에서 업힐 수 있도록 다리 개방부를 조절하는 것이 여전히 어려웠고, 또한 유아가 띠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면서도 업는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에는, 체결을 위한 스트랩이 너무 많고 그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기띠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보호자가 이용 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아가 안정적이고 편한 자세로 보호자에게 업힐 수 있으며, 유아의 연약한 목과 머리를 보호하는 방법이 보다 편리하게 달성되는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는, 등받이부의 양측 날개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를 통과하여 고정되어 있는 지지띠의 일 단을 어깨벨트의 일단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띠의 타 단을 상기 어깨벨트의 타 단과 체결수단으로 결합하게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를 마련하여, 목지지부를 접는 경우 체결수단의 위치가 상호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현수되는 아기띠로서, 유아의 몸통이 죄우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날개에 마련된 링, 상기 링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그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의 일 단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1체결수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띠 및,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의 타 단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에 대응하여 결합 되는 제2체결수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띠로 구성되며, 상기 링은 사각형, D-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현수되는 아기띠로서, 유아의 몸통이 좌우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날개와 어깨벨트의 일 단에 각각의 양 단이 결합 되는 연결띠, 일 단은 상기 하부날개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제1체결수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띠 및,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의 타 단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에 대응하여 결합 되는 제2체결수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띠로 구성되며,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어깨벨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목지지부와 앵커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는 "日"자형 체결부재 및 띠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벨트에는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띠(웨빙)가 더 포함되고, 상기 띠(웨빙) 및 어깨벨트에는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재봉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의 상부날개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일면에 상기 상부날개가 결합 될 수 있고, 그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에 결합 될 수 있는 상단 지지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날개에는 고정용띠 및 한 쌍의 스냅이 마련되고, 상기 상단 지지띠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용띠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용 스트립이, 일 단에는 상기 어깨벨트에 결합하는데 이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단 지지띠 연장끈(웨빙) 및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를 접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스냅 중 일 방의 스냅에 대응하여 결합 될 수 있는 위치에 스냅이 마련되어, 상기 접힌 목지지부가 상기 스냅들의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에 결합 될 수 있는 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스냅을 통하여 상기 목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고 걸고리와 링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어깨벨트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 어깨벨트와 지지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띠에 업힌 유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리개방부를 조이면서도, 유아와 띠 자체를 보호자에게 밀착시키는 조작을 동시에 그리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를 통하여 체결수단 상호 간에 동일한 높이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아기띠의 목지지부가 접혀진 채로 사용될 때에도 유아가 편한한 상태로 업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지지부를 간편하게 접고 펼수 있도록 하여 연약한 유아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더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유아가 팔을 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아기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아기띠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등받이부를 헐겁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와 고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와 어깨벨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가 조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목지지부도 어깨벨트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를 늘여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목지지부와 등받이부가 조여져서 체결된 채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띠와 연결띠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를 도시한 확대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다른 실시예로서 목지지부를 모두 펼치거나 접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를 이동시켜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단 지지띠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상단 지지띠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17은 도 16의 상단 지지띠가 상부날개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한 쌍의 상단 지지띠가 상부날개 및 어깨벨트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9 내지 도 19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목지지부가 접힌 상태 또는 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아기띠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드가 아기띠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등받이부를 헐겁게 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와 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와 어깨벨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띠가 조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목지지부도 어깨벨트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는, 띠 본체로서, 목지지부(110), 등받이부(113), 엉덩이받침부(115), 연결부(117), 어깨벨트(119)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부(117)의 일 면에는 허리벨트(131)가 봉제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17)는 엉덩이받침부(115)와 어깨벨트(119)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상기 어깨벨트(119)는 일 단에 추가적으로 제2지지띠(2118)를 연결하고 그 단부에 체결수단(171)을 마련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131)는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는 방법으로 아기띠(100)의 현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17)의 내부에는 별도의 패드(도시하지 않음)를 충진함으로써, 유아가 업혔을 때 쿠션감을 증대시켜 불편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중앙을 더 불룩하게 함으로써 다리의 벌어지는 각도를 줄일 수도 있다.
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에 의해 업혔을 때, 팔 및 다리가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팔 개방부(121) 및 다리 개방부(123)이 형성되며, 반대로 유아의 몸통 및 목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날개(141, 143)가 갖추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날개(141, 143)는 유아가 업혔을 때 몸이 좌우로 빠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형태상 등받이부(113)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개방부(121, 123)가 형성되게 되므로 팔이나 다리의 동작에 방해가 적고 유아가 업혔을 때 과도하게 다리가 벌어지거나 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어깨벨트(119) 또는 날개(141, 143)는 일반적으로 한 쌍이다.
그리고 상기 목지지부(110), 등받이부(113), 엉덩이받침부(115), 연결부(117) 및 어깨벨트(119)에 이르는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는 하부날개(143)에 링(151)을 마련하고, 상기 링(151)을 관통하는 제1지지띠(118)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지지띠(118)의 일 단은 어깨벨트(119)의 일 단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도면 부호 161, 봉제위치 참조), 또한 상기 제1지지띠(118)의 타 단은 제1체결수단(173)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1지지띠(118)의 일 단이 고정되는 어깨벨트(119)의 일 단과 상기 연결부(117)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을 업라이트 가드(119′)라 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띠(2118)의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119)의 타 단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173)에 대응하여 결합 되는 제2체결수단(17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체결수단(171, 173)은 착탈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링(151)은 사각형, D-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날개(143)에 띠를 연결하여 재봉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수단(171, 173, 175, 177)을 상호 결합시키고 그에 연결된 지지띠를 조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와 같은 아기띠(100)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도 9와 같이 헐겁게 하여 유아를 앉힐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도 10과 같이 조여서 체결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처럼 링(151)을 관통하는 제1지지띠(118)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고, 하부날개(143)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결합고정되는 제1지지띠(118′)와 별개의 연결띠(191)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띠(118′)의 타 단이 제1체결수단(173)에 연결되는 방식이나 제2지지띠(2118′)가 상기 어깨벨트(119)의 타 단 및 제2체결수단(171)에 연결되는 방식은 이전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연결띠(191)는 하부날개(143) 및 어깨벨트(119)의 일 단에 각각의 양 단이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띠(191)는, 유아를 아기띠(100)에 앉히는 동작 중에 체결수단(171, 173)이 서로 분리되어도 목지지부(110)나 등받이부(113)가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아기띠(100)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도 12는 상기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응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19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앵커(193)는 체결부재(201)와 띠(203)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193)는 예를 들면 어깨벨트(119)에 감겨지는 형태로 부가시키고, 연장되는 띠(203)를 통해 체결수단(175)이 연결된다.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日"자형 체결부재(201)(중앙을 가로지르는 바(bar)는 체결부재(201)와 연결되는 띠(웨빙)(196)에 덮혀 보이지 않는다)를 사용하여 어깨벨트(119) 위에 같은 방향으로 결합 되어 있는 띠(웨빙)(196)와 연결 시키면 앵커(193)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201)는 띠(웨빙)(196)를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201)를 횡으로 통과하고 체결수단(175)의 일단이 결합 되는 또 다른 띠(203)가 어깨벨트(119)를 감고 있으므로 고정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193)는 어깨벨트(119)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데, 특히 재봉선(195)을 마련하면 슬라이딩하는 저점 또는 고점에서의 턱 역할을 하게 하여 앵커(193)가 해당위치에서 더 미끄러지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의 구조 중,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특징들에 대하여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서로 바라보는 자세에서 앞으로 업기 위하여는, 어깨벨트(119)와 지지띠(118, 2118)를 체결수단(171, 173)에 의하여 결합한 뒤 보호자의 어깨에 걸치고, 목지지부(110) 또는 등받이부(113)를 헐겁게 하여 도 4 또는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개방하고, 유아를 내부에 위치시킨 후, 각 체결수단(171, 173)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띠(118, 2118)의 단부를 잡고 조임으로서 등받이부(113)가 유아에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다리 개방부(123)를 좁게 한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175, 177)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띠를 이용하여 목지지부(110)가 밀착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호자는, 아기띠(100)를 착용한 후에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띠(118, 2118)를 최대한 늘려 놓은 상태에서 아기띠 본체를 침대나 소파에 최대한 펼쳐 놓고,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살짝 들어 띠 본체 위에 위치시키고 끈을 조절해 가며 유아를 안으면서 일으킬 수 있다.
즉, 보호자는 아기띠(100)를 거의 다 착용하고 나서 유아를 태우게 되므로 편리성과 안정성이 강화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의 특징은 링(151)을 마련하고, 제1지지띠(118)가 이를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띠(118, 2118)의 일 단씩이 어깨벨트(119)의 양 단과 직접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체결수단(171, 173)을 중심으로 한 번의 조임 작업으로 업힌 유아를 아기띠(100)가 밀착하여 유지하도록 하며 동시에 아기띠(100) 자체를 보호자에게도 밀착시키게 되어 안정적인 현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결합된 체결수단(171, 173)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조임 작업은 링(151)의 역할에 의하여 등받이부(113)를 유아쪽으로 밀착시키며, 또한 상기 지지띠(118, 2118)와 어깨벨트(119)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벨트(119)가 조여지면서 동시에 아기띠(100) 전체가 보호자에게 밀착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조임 작업 전에 유아를 아기띠(100) 내부에 위치시켜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링(151)을 중심으로 제1지지띠(118)가 접힌 양 측에 무게가 균등하게 배분되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를 현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목지지부(110)를 모두 펼치거나 접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앵커(193)를 이동시켜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4에서처럼, 유아의 목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고자 할 때는 목지지부(110)를 접고, 그에 따라 하방으로 내려온 체결수단(177)의 위치에 대응하여 앵커(19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기띠(101)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 전술한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특징은, 한 번의 조임만으로 현수되는 유아를 보호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다는 것과, 날개(141, 143)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부(121, 123)를 통하여 유아의 팔과 다리 움직임이 편안하게 되도록 하면서도 목 및 몸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상체, 특히 팔의 활동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도 있다. 특히, 유아가 팔을 접어서 모았다가 다시 펴는 동작 등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상부날개(141) 형상은 그 자유도에 제한을 가하는 약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목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목지지부를 좀 더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접고 펼 수 있는 필요성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의 상부날개(141)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된 상단 지지띠(21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상단 지지띠(211)는 아기띠(100)의 상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길죽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단 지지띠(211)를 마련할 때에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목지지부(110)의 폭을 줄이고 그렇게 확보된 양 측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등받이부(113)의 폭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으나(도 16 참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단 지지띠(211)는 그 일면에 고정용 스트립(217)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용 스트립(217)에는 상부날개(141)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용띠(215)가 관통하여 결합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 지지띠(211)의 일 단에는 체결수단(181)이 결합되고 유아의 체형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단 지지띠 연장끈(웨빙)(213)이 마련되는데, 상기 체결수단(181)은 어깨벨트(119)의 대응되는 체결수단(175)과 결합 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용띠(215)가 고정용 스트립(217)에 관통하여 결합 될 때에 그 체결을 위하여 한 쌍의 스냅(219, 221)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용띠(215), 고정용 스트립(217) 및 스냅(219, 221)을 통한 결합방식은 상기 상부날개(141)를 상단 지지띠(211)에 결합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7은 상기 고정용띠(215), 고정용 스트립(217) 및 스냅(219, 221)을 통하여 상기 상부날개(141)가 상단 지지띠(211)에 결합 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날개(141)가 상단 지지띠(211)에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지지띠(211)가 체결수단(175, 181)에 의하여 어깨벨트(119)에 결합 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상기와 같이 결합 된 형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유아가 팔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하부날개(143)의 위로부터 상기 체결수단(175, 181)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20의 붉은 파선 참조)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목지지부를 편리하게 접고 펼 수 있게 하여, 연약한 유아의 목과 머리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함과 동시에 유아의 팔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목지지부(110)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도 1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목지지부(110)를 접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스냅(219, 221) 중 일 방의 스냅(219)에 대응하여 결합 될 수 있는 타 방의 스냅(223)을 등받이부(113)의 적당한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접힌 목지지부(110)가 상기 스냅들(219, 223)의 결합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2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후드(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231)의 모양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의 모양이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것으로 하였다. 상기 후드(231)는 일 측의 모서리에 마련된 스냅(227)이 목지지부(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스냅(225)과 결합하고, 타 측의 모서리에 마련된 걸고리(233)가 어깨벨트(119)에 마련된 링(152)과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후드(231)가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 링(152)은 상기 체결수단(175)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후드(231)의 결합은 반드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전술한 두 가지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업라이트 가드(119′)를 두껍게 형성하여 아기의 상체가 좌우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아기의 척추휨 현상 방지와 체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업라이트 가드(119′)를 두껍게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내부에 두꺼운 스펀지를 삽입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즉, 연약한 유아의 척추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체형을 똑바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어깨벨트의 일단이 아래로 연장된 부분인 업라이트 가드(119′)를 아기가 현수되었을 때 복부 좌우측에 두껍게 형성하여 유아의 위치가 그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아기띠에 적용된다.
100 : 아기띠 110 : 목지지부
113 : 등받이부 115 : 엉덩이 받침부
117 : 연결부 118, 118′ : 제1지지띠
2118, 2118′: 제2지지띠 119 : 어깨 벨트
119′ : 업라이트 가드
121 : 팔 개방부 123 : 다리 개방부
131 : 허리벨트 141 : 상부날개
143 : 하부날개 151, 152 : 링
161 : 봉제위치
171, 173, 175, 177, 179, 180, 181 : 체결수단
191 : 연결띠 193 : 앵커
195 : 재봉선 196 : 어깨벨트 상의 띠(웨빙)
201 : "日"자형 체결부재 203 : 앵커용 띠
211 : 상단 지지띠 213 : 상단 지지띠 연장끈(웨빙)
215 : 고정용 띠 217 : 고정용 스트립
219, 221, 223, 225, 227 : 스냅
231 : 후드 233 : 걸고리

Claims (11)

  1.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어깨벨트(119) 및 허리벨트(131)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현수되는 아기띠(100)로서,
    유아의 몸통이 죄우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날개(143)에 마련된 링(151),
    상기 링(151)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그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119)의 일 단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1체결수단(173)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띠(118),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119)의 타 단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173)에 대응하여 결합 되는 제2체결수단(17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띠(2118) 및,
    상기 어깨벨트(119)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두꺼운 업라이트 가드(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151)은 사각형, D-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3.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어깨벨트(119) 및 허리벨트(131)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현수되는 아기띠(100)로서,
    유아의 몸통이 좌우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날개(143)와 어깨벨트(119)의 일 단에 각각의 양 단이 결합 되는 연결띠(191),
    일 단은 상기 하부날개(143)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제1체결수단(173)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띠(118′) 및,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119)의 타 단에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173)에 대응하여 결합 되는 제2체결수단(17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띠(2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 및 상기 어깨벨트(11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앵커(1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목지지부(110)와 앵커(193)는 체결수단(175, 177)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193)는 "日"자형 체결부재(201) 및 띠(203)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벨트(119)에는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201)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띠(웨빙)(19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띠(웨빙)(196) 및 어깨벨트(119)에는 상기 "日"자형 체결부재(201)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재봉선(195)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의 상부날개(141)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일면에 상기 상부날개(141)가 결합 될 수 있고, 그 일 단은 상기 어깨벨트(119)에 결합 될 수 있는 상단 지지띠(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개(141)에는 고정용띠(215) 및 한 쌍의 스냅(219, 221)이 마련되고,
    상기 상단 지지띠(211)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용띠(215)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용 스트립(217)이, 일 단에는 상기 어깨벨트(119)에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단 지지띠 연장끈(웨빙)(213) 및 체결수단(18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110)를 접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스냅(219, 221) 중 일 방의 스냅(219)에 대응하여 결합 될 수 있는 위치에 스냅(223)이 마련되어, 상기 접힌 목지지부(110)가 상기 스냅들(219, 223)의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110)에 결합 될 수 있는 후드(2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231)는 스냅(225, 227)을 통하여 상기 목지지부(110)에 결합될 수 있고 걸고리(233)와 링(152)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어깨벨트(119)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KR1020100094333A 2010-09-29 2010-09-29 아기띠 KR20120032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33A KR20120032800A (ko) 2010-09-29 2010-09-29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33A KR20120032800A (ko) 2010-09-29 2010-09-29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800A true KR20120032800A (ko) 2012-04-06

Family

ID=4613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333A KR20120032800A (ko) 2010-09-29 2010-09-29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80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200473475Y1 (ko) *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KR101447831B1 (ko) *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150036271A (ko) * 2012-07-12 2015-04-07 베이비비욘 에이비 베이비 캐리어
WO2017086759A1 (ko) * 2015-11-19 2017-05-26 김경환 아기띠
KR20180003330U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허그파파 다이얼식 길이 조절 아기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6271A (ko) * 2012-07-12 2015-04-07 베이비비욘 에이비 베이비 캐리어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101447831B1 (ko) *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0473475Y1 (ko) *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WO2017086759A1 (ko) * 2015-11-19 2017-05-26 김경환 아기띠
KR20180003330U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허그파파 다이얼식 길이 조절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008B2 (ja) 運搬具
CN113382664B (zh) 带有增强的运动自由度的可调节型儿童背带
US4009808A (en) Baby pack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20180206653A1 (en)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US20100072236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JP2010524605A5 (ko)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120032800A (ko) 아기띠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JP2019076629A (ja) 子守帯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JP2005288107A (ja) 子守帯
KR200346812Y1 (ko) 유아용 포대기
JP6945912B1 (ja) 保育補助具
KR20190107798A (ko) 수유 및 이동이 편리한 다기능 포대기 구조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JP6778078B2 (ja) 子守帯
CN116138591A (zh) 婴幼儿抱持具及其臀部高度调节构件
JP2023075886A (ja) 子守帯およびその臀部高さ調節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