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499B1 -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499B1
KR102205499B1 KR1020190053545A KR20190053545A KR102205499B1 KR 102205499 B1 KR102205499 B1 KR 102205499B1 KR 1020190053545 A KR1020190053545 A KR 1020190053545A KR 20190053545 A KR20190053545 A KR 20190053545A KR 102205499 B1 KR102205499 B1 KR 10220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spring
coupled
footres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323A (ko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박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규 filed Critical 박인규
Priority to KR102019005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탈출홀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을 구비하는 고정판; 일단이 고정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하며,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와이어를 권취하는 태엽부; 태엽부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며, 태엽스프링의 구동력에 따라 태엽부로 와이어의 권취를 유도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 와이어 이탈방지부에 기어결합되어 와이어의 하강속도를 기설정된 속도이하로 유지시키는 정속유지부; 및 안내부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와이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내려갈 때에 사용자를 지지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하차하면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와이어를 권취할 때에 상측으로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와이어는 일단이 태엽스프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판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가 구동식으로 구동하여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전원이 차단되어 공급되지 않더라도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집합건물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시 대피할 수 있도록 완강기, 피난사다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난시설을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복수의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에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기는 고층건물의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올 수 있기 때문에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피난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다양한 시설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건물에서는 화재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행하지 못해 매년 많은 수의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한 공간에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완강기는 한 명의 사용자가 완강수단을 이용하여 탈출을 완료한 후 다른 사용자가 다시 완강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완강수단의 하강 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다른 사용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을 유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 또는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비상계단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법이 있으나, 화재 등으로 인해서 비상계단을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715호, 2008년 9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에 설치되어 사람의 피난을 안내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는 비상탈출홀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을 구비하는 고정판; 일단이 고정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하며,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와이어를 권취하는 태엽부; 태엽부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며, 태엽스프링의 구동력에 따라 태엽부로 와이어의 권취를 유도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 와이어 이탈방지부에 기어결합되어 와이어의 하강속도를 기설정된 속도이하로 유지시키는 정속유지부; 및 안내부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와이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내려갈 때에 사용자를 지지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하차하면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와이어를 권취할 때에 상측으로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와이어는 일단이 태엽스프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판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발판부는 내측의 소정영역에 발판홀이 형성되는 발지지판; 발판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거동 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일단이 안내부에 이웃하는 발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안내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판; 안내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부에 상하 적층배열되어 측면판에 결합되는 롤러; 일단이 페달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전달축; 고리홈이 형성되며, 일측이 전달축에 연결되는 걸림부; 및 일단이 걸림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안내부의 바깥측 측면판에 결합되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페달을 누를 때에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켜 발판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걸림스프링;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발지지판은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이탈방지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는 림; 림의 관통홀에 결합되는 클러치 베어링; 및 일단이 클러치 베어링에 결합되고, 타단이 정속유지부와 연결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나선홈은 림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권취될 때에 와이어가 나선홈을 따라 감기도록 하여 와이어의 이탈과 미끌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태엽부로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정속유지부는 제1 기어와 연결되어 제1 기어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기어를 구비하며, 클러치 베어링은 발판부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제1 기어와 기어결합을 해제시켜 림만 회전하도록 하여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는 자가 구동식으로 구동하여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전원이 차단되어 공급되지 않더라도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판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발판부의 동작전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발판부의 동작후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걸림톱니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부, 와이어 이탈방지부 및 정속유지부의 결합연결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이탈방지부의 림과 샤프트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부의 강도조절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발판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는 건물의 슬래브에 설치되어 위급상황에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건물의 상하층 슬래브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상탈출 홀(H)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상탈출 장치는 건물의 상황을 고려해서 상하층 슬래브를 따라 반복해서 엇갈린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거나, 특정 슬래브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설치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는 고정판(110), 안내부(120), 태엽부(130), 와이어 이탈방지부(140), 와이어(150), 정속유지부(160) 및 발판부(170)를 포함한다.
고정판(110)은 비상탈출홀(H)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슬래브(S)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비상탈출홀(H)은 홀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홀을 통하여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120)를 하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비상탈출홀(H)의 사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정판(11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111)을 구비한다.
안내부(120)는 일단이 고정판(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부(120)는 단면형상이 중공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태엽부(130)는 한 쌍의 수직판(111)의 내측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131)을 구비한다. 태엽스프링(131)은 와이어(150)와 연결되어 태엽스프링(131)의 복원력을 통해 와이어(150)를 권취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태엽부(130)는 통상적인 태엽스프링(131)의 구조를 통해 와이어 이탈방지부(140)와 함께 구동하면서 와이어(150)가 태엽부(131)로 권취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이탈방지부(140)는 태엽부(130)의 일측면에 이격배치되며, 태엽스프링(131)에서 전달되는 복원력에 따라 와이어(150)가 태엽부(130)로 권취되거나 발판부(17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150)는 일단이 태엽스프링(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판부(170)에 연결되어 발판부(17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정속유지부(160)는 와이어 이탈방지부(140)와 기어결합되어 와이어(150)의 하강속도를 기설정된 속도이하로 유지시킨다.
발판부(170)는 안내부(1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와이어(1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내려갈 때에 사용자를 지지하면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하차하면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와이어(150)가 권취될 때에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발판부의 동작전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발판부의 동작후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걸림톱니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발판부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필요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발판부의 상측구조는 미 표시하였다.
먼저, 발판부(170)는 발지지판(171), 페달(172), 측면판(173), 롤러(174), 전달축(175), 걸림부(176) 및 걸림스프링(177)을 구비할 수 있다.
발지지판(171)은 대략적으로 비상탈출홀(H)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발판홀(1711)이 형성된다. 하면에는 발지지판(171)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보강부재(1712)가 결합되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지지판(17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17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1713)는 수직판(151)의 상면에 결합되며, '∩' 자 형상으로 굴절형성되어 양단이 발지지판(171)의 상면에 고정된다. 손잡이(1713)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하층으로 낙상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반드시 손잡이(1713)를 잡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손잡이(1713)에는 사용자의 파지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접촉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가구동에 의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서 의해서 구동하지 않고 교체가능한 1차 전지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손잡이(1713)를 파지할 것을 안내하는 음성경고 메세지를 제공하는 음성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페달(172)은 발판홀(17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판홀(1711)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거동하고,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서 누르게 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페달(172)은 사용자의 누름상태를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원된다.
측면판(173)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안내부(120)에 이웃하는 발판지지판(17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안내부(120)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롤러(174)는 안내부(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부(120)에전방 및 후방 각각에 상하로 적층배열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측면판(173)에 결합된다. 이때, 롤러(174)는 폭이 롤러(174)의 일측면을 감쌀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장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120)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배열되어 안내부(120)를 따라 상하측으로 안정적인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부(150)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발지지판(171)에 승차하여도 편심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발판부(170)의 안정적인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전달축(175)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페달(172)에 결합되고, 타단이 걸림스프링(177)을 향해 연장된다.
걸림부(176)는 일단이 전달축(175)의 종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걸림스프링(177)에 결합된다. 걸림부(176)는 상측에 고리(1761)가 형성되어 페달(172)을 누를 때에 고리(1761)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발판부(17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걸림부(176)는 발지지판(171)이 안내부(120)의 상단에 있을 때에 발판부(1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안내부(120)의 양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구(121)에 걸려있어 발판부(1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구(121)는 사용자가 페달(172)을 누르기 전에는 고리(1761)의 해제를 제한함으로써 발판부(170)가 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스프링(177)은 코일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걸림부(176)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안내부(120)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측면판(171)에 결합되며, 걸림부(176)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페달(172)을 누를 때에 걸림부(176)의 걸림을 해제시켜 발판부(170)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발판부(170)는 하강 중에 와이어(120)가 끊어지는 경우, 발판부(170)가 하방향으로 자유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부(120)를 향하여 회동구동하는 걸림톱니(178)와, 걸림톱니(178)의 탄성거동을 유도하는 복원스프링(17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가 끊어지게 되면, 복원스프링(179)의 지지상태가 해제되면서, 걸림톱니(178)의 톱니면이 안내부(120)에 접촉하게 되고, 걸림톱니(178)의 톱니면이 안내부(120)의 표면을 파고 들면서 발판부(170)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발판부(170)의 갑작스러운 추락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부, 와이어 이탈방지부 및 정속유지부의 결합연결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이탈방지부의 림과 샤프트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태엽부, 와이어 이탈방지부 및 정속유지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와이어 이탈방지부(140)는 태엽부(130)의 일측면에 이격배치되며, 태엽스프링(131)의 구동력에 따라 와이어(150)가 태엽부(130)로 권취되도록 와이어의 권취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림(141), 클러치 베어링(142) 및 제1 기어(143)를 포함한다.
림(141)은 외주면에 와이어(150)를 권취할 수 있는 나선홈(1411)이 형성된다. 나선홈(1411)은 나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50)가 권취될 때에 나사선 을 따라 권취되기 때문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엽부(130)에 보다 원활한 권취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발판부(170)의 안정적인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림(141)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홀(1412)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1412)은 대략적으로 장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장구형상으로 형성된 관통홀의 좌측영역, 즉, 피난대피홀(H)과 인접한 영역에는 일방향을 따라 멈춤홈(1412)이 형성된다.
클러치 베어링(142)은 외주면에 멈춤돌기(1421)가 형성되며, 림(141)의 관통홀(1412)에 삽입 결합된다. 멈춤돌기(1421)는 림(141)의 멈춤홈(1412)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림(141)의 타단을 돌출한 클러치 베어링(142)은 제1 기어(143)와 연결된다. 제1 기어(143)는 정속유지부(160)와 연결된다. 이때, 정속유지부(160)는 제1 기어(143)와 연결되어 제1 기어(143)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기어(151)를 구비한다.
그 구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발판부(170)에 올라가서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엽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태엽스프링에 구동력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기어(140)는 클러치 베어링(142)을 통해 발판부(17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속유지부(140)와 연결되어 함께 구동되며, 정속유지부(160)는 발판부(170)가 하방향으로 너무 빠르게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발판부(170)에서 내려오게 되면, 발판부(170)에 자중이 제거되면서, 태엽스프링에 형성된 구동력을 통해서 발판부(170)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때, 발판부(170)는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제1 기어(140)와 클러치 베어링(142)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림(141)만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50)를 권취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추가적인 외부전원 공급없이 사용자의 자중 및 태엽스프링의 구동력을 통해 구동됨으로써 화재, 또는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부의 강도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도조절부(132)는 샤프트(1321), 절개홀(1322), 강도조절구(1323), 회동구(1325) 및 탄성스프링(1326)을 구비한다.
샤프트(13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태엽부(130)에 삽입되어 태엽스프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태엽스프링은 샤프트(132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홀(1322)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강도조절구(1323)는 샤프트(13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판(111)에 노출된다. 강도조절구(1323)는 방사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도조절홈(1326)이 형성된다. 회동구(1324)는 강도조절홈(1326)에 단계적으로 가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되며, 탄성스프링(1326)에 수직판(111)에 결합된다. 강도조절홈(1326)에 돌출 연장되는 방향과 샤프트(1321)의 강도를 조절하는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회동구(1324)가 강도조절홈(1326)에 끼워지게 되면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를 통하여 태엽부의 강도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조건에 따라 태엽부의 강도를 손쉽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사용위치를 고려하여 복원력을 설정할 수 있어, 태엽부의 강도 변경이 필요할 때에 태엽부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슬래브(S2)의 비상탈출 홀(H2)의 내주면을 따라, 야광캡슐(미표시)이 둘레방향을 따라 매립될 수 있다. 야광캡슐은 발판부(15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쉽게 터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배치되어 비상탈출 홀(H2)의 둘레방향을 따라 빛을 발광하게 되어 비상탈출 상황시, 주위에 광원이 없더라도 탈출홀의 영역에 위험요소가 되도록 시각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음성제공부를 통해서 "발빠짐 주의"와 같은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발판부(150)가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상태에서 대기중인 사람이 하측으로 떨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고정판 111 : 수직판
120 : 안내부 121 : 고정구
130 : 태엽부 131 : 태엽스프링
132 : 태엽 강도조절부 140 : 와이어 이탈방지부
141 : 림 142 : 클러치 베어링
143 : 제1 기어 150 : 와이어
160 : 정속유지부 161 : 제2 기어
170 : 발판부 171 : 발지지판

Claims (5)

  1. 건물의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에 설치되어 사람의 피난을 안내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홀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을 구비하는 고정판;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와이어를 권취하는 태엽부;
    상기 태엽부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태엽부로 상기 와이어의 권취를 유도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하강속도를 기설정된 속도이하로 유지시키는 정속유지부; 및
    상기 안내부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내려갈 때에 사용자를 지지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하차하면 상기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할 때에 상측으로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태엽스프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는 림;
    상기 림의 관통홀에 결합되는 클러치 베어링; 및
    일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정속유지부와 연결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홈은,
    상기 림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될 때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나선홈을 따라 감기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의 이탈과 미끌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태엽부로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내측의 소정영역에 발판홀이 형성되는 발지지판;
    상기 발판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거동 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일단이 상기 안내부에 이웃하는 발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안내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부에 상하 적층배열되어 상기 측면판에 결합되는 롤러;
    일단이 상기 페달에 결합되고, 타단이 걸림스프링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달축;
    고리홈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전달축에 연결되는 걸림부; 및
    일단이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부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측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페달을 누를 때에 상기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발판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걸림스프링;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발판부가 상단에 있을 때에 상기 발판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 각각에 돌출형성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지판은,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유지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발판부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기어와 기어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림만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태엽부로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0190053545A 2019-05-08 2019-05-08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20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45A KR102205499B1 (ko) 2019-05-08 2019-05-08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45A KR102205499B1 (ko) 2019-05-08 2019-05-08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23A KR20200129323A (ko) 2020-11-18
KR102205499B1 true KR102205499B1 (ko) 2021-01-19

Family

ID=7369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45A KR102205499B1 (ko) 2019-05-08 2019-05-08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26B1 (ko) * 2022-05-27 2022-12-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473A (ja) * 2008-08-27 2010-03-11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1032877B1 (ko) * 2011-02-14 2011-05-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15U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벽체고정형 완강기 설치대
KR101230243B1 (ko) * 2011-06-03 2013-02-06 송진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473A (ja) * 2008-08-27 2010-03-11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1032877B1 (ko) * 2011-02-14 2011-05-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23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KR102145592B1 (ko)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US20120061183A1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567879B1 (ko) 철탑 작업자 보호장치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2393170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WO2024149291A1 (zh) 一种往复式灾难救生装置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1281182B1 (ko) 비상탈출장치
KR102224499B1 (ko) 승강안내부 이동형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2095868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100110515A (ko) 완강기
KR101274197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2004974B1 (ko)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100112981A (ko) 완강기
KR20080011454A (ko) 리프트형 완강기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EP3530323A1 (en)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KR200190542Y1 (ko) 구조(救助)용 기구
JP2701199B2 (ja) 昇降補助機
KR102393184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