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60B1 -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 Google Patents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60B1
KR101176060B1 KR1020120058049A KR20120058049A KR101176060B1 KR 101176060 B1 KR101176060 B1 KR 101176060B1 KR 1020120058049 A KR1020120058049 A KR 1020120058049A KR 20120058049 A KR20120058049 A KR 20120058049A KR 101176060 B1 KR101176060 B1 KR 10117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dex
river
coupled
or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306A (ko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2005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산책로로 이용하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기립하여 차수역할을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구조물에 결합하며 힌지와 경첩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여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와; 일측은 상기 기초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차수부재가 기립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는 면 상부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와; 상기 제1 지수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력체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차수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차수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의 결합부재 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하천 범람이 예상되는 여유고가 부족한 공간에 하천방향으로 전진배치한 상태로 난간 및 차수역할을 수행하는 차수부재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천 범람시에는 차수부재 및 제1 지수부재 하측에 배치된 부력체의 부력을 이용해 기립시킴으로써 여유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차수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할 수 있고, 차수부재가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서만 작동이 되어 별도의 동력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천 범람시 차수부재의 오작동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높은 차수부재는 다수를 형성하여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지수역할을 하는 제1 지수부재는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천 범람시 부력체에 의한 차수부재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완벽한 지수를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A waterproof plate for flooding prevention}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산책로로 이용하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기립하여 차수역할을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범람이 예상되는 여유고가 부족한 공간에 하천 방향으로 전진배치한 상태로 난간 및 차수역할을 수행하는 차수부재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천 범람시에는 차수부재 및 제1 지수부재 하측에 배치된 부력체의 부력을 이용해 기립시킴으로써 여유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차수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할 수 있고, 차수부재가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서만 작동이 되어 별도의 동력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천 범람시 차수부재의 오작동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높은 차수부재는 다수를 형성하여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지수역할을 하는 제1 지수부재는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천 범람시 부력체에 의한 차수부재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완벽한 지수를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에는 물의 범람시 불어나는 하천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방을 설치한다.
하지만, 최근에 급격한 도시화와 이상기후 및 호우 강도가 커짐에 따라 제방의 높이를 최초 설계하였을 때보다 예상 강우량이 많아지게 되어 근래에는 제방에 별도의 홍수방지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홍수방지벽은 콘크리트 고정벽이나 부력에 의해 전도 및 기립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지면 아래에 홈을 형성하여 하천수 유입시 부력을 이용하는 형태, 또는 수위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홍수방지벽이 기립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조의 콘크리트 고정벽은 하천 접근성이나 경관성이 좋지 않고, 제방 인근에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나 터파기 등의 공사를 할 수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제방 인근에 보도 또는 산책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를 설치하기 위한 여유공간 및 작업여건이 여의치 않음으로써 홍수방지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은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측에 형성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결합하며 힌지와 경첩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여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와; 일측은 상기 기초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차수부재가 기립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는 면 상부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와; 상기 제1 지수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력체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차수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차수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의 결합부재 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수부재가 전도된 상태일 때의 상측면에는 난간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수부재 및 부력체는 다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차수부재와 부력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수부재는 다수의 차수부재를 한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수부재 중 최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차수부재의 측면으로는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지수부재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물이 더 포함되고, 최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수부재 중 측면 구조물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지수부재와 맞닿아 지수역할을 하는 측면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는 기초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연결되어 기초콘크리트를 기준으로 하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직 지지부에 인접한 부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 및 수평 지지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수부재가 기립된 상태일 때에 구조물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수부재와 지지부의 연결 지지부 사이에는 전도방지 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 범람이 예상되는 여유고가 부족한 공간에 하천방향으로 전진배치한 상태로 난간 및 차수역할을 수행하는 차수부재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하천 범람시에는 차수부재 및 제1 지수부재 하측에 배치된 부력체의 부력을 이용해 기립시킴으로써 여유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차수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차수부재가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서만 작동이 되어 별도의 동력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천 범람시 차수부재의 오작동률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중량이 높은 차수부재는 다수를 형성하여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지수역할을 하는 제1 지수부재는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천 범람시 부력체에 의한 차수부재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완벽한 지수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의 전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의 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 및 도 4의 A, B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구조물(10)은 여유고가 부족한 기초콘크리트(C)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1 플레이트(11)가 기초콘크리트(C)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상측에는 나무재질의 제1 바닥면(12)이 고정설치된다.
다음으로, 회전부(20)는 상기 구조물(10) 중 하천 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경첩(22)과 상기 경첩(22)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힌지(21)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차수부재(30)는 상기 회전부(20)의 경첩(22)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전도 및 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수부재(30)는 전술한 구조물(10)과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차수부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 플레이트(31)와 상기 제2 플레이트(31)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나무재질의 제2 바닥면(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 플레이트(31) 중 차수부재(30)가 전도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고 있는 면의 타측면에 회전부(20)의 경첩(22)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수부재(30)에 형성된 제2 플레이트(31)의 상측으로는 통상의 가드레일(G)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부재(30)의 제2 플레이트(31)는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f)을 창문틀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상기 공간에 스티로폼으로 불리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EPS)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 하측으로 플레이트(p)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지수부재(40)는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방향과 마주하는 면에 제1 결합부재(B1)에 의해 일측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일 때에 하천과 마주보는 면 상부에 제2 결합부재(B2)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지수부재(40)는 유연성과 더불어 지수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며, 상기 제1 지수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 2 결합부재(B1, B2)는 통상의 볼트/너트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부력체(50)는 상기 차수부재(30)에 결합된 제1 지수부재(40)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수부재(30)가 전도된 상태였을 때에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하천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부력에 의해 차수부재(30)를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력체(50)는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부력에 의해 부유할 수 있도록 물의 비중보다 낮은 재질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부력체(5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수부재(30) 및 제1 지수부재(40)를 원활히 기립시키기 위해 지지부(60)와 지지부(60) 사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형태의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한 후 브라켓에 부력체(50)을 결합시켜서 수위 상승시 부력에 의해 부력체(50) 단독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차수부재(30) 및 제1 지수부재(40)를 기립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지수부재(40)의 하측에 배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수부재(30) 및 제1 지수부재(40) 하측에 배치하는 부력체(50)는 다수를 형성하도록 하고, 제1 지수부재(40)는 다수의 차수부재(30) 전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지부(60)는 도 6에서와 같이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통상의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는 수직 지지부(61)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61)로 부터 하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부(6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지지부(62)는 콘크리트구조물(C)에 결합하는 제1 지수부재(40)의 제1 결합부재(B1)가 결합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부(61)와의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62a)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62)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62)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63)가 구성되며, 수직 지지부(61) 및 수평 지지부(62) 사이에는 보강대(64)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페이서(S)는 상기 차수부재(3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수부재(30)에 제1 지수부재(4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부재(B2)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S)는 차수부재(30)가 전도된 상태였을 때에 차수부재(30)와 맞닿는 지지부(60)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차수부재(30)에 결합된 제1 지수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S)는 차수부재(30)에 결합시 도 2에서와 같이 차수부재(30) 상측에 다수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차수부재(30) 중 최 가장자리에 위치한 기초콘크리트(C) 상측에 제2 지수부재(71)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물(7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측면 구조물(70)과 인접한 최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수부재(30)의 측면에는 측면 구조물(70)의 제2 지수부재(71)와 대응하여 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측면판(80)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 구조물(70)의 제2 지수부재(71)와 측면판(80)은 서로 맞닿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차수부재(30)는 하천 수위 상승시 기립 및 전도가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측면 구조물(70) 및 측면판(80)을 회전부(2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도방지 밴드(9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 밴드(90)은 일측은 지지부(60)에 연결하고, 타측은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였을 때에 하천과 마주보는 면의 상측에 결합하여 하천 수위 상승시 수압에 의해 차수부재(30)가 구조물(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100)은 여유공간 또는 기초콘크리트(C)와 같은 기초공사를 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난간 역할 및 차수 역할을 하는 차수부재(30)를 하천 방향으로 더 돌출시켜 구성함으로써, 여유고가 부족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산책로로 이용 가능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하여 범람할 때에는 차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보고 있는 면에 하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60)의 상측으로 전도된 상태의 차수부재(3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치된 차수부재(30)는 하천이 범람하지 않은 평상 수위 시에는 지지부(60)에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구조물(10)과 함께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는 인도 또는 산책로로서 이용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구조물(10) 및 차수부재(30)는 금속재질의 제1, 2 플레이트(11, 21) 및 나무재질의 제1, 2 바닥면(12, 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차수부재(30)의 상측에는 난간(G)이 설치되어 있어 보행자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차수부재(30)에는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는 면(전도되었을 경우에는 하측면)에 제1 지수부재(4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지수부재(40)는 일측은 기초콘크리트(C)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는 면의 상측에 볼트/너트 형태의 제1, 2 결합부재(B1, B2)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수부재(40)가 차수부재(30)에 결합하였을 때에 파손이나 간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후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범람이 발생하였을 때에, 작동불능 또는 파손된 상태의 제1 지수부재(40)에 의해 지수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일 때에 하천과 마주보는 면 상측에 스페이서(S)를 형성해 지지부(60)와 차수부재(3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하였던 제1 지수부재(40)의 간섭에 대한 문제 또는 파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60) 중 하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62)는 기초콘크리트(C)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 지지부(61)와 연결되는 부분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62a)를 형성하여 차수부재(30)가 전도된 상태였을 때에 기초콘크리트(C)와 제1 지수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재(B1)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회전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30)가 부력체(50)의 부력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차수부재(30)는 내부에 발포 폴리스티렌이 구성되어 있어 부력에 의해 용이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천 수위의 상승시 차수부재(30)가 더욱 원활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며, 하천의 수위가 더욱 높아지게 되면 차수부재(30)도 대략 수직으로 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 상기 차수부재(30) 및 부력체(50)는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였기 때문에, 부력체(50)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차수부재(30)의 기립되는 현상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차수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제1 플레이트(11)와 나무재질의 제1 바닥면(12)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높은 중량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차수부재(30)의 길이가 길수록 전체중량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과는 다르게 부력체(50)는 다수를 형성하고 차수부재(30)는 다수로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차수부재(30)로 형성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하나의 차수부재(30)를 길이를 길게 형성하였을 때에는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차수부재(30)가 부력체(50)의 부력에 의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하천 수위 상승시 차수부재(30)의 작동불능에 따른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립된 차수부재(30)의 하천 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지수부재(40)가 형성되어 하천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1 지수부재(40)는 부력체(50)의 부력에 의해 차수부재(30)와 더불어 가동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수의 차수부재(30)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수의 부력체(50) 중 어느 하나의 부력체(50)에서 하천 수위가 낮아 부력이 약하게 작용하더라도 제1 지수부재(40)가 작동되지 않은 부력체(50)가 위치한 차수부재(30)를 기립시키도록 작용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상기와 같은 제1 지수부재(40)는 다수의 차수부재(3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차수부재(30) 사이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차수부재(30) 중 최 가장자리 측에 위치한 차수부재(30) 측면으로 제2 지수부재(71)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물(70)과 상기 측면 구조물(70)의 제2 지수부재(71)와 대응하도록 차수부재(30)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80)을 통해, 차수부재(30)와 측면 구조물(70) 사이로 하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도방지 밴드(90)를 통해 하천수의 수위 상승에 따라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수압에 의해 차수부재(30)가 구조물(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도방지 밴드(90)는 체인 또는 합성수지계열을 로프 형태로 제작되어 하천수위가 낮을 때에는 전되어 있는 상태의 차수부재(30) 하측에 배치되고, 하천 수위의 상승시에는 차수부재(30)의 전도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부력체(50)에 작용하던 부력이 약해지게 되면서 차수부재(30)의 중량에 의해 전도되어 지지부(60)에 안착된다.
특히, 상기에서 차수부재(30)가 전도되는 것은 부력의 감소에 의해 서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수부재(30) 전도시 차수부재(30)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 : 기초콘크리트
10 : 구조물
11 : 제1 플레이트 12 : 제1 바닥면
20 : 회전부
21 : 힌지 22 : 경첩
30 : 차수부재
31 : 제2 플레이트 f : 프레임 p : 플레이트 32 : 제2 바닥면
40 : 제1 지수부재
B1 : 제1 결합부재 B2 : 제2 결합부재
50 : 부력체
S : 스페이서
60 : 지지부
61 : 수직 지지부 62 : 수평 지지부 62a : 절곡부 63 : 연결 지지부
64 : 보강대
70 : 측면 구조물
71 : 제2 지수부재
80 : 측면판
90 : 전도방지 밴드
100 :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Claims (6)

  1. 기초콘크리트(C);
    상기 기초콘크리트(C) 상측에 형성되는 구조물(10);
    상기 구조물(10)에 결합하며 힌지(21)와 경첩(22)으로 이루어진 회전부(20);
    상기 회전부(20)에 의해 회전하여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30);
    일측은 상기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제1 결합부재(B1)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천과 마주보는 면 상부에 제2 결합부재(B2)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40);
    상기 제1 지수부재(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력체(50);
    상기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0);
    상기 차수부재(3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수부재(40)의 제2 결합부재(B2) 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S);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30)가 전도된 상태일 때의 상측면에는 난간(G)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30) 및 부력체(50)는 다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차수부재(30)와 부력체(5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수부재(40)는 다수의 차수부재(30)에 한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30) 중 최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차수부재(30)의 측면으로는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지수부재(71)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물(70)이 더 포함되고,
    최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수부재(30) 중 측면 구조물(70)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지수부재(71)와 맞닿아 지수역할을 하는 측면판(8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0)는 기초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부(61)와 상기 수직 지지부(61)에 연결되어 기초콘크리트(C)를 기준으로 하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직 지지부(61)에 인접한 부분에 절곡부(62a)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지지부(62)와, 상기 수평 지지부(62)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63)와, 상기 수직 지지부(61) 및 수평 지지부(6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64)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30)가 기립된 상태일 때에 구조물(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수부재(30)와 지지부(60)의 연결 지지부(63) 사이에는 전도방지 밴드(9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20120058049A 2012-05-31 2012-05-31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117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49A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5-31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49A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5-31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06A KR20120065306A (ko) 2012-06-20
KR101176060B1 true KR101176060B1 (ko) 2012-08-24

Family

ID=4668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49A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5-31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86B1 (ko) * 2014-07-18 2014-10-28 주식회사 삼안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722975B1 (ko) 2016-04-22 2017-04-19 (주)에스엔비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5385B1 (ko) * 2017-10-24 2018-07-09 이성원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875144B1 (ko) * 2018-01-23 2018-07-05 주식회사 그린월 침수방지용 무빙월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31B1 (ko)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051983B1 (ko)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31B1 (ko)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051983B1 (ko)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86B1 (ko) * 2014-07-18 2014-10-28 주식회사 삼안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722975B1 (ko) 2016-04-22 2017-04-19 (주)에스엔비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5385B1 (ko) * 2017-10-24 2018-07-09 이성원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06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060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JP6506906B2 (ja) 自動作動洪水ガード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KR101026253B1 (ko) 플로팅월
KR100931597B1 (ko)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JP2012172423A (ja)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JP5361096B1 (ja) 水門
KR101220902B1 (ko)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JP6492340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176067B1 (ko)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0586483B1 (ko) 철교교각의 세굴방지구조
CN214116467U (zh) 一种地下空间防灌水装置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JP5896659B2 (ja) グレーチングと防水板が一体化した防水装置
CN214363272U (zh) 一种水利防洪堤防结构
KR20110107889A (ko) 파도의 관성력을 이용하는 월파수로용 수문의 내파(耐破)적 구조와 설치방법.
KR100591195B1 (ko) 교량 우물통 기초의 세굴방지대
JP5869059B2 (ja) 防潮堤
JP4977240B2 (ja) 取水路用水位低下防止可動堰
KR101257798B1 (ko) 화단형 홍수벽
CN220226464U (zh) 一种水利工程用防水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