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596B1 -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 Google Patents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596B1
KR101105596B1 KR1020110079079A KR20110079079A KR101105596B1 KR 101105596 B1 KR101105596 B1 KR 101105596B1 KR 1020110079079 A KR1020110079079 A KR 1020110079079A KR 20110079079 A KR20110079079 A KR 20110079079A KR 101105596 B1 KR101105596 B1 KR 101105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tairs
flat bar
inclined fla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갑
Original Assignee
(주)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7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휠체어나 카트의 이동이 자유로운 경사로 또는 보행이 자유로운 계단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요철경사면(32)을 갖고 좌우측면이 자기윤활층(37)(38)으로 피복된 복수의 경사플랫바(30)를 일정한 간격(T)을 두고 계단상부슬래브(20)와 계단하부슬래브(22)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계단형태의 디딤부(42)와 챌부(44)를 갖는 평판형태의 승강플랫계단(40)을 경사플랫바(30) 사이사이에 설치하되 그 하단부에 형성된 축결합부(46)(48)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50)(52)에 의해 연결하며,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크결합부(34)(36)와 승강플랫계단(40)의 축결합부(46)(48)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평행링크(60)(62)로 연결하고, 경사플랫바(30)와 평행링크(60)(62)의 하단부에 걸리는 오목한 하강멈춤턱(43a)(43b)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걸리는 상승스토퍼(49)를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계단과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요철경사면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플랫바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자기윤활층에 의해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Building combines Slope Way and Stairs}
본 발명은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휠체어나 카트의 이동이 자유로운 경사로 또는 보행이 자유로운 계단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시공되는 계단은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는 단형(段形)의 통로로, 계단높이를 결정하는 챌판과 계단너비를 결정하는 디딤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계단의 디딤판 모서리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중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이 설치되고, 계단의 측부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통행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계단은 고정된 형태의 구조물이기 때문에 휠체어나 카트의 통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계단과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막대한 공사비가 추가되고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계단 난간에 형성된 보관부에 접철경사판체를 접어서 보관하고 있다 필요시 접철경사판체를 계단 위로 펼쳐서 사용하도록 된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출원번호 제10-2011-0012095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난간에 기대어 보관하도록 된 접철경사판체의 보관작업이 불편하며, 부주의로 인해 전도의 위험이 있어 많은 위험부담이 크고, 난간에 기대어 보관하도록 된 접철경사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흉물스럽게 보이기 때문에 주변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계단 또는 경사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측에 요철경사면을 갖고 좌우측면이 자기윤활층으로 피복된 복수의 경사플랫바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단상부슬래브와 계단하부슬래브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계단형태의 디딤부와 챌부를 갖는 평판형태의 승강플랫계단을 경사플랫바 사이사이에 설치하되 그 하단부에 형성된 축결합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연결하며, 경사플랫바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크결합부와 승강플랫계단의 축결합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평행링크로 연결하고, 경사플랫바와 승강플랫계단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클레비스 형태로 연결하고, 평행링크의 하단부에 걸리는 오목한 하강멈춤턱을 승강플랫계단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경사플랫바의 하단부에 걸리는 상승스토퍼를 승강플랫계단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플랫계단을 하강시켜 경사로로 전환하게 되면, 휠체어 또는 카트의 통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경사플랫바의 상단부에 요철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로 이용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경사플랫바의 좌우측면에 자기윤활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플랫계단의 승강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계단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상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계단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계단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측면모형도
도 4는 본 발명이 경사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상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경사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경사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측면모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플랫바의 단면구조를 보인 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요철경사면(32)을 갖고 좌우측면이 자기윤활층(37)(38)으로 피복된 복수의 경사플랫바(30)를 일정한 간격(T)을 두고 계단상부슬래브(20)와 계단하부슬래브(22)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계단형태의 디딤부(42)와 챌부(44)를 갖는 평판형태의 승강플랫계단(40)을 경사플랫바(30) 사이사이에 설치하되 그 하단부에 형성된 축결합부(46)(48)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50)(52)에 의해 연결한다.
여기서 경사플랫바(3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자기윤활층(37)(38)은 예컨대, 테프론시트를 이용해서 접착하여 구성하거나 테프론파우더를 경사플랫바(30)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경사플랫바(30)의 상하단부에는 평철형태의 상부브래킷(80)과 하부브래킷(82)을 이용해서 용접하며, 이 상부브래킷(80)과 하부브래킷(82)은 앵커볼트(도시 않됨)를 이용해서 계단상부슬래브(20)와 계단하부슬래브(22)에 각각 고정한다.
또한,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크결합부(34)(36)와 승강플랫계단(40)의 축결합부(46)(48)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평행링크(60)(62)로 연결하고,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 사이에 유압실린더(70)를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연결하고, 평행링크(60)(62)의 하단부에 걸리는 오목한 하강멈춤턱(43a)(43b)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걸리는 “L”자 모양의 상승스토퍼(49)를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평행링크(60)(62)와 링크결합부(34)(36)의 결합은 회전핀(55)(5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평행링크(60)(62)와 축결합부(46)(48)의 결합은 샤프트(50)(5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유압실린더(70)의 하단에는 힌지부(71)를 형성하고, 경사플랫바(30)의 단부에는 아크형태의 실린더지지부(39)를 형성하여 힌지부(71)와 실린더지지부(39)를 힌지핀(74)을 이용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피스톤로드(72)의 선단에는 “U”형의 클레비스부(75)를 형성하고,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는 클레비스결합부(47)를 형성하여 클레비스부(75)와 클레비스결합부(47)를 환봉(7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에 형성된 상승스토퍼(49)는 복수의 승강플랫계단(40) 중에 적어도 한개의 승강플랫계단(40)에 형성하여도 되며, 도시예에서는 가장 우측에 위치된 승강플랫계단(40)에 형성하였다.
또, 경사플랫바(30)에 형성된 링크결합부(34)(36)와 실린더지지부(39)는 인접한 두 개의 경사플랫바(30)에 형성하며, 도시예에서는 좌우측 2개소에 형성하였다. 즉, 유압실린더(70) 및 평행링크(60)(62)가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경사플랫바(30)에는 링크결합부(34)(36)와 실린더지지부(39)를 생략하여 재료를 절감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상태로부터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유압실린더(70)의 내부로 오일이 압송되어 피스톤로드(72)가 유압실린더(70) 내부로 진입되면, 피스톤로드(72)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플랫계단(40)이 하강되며, 이때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은 평행링크(60)(62)에 의해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플랫계단(40)은 경사플랫바(30)와 평행을 이루면서 하강된다.
이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강멈춤턱(43a)(43b)이 평행링크(60)(62)의 하단부에 접촉되면서 하강을 멈추게 되고, 공지의 유압회로에 의해 유압실린더(70)는 정지된다.
이때 승강플랫계단(40)은 경사플랫바(30) 사이로 숨게 되기 때문에 휠체어나 카트 등이 경사플랫바(30)의 요철경사면(32)을 타고 등판하거나 내려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로 상태로부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유압실린더(70)의 내부로 오일이 압송되어 피스톤로드(72)가 유압실린더(70)로부터 서서히 돌출되면, 피스톤로드(72)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플랫계단(40)이 상승되며, 이때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은 평행링크(60)(62)에 의해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플랫계단(40)은 경사플랫바(30)와 평행한 상태로 상승된다.
이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승스토퍼(49)가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접촉되면, 승강플랫계단(40)은 상승을 멈추게 되고, 공지의 유압회로에 의해 유압실린더(70)는 정지된다.
이때 승강플랫계단(40)의 디딤부(42)와 챌부(44)가 일반적인 계단 형태로 되어 있고, 승강플랫계단(40)은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가 승강플랫계단(40)을 걸어서 통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플랫바(3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윤활층(37)(38)은 승강플랫계단(40)이 상하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해 승강플랫계단(40)이 좀더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고, 동시에 마찰로 인해 손실될 수 있는 동력손실을 줄여 구동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20 : 계단상부슬래브 22 : 계단하부슬래브
30 : 경사플랫바 32 : 요철경사면
34,36 : 링크결합부 37,38 : 자기윤활층
39 : 실린더지지부 40 : 승강플랫계단
42 : 디딤부 43a,43b : 하강멈춤턱
44 : 챌부 46,48 : 축결합부
47 : 클레비스결합부 49 : 상승스토퍼
50,52 : 샤프트 55,56 : 원형핀
60,62 : 평행링크 64 : 힌지핀
70 : 유압실린더 71 : 힌지부
72 : 피스톤로드 74 : 힌지핀
75 : 클레비스부 76 : 원형핀
T : 간격

Claims (1)

  1. 상측에 요철경사면(32)을 갖고 좌우측면이 자기윤활층(37)(38)으로 피복된 복수의 경사플랫바(30)를 일정한 간격(T)을 두고 계단상부슬래브(20)와 계단하부슬래브(22)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계단형태의 디딤부(42)와 챌부(44)를 갖는 평판형태의 승강플랫계단(40)을 경사플랫바(30) 사이사이에 설치하되 그 하단부에 형성된 축결합부(46)(48)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50)(52)에 의해 연결하며,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크결합부(34)(36)와 승강플랫계단(40)의 축결합부(46)(48)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평행링크(60)(62)로 연결하고,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 사이에 유압실린더(70)를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연결하고, 평행링크(60)(62)의 하단부에 걸리는 오목한 하강멈춤턱(43a)(43b)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걸리는 상승스토퍼(49)를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KR1020110079079A 2011-08-09 2011-08-09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KR10110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79A KR101105596B1 (ko) 2011-08-09 2011-08-09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79A KR101105596B1 (ko) 2011-08-09 2011-08-09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596B1 true KR101105596B1 (ko) 2012-01-18

Family

ID=4561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79A KR101105596B1 (ko) 2011-08-09 2011-08-09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61B1 (ko) 2012-09-05 2013-06-1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WO2015002452A1 (ko) * 2013-07-03 2015-01-08 한국공항공사 자동 경사로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689065B1 (ko) 2006-12-12 2007-03-02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70098979A (ko) * 2007-09-17 2007-10-08 임명구 경사로로 변형 가능한 계단
KR100988245B1 (ko) 2010-07-28 2010-10-18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689065B1 (ko) 2006-12-12 2007-03-02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70098979A (ko) * 2007-09-17 2007-10-08 임명구 경사로로 변형 가능한 계단
KR100988245B1 (ko) 2010-07-28 2010-10-18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61B1 (ko) 2012-09-05 2013-06-1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WO2015002452A1 (ko) * 2013-07-03 2015-01-08 한국공항공사 자동 경사로 조절 장치
US9839564B2 (en) 2013-07-03 2017-12-12 Korea Airports Corporation Automatic slope adjus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822B2 (en) Hydraulic elevating platform having no guide rails and elevating method
US5234078A (en) Collapsing stair lift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AU2007262663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101101231B1 (ko) 공동주택용 틸팅계단 구조
KR200418543Y1 (ko) 고소작업 리프트
KR101105596B1 (ko)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
JP2009235816A (ja) 階段
CN107601376A (zh) 用于上下楼的助力器
CN206645674U (zh) 双面滑道式楼梯升降装置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CN111362102B (zh) 带电梯的别墅楼梯及其工作方法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JP3197568U (ja) 階段用スロープ
CN211169420U (zh) 一种加装电梯轮椅进入错层楼道折叠平台及升降系统
JP4261178B2 (ja) 段差解消階段
CN211769636U (zh) 一种平步楼梯用升降装置
CN108238529A (zh) 双面滑道式楼梯升降装置
CN211198308U (zh) 基于液压系统的助老楼梯
JP3772139B2 (ja) 階段用リフター
CN110206244B (zh) 一种方便轮椅上楼的升降楼梯
CN215631163U (zh) 中式建筑用的升降楼梯
CN216272580U (zh) 一种防风雨型残疾人用升降机
CN214935137U (zh) 一种基于智能载物爬楼梯机器人使用的导轨
KR100500680B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에이(a)형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