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354B1 -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354B1
KR102389354B1 KR1020210135764A KR20210135764A KR102389354B1 KR 102389354 B1 KR102389354 B1 KR 102389354B1 KR 1020210135764 A KR1020210135764 A KR 1020210135764A KR 20210135764 A KR20210135764 A KR 20210135764A KR 102389354 B1 KR102389354 B1 KR 102389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level detection
generated
under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to KR102021013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은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 및 차단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센서; 및 복수의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및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보 방송을 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차단기를 통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MONITORING AND ALARM SYSTEM FOR FLOODED UNDERPASS}
본 개시는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경보할 수 있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우로 인하여 지하 차도가 침수되어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펌프 설비가 갖춰진 지하 차도는 물이 들어오면 펌프 설비가 동작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비용 문제로 인하여 많은 지하 차도들이 펌프 설비를 갖추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 차도가 침수될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경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
통상 지하차도 침수 모니터링은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위 값으로 침수여부를 판별하여 경보를 한다. 통상의 수위 센서는 부표(float)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거나, 초음파 또는 레이더 방식으로 센서로부터 도로 바닥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부표 방식 또는 초음파/레이더 방식은 자동차가 지하 차도를 통행하고 있을 때 그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통상의 수위 센서는 바닥에 설치되어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식 측정 방식이 있다. 그러나, 압력식 측정 방식은 이물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른 방식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경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지하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경보할 수 있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수위 센서를 지하 차도에 설치하여 각각의 센서가 생성하는 수위 감지 신호에 따라서 경보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은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 및 차단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센서; 및 복수의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및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보 방송을 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차단기를 통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은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에 설치된 제1 수위 센서 및 제3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위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감지 신호는 제1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제3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3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는 수위 감지 신호에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제3 수위 감지 신호 모두가 포함된 경우, 경보 영역에서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은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에 설치된 제2 수위 센서 및 제4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위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감지 신호는 제2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는 수위 감지 신호에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차단 영역에서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방수 케이스의 내부를 히팅하는 코일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코일을 통해 방수 케이스의 내부를 히팅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수위 감지 신호 및 수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 수위 센서의 식별정보를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지하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할 수 있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의 수위 센서를 지하 차도에 설치하여 각각의 센서가 생성하는 수위 감지 신호에 따라서 경보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위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경보 장치(100),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200), 상황실 장치(300) 및 촬영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장치(100)는 지하 차도가 침수 위험에 처한 경우 경보 방송을 하거나 차단기를 작동시켜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다. 센싱 장치(200)는 지하 차도가 물에 잠기는지 여부 및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경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황실 장치(300)는 경보 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자가 지하 차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황실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지하 차도의 침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촬영 장치(400)는 지하 차도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황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실 장치(300)에서는 촬영된 지하 차도 내부 영상을 통해 지하 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경보 장치(100)는 지하 차도 진출입로에 설치될 수 있다. 경보 장치(1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보 장치(100_1) 및 제2 경보 장치(100_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200)가 지하 차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장치(200)의 수위 센서(2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의 수위 센서(220) 각각은 지하 차도의 깊이에 따라 나뉘어진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220)는 호우에 의하여 지하차도 내에 수위가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하는 경우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차도에서 물이 차오르기 시작할 수 있는 낮은 영역인 경보 영역(501)에 제1 수위 센서(220_1) 또는 제3 수위 센서(220_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위 센서(220_1) 또는 제3 수위 센서(220_3) 각각은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제3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차도에서 물이 차올라 차량의 진입을 차단해야 하는 영역인 차단 영역(502)에 제2 수위 센서(220_2) 또는 제4 수위 센서(220_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위 센서(220_2) 또는 제4 수위 센서(220_4) 각각은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장치(200)의 프로세서(210)는 제1 수위 센서(220_1), 제2 수위 센서(220_2), 제3 수위 센서(220_3) 및 제4 수위 센서(220_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수위 감지 신호, 제2 수위 감지 신호, 제3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 장치(200)의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위 감지 신호를 경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신호는 제1 수위 감지 신호, 제2 수위 감지 신호, 제3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상황실 장치(300)는 경보 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자가 지하 차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400)는 지하 차도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촬영된 영상을 상황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경보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40)를 통해 센서 장치(200)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40)는 센서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신호는 센서 장치(200)의 제1 수위 센서(220_1)에서 생성된 제1 수위 감지 신호, 제2 수위 센서(220_2)에서 생성된 제2 수위 감지 신호, 제3 수위 센서(220_3)에서 생성된 제3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센서(220_4)에서 생성된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수위 감지 신호를 기초로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발생했는지 또는 차단 영역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한 수위 감지 신호에 제1 수위 센서(220_1)에서 생성된 제1 수위 감지 신호 또는 제3 수위 센서(220_3)에서 생성된 제3 수위 감지 신호가 포함된 경우,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수위 센서(220)의 오작동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제3 수위 감지 신호 전부가 수신된 수위 감지 신호에 포함된 경우에만 경보 영역에서 수위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발생한 경우 스피커(120)를 통해 경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수신한 수위 감지 신호에 제2 수위 센서(220_2)에서 생성된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센서(220_4)에서 생성된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수위 감지 신호가 차단 영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수위 감지 신호가 차단 영역에서 발생한 경우 차단기(130)를 통해 차량의 진출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황실 장치(300)로 수위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40)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센싱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하나 이상의 수위 센서(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위 센서(220)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획득한 수위 감지 신호를 통신부(230)를 통해 경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위 센서(220)는 설치된 장소에서 수위가 소정의 높이 이상 상승하면, 물이 유입되어 물과 접촉하는 경우 수위가 감지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위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수위 센서(220)는 외관은 형성하는 방수 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2200의 방수 케이스(221)에 빗물이 묻어도 내부로 투과될 수 없도록 방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수 케이스(221)에는 물이 방수 케이스(221) 내부로 유입되거나 물이 방수 케이스(22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하부 관통홀(2211) 또는 제2 하부 관통홀(22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220)가 설치된 지점에서 지하 차도에 물이 차오르는 경우, 하부 관통홀(2211, 2213)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221)에는 하부 관통홀(2211, 2213)보다 높은 위치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상부 관통홀(2212) 또는 제2 상부 관통홀(22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220)가 설치된 지점에서 지하 차도에 물이 차오르고 방수 케이스(221)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부 관통홀(2212, 2214)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220)는 상부 관통홀(2212, 2214)까지만 물이 유입되어 차오를 수 있으며, 상부 관통홀(2212, 2214) 위로 물이 찰 수 없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수위 센서(220)는 회로 기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위 센서(220)는 제1 극판(213) 및 제2 극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물에 접촉하여 서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극판(213) 및 제2 극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극판(213) 및 제2 극판(214)은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4~5mm)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 장치(200) 내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연결된 전선 케이블(C,D)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극판(213) 및 제2 극판(214) 각각은 산화방지를 위한 금으로 도금 처리된 극판일 수 있다.
한편, 수위 센서(220)는 코일(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215)은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열을 발생시켜 히팅을 할 수 있다. 한편, 코일(215)은 극판(213, 214)을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극판(213, 214)의 뒤에 배치되거나 회로 기판(212)의 뒤에 배치되어 히팅을 할 수 있다. 코일(215)은 센서 장치(200) 내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연결된 전선 케이블(A, 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코일(215)을 히팅하여 방수 케이스(221)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215)을 히팅하여 두 극판(213,214)의 사이의 수분을 건조시켜 소량의 수분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두 극판(213,214)의 사이에 소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코일(215)을 히팅함으로써 수분이 증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물이 유입되어 두 극판(213,214) 사이에 물이 차있는 경우는 코일(215) 히팅으로 두 극판(213,214)의 물을 건조시킬 수 없으므로 오작동이 아닌 정상 작동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전선 케이블(A,B,C,D)는 차량 이동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제2 상부 관통홀(2214)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수위 센서(220) 주변을 지나감에 따라 물이 튀어서 물이 수위 센서(22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 장치(200)는 수위 감지 신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위 감지 신호의 정확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씨에 지하 차도에 일정 높이의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차량으로 인해 물이 튀어 일시적으로 수위 센서(220) 내부로 물이 들어가고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220)로부터 최초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801). 최초 수위 감지 신호는 제1 수위 센서(220_1)에서 생성된 제1 수위 감지 신호, 제2 수위 센서(220_2)에서 생성된 제2 수위 감지 신호, 제3 수위 센서(220_3)에서 생성된 제3 수위 감지 신호 및 제4 수위 센서(220_4)에서 생성된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최초 수위 감지 신호가 오감지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220)의 코일(215)에 전력을 공급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히팅할 수 있다(S802).
예를 들어, 단순히 차량으로 인하여 물이 튀어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220) 내부로 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히팅을 통하여 물이 건조될 수 있어, 더 이상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220)가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시간동안 히팅을 한 후, 재차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803)
프로세서(210)는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있는 경우, 수위 감지 신호를 통신부(230)를 통해 경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위 센서(220)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수위 센서(220)가 경보 영역에 설치됐는지 차단 영역에 설치됐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220)의 식별정보는 수위 감지 신호가 제1 수위 감지 신호인지, 제2 수위 감지 신호인지, 제3 수위 감지 신호인지 또는 제4 수위 감지 신호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경보 장치(100)에서 수신된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발생했는지 차단 영역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시간동안 히팅을 한 후,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오감지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다시 수위 감지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대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 및 차단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경보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보 방송을 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차단 영역에서 생성된 경우 차단기를 통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수위 센서의 외관을 형성하고, 물이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관통홀 및 물이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홀을 포함하는 방수 케이스;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물에 접촉되는 경우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극판 및 제2 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방수 케이스의 내부를 히팅하는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장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수위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방수 케이스의 내부를 히팅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상기 수위 감지 신호 및 상기 수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 수위 센서의 식별정보를 상기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위 센서는,
    상기 지하 차도의 경보 영역에 설치된 제1 수위 센서 및 제3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는,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상기 제3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3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수위 감지 신호에 상기 제1 수위 감지 신호 및 상기 제3 수위 감지 신호 모두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경보 영역에서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위 센서는,
    상기 지하 차도의 차단 영역에 설치된 제2 수위 센서 및 제4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는,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상기 제4 수위 센서에서 생성된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수위 감지 신호에 상기 제2 수위 감지 신호 및 상기 제4 수위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차단 영역에서 상기 수위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4. 삭제
KR1020210135764A 2021-10-13 2021-10-13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KR10238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64A KR102389354B1 (ko) 2021-10-13 2021-10-13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64A KR102389354B1 (ko) 2021-10-13 2021-10-13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54B1 true KR102389354B1 (ko) 2022-04-25

Family

ID=8145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64A KR102389354B1 (ko) 2021-10-13 2021-10-13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969Y1 (ko) * 2005-06-24 2005-09-06 (주) 진진메디텍 침수 자동 경보장치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KR200471702Y1 (ko) * 2013-02-08 2014-03-10 주식회사 동진산기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KR200394969Y1 (ko) * 2005-06-24 2005-09-06 (주) 진진메디텍 침수 자동 경보장치
KR200471702Y1 (ko) * 2013-02-08 2014-03-10 주식회사 동진산기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97B1 (ko) 계측기 통합트리거링을 이용한 수리구조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7649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2277753B1 (ko)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89354B1 (ko) 지하 차도 침수를 모니터링하고 지하 차도 침수를 미리 경보하는 지하 차도 침수 모니터링 경보 시스템
KR101493356B1 (ko) 사방댐의 홍수 경보장치
EP3076147B1 (en) Fluid detection apparatus and fluid detection method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20150035903A (ko) 여수 점검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828520B1 (ko)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및 지진계측의 통합트리거링과 드론 영상촬영을 이용한 위험취약구조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1037B1 (ko)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JP2005156460A (ja) 冠水検知システム
KR20100001685A (ko)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34337B1 (ko) 수위측정장치
Leone et al. A smart device for monitoring railway tracks in remote areas
KR20190074682A (ko)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KR101546805B1 (ko) 열전달매체 순환시스템의 고장 예보 및 감지 시스템
JP5000928B2 (ja) 物体検知装置および方法
US11320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oss of soil cover
JP2009210262A (ja) 浸水深を計測する連結センサーとそれを使った測定方法
CN107862820A (zh) 一种周界报警系统
KR101256703B1 (ko) 무선 센싱 장치 및 그 무선 센싱 장치들을 이용한 침수감지 시스템
JP2010025624A (ja) 電気機器の漏電防止装置
KR20220170173A (ko) LiDAR 센서와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한 하천 수위 및 유속 계측 시스템
KR102080713B1 (ko) 통신구 감시 시스템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