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808B1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1808B1 KR102361808B1 KR1020210046070A KR20210046070A KR102361808B1 KR 102361808 B1 KR102361808 B1 KR 102361808B1 KR 1020210046070 A KR1020210046070 A KR 1020210046070A KR 20210046070 A KR20210046070 A KR 20210046070A KR 102361808 B1 KR102361808 B1 KR 102361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collecting
- collecting unit
- basement floo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은 지하 바닥의 용출수 또는 유입수로 인한 하자 발생 확인 단계, 집수부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지하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을 확인 하는 단계, 가장 낮은 지점에서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집수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집수부에 흡입 펌프를 설치하고 흡입수 배출을 위한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집수부 및 배관에 안전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부로 마련하고, 집수 된 수분은 흡입 펌프와 배관을 통해 건물에 기 설치된 집수정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 바닥 또는 지하 주차장 바닥에 용출되거나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漏水)나 수분에 의한 하자가 있는 지하 바닥을 탐색하고 집수부를 확보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수분을 배출하는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주차장(지하 바닥)은 표면에서부터 누름 콘크리트층, 방수층 및 매트 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누름 콘크리트층 상부 표면에는 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의 방수재가 추가로 도포되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지하주차장은 지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지하주차장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시스템이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 지하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트렌치를 포함하는 배수부가 마련되어 빗물 등의 수분 유입을 차단한다.
그런데, 지하 바닥 내부의 수분이 용출하거나 외부 유입에 의해 누수나 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트렌치가 형성된 지하주차장의 바닥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하주차장 표면의 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탈락되는데, 이것은 지하주차장의 트렌치에 고인 수분이, 지하주차장 바닥으로 흡수되어 내측으로 이동하며 온도의 변화에 따라 동결되거나 융해되며 발생하는 부피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하자에 대해 기존의 지하 바닥, 지하 주차장의 차수방법에 따르면 표면에 방수재를 도포하고 매트 콘크리트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방수층을 마련함으로써 표면에서의 수분유입과 지하에서 지상으로 유입되는 수분만을 차단하는 것이 전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등록번호 제10-1696908호 "지하주차장의 차수 공법"에 따라 트렌치로부터 별도의 차수벽(차수부, 차수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우수한 차수,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표면의 균열이나 하자가 발생하며 다시 수분이 바닥재나 코팅부위 아래에서 축적되어 바닥의 변색, 들뜸, 기포 발생, 부착 불량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하 바닥의 누수나 하자에 의해 수분이 모이는 경우 집수부를 마련하고 흡입 펌프를 이용하여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하 바닥의 용출수 내지 유입수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은지하 바닥의 용출수 또는 유입수로 인한 하자 발생 확인 단계, 집수부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지하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을 확인 하는 단계, 가장 낮은 지점에서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집수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집수부에 흡입 펌프를 설치하고 흡입수 배출을 위한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집수부 및 배관에 안전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부로 마련하고, 집수 된 수분은 흡입 펌프와 배관을 통해 건물에 기 설치된 집수정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직경이 250 내지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깊이가 350 내지 4500mm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지하 바닥의 무근 콘크리트층, 바닥 배수판, 슬래브 콘크리트층까지 연직아래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집수부에 마련된 배관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집수 된 수분이 동시에 배출되며, 배출을 위한 배관은 벽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자 발생 확인단계는 수분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집수부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는 상기 집수부 중공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덮개부를 이용하고, 상기 배관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돌 시 완충되도록 알람 수단 또는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에는 별도의 건조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집수 된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상기 건조 수단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며, 상기 건조 수단으로 송풍기, 발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는 상기 센서와 연동됨으로써 자동으로 수분을 흡입하여 배출하고,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에게 알람, 저장,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자 발생 확인 단계 후, 지하 바닥의 환경 요소, 상기 하자의 종류 및 정도를 조사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사 분석단계는 습도, 조도, 바람, 온도를 검토하고, 상기 하자가 유입수에 의한 것인지, 용출수에 의한 것인지, 누수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고, 수분 배출이 필요한 양을 분석하여, 상기 집수부의 크기 및 갯수와 상기 흡입 펌프의 용량, 갯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의 복잡한 배수 설비의 설치 없이 간단하게 집수부와 펌프만으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둘째,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 바닥 또는 지하 주차장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지하주차장)의 수분 배출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따른 집수부와 시공위치에 대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따른 집수부와 시공위치에 대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차수, 방수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효과는 지하 바닥에서 발생하는 누수, 흠결 등의 모든 하자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지하 주차장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지하 바닥 내지 지하 주차장은 표면에서부터 무근 콘크리트층(누름 콘크리트층, 15), 배수판(방수층, 13), 슬래브 콘크리트층(매트 콘크리트층 11)이 순서대로 적층 된다. 상기 매트 콘크리트층(11)은 상기 지하주차장의 기초를 형성하며 자체하중 및 자동차 등의 동적 하중을 견디기 위해 철근이 배근 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는 방수층(13)이 형성되는데, 상기 방수층(13)은 액체 방수재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 형태의 차단 막, 차단 부재 등을 상기 매트 콘크리트층(11)의 표면에 덮어 씌우는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 방수재 및 필름을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층(13)이 형성되면, 그 위에 누름 콘크리트층(15)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5)은 상기 매트 콘크리트층(11)에 비해 강도가 약한 콘크리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철근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5)은 모르타르(mortar) 즉,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혼합하여 반죽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5)은 상기 매트 콘크리트층(11)과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층(13)을 보호하며, 상기 지하주차장의 표면을 이동하는 차량 및 사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하 바닥 내지 지하 주차장은 배수를 위한 트렌치가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벽체 내지 기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된다. 벽체는 상기 지하주차장 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마련되며, 상기 트렌치와는 일정거리 이격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하주차장의 수분이 상기 트렌치를 통해 배수되기 위해 상기 지하주차장의 안쪽에서부터 상기 트렌치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가 기울어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하주차장의 표면에 수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수로 내지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홈 내지 배수로를 통해 지하주차장의 표면에 고인 수분이 상기 트렌치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 바닥 내지 지하 주차장은 배수를 위한 트렌치 내부에 고여있는 수분 또는 주위에 마련되는 수분이 오히려 지하주차장의 표면을 따라서 또는 표면 아래에 스며들면서 지하주차장의 누수 하자를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배출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트렌치 이외에도 지하 바닥의 일부 또는 가장 낮은 지점에 수분이 모이게 되므로 이에 대한 배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바닥의 용출수 또는 유입수로 인한 하자 발생 확인 단계(S100), 집수부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지하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을 확인 하는 단계(S200), 가장 낮은 지점에서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집수부를 마련하는 단계(S300), 상기 집수부에 흡입 펌프를 설치하고 흡입수 배출을 위한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S500,600) 및 상기 집수부 및 배관에 안전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부(100)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부로 마련하고, 집수 된 수분은 흡입 펌프(300)와 배관(400)을 통해 건물에 기 설치된 집수정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에 집수부(100)를 마련할 공간을 확보하고 원형의 코어 드릴(110)을 이용하여 그라인딩 한다.
즉, 상기 코어 드릴 또는 절삭장치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까지 원형으로 그라인딩 함으로써 원통형태의 중공부를 마련하거나 별도의 파쇄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파쇄함으로써 중공부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중공부를 가지는 상기 집수부에는 수분이 집수 된다.
상기 집수부(100)는 직경이 250 내지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깊이가 350 내지 4500mm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지하 바닥의 무근 콘크리트층(15), 바닥 배수판(13), 슬래브 콘크리트층(11)까지 연직아래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수부(100)의 깊이(h)는 400mm로 마련하고 직경(w)은 300mm로 마련할 수 있으며, 그 깊이와 직경은 하자의 종류, 성질, 작업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면의 두께와 레이어의 종류에 따라서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가 복수 개로 설치된 경우 각각의 집수부에 마련된 배관(400)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집수 된 수분이 동시에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을 위한 배관 등은 벽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집수정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순서를 실제 작업현장에서 공정에 따라 촬영한 사진 이미지로서,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 바닥(지하 주차장 바닥)의 바닥 레벨이 가장 낮은 곳을 선정하여 300mm 코어드릴로 400mm 깊이를 타공 한다. 둘째, 300mm 코어드릴로 배수판이 설치된 깊이 이상으로 타공한 뒤, 미니 굴삭기로 타공 위치를 파쇄한다. 셋째, 기존 지하주차장 내에 설치된 집수정의 위치로 배관을 유도하기 위한 벽면 타공 작업을 실시한다. 또는, 배관을 통해 외부 배출한다.
넷째, 모터의 사양이 1/3마력인 배수를 위한 흡입 펌프를 최초 300mm 너비로 타공한 집수부 위치에 설치한다. 다섯째, 배수펌프를 타공 위치(집수부)에 삽입하게 되면 30mm PVC 배관을 결합하여 지하바닥 내부의 집수정으로 물을 유도처리 한다. 물론, 건물 내 집수정이 없다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PVC 배관을 유도처리하고 마감하거나 안전 부재를 마련한다.
상기 하자 발생 확인단계(S100)에서는 수분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육안으로 누수나 수분을 확인하지 않고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센싱된 정보는 알람이나 송신되어 관리 가능 할 것이다.
본 발명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따라 시공하게 되면, 집수부 또는 배관의 돌출 등으로 보행자의 안전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 또는 배관에는 안전설비 내지 충격완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집수부(100)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500)는 상기 집수부 중공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덮개부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폐쇄시키거나 채울 수 있고, 상기 배관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돌 시 완충되도록 알람 수단 또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00)에는 별도의 건조 수단(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집수 된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상기 건조 수단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며, 상기 건조 수단으로는 송풍기, 발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부에 집수 된 수분의 양이 많은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흡입 펌프(300)를 이용하여 배출하거나 집수정에 모으게 되며, 수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수집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송풍장치나 발열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물론, 흡입 펌프와 건조 수단이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으며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건조 수단을 통해 평상 시 누수나 유입수, 송출수 등을 관리함으로써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송풍장치나 발열기는 상기 집수부 내부에 수용될 수 도 있으나 내부 수용이 어려운 경우 근처 카 스토퍼(차량 방지턱) 등의 지하 바닥 구조물 내부에 마련되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 펌프, 건조 수단 등에 필요한 전원은 지하 바닥이나 벽면에 마련된 콘센트를 통해 정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집수부 주변의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펌프(300)는 상기 센서와 연동됨으로써 센싱 된 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고 수분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서버나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에게 알람, 저장, 학습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기 흡입 펌프를 작동하기 보다, 센서가 수분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흡입 펌프를 유선 내지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지하 바닥의 수분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하자 발생 확인 단계 후, 지하 바닥의 환경 요소, 상기 하자의 종류 및 정도를 조사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자의 종류나 상태가 모두 다양함에도 동일한 배출 방법을 사용하면 그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조사 분석단계는 습도, 조도, 바람, 온도를 검토하고, 상기 하자가 유입수에 의한 것인지, 용출수에 의한 것인지, 누수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고, 수분 배출이 필요한 양을 분석하여, 상기 집수부의 크기 및 갯수와 상기 흡입 펌프의 용량, 갯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집수부를 설치하고 흡입 펌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지하 바닥에 생기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시공 후 모니터링을 위해 상태를 감지하고 기록 저장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의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하자 발생 등의 이슈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은 사용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수분 배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10: 지하 바닥(지하 주차장 바닥) 11: 슬래브 콘크리트층
13: 배수판 15: 무근 콘크리트층
100: 집수부 110: 코어 드릴
130: 파쇄기 300: 흡입 펌프
400: 배관 500: 안전 설비
S100: 하자 발생 확인(유입수, 용출수)
S200: 가장 낮은 지점 확인 그라인딩
S300: 파쇄 및 집수부 확보
S400: 배관 유도를 위한 벽면 시공
S500: 흡입 펌프 설치
S600: 배관 연결 및 수분 배출
S700: 안전 설비 마련
w: 집수부의 직경
h: 집수부의 높이
13: 배수판 15: 무근 콘크리트층
100: 집수부 110: 코어 드릴
130: 파쇄기 300: 흡입 펌프
400: 배관 500: 안전 설비
S100: 하자 발생 확인(유입수, 용출수)
S200: 가장 낮은 지점 확인 그라인딩
S300: 파쇄 및 집수부 확보
S400: 배관 유도를 위한 벽면 시공
S500: 흡입 펌프 설치
S600: 배관 연결 및 수분 배출
S700: 안전 설비 마련
w: 집수부의 직경
h: 집수부의 높이
Claims (7)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에 있어서,
지하 바닥의 용출수 또는 유입수로 인한 하자 발생 확인 단계;
집수부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지하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을 확인 하는 단계;
가장 낮은 지점에서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집수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집수부에 흡입 펌프를 설치하고 흡입수 배출을 위한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집수부 및 배관에 안전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부로 마련하고, 집수 된 수분은 흡입 펌프와 배관을 통해 건물에 기 설치된 집수정 또는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집수부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집수부에 마련된 배관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집수 된 수분이 동시에 배출되며, 배출을 위한 배관은 벽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자 발생 확인단계; 는 수분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며, 상기 집수부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는 상기 집수부 중공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덮개부를 이용하고, 상기 배관에 마련되는 안전 설비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돌 시 완충되도록 알람 수단 및 탄성부재를 사용하며,
상기 집수부의 집수 된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별도의 건조 수단인 송풍기 및 발열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되 상기 집수부 인근 카 스토퍼(차량 방지턱) 내부에 마련하며, 상기 흡입 펌프 및 건조 수단의 전원은 인근 전기 자동차 충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직경이 250 내지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깊이가 350 내지 4500mm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지하 바닥의 무근 콘크리트층, 바닥 배수판, 슬래브 콘크리트층까지 연직아래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는 상기 센서와 연동됨으로써 자동으로 수분을 흡입하여 배출하고,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에게 알람, 저장,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자 발생 확인 단계 후, 지하 바닥의 환경 요소, 상기 하자의 종류 및 정도를 조사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사 분석단계는 습도, 조도, 바람, 온도를 검토하고, 상기 하자가 유입수에 의한 것인지, 용출수에 의한 것인지, 누수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고, 수분 배출이 필요한 양을 분석하여, 상기 집수부의 크기 및 갯수와 상기 흡입 펌프의 용량, 갯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070A KR102361808B1 (ko) | 2021-04-08 | 2021-04-08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070A KR102361808B1 (ko) | 2021-04-08 | 2021-04-08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1808B1 true KR102361808B1 (ko) | 2022-02-14 |
Family
ID=8025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6070A KR102361808B1 (ko) | 2021-04-08 | 2021-04-08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180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6595A (ja) * | 1998-09-22 | 2000-04-04 | Taisei Corp | 地下室の浸水防止装置 |
JP2001003379A (ja) * | 1999-06-24 | 2001-01-09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マンホール安全ガード |
KR20020013168A (ko) * | 2000-08-11 | 2002-02-20 | 엄기형 |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방법 |
KR20080005071U (ko) | 2007-04-27 | 2008-10-30 | ㈜익성텍 | 조립식 차수벽체 |
KR101565457B1 (ko) * | 2013-01-15 | 2015-11-04 | 박정관 |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
KR20180134150A (ko) * | 2017-06-08 | 2018-12-18 | 삼창엔지니어링(주) |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04-08 KR KR1020210046070A patent/KR1023618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6595A (ja) * | 1998-09-22 | 2000-04-04 | Taisei Corp | 地下室の浸水防止装置 |
JP2001003379A (ja) * | 1999-06-24 | 2001-01-09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マンホール安全ガード |
KR20020013168A (ko) * | 2000-08-11 | 2002-02-20 | 엄기형 |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방법 |
KR20080005071U (ko) | 2007-04-27 | 2008-10-30 | ㈜익성텍 | 조립식 차수벽체 |
KR101565457B1 (ko) * | 2013-01-15 | 2015-11-04 | 박정관 |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
KR20180134150A (ko) * | 2017-06-08 | 2018-12-18 | 삼창엔지니어링(주) |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2975B1 (ko) | 경사지 또는 연약지반의 보강방법 | |
US20160273181A1 (en) | Floo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 |
JP4290127B2 (ja) | 雨水浸入防水板 | |
JPS61196034A (ja) | 下水ポンプステーシヨン | |
KR102476971B1 (ko) |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 |
KR101129402B1 (ko) | 필터 막힘 검측부를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 |
KR102579636B1 (ko) |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 |
KR102361808B1 (ko) | 지하 바닥의 수분배출 방법 | |
JP6840111B2 (ja) | 既存建物の解体方法 | |
KR101805610B1 (ko) |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 |
US20140227035A1 (en) | Well pad drain and containment recovery system | |
KR101136545B1 (ko) | 지하수 배수장치의 필터 및 배수부 막힘 검출장치 | |
KR20150073725A (ko) | 지하수 배수시스템 | |
CN112962646B (zh) | 一种集水坑及其施工方法 | |
KR102252612B1 (ko) | 신도시 지중 배전선로의 누수 감시 시스템 | |
JP2015077540A (ja) | 最終処分場の底版構造 | |
Wrzesiński | Hazards resulting from improper building drainage system by the use of BIM | |
CN217629696U (zh) | 用于地下建筑的防洪装置 | |
CN110644515A (zh) | 用于灰岩区深基坑突涌水的封堵方法及其封堵装置 | |
RU2793479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дения воды из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шва (варианты) | |
KR100736631B1 (ko) |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 |
JP5918436B1 (ja) | 底版・側壁構造物及び底版・側壁構築方法 | |
US12054932B2 (en) | Waterproof elevator pit floo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CN215055855U (zh) | 停车场排水机构及智慧停车系统 | |
KR102451236B1 (ko) | 사각 형거 공사용 공기순환 및 수위 감지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