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756B1 -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756B1
KR100654756B1 KR1020060051095A KR20060051095A KR100654756B1 KR 100654756 B1 KR100654756 B1 KR 100654756B1 KR 1020060051095 A KR1020060051095 A KR 1020060051095A KR 20060051095 A KR20060051095 A KR 20060051095A KR 100654756 B1 KR100654756 B1 KR 10065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manhole
fixing
fixed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부호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5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오수 배수를 위해 시공되는 집수 맨홀을 통해서 하수가 도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 역류방지 시설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기존의 집수 맨홀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집수 맨홀(10)의 하부측에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관(20)이 연결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가이드홈(31)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 맨홀(10)의 내원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0), 중앙배수구(41)와 그 보다 작은 크기의 배수구(42)가 천공되어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되는 고정판(40), 배수로(52)를 단속하는 캡(54)이 구비되고 고정부(55)에 작동간(56)이 고정되어 고정판(40)의 상면에 용접되는 중앙배수관(50),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단속하는 마개부재(63)가 형성된 승강부재(60), 물에 뜨는 부력(浮力)체로 되어 승강부재(6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부구(70), 승강부재(60)가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소정의 높이로 현수되도록 메다는 와이어(80)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임.
공동주택, 하수, 역류, 부구, 승강부재, 배수구, 하수관

Description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Structure of drainpipe protection flowing backw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통해서 도로의 오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을 폐쇄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수 맨홀 20: 하수관
30: 고정블록 31: 가이드홈
32: 고정구 40: 고정판
41: 중앙배수구 42: 배수구
50: 중앙배수관 51: 몸체
52: 배수로 52a: 암나사
54: 캡 54a: 나사조립부
55,56a,63a: 고정부 56: 작동간
57: 고정구 60: 승강부재
61: 배수공 63: 마개부재
64: 지지돌기 70: 부구
80: 와이어
본 발명은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오수 배수를 위해 시공되는 집수 맨홀을 통해서 하수가 도로로 역류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하수 역류방지 시설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기존의 집수 맨홀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차도 경계석이 설치된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집수 맨홀을 설치하여 도로에서 발생되는 빗물과 같은 오수를 전량 배출시키도록 되고, 상기 집수 맨홀의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을 덮어 씌워 오수외 이물질이 집수 맨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집중호우나 기타의 외부적 요건으로 인하여 도로에 오수 량이 급격히 증가시 인접되는 집수 맨홀을 통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가 저지대측 집수 맨홀을 통해 역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처럼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여 한정된 크기를 갖는 하수관을 통해서 하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할 경우 일부는 집수 맨홀을 통해 역으로 도로로 쏟아져 나오는 역류 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도로로 역류된 하수는 그 보다 낮은 저지대측 도로는 물론 공동주택단지가 물에 잠기는 침수 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도로의 침수 정도가 심한 경우 전기안전시설이 미비한 일부 가로등을 침수하게 되어 전기 감전에 따른 인명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은 단순히 도로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집수 맨홀과 연통되는 하수관을 통해서 배출시키는 것만을 주안점으로 시공하게 되므로 강우량이 비교적 많은 우기시 하수량 증대에 사전 대응할 수 있는 특별한 안전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데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도로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시공되는 집수 맨홀의 내측에 하수 량 변화시 집수 맨홀의 하부측을 자동 폐쇄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시설하여 종래와 같이 하수량이 굽격하게 증가시에도 집수 맨홀을 통해 하수가 역류하지 못하게 하여 도로 및 주택 등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의 하수 역류방지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차도 경계석과 인접되게 집수 맨홀(10)이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집수 맨홀(10)의 하부측에는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관(20)이 연결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폭만큼 함몰되는 다수의 가이드홈(31)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 맨홀(10)의 내원주면에 고정구(32)로 고정되는 고정블록(30)과,
중심부에 크기가 큰 중앙배수구(41)가 천공되고 상기 중앙배수구(41) 주위에는 그 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다수의 배수구(42)가 천공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되는 고정판(40)과,
상기 중앙배수구(41)와 연통하는 배수로(52)를 갖는 몸체(51)의 내주면에 암나사(52a)를 형성하여 암나사(52a)에 분해, 조립되는 나사조립부(54a)를 갖는 캡(54)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로(52)를 단속하도록 되고, 몸체(51)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부(55)가 방사상으로 용접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55)에 작동간(56)의 일측단부를 고정구(57)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상기 배수로(52)가 중앙배수구(41)와 연통하도록 고정판(40) 상면 중심부에 용접 고정되는 중앙배수관(50)과,
중앙에 배수공(61)이 천공되고 그 배수공(61) 주위에는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단속하는 마개부재(63)가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 블록(30)의 가이드홈(31)과 미끄럼 접촉하는 지지돌기(64)를 갖는 승강부재(60)와,
물에 뜨는 부력(浮力)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6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어 집수 맨홀(10)의 수위가 상승시 승강부재(60)를 상부측으로 밀어 이동하는 부구(70)와,
일측단은 마개부재(63)의 고정부(63a)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배수구(42)를 관통하여 작동간(56)의 고정부(56a)에 고정되어 승강부재(60)가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소정의 높이에 현수되게 메다는 와이어(8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은 와이어(8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현수되는 승강부재(60)와 부구(70)가 집수 맨홀(10)에 유입되는 하수량이 급격하게 증대시에는 수위 변화량에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마개부재(63)가 모두 막도록 구성하므로써 우기 또는 장마시 집수 맨홀의 상부측으로 하수가 역류하여 도로를 침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통해서 도로의 오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이 집수 맨홀을 폐쇄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수 맨홀(10)의 하부측에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관(20)이 연결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와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가이드홈(31)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 맨홀(10)의 내원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0), 중앙배수구(41)와 그 보다 작은 크기의 배수구(42)가 천공되어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되는 고정판(40), 배수로(52)를 단속하는 캡(54)이 구비되고 고정부(55)에 작동간(56)이 고정되어 고정판(40)의 상면에 용접되는 중앙배수관(50),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단속하는 마개부재(63)가 형성된 승강부재(60), 물에 뜨는 부력(浮力)체로 되어 승강부재(6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부구(70), 승강부재(60)가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소정의 높이로 현수되도록 메다는 와이어(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고정블록(3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폭만큼 함몰되는 다수의 가이드홈(31)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 맨홀(10)의 내원주면에 고정구(32)로 고정되게 조립한다.
고정판(40)은 중심부에 크기가 큰 중앙배수구(41)가 천공되고, 상기 중앙배수구(41) 주위에는 그 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다수의 배수구(42)가 천공되어 상기 고정블록(30)의 상부측에 거치되도록 조립한다.
중앙배수관(50)은 상기 중앙배수구(41)와 연통하는 배수로(52)를 갖는 몸체(51)의 내주면에 암나사(52a)를 형성하여 암나사(52a)에 분해, 조립되는 나사조립부(54a)를 갖는 캡(54)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로(52)를 단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51)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부(55)가 방사상으로 용접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55)에 작동간(56)의 일측단부를 고정구(57)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상기 배수로(52)가 중앙배수구(41)와 연통하도록 고정판(40) 상면 중심부에 용접 고정된다.
승강부재(60)는 중앙에 배수공(61)이 천공되고 그 배수공(61) 주위에는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단속하는 마개부재(63)가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지지돌기(64)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64)가 고정블록(30)의 가이드홈(31)과 미끄럼 접촉하도록 고정블록(30)의 내측에 조립된다.
부구(70)는 물에 뜨는 부력(浮力)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6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어 집수 맨홀(10)의 수위가 상승시 승강부재(60)를 상부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80)는 일측단이 마개부재(63)의 고정부(63a)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배수구(42)를 관통하여 작동간(56)의 고정부(56a)에 고정 조립하여 승강부재(60)가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소정의 높이에 현수되게 메달려 있도록 조립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을 도 3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가이드홈(31)이 형성된 고정블록(30)을 내주면에 고정되게 조립하고, 상기 고정블록(30)의 내측에는 와이어(8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메달리며 현수되는 승강부재(60)를 설치하여 집수 맨홀(10)에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구(70)와 함께 승강부재(6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시공한다.
그리하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쪽 하수관를 통해서 모두 배수되고, 도로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집수 맨홀(10)의 환턱(12)에 거치되듯이 덮여 있는 그레이팅(15)을 통해서 내측으로 유입되고, 집수 맨홀(10)로 유입된 오수는 승강부재(60)에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42) 및 배수공(61)을 통해서 하부측으로 유입된 후 하수와 함께 하수관(20)으로 배수되게 된다.
한편, 우기 또는 장마시 도로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집수 맨홀(10)을 비롯하여 하수관(20)으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맨홀(10)에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70)는 승강부재(60)를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밀어 올리듯이 상승시키게 된다.
승강부재(60)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부재(60)의 상면에 설치된 마개부재(63)의 선단이 고정판(40)의 배수구(42)에 끼워지면서 승강부재(60)의 마개부재(63)들이 배수구를 모두 막게 되므로 집수 맨홀(10)의 상부측으로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로가 침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에 의하면, 집수 맨홀의 내측에 고정블록과 함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된 승강부재를 갖는 역류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집수 맨홀에 유입되는 하수 량 즉 수위변화시 승강부재가 고정판의 배수구를 모두 막아 하수가 집수 맨홀을 통해서 도로로 역류하려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우기 및 장마시 집수 맨홀에 하수의 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더라도 하수가 맨홀을 통해 도로로 역류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게되어 이들 하수로 인해서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집수 맨홀에 본 발명의 역류 방지시설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하수의 역류방지 효과도 확실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손쉽고 경제적이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집수 맨홀(10)의 하부측에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관(20)이 연결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와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 맨홀(10)의 내원주면에 고정구(32)로 고정되는 고정블록(30)과,
    중앙배수구(41) 주위에 상기 중앙배수구(41) 보다 작은 크기의 배수구(42)가 천공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측에 안착되는 고정판(40)과,
    상기 중앙배수구(41)와 연통하는 배수로(52)를 갖는 몸체(5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52a)에 배수로(52)를 단속하는 캡(54)이 조립되고, 몸체(51)의 외주면에는 고정부(55)가 용접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고정부(55)에는 작동간(56)이 고정구(57)로 고정되어 고정판(40)의 상면 중심부에 용접 고정되는 중앙배수관(50)과,
    중앙의 배수공(61) 주위에 고정판(40)의 배수구(42)들을 단속하는 마개부재(63)가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블록(30)의 가이드홈(31)과 미끄럼 접촉하는 지지돌기(64)를 갖는 승강부재(60)와,
    물에 뜨는 부력(浮力)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6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부구(70)와,
    승강부재(60)가 집수 맨홀(10)의 내측에 현수되도록 일측단은 마개부재(63)의 고정부(63a)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배수구(42)를 관통하여 작동간(56)의 고정부(56a)에 고정되는 와이어(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KR1020060051095A 2006-06-07 2006-06-07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KR10065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95A KR100654756B1 (ko) 2006-06-07 2006-06-07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95A KR100654756B1 (ko) 2006-06-07 2006-06-07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756B1 true KR100654756B1 (ko) 2006-12-08

Family

ID=3773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095A KR100654756B1 (ko) 2006-06-07 2006-06-07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7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558A (zh) * 2014-12-04 2015-04-08 博艳萍 一种家用智能地漏
KR101996050B1 (ko) * 2019-04-26 2019-07-04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CN112064761A (zh) * 2020-09-12 2020-12-11 徐影影 一种快排式地漏及建筑物排水系统
CN115387173A (zh) * 2022-08-21 2022-11-25 穆怀安 一种具有防倒流功能的市政道路排水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558A (zh) * 2014-12-04 2015-04-08 博艳萍 一种家用智能地漏
KR101996050B1 (ko) * 2019-04-26 2019-07-04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CN112064761A (zh) * 2020-09-12 2020-12-11 徐影影 一种快排式地漏及建筑物排水系统
CN115387173A (zh) * 2022-08-21 2022-11-25 穆怀安 一种具有防倒流功能的市政道路排水结构
CN115387173B (zh) * 2022-08-21 2023-09-22 甘肃华程大路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防倒流功能的市政道路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KR20060073451A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21526B1 (ko) 상하부 분리 가능한 도로경계석
CN211523442U (zh)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CN207582227U (zh) 一种改进的路面排水装置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KR101265829B1 (ko) 지하수 감압 배수시스템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KR100720355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CN210917653U (zh) 一种应用于滨海地区的自动排水雨水检查井结构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1392193B1 (ko) 맨홀에서 역류 감지 및 이의 방지장치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200388373Y1 (ko) 트랜치 커버 높이 조절장치
KR101569048B1 (ko) 자동 배수 기능을 갖는 제수변 보호통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96050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