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971B1 -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971B1
KR102476971B1 KR1020220125957A KR20220125957A KR102476971B1 KR 102476971 B1 KR102476971 B1 KR 102476971B1 KR 1020220125957 A KR1020220125957 A KR 1020220125957A KR 20220125957 A KR20220125957 A KR 20220125957A KR 102476971 B1 KR102476971 B1 KR 10247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ll
water level
block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
Priority to KR102022012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포항 집중호우와 같이 일정 정도 높이 이상으로 물이 들이찰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감안하여 수위센서를 상하 복수로 설치하고 하부의 수위센서에 의해서는 차단벽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부의 수위센서까지 감지하게 되면 위에서부터 셔터 방식으로 추가적인 셔터벽이 내려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가 일정 정도 이하일 경우에는 하부의 차단벽만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 되면 하부 및 상부의 차단벽이 모두 작동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의 양적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Cut off system to prevent subside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heavy rains}
본 발명은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포항 집중호우와 같이 일정 정도 높이 이상으로 물이 들이찰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감안하여 수위센서를 상하 복수로 설치하고 하부의 수위센서에 의해서는 차단벽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부의 수위센서까지 감지하게 되면 위에서부터 셔터 방식으로 추가적인 셔터벽이 내려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가 일정 정도 이하일 경우에는 하부의 차단벽만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 되면 하부 및 상부의 차단벽이 모두 작동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의 양적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중호우시, 특히 특정지역 집중호우시 지하 주차장 등 아파트, 건물 등의 지하시설로 집중호우가 들어차서 인명, 차량 등의 피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태풍이 지나간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파트, 건물 등의 지하시설로 집중호우가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도 지하주차장 등의 입구에 차수벽이 설치된 곳도 있었으나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는 수준으로, 사람이 차단벽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인지하여 판단하고 버튼 등 수동으로 차단벽을 세우는 수준인 한계가 있어 왔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7829(2020.10.05)호 "지하차도 설치용 수위감지 시스템(Water level sensing system)"에 있어서, 지하차도나 터널 내부에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침수 여부를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지하차도 설치용 수위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차도 입구에서 출구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어 지하차도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정보와 저장된 설정정보를 대비하여 그 결과정보 수치값에 따라 차등되게 외부로 표시하는 감지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제어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램프가 구비된 램프표시부, 결과정보 수치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결과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를 제어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전송된 수위정보를 상기 연산부에 제공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7217(2018.09.07)호 "건축집수정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배수시스템(Drain system to measure underground water level using the building sump pit)"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건축집수정 내부에 지하수위측정관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기초바닥 하부 굴착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의 안정수위를 측정하여 지하수의 상향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집수정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배수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6984(2020.09.29)호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Underpass floo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same)"은 차량이 주행하는 지하차도 외부에 구비되는 VMS전광판과, 상기 지하차도 내부 상부에 고정되어 침수지역을 실시간 영상으로 송출하는 검지카메라와, 상기 지하차도 내부 상부에 고정되어 침수지역의 유속 및 수위를 측정하는 검지센서와, 상기 지하차도 내부에 구비되어 침수지역을 모니터링하고 침수발생 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검지센서 및 상기 검지카메라가 연결되는 제어함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53025(2021.04.23)호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Integration control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은 본 발명은 지하차도의 진입 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차도 내에 설치되어 지하차도의 지하수위를 측정 및 감지하여, 침수되었다고 판단되면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침수감지장치와 상기 지하차도 내에 형성되어 침수된 지하차도의 물을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 작동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침수감지장치와 상기 대피안내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수펌프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통합제어 허브(HUB)와 상기 침수감지장치로부터 수위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침수여부를 확인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집중 호우시 자동으로 빗물의 지하 공간 유입을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고, 주로 침수 후의 배수에 그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7829(2020.10.05)호 "지하차도 설치용 수위감지 시스템(Water level sens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7217(2018.09.07)호 "건축집수정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배수시스템(Drain system to measure underground water level using the building sump p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6984(2020.09.29)호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Underpass floo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53025(2021.04.23)호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Integration control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포항 집중호우와 같이 일정 정도 높이 이상으로 물이 들이찰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감안하여 수위센서를 상하 복수로 설치하고 하부의 수위센서에 의해서는 차단벽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부의 수위센서까지 감지하게 되면 위에서부터 셔터 방식으로 추가적인 셔터벽이 내려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가 일정 정도 이하일 경우에는 하부의 차단벽만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 되면 하부 및 상부의 차단벽이 모두 작동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의 양적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모듈을 통한 센싱에 의해 작동되도록 인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고, 사람이 없어도 사고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은,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차수 장치부(400)를 포함하는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를 위한 센서모듈(100)의 복수의 수위 센서(110)를 통해 자동으로 차수를 위한 사전 센싱을 수행하여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하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하부를 위한 차단벽(410)을 작동시키고,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상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상부를 위한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위 센서(11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수위 센서(110-1 내지 100-n)에 의한 수위 센싱을 통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의 수위에 해당하거나, 유속 센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유속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속 센서(120)는, 수위 센서(110)와 동일한 미리 설정된 위치의 하단영역에 설치되거나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맨홀 뚜껑 내부 또는 맨홀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형성된 지하주차장을 포함하는 지하시설의 입구를 통해 차량이 급하게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100)을 이루는 차량감지 센서(130)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CMOS 카메라로 형성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의해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구비된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뒤,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인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은, 최근 포항 집중호우와 같이 일정 정도 높이 이상으로 물이 들이찰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감안하여 수위센서를 상하 복수로 설치하고 하부의 수위센서에 의해서는 차단벽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부의 수위센서까지 감지하게 되면 위에서부터 셔터 방식으로 추가적인 셔터벽이 내려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수위가 일정 정도 이하일 경우에는 하부의 차단벽만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 되면 하부 및 상부의 차단벽이 모두 작동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의 양적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은, 센서모듈을 통한 센싱에 의해 작동되도록 인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고, 사람이 없어도 사고 예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서의 차수 장치부(400) 중 차단벽(410)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서의 차수 장치부(400) 중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복수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서의 차수 장치부(400) 중 차단벽(410)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서의 차수 장치부(400) 중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복수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은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알람장치부(300), 차수 장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 센서모듈(100)은 수위 센서(110), 유속 센서(120) 및 차량감지 센서(130)를 포함하며, 수위 센서(110)는 제 1 수위 센서(110-1) 내지 제 n 수위 센서(11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며, 제어장치부(200)는 송수신모듈(210)을 포함하며, 알람장치부(300)는 스피커(310) 및 경광 LED(320)를 포함하며, 차수 장치부(400)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차수 장치부(400)를 포함하는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를 위한 센서모듈(100)의 복수의 수위 센서(110)를 통해 자동으로 차수를 위한 사전 센싱을 수행하여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하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하부를 위한 차단벽(410)을 작동시키고,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상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상부를 위한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위 센서(11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수위 센서(110-1 내지 100-n)에 의한 수위 센싱을 통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의 수위에 해당하거나, 유속 센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유속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은 기존의 인력에 의한 판단에 따라 차수벽을 인력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닌, 차수를 위한 센서모듈(100)의 수위 센서(110), 유속 센서(120)를 통해 자동으로 차수를 위한 사전 센싱을 수행하여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 등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위 센서(11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수위 센서(110-1 내지 100-n)에 의한 수위 센싱을 통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의 수위에 해당하거나, 유속 센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유속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속 센서(120)는 수위 센서(110)와 동일한 미리 설정된 위치의 하단영역에 설치되거나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 등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맨홀 뚜껑 내부 또는 맨홀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형성된 지하주차장 등의 지하시설의 입구를 통해 차량이 급하게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100)을 이루는 차량감지 센서(130)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주로 CMOS 카메라로 형성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의해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구비된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뒤,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인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부(200)는 영상정보에서 차량을 판별하며, 이를 위해 제어장치부(200)에 별도로 구비된 메모리장치에는 다양한 차량 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차량 패턴 자체 정보 또는 상기 다양한 차량 패턴의 좌 또는 우로 기울어진 것, 앞 뒤 역으로 된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에서 차량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작동 제어시 지하시설의 입구에 형성된 알람장치부(300)를 구성하는 스피커(310)를 통해 경고 음향 및 경광 LED(320)를 통해 경고 광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은 도 2와 같이 지하시설의 입구에 하단부가 힌지로 고정되고 스텝 모터에 의해 힌지로 연결된 회전축이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 해당하는 전단부가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제어장치부(200)의 스텝 모터에 대한 제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압을 견디면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차수 장치부(400)를 구성하는 셔터벽(420)은 도 3과 같이 상단의 지지 및 수용부를 통해 전동 블라인드 형태로 제어장치부(200)의 전동 모터에 대한 제어를 통한 셔터벽(420)의 하방이동을 통해 차수벽을 세울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410)의 최종 제어에 따른 높이는 미리 설정된 높이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공간 활용성 상 바람직하므로, 차단벽의 높이 40 내지 60cm 이하로 설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집중호우와 같이 차단벽(410)의 최종적인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물이 들이찰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감안하여 수위 센서(110)를 제 1 수위 센서(110-1) 내지 제 2 수위 센서(110-2)와 같이 상하 복수로 설치하고, 제어장치부(200)는 하부의 수위 센서(110)에 해당하는 제 1 수위 센서(110-1) 의해서 제 1 수위 센서(110-1)에 대한 수위 감지의 경우 차단벽(410)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부의 수위 센서(110)인 제 2 수위 센서(110-2) 까지 감지하게 되면 위에서부터 셔터 방식으로 추가적인 셔터벽(420)이 내려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위가 일정 정도 이하일 경우에는 하부의 차단벽(410)만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 되면 하부의 차단벽(410) 및 상부의 셔터벽(420)_이 모두 작동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의 양적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단벽(410)의 양측부, 상단부, 하단부에는 수밀처리(패킹)이 되도록 고무 등을 추가 구성할 뿐만 아니라, 셔터벽(420)의 양측부 및 하단부와, 셔터벽(420)을 구성하는 각 가로바 사이에도 수밀처리 패킹부가 추가 구성됨으로써, 지하시설물 내부의 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센서모듈(100)을 통한 센싱에 의해 작동되도록 인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고, 사람이 없어도 사고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은 도 1의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알람장치부(300), 차수 장치부(400) 외에 네트워크(500) 및 관리서버(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알람장치부(300), 차수 장치부(400)는 하나의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을 구성하며,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서버(6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하나의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과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의해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서버(600)로 제공한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를 열람하도록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서버(600)로 열람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을 구성하는 제어장치부(200)는 송수신모듈(210)을 통해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서버(600)로 각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장치부(200)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공한 각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단말식별번호를 관리서버(60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지하시설의 위성지도정보를 관리서버(600)의 DB(DataBase)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부(200)는 추출된 위성지도정보에서 고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도정보와, 추출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부(200)가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이 위치한 고도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추출된 고도정보와 미리 설정된 고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비교 대상이 되는 고도정보를 제공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제공한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 중 제 1 내지 제 n 수위 정보에 따른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제어정보에 대한 동일한 제어정보를 제어장치부(200)가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속한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비교 대상이 되는 고도정보를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대해서 추출된 위성지도정보에서 제공하는 수류의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장치부(200) 자신이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 방향으로 수류의 방향이 흐르는 경우, 상술한 비교 대상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제공한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 중 제 1 내지 제 n 수위 정보에 따른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제어정보에 대한 동일한 제어정보를 제어장치부(200)가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속한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어장치부(200)는 자신이 속한 차단벽(4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차단벽(4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고 수류의 방향이 자신이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방향인 경우 사전에 차단벽(410)에 대한 차폐를 통해 예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제어장치부(200)는 자신이 속한 차단벽(4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된 상태에서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셔터벽(420)까지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고 수류의 방향이 자신이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방향인 경우 사전에 셔터벽(420)에 대한 차폐를 통해 예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유속 센서(120)에 의한 유속정보를 관리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뒤, 자신이 속한 차단벽(4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 제공받은 유속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유속정보 이상인 경우에는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고 수류의 방향이 자신이 속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방향인 경우 사전에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에 대한 차폐를 통해 확실한 사전적 예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600)는 각 차량단말(700)에 의한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촬영 이벤트에 따른 촬영정보, 차량단말(700)의 GPS 수신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정보, 위치정보가 획득된 시간정보를 네트워크(5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모듈(210)을 제어한 뒤, 차량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촬영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추가로 차량단위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600)는 촬영정보에 대한 영상분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에 해당하는 수위정보가 분석된 경우 차량단위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대해서 네트워크(500)를 통한 차수 장치부(400)를 구성하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의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명령을 전송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대해서, 관리서버(600)는 위성지도정보 상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로의 수류방향인 경우 제어명령을 전송한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에 속한 차단벽(4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된 상태에서 셔터벽(42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사전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하시설 침수 방지 차수모듈(10)의 셔터벽(420)에 대한 차폐를 통해 예방적인 제어명령을 네트워크(5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100 : 센서모듈 10 : 수위 센서
110-1 : 제 1 수위 센서 110-n : 제 n 수위 센서
120 : 유속 센서 130 : 차량감지 센서
200 : 제어장치부 210 : 송수신모듈
300 : 알람장치부 310 : 스피커
320 : 경광 LED 400 : 차수 장치부
410 : 차단벽 420 : 셔터벽
500 : 네트워크 600 : 관리서버

Claims (5)

  1. 센서모듈(100), 제어장치부(200), 차수 장치부(400)를 포함하는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1)에 있어서,
    제어장치부(200)는 차수를 위한 센서모듈(100)의 복수의 수위 센서(110)를 통해 자동으로 차수를 위한 사전 센싱을 수행하여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하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하부를 위한 차단벽(410)을 작동시키고, 복수의 수위 센서(110) 중 상부의 것에 의한 센싱의 경우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상부를 위한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위 센서(11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수위 센서(110-1 내지 100-n)에 의한 수위 센싱을 통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의 수위에 해당하거나, 유속 센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유속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을 작동시켜서 차수벽을 구축하도록 제어하고,
    유속 센서(120)는,
    수위 센서(110)와 동일한 미리 설정된 위치의 하단영역에 설치되거나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벽면 또는 해당 벽면과 인접한 벽면을 포함한 조형물 및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맨홀 뚜껑 내부 또는 맨홀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형성되며,
    제어장치부(200)는,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형성된 지하주차장을 포함하는 지하시설의 입구를 통해 차량이 급하게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100)을 이루는 차량감지 센서(130)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차수 장치부(400)를 이루는 차단벽(410) 및 셔터벽(420)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어장치부(200)는,
    CMOS 카메라로 형성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의해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차량감지 센서(130)에 구비된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뒤,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인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5957A 2022-10-04 2022-10-04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KR10247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57A KR102476971B1 (ko) 2022-10-04 2022-10-04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57A KR102476971B1 (ko) 2022-10-04 2022-10-04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971B1 true KR102476971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957A KR102476971B1 (ko) 2022-10-04 2022-10-04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29B1 (ko) * 2023-04-28 2023-11-09 (주)한국알앤디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CN117403938A (zh) * 2023-11-27 2024-01-16 江苏润尔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防涝系统
KR102652942B1 (ko) * 2023-12-18 2024-03-2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주차장의 침수를 방지한 공동주택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2654391B1 (ko) * 2023-12-08 2024-04-04 (주)인프라칩 수위계측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26B1 (ko) *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102346607B1 (ko) * 2020-09-18 2022-01-03 (주)대동계측 셔터식 침수 방지 장치
KR102349134B1 (ko) * 2021-06-30 2022-01-11 주식회사 강남기술공사 홍수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607B1 (ko) * 2020-09-18 2022-01-03 (주)대동계측 셔터식 침수 방지 장치
KR102239526B1 (ko) *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102349134B1 (ko) * 2021-06-30 2022-01-11 주식회사 강남기술공사 홍수예측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7217(2018.09.07)호 "건축집수정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배수시스템(Drain system to measure underground water level using the building sump p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6984(2020.09.29)호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Underpass floo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27829(2020.10.05)호 "지하차도 설치용 수위감지 시스템(Water level sens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53025(2021.04.23)호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Integration control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29B1 (ko) * 2023-04-28 2023-11-09 (주)한국알앤디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CN117403938A (zh) * 2023-11-27 2024-01-16 江苏润尔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防涝系统
KR102654391B1 (ko) * 2023-12-08 2024-04-04 (주)인프라칩 수위계측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52942B1 (ko) * 2023-12-18 2024-03-2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주차장의 침수를 방지한 공동주택 우수유입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971B1 (ko)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KR102356340B1 (ko)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KR102322975B1 (ko) 경사지 또는 연약지반의 보강방법
KR10251273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KR102499244B1 (ko) 경사지의 붕괴 예경보 시스템
KR102227149B1 (ko) 침수 경보장치
KR20170088091A (ko) 가변형 센서가 적용된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20200040195A (ko)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CN114648855B (zh) 智慧社区安防综合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712626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3910150A1 (en) Structure for operating waterproof door using buoyancy
KR102239526B1 (ko) 침수차단 시스템
KR101142722B1 (ko) 도로변 재난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CN108708504B (zh) 屋面排烟天窗及屋面排烟天窗的埋地式结构
KR102305464B1 (ko)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KR102635185B1 (ko) 지표면 수위 계측장치
KR102635186B1 (ko) 지표면 수위 계측장치
KR102247578B1 (ko) 지도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지도 작성 시스템
KR102632463B1 (ko) 도심지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24788B1 (ko) 차수판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EP3940172A1 (en) Multiplex water cutoff wall
KR102361808B1 (ko)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KR102615686B1 (ko)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KR102600127B1 (ko) 침수감지 시스템
KR101096794B1 (ko) 지하수 수위 관찰 유닛을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