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509B1 -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509B1
KR101268509B1 KR1020130025129A KR20130025129A KR101268509B1 KR 101268509 B1 KR101268509 B1 KR 101268509B1 KR 1020130025129 A KR1020130025129 A KR 1020130025129A KR 20130025129 A KR20130025129 A KR 20130025129A KR 101268509 B1 KR101268509 B1 KR 10126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late
underpass
plate
entranc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준
민유선
권예은
Original Assignee
민동준
권예은
민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동준, 권예은, 민유선 filed Critical 민동준
Priority to KR102013002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에 따라 물막이 높이를 조절하고, 복수의 차수판 상승시 계단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도를 향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출입구 기둥과, 상기 지하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계단과, 지면으로부터 상기 계단으로 보행경로를 가이드 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승강장치;상기 발판의 설치홈에 설치되어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되 승강장치의 동력에 의해 출입구 기둥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출입구를 막아 빗물 유입을 막는 메인 차수판;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 차수판의 전,후 방향에 설치되되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며, 메인 차수판의 상승시 메인 차수판과 단차를 갖도록 연동되어 메인 차수판과 계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보조 차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The underpass entrance cofferdam device}
본 발명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에 따라 물막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보행자의 지하도 출입에 대한 편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차수판 상승시 계단을 구성하도록 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지하철, 지하도, 지하상가 또는 건축물의 지하층 등과 같이 복잡한 지상공간을 대체할 목적으로 설치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시설물은 지상으로부터 수십 미터 깊이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지하에 운영되는 지하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하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지하시설물이 위치한 지상에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출입구의 입구는 지면과 대략 10 ∼ 20㎝의 높이를 가지는 입구바닥이 소정의 넓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바닥에서부터 지하시설물까지는 하향 경사진 계단으로 구성되고, 입구바닥의 상측에는 지붕을 가지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입구바닥의 높이를 낮게 설치함으로써 장마철 많은 비가 내리거나 집중호우로 인하여 우수가 많은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우수(雨水)가 입구바닥을 넘어 지하시설물 방향으로 흘러들어가 이용자들의 출입을 곤란하게 하는 것은 물론, 지하시설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피해를 주게된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지하시설물의 출입구에 물막이장치를 설치하여 장마철 또는 집중호우시 우수가 지하시설물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물막이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5492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물막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도 출입구에 시공된 발판(10)에 차수문(20)을 매립하여 설치하고, 상기 차수문(20)은 지하도 출입구를 향해 회동되도록 발판(10)의 단부에 힌지(11) 결합이 된다.
이때, 차수문(20)의 회동력은 발판(10)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0)의 유압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막이 장치는 폭우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에,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 차수문(20)을 지하도 출입구를 향해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차수문(20)은 지하도 출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지하도 내부로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물막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강수량에 관계없이 차수문(20)이 지하도 출입구를 폐쇄함으로써, 보행자의 지하도 통행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획일적인 크기의 차수문(20)으로 인해, 차수문(20)이 지하도 출입구를 폐쇄할 경우 보행자의 지하도 출입이 완전히 금지되거나 보행자의 통행이 허용되더라도 보행자가 차수문(20)을 넘어가야 했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야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차수문(20)의 높이를 낮게 하여 보행자의 지하도 통행을 허용할 수는 있으나, 이는 장마철의 폭우에 따른 빗물 유입 차단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차수문(20)에 의한 지하도 출입구 폐쇄시, 차수문(20)의 높이로 인해 지하도 통행에 대한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차수문(20)의 높이에 의해, 보행자가 차수문(20)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재를 딛고 넘어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549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막이 높이가 강수량에 따라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차수판의 상승시 계단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통행에 대한 편의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도를 향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출입구 기둥과, 상기 지하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계단과, 지면으로부터 상기 계단으로 보행경로를 가이드 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승강장치;상기 발판의 설치홈에 설치되어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되 승강장치의 동력에 의해 출입구 기둥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출입구를 막아 빗물 유입을 막는 메인 차수판;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 차수판의 전,후 방향에 설치되되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며, 메인 차수판의 상승시 메인 차수판과 단차를 갖도록 연동되어 메인 차수판과 계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보조 차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 차수판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차수판의 걸림편은 보조 차수판의 상단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내벽에는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차수판은 상기 지지턱에 걸려 지지된 상부 보조 차수판과, 상부 보조 차수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메인 차수판의 걸림편에 지지된 하부 보조 차수판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보조 차수판의 저면에는 하부 보조 차수판을 관통하여 설치홈의 바닥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보조차수판의 저면에는 가이드부시의 둘레를 감싸는 승강부재가 설치되어 가이드부시를 따라 하부 보조차수판의 승강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의 설치홈을 구성하는 내벽의 상단부에는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차수판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의 걸림단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 어셈블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고리 어셈블리는, 하부 보조차수판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틀;상기 결합틀에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단부는 걸림단턱에 걸려 결합되는 후크부를 형성하는 고리부;상기 결합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후크부의 단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걸림방지부재;상기 고리부와 결합틀 사이에 설치되어 고리부의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유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메인 차수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각 승강장치의 일측에는 메인차수판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해주는 동기바가 더 설치되되, 상기 동기바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메인차수판의 저면에 설치된 랙기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의 양측면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발판의 상면 중 계단과 근접한 부위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수위센서 및 감지센서가 동시에 감지될 때 메인차수판 또는 보조차수판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센서는 발판 위의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수판은 물막이 역할뿐만 아니라 지하도를 향한 계단을 구성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차수판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발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행자는 이를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밟고 계단처럼 보행할 수 있으므로 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차수판의 높이가 최고점에 이르더라도, 메인차수판의 양측에서 연동되어 상승된 보조차수판의 계단 역할로 인해 지하도 출입을 위한 보행의 큰 어려움은 없게 된다.
둘째, 강수량에 따라 차수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수위센서가 발판 주변의 수위를 감지함에 따라, 메인차수판의 상승만 작동될 수 있으며, 메인차수판과 보조차수판이 서로 연동되어 상승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수위센서에 물이 감지된다고 해서 차수판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지센서를 통해 발판 위의 물이 유동됨을 감지할 때 차수판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는 차수판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위센서와 감지센서가 동시에 작동할 때에만 차수판의 상승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메인차수판을 승강시키는 각 유압실린더의 일측마다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동기바가 설치됨으로써, 발판에 대한 메인차수판의 각 부위별 높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피니언기어의 회전수에 따른 랙기어의 위치가 동일하게 제공됨으로써, 메인차수판의 각 부위별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보조차수판에 가이드부시가 설치됨으로써, 보조차수판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가 상승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가 상승되기 전 상태의 발판 내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방향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의 메인차수판만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의 메인차수판만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의 메인차수판 및 보조차수판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의 메인차수판 및 보조차수판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이하, '물막이 장치'라 함)는 빗물이 지하도 출입구를 통해 지하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강수량에 따라 차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 편의를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물막이 장치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지하도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발판(10)에 설치된다.
발판(10)은 지하도 출입구를 보행하기 위하여, 지하도 출입구의 초입에 설치된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재질의 편평한 바닥을 제공한다.
이때, 발판(10)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계단(40)이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지하도로의 출입을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10)의 양측에는 출입구 기둥(50)이 설치된다.
출입구 기둥(50)은 지하도 출입을 위한 표시석으로서, 출입구의 너비에 대응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출입구 기둥(50)의 내측면 즉, 서로 대향된 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51)은 후술하는 메인차수판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위이다.
그리고, 발판(10)의 내부에는 물막이 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12)이 형성된다.
설치홈(12)은 요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하도 출입구 주변 구성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물막이 장치는 승강장치(100)와, 메인차수판(200)과, 보조차수판(300)과, 걸림고리 어셈블리(400)와, 동기바(500)와, 가이드부시(600)와, 센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장치(100)는 메인차수판(20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설치홈(12)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설치홈(12)의 바닥면에는 물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100)는 유압실린더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인차수판(200)은 출입구 기둥(50)의 가이드홈(51)을 따라 승강되면서 지하도 출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막는 역할을 하며, 발판(10)의 설치홈(12)에 설치된다.
이때, 메인차수판(200)은 유압실린더(100)의 유압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100)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차수판(200)의 내부는 중공(中空)의 상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100)가 배치된다.
이때, 메인차수판(200)의 양측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편(210)이 형성된다.
이때, 메인차수판(200)의 양측이라 함은 지하도 출입구의 출입 방향 즉, 메인차수판(200)의 너비 방향을 말한다.
다음으로, 보조차수판(300)은 메인차수판(200)과 함께 지하도 출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막아주는 역할 및 보행자의 보행 편의를 위한 계단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차수판(300)은 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차수판(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메인차수판(200)의 승강작용과 연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메인차수판(200) 홀로 상승되다가 임계점을 넘어 메인차수판(200)의 상승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경우 보조차수판(300)의 상단부는 메인차수판(200)의 걸림편(210)에 걸려 상기 메인차수판(200)과 함께 상승되는 것이다.
보조차수판(300)은 상부 보조차수판(310)과 하부 보조차수판(3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 보조차수판(310)은 메인차수판(200)과 함께 발판(10)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며, 설치홈(12)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턱(12a)에 지지된다.
이때, 상부 보조차수판(310)의 내부도 메인차수판(200)과 마찬가지로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보조차수판(320)은 메인차수판(200)의 상승시 보조차수판(300)이 함께 상승되도록 하는 역할 및 보조차수판(300)이 발판(10)의 상방으로 상승되었을 때, 설치홈(12)의 내벽에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보조차수판(320)은 상부 보조차수판(310)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때,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상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조차수판(31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메인차수판(200)의 걸림편(210)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걸림고리 어셈블리(400)는 보조차수판(300)이 발판(10)의 상방으로 상승되어 최고점에 위치되었을 때, 설치홈(12)의 내벽에 걸려 보조차수판(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걸림고리 어셈블리(400)가 설치홈(12)의 내벽에 걸리기 위해서는, 설치홈(12)의 내벽 상단부에 걸림단턱(13a)을 형성하는 걸림홈(13)을 형성시킨다.
한편, 걸림고리 어셈블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틀(410)과, 고리부(420)와, 걸림방지부재(430)와,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결합틀(410)은 걸림고리 어셈블리(400)의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부위이며,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리부(420)는 걸림홈(13)의 걸림단턱(13a)에 걸려 하부 보조차수판(320)이 내벽에 지지되도록 하며, 결합틀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고리부(420)는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고리부(420)의 상단부는 걸림단턱(13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부(421)를 형성한다.
즉, 고리부(420)는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후크부(421)가 걸림단턱(13a)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방지부재(430)는 걸림단턱(13a)에 걸린 후크부(421)가 걸림단턱(13a)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후크부(421)를 결합틀(410) 측으로 밀어내어 걸림단턱(13a)에 후크부(421)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방지부재(430)의 일단부는 결합틀(4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걸림방지부재(430)의 타단부는 걸림방지부재(43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크부(421)의 단부를 간섭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부재(440)는 고리부(4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설치홈(12)의 내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고리부(420)와 결합틀(41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토션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동기바(500)는 유압실린더(100)에 의한 메인차수판(200)의 상승시, 발판(10)에 대한 메인차수판(200)의 각 부위별 높이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동기바(5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압실린더(100)마다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100)와 한 쌍으로 제공되며, 피니언기어(510)와 랙기어(5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동기바(500)는 피니언 기어(510)의 회전수만큼 랙기어(520)가 상승되므로, 각 유압실린더(100)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510)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랙기어(520)의 상승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유압실린더(100)의 상승시 유압실린더(100)의 높이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이드부시(600)는 보조차수판(300)을 설치홈(12)의 바닥면 즉, 베이스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차수판(200)은 유압실린더(100)에 의해 지지되어 보행자의 보행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보조차수판(300)은 지지턱(12a) 및 가이드부시(600)에 지지되어 보행자의 보행압력을 견디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부시(600)의 상단부는 상부 보조차수판(310)의 저면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시(600)의 하단부는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홈(12)의 바닥면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부시(600)의 둘레에는 가이드부시(600)가 하부 보조차수판(320)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승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승강부재(61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610)는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저면에 고정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부재(610)는 볼베어링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부시(600)의 원활한 승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센서(700)는 발판(1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여, 차수판(200,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700)는 수위센서(710)와 감지센서(720)로 구성되며, 발판(10)의 양측면 및 상면에 복수로 설치된다.
수위센서(710)는 발판 주변의 수위를 감지하여 차수판(200,300)의 높이를 제어하며, 감지센서(720)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차수판(200,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역할을 하는 수위센서(710) 및 감지센서(720)의 감지가 모두 충족이 될 때, 차수판(200,30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강수량이 미미하여, 외부의 빗물이 발판(10) 주변으로 단순히 들이치거나 청소 등의 이유로 인해 물이 수위센서(710)에 닿는 경우, 수위센서(710)가 이를 감지할 수는 있으나, 발판(10)의 계단 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0)에는 물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차수판(200,300)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발판(10)의 수위센서(710)를 통해 발판 주변의 수위가 감지된 후, 그 물이 발판(10)을 흘러 지속적으로 감지센서(7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만 차수판(200,300)이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수위센서(710)는 발판(10)의 초입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감지센서(720)는 차수판(200,300)을 지나 발판(10)의 안쪽에 복수로 설치된다.
한편, 차수판(200,300)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는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물유입방지부재(800)가 설치된다.
이물유입방지부재(800)의 재질은 연질의 부재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물유입방지부재(800)의 일단부만 일측의 차수판(200,300)에 고정됨으로써, 차수판(200,300)의 승강시 이물유입방지부재(800)가 차수판(200,300)에 간섭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차수판(200,30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경고등(미도시)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며, 경고등은 차수판(200,300) 승강시 발광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물막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지하도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최초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차수판(200)은 유압실린더(100)에 지지되고, 메인차수판(200) 양측의 보조차수판(300)은 가이드부시(600) 및 지지턱(12a)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후, 비가 내리면 빗물은 발판(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수위센서(710)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발판(10) 양측면의 수위센서(710) 중 어느 하나의 수위센서(710)만 발판(10) 주변의 수위를 감지하더라도 수위센서(710)의 감지동작은 수행된다.
이때, 빗물이 발판(10) 주변에 단순히 들이치는 경우라면 차수판(200,300)은 작동되지 않는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센서(710)와 감지센서(720)가 동시에 감지되어야만 차수판(200,300)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강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차수판(200,300)이 작동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장마철이나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빗물은 지면을 넘어 발판(10)의 수위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후, 빗물이 흘러 지하도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감지센서(720)에 의해 물의 흐름이 재차 감지된다.
이때, 빗물의 흐름은 복수의 감지센서(720) 모두에 의해 감지될 때, 감지센서(720)의 감지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수위센서(710)와 감지센서(720)가 모두 빗물의 유입을 감지함에 따라, 유압실린더(100)는 1차로 상승된다.
이때에는 메인차수판(200)의 상승만으로 지하도의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상황으로서, 유압실린더(100)의 상승에 의해 메인차수판(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의 상방을 향해 상승된다.
이때, 메인차수판(200) 및 보조차수판(300)에 설치된 경고등의 발광으로 인해,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차수판(200)의 걸림편(210)은 상부 보조차수판(310)을 향해 하부 보조차수판(320)을 들어올려 상부 보조차수판(310)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차수판(200)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유압실린더(100)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피니언 기어(510)는 동일하게 회전되며, 랙기어(520)의 상승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랙기어(520)의 상단부에 설치된 메인차수판(200)의 각 부위별 높이는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메인차수판(200)의 상승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도 출입구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며, 보행자는 비교적 높이가 낮게 상승된 메인차수판(200)을 넘어가거나 밝고 지나갈 수 있음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편의가 저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강수량이 많아 빗물이 상기와 같은 메인차수판(200)을 넘어설 경우, 유압실린더(100)는 2차로 상승된다.
이에 따라, 메인차수판(200)은 유압실린더(100)에 의해 재차 상승되며, 메인차수판(200) 양측의 보조차수판(300)은 각각, 메인차수판(200)의 걸림편(210)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동기바(500)의 작동에 의해 메인차수판(200)의 높이가 균일하게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보조차수판(300)은 발판(10)의 상방을 향해 상승되되,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부시(600)도 함께 상승됨으로써, 가이드부시(600)는 설치홈(1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이 된다.
이때, 하부 보조차수판(320)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고리 어셈블리(400)는 설치홈(12)의 내벽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단턱(13a)에 걸려 고정된다.
즉, 가이드부시(600)가 설치홈(12)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대신, 걸림고리 어셈블리(400)가 내벽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보행 압력에 대하여 보조 차수판(300)이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걸림고리 어셈블리(400)가 설치홈(12)의 내벽에 걸려 고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걸림고리 어셈블리(400)의 고리부(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설치홈(12)의 내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 보조차수판(320)이 상승됨에 따라 걸림고리 어셈블리(400) 역시 내벽을 따라 상승되다가 내벽의 걸림홈(13)에 이르러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420)의 하단부가 회동되면서 후크부(421)가 걸림단턱(13a)에 걸려 고정이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차수판(200) 뿐만 아니라, 보조차수판 역시 발판(10)의 상방으로 상승됨에 따라, 지하도 출입구에 대한 물막이 높이는 더욱 상승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수량이 많을 경우, 효율적인 물막이가 이루어질 있게 된다.
특히, 물막이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메인차수판(200)과 보조차수판(300)은 단차진 상태의 계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지하도를 출입하기 위한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편, 비가 그치고 배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수판(200,300)을 원위치시킨다.
이를 위해, 설치홈(12)의 내벽에 걸린 걸림고리 어셈블리(400)를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유압실린더(100)를 작동하여 메인차수판(200)을 상방으로 더 올림으로써, 보조차수판(300) 역시 상방으로 더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고리부(420)의 후크부(421)는 걸림단턱(13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방으로 상승되고, 걸림방지부재(430)는 후크부(421)의 단부에 밀착이 된다.
이후, 유압실린더(100)를 하강시키면, 메인차수판(200) 역시 하강을 하게 되고, 걸림편(210)에 지지된 보조차수판(300) 역시 자중에 의해 하강이 된다.
이때, 고리부(420)는 걸림방지부재(430)가 후크부(421)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내벽을 따라 하강되기 때문에, 후크부(421)가 걸림단턱(13a)에 걸리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차수판(200,300)이 하강하는 때에도 경고등을 발광하여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 장치는 강수량에 따라 차수판의 높이를 조절하되, 복수의 차수판은 계단을 구성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2 : 설치홈 12a : 지지턱
13 : 걸림홈 13a : 걸림단턱
100 : 승강장치(유압실린더) 200 : 메인차수판
210 : 걸림편 300 : 보조차수판
310 : 상부 보조차수판 320 : 하부 보조차수판
400 : 걸림고리 어셈블리 410 : 결합틀
420 : 고리부 421 : 후크부
430 : 걸림방지부재 440 : 탄성부재
500 : 동기바 510 : 피니언 기어
520 : 랙기어 600 : 가이드부시
610 : 승강부재 700 : 센서
710 : 수위센서 720 : 감지센서
800 : 이물유입방지부재

Claims (10)

  1. 지하도를 향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출입구 기둥과, 상기 지하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계단과, 지면으로부터 상기 계단으로 보행경로를 가이드 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승강장치;
    상기 발판의 설치홈에 설치되어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되 승강장치의 동력에 의해 출입구 기둥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출입구를 막아 빗물 유입을 막는 메인 차수판;
    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 차수판의 전,후 방향에 설치되되 발판의 상면 일부를 구성하며, 메인 차수판의 상승시 메인 차수판과 단차를 갖도록 연동되어 메인 차수판과 계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보조 차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지하도 출입구 방향으로 메인 차수판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차수판의 걸림편은 보조 차수판의 상단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내벽에는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차수판은 상기 지지턱에 걸려 지지된 상부 보조 차수판과, 상부 보조 차수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메인 차수판의 걸림편에 지지된 하부 보조 차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 차수판의 저면에는 하부 보조 차수판을 관통하여 설치홈의 바닥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보조차수판의 저면에는 가이드부시의 둘레를 감싸는 승강부재가 설치되어 가이드부시를 따라 하부 보조차수판의 승강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발판의 설치홈을 구성하는 내벽의 상단부에는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차수판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의 걸림단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 어셈블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 어셈블리는,
    하부 보조차수판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틀;
    상기 결합틀에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단부는 걸림단턱에 걸려 결합되는 후크부를 형성하는 고리부;
    상기 결합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후크부의 단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걸림방지부재;
    상기 고리부와 결합틀 사이에 설치되어 고리부의 회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메인 차수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각 승강장치의 일측에는 메인차수판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해주는 동기바가 더 설치되되, 상기 동기바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메인차수판의 저면에 설치된 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양측면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발판의 상면 중 계단과 근접한 부위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수위센서 및 감지센서가 동시에 감지될 때 메인차수판 또는 보조차수판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센서는 발판 위의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20130025129A 2013-03-08 2013-03-08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26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29A KR101268509B1 (ko) 2013-03-08 2013-03-08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29A KR101268509B1 (ko) 2013-03-08 2013-03-08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509B1 true KR101268509B1 (ko) 2013-06-04

Family

ID=4886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129A KR101268509B1 (ko) 2013-03-08 2013-03-08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5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02B1 (ko) * 2013-12-10 2015-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조립 시스템
CN110578319A (zh) * 2019-10-17 2019-12-17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地下车库防水装置
KR102239526B1 (ko)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CN117403938A (zh) * 2023-11-27 2024-01-16 江苏润尔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防涝系统
KR20240030970A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29A (ko) * 2003-02-17 2004-08-25 금호엔지니어링 (주)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29A (ko) * 2003-02-17 2004-08-25 금호엔지니어링 (주)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02B1 (ko) * 2013-12-10 2015-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조립 시스템
CN110578319A (zh) * 2019-10-17 2019-12-17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地下车库防水装置
KR102239526B1 (ko)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20240030970A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KR102645761B1 (ko) * 2022-08-29 2024-03-08 주식회사 우노 차수 장치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CN117403938A (zh) * 2023-11-27 2024-01-16 江苏润尔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防涝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CN207526020U (zh) 一种新式楼梯
KR101204536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JP2013047453A (ja) 歩道橋
US20100308294A1 (en) Open and close railgate
KR100910180B1 (ko)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
KR20140089239A (ko)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CN109505386A (zh) 一种新式楼梯及其实现方法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20130024206A (ko) 움직이는 창문용 난간
KR101351837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KR100988245B1 (ko)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200254924Y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JP6057689B2 (ja) 退避路
JP2010070945A (ja) 車両用ゲート施設の地下通路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57171Y1 (ko)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
JP5641579B2 (ja) 階段構造
KR101985540B1 (ko) 승강 건축구조
KR20200106469A (ko) 보조커버의 높이조절이 연동되는 경사면 발판
KR101044604B1 (ko) 부력 및 회전을 이용한 이물질 걸림방지용 난간
JP6524428B2 (ja) 階段装置
KR100751085B1 (ko) 건물의 옥외용 비상 계단 구조물
KR100937480B1 (ko) 자동난간
JP4878412B2 (ja) 駐車スペー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