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526B1 - 침수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수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526B1
KR102239526B1 KR1020200138912A KR20200138912A KR102239526B1 KR 102239526 B1 KR102239526 B1 KR 102239526B1 KR 1020200138912 A KR1020200138912 A KR 1020200138912A KR 20200138912 A KR20200138912 A KR 20200138912A KR 102239526 B1 KR102239526 B1 KR 10223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ntrance
shield plate
height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공영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3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하철, 지하도, 지하주자장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빗물의 수위를 단계별로 감지하며 차수판을 단계적으로 자동 상승되게 함으로써 출입구를 막아 폭우나 집중호우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침수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장소 출입구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되며 양측이 상기 한쌍의 지주(10)에 지지되고 2단으로 상승 가능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는 차수판(20); 어느 하나의 지주(10)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15cm 높이의 1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30); 상기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동안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30cm 높이의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40); 출입구의 바닥에 매립된 상기 차수판(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30,4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는 유압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수차단 시스템{Flooding cut-off system}
본 발명은 침수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하철, 지하도, 지하주자장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빗물의 수위를 단계별로 감지하며 차수판을 단계적으로 자동 상승되게 함으로써 출입구를 막아 폭우나 집중호우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침수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지하철, 지하도, 지하상가 또는 건축물의 지하층,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 복잡한 지상공간을 대체할 목적으로 설치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런한 지하시설물은 지상으로부터 수십미터 깊이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소정기피의 지하에 운영되는 지하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하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지하시설물이 위치한 지상에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출입구의 입구는 지면과 대략 10~20cm의 높이를 가지는 입구바닥이 소정의 넓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바닥에서부터 지하시설물까지는 하향 경사진 계단으로 구성되고, 입구바닥의 상측에는 지붕을 가지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입구바닥의 높이를 낮게 설치함으로써 장마철 많은 비가 내리거나 집중호우로 인하여 우수가 많은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기 않게 되면서 우수가 입구바닥을 넘어 지하시설물 방향으로 흘러들어가 이용자들의 출입을 곤란하게 하는 것은 물론, 지하시설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시설물의 출입구측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지하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용자가 필요시 지하시설물의 출입구에 차수막을 거치하여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모래주머니는 집중호우의 양이 많아질 경우 수압에 의해서 모래주머니 사이로 물이 침투하거나 모래주머니를 월류하여 지하실로 물이 침투하게되고, 거치형태의 차수막은 이용자가 수동적으로 설치하여야 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84968호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685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도, 지하주차장 등의 출입구에 설치하며 폭우나 집중호우시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빗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빗물의 수위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차수판이 15cm와 30cm의 높이로 자동 상승될 수 있게 하여 출입구를 막아 폭우나 집중호우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침수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장소 출입구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되며 양측이 상기 한쌍의 지주(10)에 지지되고 2단으로 상승 가능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는 차수판(20);
어느 하나의 지주(10)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15cm 높이의 1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30);
상기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동안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30cm 높이의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40);
출입구의 바닥에 매립된 상기 차수판(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30,4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는 유압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빗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에 따라 차수판을 1단 및 2단 높이로 자동 상승시켜 빗물의 수위에 맞혀 대응이 용이하며 폭우나 집중호우시 신속하게 빗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어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인으로 자동 작동되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급박한 상황에서 관리자의 작업없이 출입구를 신속하게 막을 수 있어 지하철, 지하주차장 등 내부의 각종 설비와 차량들을 보호하고 침수로 인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침수차단 시스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침수차단 시스템의 작용 상태도
<2a-차수판 1단 높이로 상승된 상태도, 2b-차수판 2단 높이로 상승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침수차단 시스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침수차단 시스템의 작용 상태도
<4a-차수판 1단 높이로 상승된 상태도, 4b-차수판 2단 높이로 상승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침수차단 시스템의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은 본 발명의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장소 출입구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되며 양측이 상기 한쌍의 지주(10)에 지지되고 2단으로 상승 가능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는 차수판(20);
어느 하나의 지주(10)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15cm 높이의 1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30);
상기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동안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30cm 높이의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40);
출입구의 바닥에 매립된 상기 차수판(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30,4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는 유압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자창 중 어느 하나의 장소 출입구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되며 양측이 상기 한쌍의 지주(10)에 지지되고 2단으로 상승 가능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는 차수판(20);
어느 하나의 지주(10)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동안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15cm 높이의 1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30);
상기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30cm 높이의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4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와 상기 지주(10)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는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등의 장소 출입구에 설치되며 폭우나 집중호우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수판이 2단 높이로 순차 상승되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주(10), 차수판(20), 제1센서(30), 제2센서(40), 유압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지주(10)는 설치장소의 출입구에서 한쌍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차수판(20)의 양측이 내삽되며 차수판(20)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차수판(20)이 위치되는 내측이 수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주(10)는 차수판(20)을 매립하기 위해 출입구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간부(A)에 하부가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차수판(20)은 상기 출입구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간부(A)에 매립되며 한쌍의 지주(10) 사이에서 양측이 각 지주(10)에 내삽되어 설치되고 후술되는 유압장치(50)에 의해 출입구 바닥에서 빗물의 수위에 따라 15cm의 1단 높이 및 30cm의 2단 높이로 상승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센서(30)는 어느 하나의 지주(10)에 설치되며, 출입구의 바닥으로부터 1cm 의 높이에 설치되어, 폭우나 집중호우시 많은양의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제1센서(30)가 설치된 높이까지 도달하면 제1센서(30)에서는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빗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차수판(20)을 1단 높이인 15cm 높이로 자동 상승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2센서(40)는 상기 1센서(30)가 설치된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제2센서(40)는 출입구의 바닥으로부터 10cm의 높이에 설치되어 제2센서(40)에서는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빗물이 감지될 경우 1단 높이로 상승되어 있는 상기 차수판(20)을 2단 높이인 30cm 높이로 자동 상승시켜 빗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유압장치(50)는 상기 차수판(20)이 매립된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서 차수판(20)의 하단부에 단일 또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서는 상기 차수판(20)을 1단의 높이로 상승시키고,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서는 차수판(20)을 2단의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압장치(50)는 실린더로드(51)가 유압의 공급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차수판(20)을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실린더로드(51)가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서는 차수판(20)을 1단의 높이인 15cm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유압장치(50)에는 실린더로드(51)를 15cm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이 공급되고, 제2센서(30)의 신호에 의해서는 차수판(20)을 2단의 높이인 30cm의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실린더로드(51)를 30cm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차수판(20)을 1단 및 2단 높이로 자동 상승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수판(20)이 상승되는 출입구의 바닥에는 차수판(20)과 출입구 바닥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차수판(20)과 출입구 바닥사이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위해 고무재질의 밀폐링(21)이 둘러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지주(10)에는 상단에 경고등(70)이 설치되어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경고등(70)이 작동되어 부저나 소리 등으로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주변에 알리며, 관리자의 휴대폰에는 제2센서(40)와 연계된 알림수단이 구비되어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경고등(70)이 작동되면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알림기능이 부여되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관리자가 즉시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센서(30) 또는 제2센서(40), 유압장치(50)에 의해 설치장소의 출입구에서 1단 또는 2단 높이로 상승된 상태의 차수판(20)은 빗물의 침수우려가 없어졌을 경우 차수판(20)을 상부에서 발로 가압하여 유압장치(50)의 유압이 배출되면서 차수판(20)이 원활하게 하강하여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로 다시 매립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은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등의 장소 출입구에 설치되며 폭우나 집중호우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수판이 2단 높이로 순차 상승되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주(10), 차수판(20), 제1센서(30), 제2센서(40), 승강수단(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지주(10)는 설치장소의 출입구에서 한쌍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차수판(20)의 양측이 내삽되고 차수판(20)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차수판(20)이 위치되는 내측이 수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주(10)는 차수판(20)을 매립하기 위해 출입구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간부(A)에 하부가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차수판(20)은 상기 출입구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간부(A)에 매립되며 한쌍의 지주(10) 사이에서 양측이 각 지주(10)에 내삽되어 설치되고 후술되는 승강수단(60)에 의해 출입구 바닥에서 빗물의 수위에 따라 15cm의 1단 높이와, 30cm의 2단 높이로 상승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수판(20)에는 후술되는 제1걸림부(62)의 상단이 걸리도록 일측면에 제1고정홈(200)과 제2걸림부(63)의 상단이 걸리도록 제1고정홈(200)의 상측으로 제2고정홈(20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홈(200)은 제1고정홈(100)과는 15cm 높이의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센서(30)는 어느 하나의 지주(10)에 설치되며, 출입구의 바닥으로부터 1cm 의 높이에 설치되어, 폭우나 집중호우시 많은양의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제1센서(30)가 설치된 높이까지 도달하면 제1센서(30)에서는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빗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차수판(20)을 1단 높이인 15cm 높이로 자동 상승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2센서(40)는 상기 1센서(30)가 설치된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제2센서(40)는 출입구의 바닥으로부터 10cm의 높이에 설치되어 제2센서(40)에서는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빗물이 감지될 경우 1단 높이로 상승되어 있는 상기 차수판(20)을 2단 높이인 30cm 높이로 자동 상승시켜 빗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60)은 출입구 바닥의 공간부(A)와 지주(10)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기 위해 탄성스프링(61), 제1걸림부(62), 제2걸림부(63), 유압장치(64), 고정버튼(65)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61)은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서 상기 차수판(20)의 하단부에 압축상태로 단일 또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걸림부(62) 또는 제2걸림부(63)에 의한 차수판(200)의 걸림 해제시 탄성력으로 상기 차수판(2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62)는 제1고정홈(200)이 형성된 차수판(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지주(10) 내측으로 설치되며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으며 차수판(10)의 제1고정홈(200)으로 상단부가 삽입되어 차수판(10)을 고정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차수판(10)이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된 상태가 될 수 있게 하고,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서는 제1걸림부(62)가 후퇴되어 차수판(1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탄성스프링(61)에 의해 차수판(20)이 1단 높이로 상승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걸림부(63)는 상기 제1걸림부(62)와 동일하게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으며 지주(10) 내측에서 제1걸림부(62)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제1걸림부(62)의 15cm 높이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차수판(10)의 제2고정홈(201)으로 상단이 삽입되어 차수판(20)이 15cm의 1단 높이로만 상승될 수 있게 하고,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서는 후퇴되어 차수판(1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탄성스프링(61)에 의해 차수판(20)이 30cm의 2단 높이로 상승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압장치(64)는 지주(10)의 내측에서 제1걸림부(62)와 제2걸림부(63)에 각각 일측은 지주(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걸림부(62)와 제2걸림부(63)에 고정되어 제1센서(30)와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실린더로드(640)가 제1걸림부(62)와 제2걸림부(63)를 전진 또는 후퇴되게 하여 차수판(20)을 자동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유압장치(64)는 실린더로드(640)가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상의 복동실린더인 것으로, 내부에 양방향으로 유압이 번갈아 걸리면서 실린더로드(640)가 전진과 후진 모두 가능하여 상기 제1걸림부(62)와 제2걸림부(63)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버튼(65)은 어느 하나의 지주(10) 상측으로 설치되며 제1걸림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입구로 상승된 상태의 차수판(20)을 출입구 바닥의 공간부(A)로 매립시키고자 할 때 차수판(20)을 상부에서 가압시켜 차수판(20)이 공간부(A) 내로 하강되면 고정버튼(65)을 눌러 상기 유압장치(64)를 작동되게 함으로써 유압장치(64)가 제1걸림부(62)를 전진시켜 차수판(20)의 제1고정홈(200)에 제1걸림부(62)가 삽입되면서 차수판(20)을 고정시켜 공간부(A) 내로 차수판(20)이 다시 매립된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차수판(20)이 상승되는 출입구의 바닥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수판(20)과 출입구 바닥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차수판(20)과 출입구 바닥사이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위해 고무재질의 밀폐링(21)이 둘러져 설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지주(10)에는 상단에 경고등(70)이 설치되어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경고등(70)이 작동되어 부저나 소리 등으로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주변에 알리며, 관리자의 휴대폰에는 제2센서(40)와 연계된 알림수단이 구비되어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경고등(70)이 작동되면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알림기능이 부여되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관리자가 즉시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의한 침수차단 시스템은 제1센서(30), 제2센서(40), 유압장치(50), 승강수단(60)이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구성들이 자동 제어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리모콘 송신에 의해 차수판(20)의 수동 작동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차수판(20)은 설치장소의 조건에 따라 출입구로 상승되는 높이는 조정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한쌍의 지주 20-차수판
30-제1센서 40-제2센서
50-유압장치 60-승강수단
61-탄성스프링 62-제1걸림부
63-제2걸림부 64-유압장치
65-고정버튼 70-경고등

Claims (5)

  1. 삭제
  2. 오래된 주택,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자창 중 어느 하나의 장소 출입구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립되며 양측이 상기 한쌍의 지주(10)에 지지되고 2단으로 상승 가능하여 출입구를 막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는 차수판(20);
    어느 하나의 지주(10)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동안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15cm 높이의 1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30);
    상기 지주(10)에서 제1센서(3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빗물이 설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차수판(20)을 바닥으로부터 30cm 높이의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40);
    상기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와 상기 지주(10)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제1센서(30) 및 제2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을 높이별로 순차 상승시키는 승강수단(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수단(60)은 출입구의 바닥 공간부(A)에 매설된 차수막(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차수막을 탄성력으로 상승시키는 탄성스프링(61)과,
    "ㄱ"자로 절곡되며 차수판(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200)에 상단부가 삽입되어 차수판(10)을 바닥 내측에 고정시키고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 후퇴되어 차수판(20)이 1단 높이로 상승되게 어느 하나의 지주(10)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1걸림부(62)와,
    "ㄱ"자로 절곡되며 제1걸림부(62)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차수판(20)이 1단 높이로만 상승되게 제1센서(3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수판(20)의 제1고정홈(200) 상측으로 형성된 제2고정홈(201)으로 전진하여 상단이 삽입되고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서 후퇴되어 차수판(20)을 2단 높이로 상승되게 제1걸림부(62)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제2걸림부(63)와,
    일측은 상기 지주(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걸림부(62)와 제2걸림부(63)에 각각 고정되며 제1,2센서(30,40)의 신호에 의해 제1,2걸림부(62,63)를 각각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유압장치(6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주(10) 상측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상승된 차수판(20)이 상부 가압으로 바닥 내측으로 하강되면 상기 제1걸림부(62)를 전진시켜 상기 제1고정홈(200)에 제1걸림부(62)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버튼(65)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수판(20)이 상승되는 출입구의 바닥에는 차수판(20)과 바닥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밀폐링(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차단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지주(10) 상단에 경고등(70)이 설치되어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관리자의 휴대폰에 알림수단이 구비되어 제2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경고등(70)이 작동되면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알림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차단 시스템.
KR1020200138912A 2020-10-26 2020-10-26 침수차단 시스템 KR10223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12A KR102239526B1 (ko) 2020-10-26 2020-10-26 침수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12A KR102239526B1 (ko) 2020-10-26 2020-10-26 침수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526B1 true KR102239526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12A KR102239526B1 (ko) 2020-10-26 2020-10-26 침수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971B1 (ko) * 2022-10-04 2022-12-13 주식회사 다우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KR102632466B1 (ko) * 2022-08-25 2024-01-31 고지웅 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소화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48B1 (ko) * 2010-08-27 2011-03-17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1184968B1 (ko) 2012-04-06 2012-10-02 청옥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침수방지게이트
KR101268509B1 (ko) 2013-03-08 2013-06-04 민동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200471702Y1 (ko) * 2013-02-08 2014-03-10 주식회사 동진산기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48B1 (ko) * 2010-08-27 2011-03-17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1184968B1 (ko) 2012-04-06 2012-10-02 청옥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침수방지게이트
KR200471702Y1 (ko) * 2013-02-08 2014-03-10 주식회사 동진산기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KR101268509B1 (ko) 2013-03-08 2013-06-04 민동준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466B1 (ko) * 2022-08-25 2024-01-31 고지웅 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소화설비
KR102476971B1 (ko) * 2022-10-04 2022-12-13 주식회사 다우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526B1 (ko) 침수차단 시스템
US20160273181A1 (en) Floo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101300252B1 (ko) 계장계측 원방감시 및 수배전제어반 지중승하강 장치
CN202787281U (zh) 疏水抗滑结构
JP6501961B1 (ja) 耐洪水塀を備えた耐水害建物およびリノベーション工法
KR102476971B1 (ko)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CN108708504B (zh) 屋面排烟天窗及屋面排烟天窗的埋地式结构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200254924Y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US9970291B2 (en) Fill fence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WO2019131538A1 (ja) 地下シェルター
CN216615927U (zh) 一种应用于基坑单排围护的应急结构系统
KR101351837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JP3827550B2 (ja) 路面埋設引上げ式防水パネル装置
CN113699932A (zh) 一种防洪结构
CN211897900U (zh) 一种公路桥梁施工用支撑托架
CN210264760U (zh) 隧道防水结构
JP6516946B1 (ja) 多重止水壁
JP6583943B1 (ja) 地下シェルター
CN203891045U (zh) 深基坑围护桩间的堵漏注浆装置
JP6085861B2 (ja) マンホールの突き上げ浮上防止方法
Wrzesiński Hazards resulting from improper building drainage system by the use of BIM
CN114787466A (zh) 具备防洪水围墙的防水灾设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