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970A - 차수 장치 - Google Patents

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970A
KR20240030970A KR1020230032789A KR20230032789A KR20240030970A KR 20240030970 A KR20240030970 A KR 20240030970A KR 1020230032789 A KR1020230032789 A KR 1020230032789A KR 20230032789 A KR20230032789 A KR 20230032789A KR 20240030970 A KR20240030970 A KR 2024003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
order
water block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761B1 (ko
Inventor
오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노
Priority to KR102024003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806A/ko
Publication of KR2024003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거나 하향 접철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 상기 차수 블록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수 블록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 및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 중 최외곽에 위치한 차수 블록과 결합되어 해당 차수 블록를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을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수 장치{WATER B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을 통해 차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차수 블록의 매립 설치 공간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설치 과정에서 기존 골조의 철근을 끊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밀폐 부재를 통한 물 유입을 방지하여 더욱 완벽한 차수 기능을 수행하는 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기상이변으로 인해 빈번하게 국지성, 돌발성, 게릴라성 폭우 및 집중 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면서 저지대의 주택이나 각종 건물 및 시설물이 짧은 시간에 침수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손실 등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이나 하천 등의 수변 또는 각종 건물 지하의 출입구 등에 차수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차수 장치는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의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한 장치로서, 기존 건축물의 개구부 기능(출입구, 비상구, 채광, 환기)에 높은 수압을 견디며 침수 방지 기능을 추가한 장치이다. 주로 지하철 역사 내부 연결통로 및 환승연결 통로와 지하철 및 건물의 외부 출입구, 해군 군부대 등 침수 위험이 있는 중요 시설물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수 장치는 침수 상황 발생시 차수판을 작동시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차수판의 설치 위치 및 작동 방식에 따라 Top-Down 방식 및 Bottom-Up 방식 등이 있다.
Top-Down 방식의 경우, 출입구 상단에 차수판을 설치하고, 침수상황 발생시 이를 바닥으로 하강시키도록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Top-Down 방식의 차수 장치는 차수판이 가이드를 따라 하강하므로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는 기둥을 포함하여 상당한 사이즈의 프레임이 출입구 전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Bottom-Up 방식의 경우, 차수판이 바닥 아래에 수직으로 매설되거나 수평으로 눕도록 설치되어 있다가, 침수상황 발생시 차수판이 상승하거나 세워지도록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Bottom-Up 방식의 차수 장치는 차수판을 바닥에 수직으로 매설하는 경우 차수판의 높이만큼, 가령 30~40cm 정도 바닥을 파내야 하는데 물막이에 충분한 차수판 높이를 확보하려면 콘크리트 바닥에 매립된 철근을 끊고 들어가는 깊이까지 파내기 공사를 해야한다. 따라서 기존 골조의 변경이 불가피하여 설치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수판이 수평 자세로부터 세워지는 타입의 기립형 방식에서는 액추에이터 와 같은 기계실의 설치 위치가 바닥으로 제한되므로, 침수 상황 발생시 이들이 물에 잠기어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측면 슬라이드 방식의 차수 장치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대형 설치 구조가 필요하거나 기본 골조 변경 등이 필요하여 설치 작업이 어렵고, 기계실 부분에 대한 침수 문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3259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을 통해 차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차수 블록의 매립 설치 공간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설치 과정에서 기존 골조의 철근을 끊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고, 기존 건축 구조의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작동 구조상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차수 가능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차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유입이 가능한 틈새를 밀폐 부재를 통해 모두 밀폐함으로써, 차수 블록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간극 및 복수개의 차수 블록 사이 간극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완벽한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거나 하향 접철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 상기 차수 블록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수 블록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 및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 중 최외곽에 위치한 차수 블록과 결합되어 해당 차수 블록를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을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차수 블록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상호 맞물림되도록 후방 돌출되는 상단 걸림부 및 전방 돌출되는 하단 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걸림부의 하면 또는 상기 하단 걸림부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어 사이 공간을 밀봉하도록 차수용 실링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상면에 대향되는 제 1 면과 상기 차수 블록의 전방면에 대향되는 제 2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은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에 각각 대응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상면과 상기 제 1 면 사이 간극을 밀폐할 수 있도록 지수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면에는 별도의 차수용 고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수용 고무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면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과 인접한 차수 블록에 의해 상향 가압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용 고무는 인접한 차수 블록에 의해 상향 가압됨에 따라 압착 변형하여 상기 제 2 면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과 상기 제 2 면 사이 간극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의 차수 블록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을 통해 차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차수 블록의 매립 설치 공간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설치 과정에서 기존 골조의 철근을 끊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고, 기존 건축 구조의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작동 구조상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차수 가능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유입이 가능한 틈새를 밀폐 부재를 통해 모두 밀폐함으로써, 차수 블록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간극 및 복수개의 차수 블록 사이 간극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완벽한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밀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는 차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과, 가이드 브라켓(200)과,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지면으로부터 상승 전개되는 형태로 작동하는 Bottom-Up 방식의 장치이다.
차수 블록(100)은 지면(E)에 매립 설치되며 지면(E)으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거나 하향 접철되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침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하향 접철되어 지면에 매립된 상태로 유지되고, 침수 상황이 발생한 긴급 상황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되어 차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은 하향 접철된 상태에서 지면(E)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지면(E)에 매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각각의 차수 블록(100)은 모두 동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향 접철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하향 접철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차지하는 상하 높이는 하나의 차수 블록(100) 높이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을 지면(E)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 설치 공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은 하향 접철된 상태로 지면(E)에 매립되므로, 지면(E)에 형성된 매립 설치 공간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기존 골조의 철근을 끊거나 변경해야 할 필요가 없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기존 골조 변경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기존 건축 구조의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차수 블록(100)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을 이용한 차수 가능 높이는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다. 즉,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하향 접철된 상태로 지면에 매립되고,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기능을 수행하므로, 지면 매립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차수 가능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어 더욱 유리하다.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기 위해서는 차수 블록(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단 걸림부(110) 및 하단 걸림부(120)가 상호 맞물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차수 블록(100)은 직사각 파이프 또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수 블록(100)의 상단에는 후방 돌출되는 상단 걸림부(110)가 형성되고, 차수 블록(100)의 하단에는 전방 돌출되는 하단 걸림부(120)가 형성된다. 상단 걸림부(110) 및 하단 걸림부(1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차수 블록(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 걸림부(110)와 하단 걸림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최외곽의 차수 블록(100)이 상향 이동하면, 그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차수 블록(100)의 하단 걸림부(120)가 그에 인접한 차수 블록(100)의 상단 걸림부(110)와 맞물림되고, 이후, 인접한 차수 블록(100)도 함께 상향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순차적으로 상향 이동하는 방식으로 차수 블록(100)의 상향 전개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최외곽 차수 블록(100)은 그 외곽에 또 다른 차수 블록(10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외곽 차수 블록(100)의 상단에는 상단 걸림부(110)가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하단 걸림부(120)만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한편,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은 하향 접철되어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별도의 케이스(60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600)는 지면 매립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외곽의 차수 블록(100)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 이동하게 되며,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최외곽 차수 블록(100)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연속 위치하게 된다. 이때,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차수 블록(100) 또한 케이스(600)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지면(E) 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최하단 차수 블록(100)의 상향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케이스(600)의 일측에는 최하단 차수 블록(100)의 하단 걸림부(120)와 맞물림될 수 있는 스토퍼 걸림부(61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은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차수 블록(100)끼리 상단 걸림부(110)와 하단 걸림부(120)가 서로 맞물림되도록 상호 접촉하게 되는데, 이들의 상호 접촉면은 차수 블록(100)의 자중에 의해 밀착된다. 따라서,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차수 블록(100)들의 사이 공간은 이러한 밀착력에 의한 밀폐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 블록(100)들의 사이 공간에 대한 밀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상단 걸림부(110)의 하면 또는 하단 걸림부(12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차수용 실링 부재(710)가 장착된다. 차수용 실링 부재(710)는 차수 블록(100)의 자중에 의해 압착 변형되어 밀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수용 실링 부재(710)를 통해 차수 블록(100) 사이 공간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침수 상황 발생시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 사이 공간을 통한 물의 유입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수 블록(100)의 하단에는 차수 블록(100)이 하향 접철되어 케이스(6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의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높이 조절용 플레이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용 플레이트(130)는 차수 블록(100)의 하단에 가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슬라이드 삽입하거나 끼워맞춤 삽입하는 방식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200)은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차수 블록(10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브라켓(200)에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21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200)은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 부위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브라켓(200)의 일측면은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면과 각각 접촉하거나 또는 미세 간극을 갖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 부위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별도의 밀폐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중심으로 후술한다.
구동부(300)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 중 최외곽에 위치한 차수 블록(100)과 결합되어 해당 차수 블록(100)를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을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최외곽 차수 블록(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와 리드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부(300) 및 컨트롤러(400)와 같은 각종 전자 기계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부에는 별도의 외부 케이스(5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50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외부 케이스(500)는 내부 공간이 도시되도록 마감 플레이트가 제거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외부 케이스(500)의 내부 공간은 별도의 마감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 노출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의 차수 블록(100)보다 더 높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300)의 위치가 최상단 차수 블록(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정됨으로써, 침수 상황 발생시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차수 블록(100)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구동부(300)가 물에 잠기는 것이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전개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 장치의 차수 블록 밀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부에 배치되어 차수 블록(10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 부위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이드 브라켓(200)에는 차수 블록(10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 홈(210)은 가이드 브라켓(200)의 베이스 표면(203)에 오목한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브라켓(200)의 베이스 표면(203)은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면에 대향되는 면으로 수직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200)에는 베이스 표면(203)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이 형성된다. 제 1 면(201)은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의 상면에 대향되게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 2 면(202)은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의 전방면에 대향되게 수직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은 복수개의 차수 블록(100)에 각각 대응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표면(203)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며 계단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은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의 상면 및 전방면과 각각 접촉하거나 미세 간극을 갖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수 블록(100)과 가이드 브라켓(200) 사이 공간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에는 별도의 밀폐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면(201)에는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차수 블록(100)의 상면과 제 1 면(201) 사이 공간을 밀봉할 수 있도록 지수재(720)가 부착될 수 있다. 지수재(720)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침수 상황 발생시 수분에 의해 팽창하여 제 1 면(201)과 차수 블록(100)의 상면 사이 간극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지수재(720)는 수팽창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실링 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 2 면(202)에는 별도의 차수용 고무(7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면(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220)이 형성된다. 삽입홈(220)은 제 2 면(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삽입홈(220)은 제 2 면(202)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그 하단은 제 2 면(202)과 인접한 제 1 면(201)까지 연장되어 하단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차수용 고무(730)는 삽입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면(202)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100)과 인접한 차수 블록(100)에 의해 상향 가압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제 1 면(20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차수용 고무(730)는 인접한 차수 블록(100)에 의해 상향 가압됨에 따라 압착 변형하여 제 2 면(202)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100)과 제 2 면(202) 사이 간극을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용 고무(730)는 제 2 면(202)의 삽입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제 1 면(201)으로부터 돌출 거리 X만큼 하향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때, 차수 블록(100)의 전방면과 제 2 면(202)은 d만큼의 미세 간극이 존재한다. 차수 블록(100)이 상향 전개되는 과정에서 차수 블록(100)의 상단(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단 걸림부(110)의 상면)이 차수용 고무(730)의 하단을 상향 가압하게 된다. 차수 블록(100)이 차수용 고무(730)를 상향 가압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용 고무(730)는 상하 압착되며 전후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차수용 고무(730)가 전후 두께 방향으로 확장 변형함으로써, 제 2 면(202)과 차수 블록(100)의 전방면 사이 간극(d)이 차수용 고무(730)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브라켓(200)에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을 형성하고, 제 1 면(201)에는 지수재(720)를 부착하여 차수 블록(100)의 상면에 형성된 간극을 밀폐하고, 제 2 면(202)에는 차수용 고무(730)를 압착 변형 가능하게 장착하여 차수 블록(100)의 전방면에 형성된 간극을 밀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수 블록(100)의 양측단부에서 상면 및 전방면에 대한 간극을 모두 밀폐할 수 있어 차수 기능을 더욱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수 블록
110: 상단 걸림부
120: 하단 걸림부
200: 가이드 브라켓
201: 제 1 면
202: 제 2 면
203: 베이스 표면
210: 가이드 홈
220: 삽입홈
300: 구동부
400: 컨트롤러
500: 외부 케이스
600: 케이스
710: 차수용 실링 부재
720: 지수재
730: 차수용 고무

Claims (8)

  1. 차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향 전개되거나 하향 접철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수 블록;
    상기 차수 블록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수 블록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 및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 중 최외곽에 위치한 차수 블록과 결합되어 해당 차수 블록를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을 상향 전개 및 하향 접철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차수 블록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상호 맞물림되도록 후방 돌출되는 상단 걸림부 및 전방 돌출되는 하단 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걸림부의 하면 또는 상기 하단 걸림부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어 사이 공간을 밀봉하도록 차수용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상면에 대향되는 제 1 면과 상기 차수 블록의 전방면에 대향되는 제 2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은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에 각각 대응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에는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차수 블록의 상면과 상기 제 1 면 사이 간극을 밀폐할 수 있도록 지수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에는 별도의 차수용 고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수용 고무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면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과 인접한 차수 블록에 의해 상향 가압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용 고무는 인접한 차수 블록에 의해 상향 가압됨에 따라 압착 변형하여 상기 제 2 면에 대향되는 차수 블록과 상기 제 2 면 사이 간극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개의 상기 차수 블록이 상향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의 차수 블록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장치.
KR1020230032789A 2022-08-29 2023-03-13 차수 장치 KR10264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964A KR20240032806A (ko) 2022-08-29 2024-03-04 차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481 2022-08-29
KR20220108481 2022-08-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964A Division KR20240032806A (ko) 2022-08-29 2024-03-04 차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970A true KR20240030970A (ko) 2024-03-07
KR102645761B1 KR102645761B1 (ko) 2024-03-08

Family

ID=902358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89A KR102645761B1 (ko) 2022-08-29 2023-03-13 차수 장치
KR1020240030964A KR20240032806A (ko) 2022-08-29 2024-03-04 차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964A KR20240032806A (ko) 2022-08-29 2024-03-04 차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57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2590A (ja) * 2010-10-08 2012-04-26 Biken Corp 浸水防止装置
KR101268509B1 (ko) * 2013-03-08 2013-06-04 민동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332599B1 (ko) 2013-04-15 2013-11-25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차수장치
KR20150070538A (ko) * 2013-12-17 2015-06-25 홍문표 다단계 수문구조물
JP2019039230A (ja) * 2017-08-25 2019-03-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止水板及び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2590A (ja) * 2010-10-08 2012-04-26 Biken Corp 浸水防止装置
KR101268509B1 (ko) * 2013-03-08 2013-06-04 민동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332599B1 (ko) 2013-04-15 2013-11-25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차수장치
KR20150070538A (ko) * 2013-12-17 2015-06-25 홍문표 다단계 수문구조물
JP2019039230A (ja) * 2017-08-25 2019-03-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止水板及び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761B1 (ko) 2024-03-08
KR20240032806A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42B1 (ko)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EP2994577B1 (en) Self-actuating flood guard
JP2011510194A (ja) 地下換気ダクト用の自動洪水保護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WO2017142167A1 (ko) 재해 방호 기능을 갖는 가옥 구조물
KR102645761B1 (ko) 차수 장치
JP2006299574A (ja) 止水扉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JP3770554B2 (ja) 水防用のウオータゲート装置
KR102162039B1 (ko) 전도식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4744265B2 (ja) 起立式防水板装置
KR101210580B1 (ko) 슬라이드식 방조제 방수문
KR101605023B1 (ko) 다단식 홍수 방어벽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JP5747300B1 (ja) 溢水防止装置
JP6909812B2 (ja) 水防装置
KR100468149B1 (ko)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KR200254909Y1 (ko) 출입구용 차수막
JP6485898B2 (ja) 防水板
KR102661901B1 (ko)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 주차장 출입구의 빗물 차단장치
KR102637328B1 (ko) 워터 게이트
KR101230707B1 (ko) 3세대 이상 원자력 발전소의 방호장치
KR102570456B1 (ko) 도보 및 주행이 가능한 월파 및 홍수방어벽
KR102227788B1 (ko) 슬라이딩형 월파방지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