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540B1 - 승강 건축구조 - Google Patents

승강 건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540B1
KR101985540B1 KR1020190002536A KR20190002536A KR101985540B1 KR 101985540 B1 KR101985540 B1 KR 101985540B1 KR 1020190002536 A KR1020190002536 A KR 1020190002536A KR 20190002536 A KR20190002536 A KR 20190002536A KR 101985540 B1 KR101985540 B1 KR 10198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pace
water
lifting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익
Original Assignee
장용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익 filed Critical 장용익
Priority to KR102019000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11Lift-slab; characterised by a purely vertical lifting of floors or roof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승강 건축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승강 건축구조는,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측부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레일; 상기 승강 건축물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 레일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승강 휠; 및 상기 승강 건축물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체의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의 웨이트(weigh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 건축구조{Up/down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 건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승강 건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건축 구조물 혹은 시설물(빌딩)들은 주로 지상에 시설되기 때문에 안정된 구조로 시공된다.
최근에는 최첨단 시공법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면서 도심 미관을 화려하게 이루도록 다양한 건축 구조물로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축 구조물이 지상에 설치되기에는 지면이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강이나 해안 등에 도강용 임시교, 해안 접안시설물, 선박 인양시설물, 해안공사설비용 임시설치구조, 해안 활주로, 해안도시 등 특별한 구조물을 시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수상에 다양한 형태의 수상 구조물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상 구조물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상 구조물(10)은 부유 수단(20)을 통해 수상, 즉 수면 위로 부유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비롯한 종래의 수상 혹은 해상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수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일 뿐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구동, 즉 승강 운동을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도 1의 구조가 수상 구조이기는 하지만 물이 필요 이상으로 범람할 경우, 불가피하게 침수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특히, 도 1과는 달리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지상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상의 일정한 위치에 그대로 고정된 형태라서 빗물 등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입되면 침수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승강 건축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169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8189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8966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59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승강 건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측부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레일; 상기 승강 건축물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 레일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승강 휠; 및 상기 승강 건축물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체의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의 웨이트(weigh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건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웨이트가 상기 가동 레일과 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웨이트의 하향 이동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측부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레일; 상기 승강 건축물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 레일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승강 휠;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로 물이 유입될 때 부상되어 상기 승강 건축물을 상승시키는 부구; 상기 부구를 지지하는 부구 지지대; 상기 승강 건축물의 상부 영역에 상기 승강 건축물이 상승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는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 상기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 탱크; 상기 승강 건축물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체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가동 레일과 한 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웨이트(weight); 상기 웨이트와 상기 물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물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웨이트로 유입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유입 라인; 상기 물 유입 라인 상에 마련되는 물 펌프; 상기 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 내의 물이 배출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배출 라인; 상기 물 배출 라인 상에 마련되는 배출 밸브;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웨이트의 하향 이동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웨이트와 상기 승강 건축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 건축물의 승강 동작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도르레; 상기 승강 건축물의 승강 휠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휠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원격 잠금장치;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의 물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승강 건축물에 마련되며, 위험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경고 알림부; 및 상기 수위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잠금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on)시키는 한편 상기 경고 알림부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의 높이가 2.5m 내지 3.5m에서 결정되며, 상기 원격 잠금장치는 상기 다수의 승강 휠 중에서 최상단에 배치되는 승강 휠에 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건축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승강 건축구조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상 구조물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승강 건축구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동작도이며, 도 4는 도 2의 승강 건축구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는 기존의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는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110)을 포함하며,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아래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한다.
승강 건축물(110)은 후술할 웨이트(150, weight)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빗물 등이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로 유입되면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마련되는 부구(131)에 의해 승강 건축물(110)이 상승된다. 따라서 침수 피해를 방지한다.
승강 건축물(110)은 평상 시 상부 영역은 지상에, 하부 영역은 지하인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해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물이 많이 차면 승강 건축물(110)의 하부 영역이 침수될 수밖에 없으나 이때 승강 건축물(110)이 도 3처럼 상승됨에 따라 침수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의 측부에는 고정 레일(121)이 고정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고정 레일(121)에 가동 레일(122)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건축물(110)의 측벽에는 다수의 승강 휠(112)이 마련된다. 다수의 승강 휠(112)은 고정 레일(121) 상에서 이동되면서 승강 건축물(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 휠(112)은 무동력 자유 롤러일 수 있다.
승강 건축물(110)의 승강 휠(112)에는 승강 휠(112)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원격 잠금장치(114)가 마련된다. 원격 잠금장치(114)는 다수의 승강 휠(112) 중에서 최상단에 배치되는 승강 휠(112)에 부속되며, 컨트롤러(170)에 의해 원격으로 동작이 온/오프(on/off)된다.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서 승강 건축물(110)의 하부에는 부구(131)가 배치된다. 부구(131)는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로 물이 유입될 때 부상되어 승강 건축물(110)을 상승시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부구(131)는 부구 지지대(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승강 건축물(110)의 상부 영역에는 승강 건축물(110)이 상승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는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103)가 마련된다.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103)의 높이는 수위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50cm정도 여유공간이 있도록 2.5m 내지 3.5m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103)의 상부에는 기계실(141)이 배치된다. 그리고 기계실(141)의 상부에는 물 탱크(142)가 갖춰진다.
한편,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웨이트(150, weight)가 적용된다.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의 일측에는 웨이트(150)의 하향 이동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토퍼(154)가 마련된다.
다수의 웨이트(150)는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체의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웨이트(150)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해 그 중량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웨이트(150)와 물 탱크(142)에는 물 탱크(142) 내의 물이 웨이트(150)로 유입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유입 라인(143)이 마련되고, 물 유입 라인(143) 상에 물 펌프(144)가 마련된다. 또한 웨이트(150)에는 웨이트(150) 내의 물이 배출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배출 라인(151)이 마련되고, 물 배출 라인(151) 상에 배출 밸브(152)가 마련된다.
물 펌프(144)와 배출 밸브(152)는 후술할 컨트롤러(17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즉 웨이트(150) 내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웨이트(150) 내의 물을 배출시켜 그 중량을 조절함으로써 승강 건축물(110)의 높이를 컨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 건축물(110)이 3톤(ton) 정도이면 양쪽의 웨이트(150)는 1톤씩으로 구성해서 전체 중량의 2/3 정도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머지는 부구(131)의 부력에 의해 상승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웨이트(150)는 가동 레일(122)에 구속되어 가동 레일(122)과 한 몸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웨이트(150)가 가동 레일(122)과 별개로 유동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웨이트(150)는 승강 건축물(110)에 와이어(155)로 연결된다. 물론, 와이어(155) 대신에 체인이나 로프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와이어(155)의 작용에 의해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될 수 있게끔 다수의 도르레(156)가 마련된다. 도르레(156)들은 와이어(155)가 지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와이어(15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르레(156) 역시, 무동력 자유 회전롤러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에는 수위센서(161), 경고 알림부(162), 그리고 컨트롤러(170)가 더 갖춰진다.
수위센서(161)는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마련되며, 장마나 집중호우가 발생될 때,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의 물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고 알림부(162)는 승강 건축물(110)에 마련되며, 위험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일종의 부저이다.
컨트롤러(170)는 수위센서(161)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잠금장치(114)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on)시키는 한편 경고 알림부(162)가 동작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수위센서(161)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잠금장치(114)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on)시키는 한편 경고 알림부(162)가 동작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수위센서(161)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잠금장치(114)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on)시키는 한편 경고 알림부(162)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 역시,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110)이 적용되며,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의 내외측에 다수의 구성들이 탑재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기계실(141)의 하단부에 에어 튜브(245)가 적용된다. 에어 튜브(245)는 승강 건축물(110)이 과도하게 상승되거나 혹은 갑작스럽게 상승됨에 따라 승강 건축물(1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의 개념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건축구조 역시,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110)이 적용되며, 건축물 시공 공간부(101)의 내외측에 다수의 구성들이 탑재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기계실(141)이나 그 하부의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103)가 없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럴 경우, 와이어(355)를 가이드하는 도르레(356)는 별도의 기둥(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웨이트(3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 자석(350a)으로 적용된다. 단위 자석(350a)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중량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웨이트(150)에 물을 넣거나 빼는 방법으로 중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고정식에서 벗어나 승강 건축물(110)이 승강(up/down) 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이라서 장마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건축물 시공 공간부 103 :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
110 : 승강 건축물 112 : 승강 휠
114 : 원격 잠금장치 121 : 고정 레일
122 : 가동 레일 131 : 부구
132 : 부구 지지대 141 : 기계실
142 : 물 탱크 143 : 물 유입 라인
144 : 물 펌프 150 : 웨이트
151 : 물 배출 라인 152 : 배출 밸브
154 : 스토퍼 155 : 와이어
156 : 도르레 161 : 수위센서
162 : 경고 알림부 170 : 컨트롤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승강(up/down) 구동되게 마련되는 승강 건축물;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측부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레일;
    상기 승강 건축물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 레일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승강 휠;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서 상기 승강 건축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로 물이 유입될 때 부상되어 상기 승강 건축물을 상승시키는 부구;
    상기 부구를 지지하는 부구 지지대;
    상기 승강 건축물의 상부 영역에 상기 승강 건축물이 상승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는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
    상기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 탱크;
    상기 승강 건축물이 승강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체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가동 레일과 한 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웨이트(weight);
    상기 웨이트와 상기 물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물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웨이트로 유입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유입 라인;
    상기 물 유입 라인 상에 마련되는 물 펌프;
    상기 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 내의 물이 배출되게 경로를 형성하는 물 배출 라인;
    상기 물 배출 라인 상에 마련되는 배출 밸브;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웨이트의 하향 이동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웨이트와 상기 승강 건축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 건축물의 승강 동작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도르레;
    상기 승강 건축물의 승강 휠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휠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원격 잠금장치;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건축물 시공 공간부 내의 물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승강 건축물에 마련되며, 위험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경고 알림부; 및
    상기 수위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잠금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온(on)시키는 한편 상기 경고 알림부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상승 허용 공간부의 높이가 2.5m 내지 3.5m에서 결정되며,
    상기 원격 잠금장치는 상기 다수의 승강 휠 중에서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건축구조.
KR1020190002536A 2019-01-09 2019-01-09 승강 건축구조 KR10198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6A KR101985540B1 (ko) 2019-01-09 2019-01-09 승강 건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6A KR101985540B1 (ko) 2019-01-09 2019-01-09 승강 건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40B1 true KR101985540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36A KR101985540B1 (ko) 2019-01-09 2019-01-09 승강 건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0536A (zh) * 2023-05-17 2023-08-11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62B2 (ko) * 1979-07-17 1989-04-27 Japan Aviation Electron
KR0181895B1 (ko) 1996-04-08 1999-04-15 김광호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온 타임 기능 수행 방법
KR20080005981U (ko) 2007-06-01 2008-12-04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압축공기를 이용한 운반용 에어캐스터의 튜브 제조장치
KR20110116957A (ko) 2010-04-20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12246721A (ja) * 2011-05-31 2012-12-13 Kochiku Sekkei Co Ltd 高さ可変な津波対応建造物
JP5381716B2 (ja) * 2007-12-27 2014-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89664A (ko) 2015-01-20 2016-07-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왜건 캐스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62B2 (ko) * 1979-07-17 1989-04-27 Japan Aviation Electron
KR0181895B1 (ko) 1996-04-08 1999-04-15 김광호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온 타임 기능 수행 방법
KR20080005981U (ko) 2007-06-01 2008-12-04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압축공기를 이용한 운반용 에어캐스터의 튜브 제조장치
JP5381716B2 (ja) * 2007-12-27 2014-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116957A (ko) 2010-04-20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12246721A (ja) * 2011-05-31 2012-12-13 Kochiku Sekkei Co Ltd 高さ可変な津波対応建造物
KR20160089664A (ko) 2015-01-20 2016-07-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왜건 캐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0536A (zh) * 2023-05-17 2023-08-11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CN116580536B (zh) * 2023-05-17 2024-01-30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494B2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JP2007077758A (ja) 水害対応免震建築物
JP5416292B1 (ja) フロート式止水扉
JP2007192007A (ja) 耐高潮建築物とその施工方法
KR101985540B1 (ko) 승강 건축구조
JP2008174919A (ja) 水害避難タワー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JP5452007B2 (ja) ピット多段昇降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176060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JP6651075B1 (ja) 防災型施設
CN210562570U (zh) 深隧排水系统泵站
WO2016174919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108487847B (zh) 伸缩立柱的提拉式闸门
JP2007204178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
JP7246621B2 (ja) 無電源自動横引き止水ゲート
KR100932665B1 (ko) 하천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블록 시설물
KR20210026787A (ko) 기능성 잠수교
KR100783119B1 (ko)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KR200457171Y1 (ko)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KR100539086B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침수방지 방법 및 장치
JP5914919B2 (ja) 風力発電設備の設置用構造
KR101802299B1 (ko) 부유식 수상수영장
JP2015004235A (ja) 水害避難用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建物
JP2010101139A (ja)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