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46Y1 -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946Y1
KR200179946Y1 KR2019990026604U KR19990026604U KR200179946Y1 KR 200179946 Y1 KR200179946 Y1 KR 200179946Y1 KR 2019990026604 U KR2019990026604 U KR 2019990026604U KR 19990026604 U KR19990026604 U KR 19990026604U KR 200179946 Y1 KR200179946 Y1 KR 200179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frame
roller
sides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중
Priority to KR201999002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상사태 발생시 예를 들면, 화재발생시 인원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구조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건물의 적소에 설치·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감기부재로 이루어진 감속수단과; 감속수단의 감기부재 외주로 감긴 일정 길이의 구조용 와이어와; 건물 난간에 지지된 소정 크기의 구조용 프레임과; 구조용 프레임의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프레임 난간과; 프레임 난간의 양측 상단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팀대와; 구조용 와이어의 일부분을 감는 롤러가 중간 부분에 설치된 회전축과; 버팀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그 내측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롤러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버팀대의 적소에 설치되어 롤러의 양단이 접촉할시 마찰력에 의해 롤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마찰부재 및 구조용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인원이 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용 함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RESCUE APPARATUS FOR HIGH BILDING FIRE}
본 고안은 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 특히 화재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게 인명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의 화재 발생은 엄청난 재산 피해는 물론, 많은 수의 인명 패해를 초래한다. 이는, 화재에 대한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되는 안일함이나 법규를 무시한 건축물의 관리 등에서 오는 인명의 상해 보다는 인명 구조용 장비 및 화재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서 오는 결과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사상자가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고층건물에서의 화재 발생시 불은 위층으로 삽시간에 번지기 때문에 고층에 있는 인원은 불길을 탈출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구조용 헬기나 소방차량의 고가 사다리가 적시에 도착하지 않게 되는 경우 많은 사상자가 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동력을 이용한 완강기가 개시된 바가 있으나, 이는 동력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고층건물의 적소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시 구조용 헬기나 구조용 사다리가 없어도 또한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인원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구조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건물의 적소에 설치·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감기부재로 이루어진 감속수단; 감속수단의 감기부재 외주로 감긴 일정 길이의 구조용 와이어; 건물 난간에 지지된 소정 크기의 구조용 프레임; 구조용 프레임의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프레임 난간; 프레임 난간의 양측 상단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팀대; 구조용 와이어의 일부분을 감는 롤러가 중간 부분에 설치된 회전축; 버팀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그 내측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롤러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버팀대의 적소에 설치되어 롤러의 양단이 접촉할시 마찰력에 의해 롤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마찰부재 및 구조용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인원이 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용 함체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조용 프레임은 난간의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는 난간의 외측으로 회전·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조용 함체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 및 상부 프레임과 하부 받침판을 서로 연결하는 그물망의 연결부재로 이루어져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조용 함체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의 하부에는 하부 받침판이 지면에 닿을시 그 충격을 감쇄시키는 다수의 충격감쇄부재가 설치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의 구조용 감속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베란다. 3. 난간
10. 감속수단 12. 고정축
14. 태엽스프링 16. 감기부재
20. 구조용 와이어 30. 구조용 프레임
32, 42, 52. 힌지 40. 프레임 난간
50. 버팀대 54. 후크
60. 회전축 62. 롤러
70. 지지체 72. 탄성스프링
80. 마찰부재 90. 구조용 함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의 구조용 감속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장치는 크게 감속수단(10), 구조용 와이어(20), 구조용 프레임(30), 프레임 난간(40), 버팀대(50), 회전축(60), 지지체(70), 마찰부재(80), 구조용 함체(9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명 구조장치는 구조용 함체(90)에 인원이 타게되어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감기부재(16)로부터 구조용 와이어(20)가 서서히 풀리게 된다. 이때, 태엽스프링(14)은 고정축(12) 상에 점점 감기게 되어 탄성력이 더욱 크게 작용된다. 따라서, 구조용 와이어(20)의 풀리는 속도는 점점 줄어들게 된다. 즉, 구조용 와이어(20)의 풀리는 속도는 감속수단(10)에 의해 감속된다.
한편, 하중이 작용하면서 구조용 와이어(20)가 풀림에 따라 롤러(62)가 마찰부재(80)와 접촉하게 되어 회전축(60)의 속도 또한 마찰부재(80)의 마찰력에 의해 감속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구조용 함체(90)가 지상에 닿게 되어 구조용 함체(90)로부터 인원이 내리게 되면 하중이 제거되기 때문에 태엽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구조용 함체(90)를 원위치로 끌어 올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속수단(10)은 구조용 함체(90)에 인원이 타고 지상으로 내려갈 때 너무 빠른 속도로 내려가지 않도록 그 속도를 감속시켜 주는 수단으로, 이 감속수단(10)은 고정축(12), 태엽스프링(14) 및 감기부재(1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감속수단(10)의 고정축(12)은 건물, 예를 들면 베란다(1)의 일측 적소에 수직하게 설치·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태엽스프링(14)은 고정축(12)의 외주에 느슨하게 롤 상태로 감겨 있는 상태로 구성되고, 그 일단은 고정축(12)의 적소에 고정된다. 그리고, 감기부재(16)는 구조용 와이어(20)를 감아 놓기 위한 것으로, 고정축(12)에 롤 상태로 감긴 태엽스프링(14)의 외주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속수단(10)은 감기부재(16)의 중심에 태엽스프링(14)이 감긴 고정축(12)이 설치된 상태로 베란다(1)의 적소에 고정축(12)이 고정되고, 감기부재(16)가 회전하게 된다. 즉, 중심축인 고정축(12)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감기부재(16)가 회전하게 되면 느슨하게 감긴 태엽스프링(14)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14)이 감기면 감길수록 탄성력은 더욱 증가되어 동일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감속이 이루어진다.
구조용 와이어(20)는 인명 구조장치를 설치할 높이를 감안하여 적정한 길이를 선태하여 감속수단(10)의 감기부재(16)에 감아 놓는다. 한편, 구조용 와이어(20)의 끝단에는 구조용 함체(90)가 메달리게 된다.
구조용 프레임(30)은 인원의 구조시 구조용 함체(90)를 베란다(1)로부터 이격시키거나 후술할 프레임 난간(40), 버팀대(50), 회전축(60), 지지체(70) 및 마찰부재(8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로, 이 구조용 프레임(30)은 강봉으로 구성되어 구조하는 인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구조용 프레임(30)은 힌지(32)에 의해 베란다(1) 난간(3)의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베란다(1) 난간(3)의 외측으로 평상시에는 베란다(1) 난간(3)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조용 프레임(30)의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프레임 난간(40)은 후술할 버팀대(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이 프레임 난간(40)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각각의 프레임 난간(40)은 구조용 프레임(30)에 힌지(42) 결합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버팀대(50)는 회전축(60), 지지체(70) 및 마찰부재(8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버팀대(50)는 그 양단이 각각의 프레임 난간(40) 상단에 지지된다. 이때, 버팀대(50)의 일단은 일측의 프레임 난간(40)에 힌지(52) 결합되어 버팀대(50)를 일측의 프레임 난간(40)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단은 타측의 프레임 난간(40)에 버팀대(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54)가 구성된다. 즉, 프레임 난간(40)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을시 버팀대(5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난간(40)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축(60)은 제 2 의 감속수단으로, 이 회전축(60)의 중심에는 구조용 와이어(20)가 감기는 롤러(62)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체(70)는 전술한 회전축(60)을 버팀태(50) 상부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체(70)는 버팀대(5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축(6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지지체(70)는 상·하단 부재로 구성되어 그 내측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7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하중의 인가 및 해제에 의해 상하 유동되어 회전축(60)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한다.
마찰부재(80)는 마찰력을 통해 회전축(60)에 구비된 롤러(62)가 접촉시 회전축(6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마찰부재(80)는 롤러(62) 양단에 관계하는 버팀대(5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다. 이때, 마찰부재(80)와 롤러(62)는 하중의 인가 및 해제시 회전축(60)이 상하로 유동함에 따라 접촉 및 접촉 해제된다.
구조용 함체(90)는 인원이 타는 기구로, 이 구조용 함체(90)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92)과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94) 및 상부 프레임(92)과 하부 받침(94)판을 서로 연결하는 그물망의 연결부재(96)로 이루어져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조용 함체(9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94)의 하부에는 하부 받침판(94)이 지면에 닿을시 그 충격을 감쇄시키는 다수의 충격감쇄부재(98)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 충격감쇄부재(98)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하측은 적정한 강도를 갖는 고무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인명 구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구조용 프레임(30)이 베란다(1) 난간(3)의 내측에 회전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가정할 경우 먼저, 구조용 프레임(30)을 회전시켜 베란다(1) 난간(3)에 지지되게 한 후 접혀 있는 프레임 난간(40)을 펼치고, 버팀대(50)를 회전시켜 프레임 난간(40)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조용 함체(90)를 허공 상에 띄우면 준비는 완료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조용 함체(90)에 인원이 타게 되면 구조용 와이어(20)에 하중이 가해져 감기부재(16)가 회전하면서 구조용 와이어(20)가 풀리게 된다. 이때, 감기부재(16)의 회전에 의해 태엽스프링(14)은 감기는 반면 탄성력이 증대되어 구조용 함체(90)의 하강 속도는 감속된다. 한편, 회전축(60) 또한 하중이 가해져 롤러(62)의 양단이 마찰부재(80)에 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에 의한 감속이 이루어진다.
구조용 함체(90)가 지면에 닿아 타고 있던 인원이 내리게 되면 하중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회전축(60)의 롤러(62)는 마찰부재(80)로부터 이격되고, 태엽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구조용 함체(90)는 원래의 위치로 끌려 올라오게 된다.
한편, 인명 구조장치를 베란다(1)의 안쪽으로 보관할때에는 먼저, 비팀대(50)를 일측 프레임 난간(40)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프레임 난간(40)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어 구조용 프레임(30)을 베란다(1) 난간(3)의 안쪽으로 회전시켜 보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의 인명 구조장치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베란다(1)의 적소에 설치·고정되며, 태엽스프링(14)과 태엽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감기부재(16)로 이루어진 감속수단(10), 감속수단(10)의 감기부재(16) 외주로 감긴 일정 길이의 구조용 와이어(20), 베란다(1) 난간(3)에 지지된 소정 크기의 구조용 프레임(30), 구조용 프레임(30)의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프레임 난간(40), 프레임 난간(40)의 양측 상단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팀대(50), 구조용 와이어(20)의 일부분을 감는 롤러(62)가 중간 부분에 설치된 회전축(60), 버팀대(5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축(6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그 내측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60)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70), 롤러(62)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버팀대(50)의 적소에 설치되어 롤러(62)의 양단이 접촉할시 마찰력에 의해 롤러(62)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마찰부재(80) 및 구조용 와이어(20)의 끝단에 설치되어 인원이 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용 함체(9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조용 프레임(30)은 난간(3)의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는 난간의 외측으로 회전·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조용 함체(90)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92)과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94) 및 상부 프레임(92)과 하부 받침판(94)을 서로 연결하는 그물망의 연결부재(96)로 이루어져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조용 함체(9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94)의 하부에는 하부 받침판(94)이 지면에 닿을시 그 충격을 감쇄시키는 다수의 충격감쇄부재(98)가 설치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인명구조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베란다 뿐만 아니라 통행에 지장이 않되는 건물의 어느 곳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구조용 함체에는 여닫이용 문을 달아서 사람이 타고 내리기 편리하도록 하며, 구조용 프레임을 힌지타입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하여 설치및 탈거가 용이하게 하며, 또한 도 5의 가상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롤러및 지지체를 케이스(61)에 내장하여 전체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층건물의 비상발생시, 예를 들면 화재발생시 인명 구조장치를 건물마다 사전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구조용 헬기나 구조용 사다리가 없어도,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원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의 적소에 설치·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감기부재로 이루어진 감속수단;
    상기 감속수단의 감기부재 외주로 감긴 일정 길이의 구조용 와이어;
    상기 건물 난간에 지지된 소정 크기의 구조용 프레임;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프레임 난간;
    상기 프레임 난간의 양측 상단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팀대;
    상기 구조용 와이어의 일부분을 감는 롤러가 중간 부분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버팀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그 내측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롤러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버팀대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이 접촉할시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롤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마찰부재; 및
    상기 구조용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인원이 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용 함체로 이루어진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프레임은 상기 난간의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함체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받침판을 서로 연결하는 그물망의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접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용 함체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받침판의 하부에 충격감쇄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구조장치
KR2019990026604U 1999-11-30 1999-11-30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KR200179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604U KR200179946Y1 (ko) 1999-11-30 1999-11-30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604U KR200179946Y1 (ko) 1999-11-30 1999-11-30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946Y1 true KR200179946Y1 (ko) 2000-04-15

Family

ID=1959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604U KR200179946Y1 (ko) 1999-11-30 1999-11-30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9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12B1 (ko) * 2006-04-25 2007-06-04 (주) 한중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KR100845340B1 (ko) * 2007-02-07 2008-07-10 정채균 완강기
KR200466838Y1 (ko) 2013-02-27 2013-05-14 이복상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12B1 (ko) * 2006-04-25 2007-06-04 (주) 한중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KR100845340B1 (ko) * 2007-02-07 2008-07-10 정채균 완강기
KR200466838Y1 (ko) 2013-02-27 2013-05-14 이복상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2017B2 (ja) 救命装備
KR102433190B1 (ko)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CN1212167A (zh) 回转式高层建筑救生梯
KR200179946Y1 (ko)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EP0218764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escape from a high building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JP2005305076A (j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100277432B1 (ko) 사다리 소방차
US2629531A (en) Emergency fire escape system
RU23055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1532517B1 (ko) 고가 사다리 소방자동차의 승강기 비상제동장치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200209814Y1 (ko) 인명구조용 보조사다리 시스템이 구비된 고가사다리 소방차
WO2006085790A2 (fr) Dispositif et systeme d'evacuation d'urgence d'un batiment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CN216472102U (zh) 一种双重缓降的紧急逃生装置
KR200258475Y1 (ko)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KR860002886Y1 (ko) 화재용 비상 탈출기
KR20240143380A (ko) 이동식 완강기
RU6369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 из здания
KR20060105245A (ko) 인명 피난 장비 쎄이빙선
CA12227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high-rise building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