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02Y1 -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02Y1
KR200471702Y1 KR2020130001034U KR20130001034U KR200471702Y1 KR 200471702 Y1 KR200471702 Y1 KR 200471702Y1 KR 2020130001034 U KR2020130001034 U KR 2020130001034U KR 20130001034 U KR20130001034 U KR 20130001034U KR 200471702 Y1 KR200471702 Y1 KR 200471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water
level sensor
wat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산기
Priority to KR2020130001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출입구를 물막이판으로 차단하기 전에 물이 1차 위험수위까지 상승하면 이를 검출하여 먼저 방송 또는 경보음과 함께 경보등을 작동시켜 지하의 출입 인원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침수의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동절기 강설시 눈이 수위감지센서에 쌓이는 것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는, 인도면과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하로 설치한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와, 제1 수위감지센서와 동일 높이에 설치한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1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수위감지센서 또는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도,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때에는, 경보기 또는 전동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WATER BLOCKING DEVICE FOR BASEMENT}
본 고안은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 또는 도로에 물이 범람하여 지하 출입구로 유입될 수 있는 위급 상황을 주변 사람들에게 인식시키고 또한 인도의 수위가 일정높이 상승할 때 지하 출입구에 설치된 물막이판을 작동시켜 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지하 출입구나, 빌딩 또는 공동주택의 지하 출입구는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이 인도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비가 오는 경우, 인도에 흐르는 물이 지하 출입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리거나 우수관의 막힘으로 인해 인도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지하 출입구로 물이 범람하여 지하에 물이 유입되므로 지하 침수로 인한 재산이나 인명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특히 장마철에 비가 많이 와서 인도가 범람할 염려가 있을 때, 미리 지하 출입구에 모래주머니 등을 쌓아 침수에 대비하고 있으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물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렵고, 특히 모래주머니를 쌓는 타이밍이 늦을 경우, 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피해를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071278호에 알려진 "우수의 유입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지하 출입구 구조물"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지하 출입구에 설치된 방수패널이 평상시에는 통로바닥에 삽입되어 전자식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사람이 지하 출입구를 출입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장마철과 같이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거나 일시에 폭우가 발생할 경우, 우수로 인하여 지하 출입구까지 우수가 범람하게 되면, 우수감지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유닛은 우수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전자식 잠금장치와 경보기를 동작제어함으로써 방수패널로 지하 출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경보를 통해 사람들에게 위급 상황을 신속히 알리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우수감지센서에 의해 물의 유입이 검출될 때, 지하 출입구의 자동 차단과 함께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된 것이므로, 지하철과 같이 지하에서 지하 출입구까지 빠져나오는 시간이 길 경우, 경보기의 작동을 인지하고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지하 출입구를 통해 빠져나올 때, 지하 출입구가 방수패널에 의해 이미 차단된 상태이므로, 대피가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빠져나오면서 방수패널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우수감지센서가 지하 출입구의 하부 전면에 노출되어 설치되고, 지붕이 없는 지하 출입구의 경우, 겨울철에 눈이 오면 우수감지센서에 쌓기게 되고, 우수감지센서는 이를 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오인하여 지하 출입구의 통로를 자동 차단함과 동시에 경보기를 울리는 오동작을 일으켜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불편하게 하는 것은 물론, 유지관리상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전자식 잠금장치의 경우, 지하 출입구 통로 바닥에 설치된 것이므로, 물이 쉽게 유입되어 침수될 염려가 있고, 또한 전자식 잠금장치는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침수로 인해 쉽게 고장날 수 있고, 이로써 위급 상황시 고장으로 통로를 자동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입게 되는 안전상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 출입구를 물막이판으로 차단하기 전에 물이 1차 위험수위까지 상승하면 이를 검출하여 먼저 방송 또는 경보음과 함께 경보등을 작동시켜 지하의 출입 인원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침수의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동절기 강설시 눈이 수위감지센서에 쌓이는 것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하 출입구를 물막이판으로 자동 차단하기 위해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감속전동기를 물막이판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감속전동기가 물에 침수되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하 출입구의 통로를 통로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차단하기 위한 물막이판과, 상기 물막이판을 통로개방위치와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전동기구와, 상기 통로바닥면과 인도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도면으로부터 수위가 일정높이 상승할 때 이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제어하고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인도면과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하로 설치한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보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는 위쪽에 위치하여 통로차단수위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제어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하 출입구 통로의 일측벽 바깥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센서장착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장착통체 내에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한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와 동일 높이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 또는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도,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때에는, 경보기 또는 전동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동기구가, 상기 통로바닥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물막이판의 하단과 고정되고 양단을 통로의 양측벽에 회전지지시켜 상기 물막이판이 통로바닥면과 일치하는 통로개방위치와 양측 통로벽 사이를 차단하는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통로의 일측벽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전동기로 이루어진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감속기와 감속전동기 사이에 간격유지통체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통체의 길이는 감속전동기의 높이가 통로차단위치에 있는 물막이판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한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인도의 수위를 검출하는 2개의 수위감지센서 설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제1 수위감지센서에 의해서는 물이 지하로 유입될 염려가 있을 때 경보수위를 검출하여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지하 출입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후 제2 수위감지센서에 의해서는 물이 지하로 유입되기 전에 통로차단수위를 검출하여 물막이판이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수의 피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대피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경보수위와 통로차단수위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가 센서장착통체 내에 구비됨에 따라, 폭우시 비가 수위감지센서에 직접 접촉되어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보수위를 검출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와 동일한 높이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설정온도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도 경보기 또는 전동기구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특히 폭설로 인해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가 눈에 쌓여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동작으로 인한 불편함과 유지관리상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물막이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감속전동기 사이에 간격유지통체가 설치되고, 이 간격유지통체에 의해 감속전동기의 높이가 통로차단위치에 있는 물막이판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됨에 따라,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전동기가 물에 침수되어 동작하지 않는 것에 의한 침수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침수에 대비하여 언제든지 확실하게 동작 가능한 상태로 침수방지장치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서 물막이판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서 물막이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동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서 수위감지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서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또는 건물의 지하 출입구는, 그 통로바닥면(A)이 인도면(또는 도로면)(B)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고, 이로 인해 비가 많이 와서 인도면(B)에 물이 흐르는 경우 물이 지하로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침수방지장치는, 장마철 홍수나 도로의 상,하수도 파열 등과 같이 예기치 못한 침수상황에 대비하여 지하 출입구의 통로(C)를 일정높이 차단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지하 출입구의 통로(C)를 통로바닥면(A)으로부터 일정높이 차단하기 위한 물막이판(10)과, 물막이판(10)을 통로개방위치와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전동기구(20)를 구비한다.
물막이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통로바닥면(A)과 일치하는 통로개방위치와 통로(C)의 양측벽 사이를 차단하는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통로개방위치에서는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기구(20)는, 도 2에서와 같이 물막이판(10)의 일단에 고정된 회전축(21), 통로(C)의 일측벽 바깥쪽에 설치된 감속기(22) 및 감속전동기(23)로 이루어진다. 감속기(22) 및 감속전동기(23)는 지하철의 지하 출입구의 경우, 인도쪽보다 차도쪽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회전축(21)은 통로바닥면(A)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을 통로(C)의 양측벽에 회전지지시킨 것으로, 물막이판(10)을 통로개방위치와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중심이 된다.
감속기(22)는 회전축(21)과 연결되어 감속전동기(2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회전축(2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감속기어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속전동기(2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회전축(21)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22)와 감속전동기(23) 사이에는 간격유지통체(24)를 설치하여 감속기(22)와 감속전동기(23) 사이를 일정높이 이격시킨 것으로, 상기 간격유지통체(24)의 길이는 물막이판(10)이 통로차단위치에 있을 때, 물막이판(10)의 상단(11)보다 감속전동기(23)가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하여 전기로 작동되는 감속전동기(23)가 침수되어 작동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유지통체(24)에 의해 감속기(22)와 감속전동기(23)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감속기(22)의 입력축(22a)과 감속전동기(23)의 출력축(23a)은, 공지의 축이음 커플링(25)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통로바닥면(A)과 인도면(B) 사이에 설치되어 인도면(B)으로부터 수위가 일정높이 상승할 때 이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3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30)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물막이판(10)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20)와 경보기(4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수위감지센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출입구 통로(C)의 일측벽 바깥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센서장착통체(33) 내에 설치하며, 센서장착통체(33)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동기구(20)와 근접한 위치, 예를 들면 전동기구 옆에 설치하여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지하철의 지하 출입구의 경우, 인도쪽보다 차도쪽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감지센서(30)는, 2개의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31,32)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31,32)는 인도면(B)과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A)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수위감지센서(31)는 아래쪽에 위치시켜 인도면(B)으로부터 물의 유입이 우려되는 높이인 경보수위(S1)를 검출하도록 하고, 제2 수위감지센서(32)는 제1 수위감지센서(31)보다 높은 위쪽에 위치시켜 물이 유입되기 직전의 높이인 통로차단수위(S2)를 검출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32), 감속전동기(23), 경보기(40)와 연결되어 제1 수위감지센서(31)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경보기(40)를 제어하여 작동시키고, 제2 수위감지센서(32)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감속전동기(23)를 제어하여 물막이판(10)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보기(40)는, 지하철 또는 건물에 시설되어 있는 방송기기, 경광등, 스피커 등을 통해 미리 녹음된 음성방송, 경보음, 경광등의 점등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31)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제어부(50)와 연결된 온도감지센서(34)를 구비하고, 제어부(50)는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31) 또는 제2 수위감지센서(32)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도, 상기 온도감지센서(34)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때에는, 경보기(40) 또는 전동기구(20)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설정온도는 통계적으로 침수를 일으키는 시기가 장마철이고 또한 대부분 빗물, 해일에 의한 바닷물 또는 상,하수도 파열에 의한 물임을 감안하여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오거나 바닷가의 경우 해일에 의해 도로가 침수되어 인도면(B)의 수위가 경보수위(S1)에 도달할 때 이를 먼저 제1 수위감지센서(31)가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하고, 온도감지센서(34)는 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제어부(50)는 도 4에서와 같이 제1 수위감지센서(31)와 온도감지센서(34)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면, 온도감지센서(34)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이면, 즉시 경보기(40)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지하 통로(C)를 통행하는 사람들과 지하에 있는 사람들에게 침수 위험 상태임을 알려 통로(C)를 차단하기 전에 미리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온도 이하이면 경보기(40)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제1 수위감지센서(31)가 눈에 쌓여 검출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인도면(B)의 수위가 더욱 상승하여 통로차단수위(S2)에 도달하면, 이를 제2 수위감지센서(32)가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하고, 제어부(50)는 제2 수위감지센서(32)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면, 온도감지센서(34)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이면, 즉시 전동기구(20)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물막이판(10)으로 통로(C)를 차단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온도 이하이면 전동기구(20)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제2 수위감지센서(32)가 눈에 쌓여 검출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전동기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감속전동기(23)가 구동되면, 감속전동기(23)의 회전동력이 감속기(22)로 전달되고, 감속기(22)에서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회전축(21)에 전달되면, 회전축(21)의 회전에 의해 물막이판(10)이 통로개방위치에서 통로차단위치로 회전하여 통로(C)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전동기구(20)의 감속전동기(23)가 통로차단위치에 있는 물막이판(10)의 상단(11)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감속전동기(23)가 침수되어 구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통로(C)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물막이판 20 : 전동기구
21 : 회전축 22 : 감속기
23 : 감속전동기 24 : 간격유지통체
30 : 수위감지센서 31 : 제1 수위감지센서
32 : 제2 수위감지센서 33 : 센서장착통체
34 : 온도감지센서 40 : 경보기
50 : 제어부 A : 통로바닥면
B : 인도면 C : 통로
S1 : 경보수위 S2 : 통로차단수위

Claims (5)

  1. 지하 출입구의 통로를 통로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차단하기 위한 물막이판과, 상기 물막이판을 통로개방위치와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전동기구와, 상기 통로바닥면과 인도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도면으로부터 수위가 일정높이 상승할 때 이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제어하고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인도면과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하로 설치한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보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는 위쪽에 위치하여 통로차단수위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출입구 통로의 일측벽 바깥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센서장착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장착통체 내에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와 동일 높이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 또는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도,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때에는, 경보기 또는 전동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통로바닥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물막이판의 하단과 고정되고 양단을 통로의 양측벽에 회전지지시켜 상기 물막이판이 통로바닥면과 일치하는 통로개방위치와 양측 통로벽 사이를 차단하는 통로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통로의 일측벽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전동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와 감속전동기 사이에 간격유지통체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통체의 길이는 감속전동기의 높이가 통로차단위치에 있는 물막이판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KR2020130001034U 2013-02-08 2013-02-08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KR200471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34U KR200471702Y1 (ko) 2013-02-08 2013-02-08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34U KR200471702Y1 (ko) 2013-02-08 2013-02-08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02Y1 true KR200471702Y1 (ko) 2014-03-10

Family

ID=5148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34U KR200471702Y1 (ko) 2013-02-08 2013-02-08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26B1 (ko) *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102389354B1 (ko) * 2021-10-13 2022-04-2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KR102590781B1 (ko) *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016A (ja) * 2005-02-18 2006-08-31 Toda Constr Co Ltd 雨水浸入防水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016A (ja) * 2005-02-18 2006-08-31 Toda Constr Co Ltd 雨水浸入防水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26B1 (ko) * 2020-10-26 2021-04-13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침수차단 시스템
KR102389354B1 (ko) * 2021-10-13 2022-04-2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KR102590781B1 (ko) *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77064A1 (ja) 防水板装置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2226260B1 (ko) 승강식 월파 방지벽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KR101171101B1 (ko) 지하철 환기구의 침수방지장치
KR200471702Y1 (ko)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JP3532462B2 (j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JP4290127B2 (ja) 雨水浸入防水板
CN104234473A (zh) 地下车库防水淹没系统
KR20180130278A (ko) 침수 감지 및 방지기능이 구현된 제어함
JP2003082956A (j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EP2354326B1 (en) Anti-flooding device
KR102095166B1 (ko)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JP2001032621A (ja) 防水扉
US20190345759A1 (en) Dropdown Flood Barrier
KR101622904B1 (ko) 진동측정장치를 구비한 펌프게이트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JP2005282172A (ja) 地下への雨水流入防止装置
CN109629993A (zh) 一种出入口翻板式防水装置
CN219731880U (zh) 一种用于交通隧道水灾联动的车道阻水闸门
KR102095167B1 (ko) 하천진입로 자동 차단 게이트 장치
JP2005282173A (ja) 地下への雨水流入防止装置
CN213389971U (zh) 一种智慧停车场防水泄门智能控制装置
ES2306631B1 (es) Contenedor subterraneo para equipos de telecomunicaciones.
JP2002180478A (ja) 浸水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