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245B1 -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245B1
KR100988245B1 KR1020100072673A KR20100072673A KR100988245B1 KR 100988245 B1 KR100988245 B1 KR 100988245B1 KR 1020100072673 A KR1020100072673 A KR 1020100072673A KR 20100072673 A KR20100072673 A KR 20100072673A KR 100988245 B1 KR100988245 B1 KR 10098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enoid switch
link
scaffol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7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절기 계단의 발판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계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대각선으로 양측에 평행하게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 양측의 프레임에 균일한 간격으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측의 단부에는 고리가 구비되고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는 발판;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발판이 수평방향 이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발판들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고리들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 링크의 단부에 결합되는 해제장치; 해제장치의 몸체의 체결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해제장치를 링크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로드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 비상계단의 상부 진입부 및 하부 진입부에 각각 설치되어 비상계단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하고, 비상계단에 눈이 쌓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 인해 동절기에 비상계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STAIRS WITH SNOW REMOVAL FUNCTION FOR BUILDING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비상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 계단의 발판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계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에 사용되는 비상계단은 설치장소에 따라 옥내 계단과 옥외 계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의 비상계단은 옥외에 설치되는 계단에 관한 것이고, 옥외의 여러 장소에 사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주로 건축물의 외벽에 구비되는 것이 이에 속한다.
건축물의 계단은 콘크리트나 철판으로 발판이 제작되고 발판의 상부에는 요철을 형성시켜 눈이나 비가 오더라도 사용자가 발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판에 형성된 요철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요철의 홈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동절기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그 기능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요철을 덮을 정도의 눈이 발판에 쌓이는 경우에는 요철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계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으며, 동절기에 계단에서 미끄러지는 경우 평지에서 넘어지는 경우에 비해 심한 타박상이나 골절상을 입게 된다.
계단에서의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옥외 비상계단의 발판에 쌓인 눈을 치워야만 한다. 그러나 잘 이용하지 않는 비상계단에 쌓이는 눈을 수시로 치우기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대부분은 옥외에 설치된 비상계단의 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옥외 비상계단의 발판에 눈이 쌓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막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차양막을 설치하는데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동절기에는 차양막에 의해 음지가 형성되어 오히려 계단의 발판에 빙판이 형성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여러 이유들로 인해 옥외에 설치되는 비상계단은 동절기에 눈이 쌓이면 매우 위험하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옥외에 설치되는 비상계단에 별도의 차양막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계단의 발판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상계단을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은 건축물의 외벽 높이 방향으로 교차반복되게 구비되는 계단참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된 비상계단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는 상기 계단참들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수직판 형상이고, 난간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파이프와 수직파이프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사파이프로 구성되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에 프레임 본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회전축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양측 프레임 본체의 사이에 고정되는 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과 사각판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돌출되게 고리가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봉 형상이고, 측면에는 상기 발판의 고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해제장치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와 제 1 몸체는 상기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결합편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닫힌 단부에는 판 형상의 제 1 압착판이 형성되며 제 1 압착판의 중앙에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며, 제 2 몸체는 타측이 하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핀이 구비되고, 제 2 결합편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2 몸체의 측면에 체결되고 닫힌 단부에는 판 형상의 제 2 압착판이 형성되며, 스프링은 상기 제 1 결합편과 제 2 결합편의 제 1 압착판과 제 2 압착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제 1 결합편과 제 2 결합편이 탄성지지되는 해제장치;와 상기 해제장치의 제 2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외부로 전진 또는 후퇴되는 봉 형상의 로드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와 상기 난간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에 설치되는 접근 감지센서;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와 솔레노이드 스위치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접근 감지센서(90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7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외벽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계단참에 대각선방향으로 평행하게 프레임 본체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사이에 회전축과 스토퍼를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프레임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발판을 설치하는 발판 설치단계;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에 링크를 결합시키는 링크 설치단계;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 내부에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설치단계;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로드 단부와 링크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해제장치를 설치하는 해제장치 설치단계; 상기 프레임의 난간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근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접근 감지센서 설치단계; 상기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근 감지센서와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시험하는 시험 작동단계;를 통해 시공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비상계단에 눈이 쌓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 인해 동절기에 비상계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와 전자적인 고장이 발생한다 하여도 기계적으로도 작동이 되므로 인해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제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해제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발판이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발판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1: 이하, 비상계단이라 함)은 프레임(100), 발판(200), 링크(300), 해제장치(400), 솔레노이드 스위치(500), 접근 감지센서(600) 및 제어부(700)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먼저, 프레임(100)은 건축물(10)의 외벽(11)에 높이 방향으로 교차반복되게 구비되는 계단참(12)에 설치되는 것이며, 프레임 본체(110), 난간(120), 회전축(130), 스토퍼(140)로 구성된다.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계단참(12)들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층 계단참(12)과 하층 계단참(12)의 양측에 설치되어 한 벌이 평행을 이루게 된다. 난간(120)은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파이프(121)와 수직파이프(121)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사파이프(122)로 구성된다.
회전축(13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프레임 본체(110)가 설치되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스토퍼(140)는 프레임 본체(110)가 설치되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 회전축(130)이 이격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회전축(130)과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스토퍼(140)는 프레임 본체(110)들의 사이에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이다.
발판(200)은 프레임 본체(11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넓이의 면적을 가진 사각판 형상이며, 일측은 상기 회전축(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축(130)과 결합된 일측의 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고리(210)가 형성된다.
링크(300)는 프레임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이고, 측면에는 상기 발판(200)의 고리(2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해제장치(4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해제장치(400)는 제 1 몸체(410), 제 1 결합편(420), 제 2 몸체(430), 제 2 결합편(440), 스프링(450)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하며, 링크(300)와 후술될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 사이에 설치된다.
해제장치(400)의 제 1 몸체(410)는 상부가 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제 1 결합편(420)과 결합된다. 제 1 결합편(420)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1 몸체(410)의 측면에 고정되고, 닫힌 단부는 판 형상의 제 1 압착판(42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압착판(421)의 중앙에는 가이드 공(422)이 형성된다.
제 2 몸체(430)는 하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부에는 가이드 핀(43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제 2 결합편(440)이 결합된다. 제 2 결합편(440)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2 몸체(430)의 측면에 고정되고 닫힌 단부에는 판 형상의 제 2 압착판(441)이 형성된다.
스프링(450)은 제 1 결합편(420)의 제 1 압착판(421)과 제 2 결합편(440)의 제 2 압착판(44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제장치(400)의 결합은 제 2 몸체(430)의 가이드 핀(431)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제 1 결합편(420)의 가이드 공(422)에 상기 가이드 핀(431)이 삽입되게 한다. 이때, 제 1 결합편(420)의 제 1 압착판(421)이 제 2 몸체(430)에 접하게 한다.
이후, 가이드 핀(431)에 스프링(450)을 삽입시키고, 제 2 결합편(440)의 제 2 압착판(441)이 스프링(450)과 접하게 하며, 제 2 결합편(440)의 개방된 부분을 제 2 몸체(430)의 측면에 결합시킨다.
끝으로 제 1 몸체(410)를 제 1 결합편(420)의 열린 단부에 고정하여 해제장치(4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제장치(400)는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450)의 장력에 의해 링크(300)를 향해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이 서로 이격되려고 하고, 이로 인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는 프레임 본체(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 측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는 제어부(700)에서 신호선(701)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하거나 내부로 후퇴되는 로드(5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로드(510)의 단부는 상기 해제장치(400)의 제 2 몸체(4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된다.
접근 감지센서(600)는 상기 프레임(100)을 따라 구비되는 난간(1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난간(1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기둥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근 감지센서(600)로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 감지센서(600)는 제어부(700)와 신호선(70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람의 접근 연부를 감지하면 상기 신호선(702)를 통해 제어부(700)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700)는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비상계단(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사람이 접근하는지를 판단하며, 이러한 판단을 근거로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작동신호 또는 해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1)은 평상시에는 발판(200)이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수직을 이루고 있고, 사람이 계단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만 발판(2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사람이 비상계단(1)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이 비상계단(1)을 통과한 뒤에는 다시금 발판(200)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계단의 발판(200)을 상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놓는 목적은, 계절의 변화와 일기의 변화에 따라 동절기에 눈이 내리는 경우 눈이 비상계단(1)의 발판(200)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동절기 이외의 계절에도 비상계단(1)의 발판(200)에 나뭇잎이나 비닐재질의 포장지 등이 놓이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비가 내릴 때 나뭇잎이나 포장지에 의해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1)은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해제장치(400)와 링크(300)도 로드(510)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발판(200)도 링크(300)에 의해 모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이 비상계단(1)으로 접근하면, 난간(120)에 구비된 접근 감지센서(600)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난간(120)으로부터 사람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0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70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한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는 로드(510)를 외부로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드(510)가 외부로 전진되면, 로드(510)와 연결된 해제장치(400)는 로드(510)가 전진됨과 동시에 링크(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300)는 프레임 본체(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이동되고, 링크(300)와 연결되어 있는 발판(200)들은 링크(300)가 이동되면서 회동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사람이 비상계단(1)의 발판(200)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모든 발판(200)들이 펼쳐진 상태가 되어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사람이 비상계단(1)을 통과했을 때에는 다시금 최초에 사람을 감지한 접근 감지센서(600) 이외의 다른 접근 감지센서(600)가 사람의 접근을 인식하게 되고, 제어부(700)에서는 이를 사람이 멀어져 가는 것으로 인식하고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해제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해제명령을 수신한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는 로드(510)를 내부로 후퇴시키고, 로드(510)가 후퇴되면 해제장치(400) 및 링크(300)도 최초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발판(200)들 역시 링크(300)의 이동과 함께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1)은 자동으로 발판(200)을 접거나 펼 수 있으므로 항시 비상계단(1)의 발판(200)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1)은 기계적인 구조와 전기적인 구조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인 구조의 결함보다는 전기적인 구조에서 결함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해제장치(400)를 구비해서 전기적인 구조에서 결함이 발생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500)가 작동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해제장치(400)의 작동을 상세히 살펴보면 접근 감지센서(600), 제어부(700)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문제가 발생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5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즉, 접근 감지센서(600), 제어부(700)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문제가 발생되어 사람이 접근해도 발판(200)들이 펼쳐지지 않을 때 사용자는 비상계단(1)의 상부 또는 하부의 발판(200)을 발로 밟아 전체 발판(200)을 수평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발판(200)은 일측에 구비된 고리(210)에 의해 링크(3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하나의 발판(200)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면 링크(300)는 상승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연결되어 있는 해제장치(400)의 제 2 몸체(43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에 고정되어 그 위치에 정지하게 되며, 링크(300) 및 몸체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450)을 압박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이 스프링(450)을 압박하면서 서로 멀어지게 되면, 링크(300)는 프레임(100)의 상부로 이동되며, 비상계단(1)의 발판(200)은 모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펼쳐진다.
이때, 가이드 핀(431)은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이 평행을 이루도록 하며, 이를 통해 스프링(450)에 길이방향에 따른 압축력 이외에 비틀림 등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해제장치(400)의 구성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발판(200)이 모두 펼쳐지면 사람은 각각의 발판(200)을 밟으며 이동하면 되고, 비상계단(1)을 이동할 때 하나의 발판(200)을 밟은 뒤 이웃하는 발판(200)을 밟는 식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비상계단(1)의 어떠한 발판(200)을 밟고 있더라도 모든 발판(20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져 있게 된다.
이러한 해제장치(400)는 사람이 발판(200)을 완전히 빠져나간 뒤에는 다시금 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해제장치(400)는 전기적인 고장에 의해 비상계단(1)의 발판(200)이 펼쳐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상계단(1)은 공장에서 모든 구성품을 제작한 뒤 현장에서 설치하는 것으로 시공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비상계단(1)의 길이나 무게를 고려할 경우에는 비상계단(1)을 공장에서 모두 조립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는 각각의 구성품을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이미 제작된 각각의 구성품을 서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시공방법은 프레임 설치단계(S100), 발판 설치단계(S200), 링크 설치단계(S300), 솔레노이드 스위치 설치단계(S400), 해제장치 설치단계(S500), 접근 감지센서 설치단계(S500) 및 시험 작동단계(S600)를 통해 시공 가능하다.
프레임 설치단계(S100)는 건축물(10)의 외벽(11)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계단참(12)에 대각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프레임 본체(110)를 고정한 뒤 프레임 본체(110)의 사이에 회전축(130)과 스토퍼(14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회전축(130)과 스토퍼(140)는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프레임 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용접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발판 설치단계(S200)는 프레임(100)의 회전축(130)에 발판(20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회전축(130)에 설치된 발판(200)은 스토퍼(140)에 의해 수평방향 이하로는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링크 설치단계(S300)는 발판(200)의 고리(210)에 링크(3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발판(200)에 구비된 고리(210)에 연결된 링크(300)는 비상계단(1)을 구성하는 프레임 본체(110)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솔레노이드 스위치 설치단계(S400)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로드(510)가 진진 또는 후퇴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는 링크(300) 방향을 향하게 설치된다.
해제장치 설치단계(S50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 단부와 링크(300) 사이에 해제장치(40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접근 감지센서 설치단계(S500)는 프레임(100)의 난간(120) 상부와 하부에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포토센서와 같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시험 작동단계(S60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00) 및 접근 감지센서(600)를 제어부(700)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시킨 뒤 인위적으로 접근 감지센서(600)에 접근하여 시험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비상계단(1)의 상부 진입부 및 하부 집입부로 사람이 접근할 때 각각의 접근 감지센서(600)가 바르게 작동하여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는지의 여부,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에서 송부된 정보를 제어부(700)에서 바르게 인식하고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에 작동신호를 발송하는지 여부 및 제어부(700)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스위치(500)가 바르게 작동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완성된 비상계단(1)은 각 구성품을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 즉시 시공이 가능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장점과 이에 따른 공기 단축의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특정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10: 프레임 본체
120: 난간 130: 회전축
140: 스토퍼 200: 발판
210: 고리 300: 링크
400: 해제장치 410: 제 1 몸체
420: 제 1 결합폅 421: 제 1 압착판
423: 가이드 공 430: 제 2 몸체
431: 가이드 핀 440: 제 2 결합편
441: 제 2 압착판 450: 스프링
500: 솔레노이드 스위치 510: 로드
600: 접근 감지센서 700: 제어부

Claims (2)

  1. 건축물(10)의 외벽(11) 높이 방향으로 교차반복되게 구비되는 계단참(12)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된 비상계단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계단참(12)들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수직판 형상이고, 난간(12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파이프(121)와 수직파이프(12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사파이프(122)로 구성되며, 회전축(13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내부에 프레임 본체(110)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스토퍼(140)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회전축(130)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30)과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양측 프레임 본체(110)의 사이에 고정되는 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100);과
    사각판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회전축(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돌출되게 고리(210)가 형성되는 발판(200);과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봉 형상이고, 측면에는 상기 발판(200)의 고리(2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해제장치(4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300);와
    제 1 몸체(410)는 상기 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결합편(420)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1 몸체(410)의 측면에 고정되고 닫힌 단부에는 판 형상의 제 1 압착판(421)이 형성되며 제 1 압착판(421)의 중앙에는 가이드 공(422)이 형성되며, 제 2 몸체(430)는 타측이 하기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핀(431)이 구비되고, 제 2 결합편(440)은 'ㄷ'자 형상이며 개방된 단부가 상기 제 2 몸체(430)의 측면에 체결되고 닫힌 단부에는 판 형상의 제 2 압착판(441)이 형성되며, 스프링(450)은 상기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의 제 1 압착판(421)과 제 2 압착판(44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450)에 의해 제 1 결합편(420)과 제 2 결합편(440)이 탄성지지되는 해제장치(400);와
    상기 해제장치(400)의 제 2 몸체(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외부로 전진 또는 후퇴되는 봉 형상의 로드(510)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와
    상기 난간(120)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에 설치되는 접근 감지센서(600);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와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2. 건축물(10)의 외벽(11)의 높이 방향으로 양측에 교차반복되게 구비되는 계단참(12)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200)으로 구성된 비상계단(1)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10)의 외벽(11)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계단참(12)에 대각선방향으로 평행하게 프레임 본체(110)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사이에 회전축(130)과 스토퍼(140)를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단계(S100);
    상기 프레임(100)의 회전축(130)에 회동가능하게 발판(200)을 설치하는 발판 설치단계(S200);
    상기 발판(200)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210)에 링크(300)를 결합시키는 링크 설치단계(S300);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 내부에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를 설치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설치단계(S400);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로드(510) 단부와 링크(30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해제장치(400)를 설치하는 해제장치 설치단계(S500);
    상기 프레임(100)의 난간(120)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근 감지센서(600)를 설치하는 접근 감지센서 설치단계(S500);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5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설치하고, 상기 접근 감지센서(600)와 솔레노이드 스위치(500)의 작동여부를 시험하는 시험 작동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의 시공방법.
KR1020100072673A 2010-07-28 2010-07-28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098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73A KR100988245B1 (ko) 2010-07-28 2010-07-28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73A KR100988245B1 (ko) 2010-07-28 2010-07-28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245B1 true KR100988245B1 (ko) 2010-10-18

Family

ID=4313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73A KR100988245B1 (ko) 2010-07-28 2010-07-28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31B1 (ko) 2011-08-08 2012-01-04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틸팅계단 구조
KR101105596B1 (ko) 2011-08-09 2012-01-18 (주)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CN104746817A (zh) * 2015-03-26 2015-07-01 河北工业大学 基于plc的新型楼宇外置式逃生梯
CN107653772A (zh) * 2017-10-16 2018-02-02 湖南匡楚科技有限公司 市政公用桥梁侧楼梯的清洗方法
KR20210035547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회전식 계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519B1 (ko) 1996-12-10 1999-07-15 정몽규 대형차량의 계단 설치구조
KR100611406B1 (ko) 2004-10-29 2006-08-16 윤주연 조립식 비상탈출 계단
KR20060116670A (ko) * 2005-10-21 2006-11-15 권오봉 접철식 사다리
KR100689065B1 (ko) 2006-12-12 2007-03-02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519B1 (ko) 1996-12-10 1999-07-15 정몽규 대형차량의 계단 설치구조
KR100611406B1 (ko) 2004-10-29 2006-08-16 윤주연 조립식 비상탈출 계단
KR20060116670A (ko) * 2005-10-21 2006-11-15 권오봉 접철식 사다리
KR100689065B1 (ko) 2006-12-12 2007-03-02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31B1 (ko) 2011-08-08 2012-01-04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틸팅계단 구조
KR101105596B1 (ko) 2011-08-09 2012-01-18 (주)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CN104746817A (zh) * 2015-03-26 2015-07-01 河北工业大学 基于plc的新型楼宇外置式逃生梯
CN107653772A (zh) * 2017-10-16 2018-02-02 湖南匡楚科技有限公司 市政公用桥梁侧楼梯的清洗方法
KR20210035547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회전식 계단
KR102679482B1 (ko) 2019-09-24 2024-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회전식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45B1 (ko)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CN101473097A (zh) 用于建筑工地的楼梯
JP2018514488A (ja) 建物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建物アクセス・システムを建物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JP2009235816A (ja) 階段
CN103635645A (zh) 可调式安全屏障系统
CN109505386A (zh) 一种新式楼梯及其实现方法
US20080190049A1 (en) Portable construction staircase
JP5143105B2 (ja)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KR20044159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난간용 비막이
CN219608020U (zh) 一种建筑结构自动化监测装置
CN112411641A (zh) 一种灾后房屋纠偏装置及纠偏方法
KR102548162B1 (ko) 이동용 계단 겸용 수직 승강형 리프트 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JP3760133B2 (ja) 住戸アクセス用昇降設備の増設方法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230123813A (ko) 자동 높이조절용 난간장치
EP1365087A2 (en) Safety barrier apparatus
KR100988244B1 (ko)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CN110541572B (zh) 隔离型临时安全通道及高层商铺施工方法
KR20080005582U (ko) 계단 안전 난간대
JP6057689B2 (ja) 退避路
KR101747260B1 (ko)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20200091314A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