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53B1 - 플로팅월 - Google Patents

플로팅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253B1
KR101026253B1 KR1020100100174A KR20100100174A KR101026253B1 KR 101026253 B1 KR101026253 B1 KR 101026253B1 KR 1020100100174 A KR1020100100174 A KR 1020100100174A KR 20100100174 A KR20100100174 A KR 20100100174A KR 101026253 B1 KR101026253 B1 KR 10102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ll
coupled
buoyancy por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filed Critical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to KR102010010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수위 상승시 부력에 의해 부력부가 가동하여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로팅월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부력실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상기 부력실에 하천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부력실에 수납되며, 하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측으로는 차수벽이 구성되되, 전체적인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발포스치로폴이 구성된 부력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결합되며, 부력부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일정높이까지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하강 유도장치와;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수를 차단하기 위해 구성되며, 부력부의 가동에 의해 가동하는 차수판과; 일측은 상기 차수판과 결합되어 있고, 구조물의 부력실을 기준으로 차수판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나머지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전도방지밴드;로 구성되어, 승하강 유도장치를 통해 부력부의 원활한 가동 및 스토퍼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전도방지밴드를 통해 부력부의 전도방지 작용과 더불어 부력부에 경사홈을 형성해 전도방지밴드와 부력부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편하중을 방지하도록 하며, 부력부의 하강시 전도방지밴드를 정리할 수 있는 가이드봉을 형성해 보행자의 안전 및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실에 받침부를 형성해 부력부의 원활한 가동을 유도할 수 있는 플로팅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로팅월{Floating flood-wall}
본 발명은 하천수위 상승시 부력에 의해 부력부가 가동하여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로팅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하강 유도장치를 통해 부력부의 원활한 가동 및 스토퍼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전도방지밴드를 통해 부력부의 전도방지 작용과 더불어 부력부에 경사홈을 형성해 전도방지밴드와 부력부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편하중을 방지하도록 하며, 부력부의 하강시 전도방지밴드를 정리할 수 있는 가이드봉을 형성해 보행자의 안전 및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실에 받침부를 형성해 부력부의 원활한 가동을 유도할 수 있는 플로팅월에 관한 것이다.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특허등록 제0865370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범람방지장치(2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부력실(114)과 걸림턱(115)을 형성하고, 하천 방향으로는 유입구(111)를 형성하며, 상부의 일측으로는 가이드홀(113)이 형성된 가이드(112) 구조물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110)과;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부력실(114)에 결합되며, 하천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유입구(111)로 유입된 수위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수평부재(120)와 수직부재(130)가 결합된 제방부제(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범람방지장치(200)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천 등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기초구조물(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물이 부력실(114)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에 의해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된 수직부재(130)가 기초구조물(110)에 형성된 걸림턱(115)과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30)에 의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작용하여 제방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범람방지장치(200)는 수위상승에 의해 제방부재(150)가 상승하도록 가동하는 과정에서 기초구조물(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여 가동하는 제방부재(150)는 하천수의 출렁거림에 의해 흔들리면서 가동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가이드(112)의 가이드홈(113)과 제방부재(150)의 수직부재(130)간의 간섭에 따른 마찰이 발생하여 제방부재(150)가 원활히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초구조물(110)의 부력식(114)의 바닥면과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수위상승 초기에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20) 바닥면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하천수가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20)에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작용하여 수위상승 초기에 제방부재(150)의 가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월은 내부에 부력실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상기 부력실에 하천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부력실에 수납되며, 하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측으로는 차수벽이 구성되되, 전체적인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발포스치로폴이 구성된 부력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결합되며, 부력부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일정높이까지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하강 유도장치와;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수를 차단하기 위해 구성되며, 부력부의 가동에 의해 가동하는 차수판과; 일측은 상기 차수판과 결합되어 있고, 구조물의 부력실을 기준으로 차수판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나머지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전도방지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조물의 수로는 경사각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수로의 끝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조물의 부력실 바닥면에는 부력부가 부력실 바닥면과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받침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력부의 상측에는 전도방지밴드가 결합되는 위치에 전도방지밴드에 의한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력부의 하강시 전도방지밴드의 흐트러짐을 정리할 수 있는 가이드봉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승하강 유도장치는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는 결합판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의 일측으로는 구조물의 부력실 상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면에는 부력부의 차수벽을 가이드하는 롤러를 고정하면서 부력부의 걸림턱의 상단면과 맞닿아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롤러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승하강 유도장치의 롤러와 롤러 브라켓은 안착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부력부의 차수벽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서로 높이차를 두고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력부가 수위상승에 의해 부력이 발생해 상승하였을 때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승하강 유도장치가 구성되어 부력부가 원활히 가동할 수 있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롤러 브라켓을 통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부력부의 원활한 작동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유도장치의 롤러 및 롤러 브라켓을 다수개 설치하되, 부력부의 차수벽과 맞닿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력부가 원활히 가동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부력부에 형성된 경사홈에 의해 부력부의 상승시 부력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전도방지밴드에 의해 발생하는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여 부력부 및 전도방지밴드의 파손을 줄이면서 부력부의 가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부력부에 형성된 가이드봉에 의해 부력부의 상승 후 하강시 전도방지밴드가 흐트러지지 않게 작용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면서 미관상 미려한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부력부의 부력실 바닥면에 형성된 받침부에 의해 수위상승시 유입되는 물이 부력부 하측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부력부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구조물의 수로를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수위하강시 구조물의 부력실 내부의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범람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월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월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는 부력부의 사시도이고, (b)는 부력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도 8의 A부 상세도.
도 10은 도 8의 B부 상세도.
도 11은 도 8의 C부 상세도.
도 12의 (a)는 차수판과 전도방지밴드의 결합상태도이고, (b)는 구조물과 전도방지밴드의 결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구조물(10)은 내측에 홈 형태의 부력실(11)이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부력실(11)과 연결되어 있는 수로(12)가 구성된다.
상기 구조물(10)은 도 5에서와 같이 통상의 이형철근(14)을 프레임으로 하여, 외측에 콘크리트(15)를 타설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로(1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하수관에 많이 이용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배관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수로(12) 중 부력실(11)과 연결된 타측에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12a)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수로(12)는 부력실(11)에서 유입방지 스크린(12a)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일정각도로 경사각(a)을 형성하여 부력실(11)에 유입된 하천수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의 부력실(11)의 바닥면에는 받침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받침부(13)는 부력실(11) 바닥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부력부(20)는 구조물(10)의 부력실(1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 수위상승시 상승하도록 가동되어 제방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력부(20)는 하측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의 상측으로는 제방역할을 수행하는 차수벽(22)이 ⊥자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력부(20)는 내부에 발포스치로폼(23)이 형성되어 부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부력부(20)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측에 경사홈(24)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홈(24)이 형성된 구조물(10)의 모서리에는 가이드봉(2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력부(20)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발포스치로폴(23)의 외각에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F)으로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F)의 외측에는 스테인리스재질로 이루어진 철판(S)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하강 유도장치(30)는 구조물(1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부력부(20)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력실(11)의 측벽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승하강 유도장치(3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7에서와 같이 구조물(10) 상단에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부재(B)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판(31)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결합판(31)은 구조물(10) 상단에 결합시 결합부재(B)가 구조물(10)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제1 홈(16)을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판(31)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32)이 구조물(10)의 부력실(11) 측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32)에는 부력부(20)를 가이드할 수 있는 롤러(33)와 상기 롤러(33)를 고정결합시키면서 부력부(20)의 가동 높이를 제한할 수 있는 롤러 브라켓(34)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롤러(33)와 롤러 브라켓(34)은 부력부(20)의 차수벽(22)과 맞닿아 부력부(20)를 가이드 할 때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착면(32)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롤러(33) 및 롤러 브라켓(34)은 부력부(20)의 차수벽(22)에 많은 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높이 차를 둔 상태에서 엇갈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롤러(33)와 롤러 브라켓(34)에 스프링을 형성하여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롤러 브라켓(34)에서 롤러(33)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수판(40)은 구조물(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부력부(20)의 가동에 의해 연동하여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수판(40)은 구조물(10)의 결합시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구조물(10)의 상단부와 차수판(40)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지수고무(42)를 덧대고, 상기 지수고무(42)의 상측에 쫄대 형태의 체결판(41)을 형성한 후 결합부재(B)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41)은 주물로 제작하되, 아연도금을 하여 하천수에 의해 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차수판(40)은 구조물(10) 중 측벽에 형성된 측벽 구조물(10a)과의 결합시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측벽 차수판(40a)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벽 차수판(40a)은 차수판(40)과 동일 재질로 형성하도록 하며, 측벽 구조물(10a)과 측벽 차수판(40a)의 결합방법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구조물(10)과 차수판(40)의 결합과 동일하게 체결판(41)과 지수고무(42) 및 결합부재(B)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구조물(10)과 부력부(20)가 연속하여 모듈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때에, 각각의 차수판(40)과의 결합은 도 11에서와 같이 체결판(41)과 지수고무(42) 및 결합부재(B)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도방지밴드(50)는 일측은 차수판(40)과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구조물(1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도방지밴드(50)는 부력부(20)의 상승시 부력부(20)가 전도되는 것을 차수판(40)과 연결되어 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방지밴드(50)와 차수판(40)의 결합 및 전도방지밴드(50)와 구조물(10)과의 결합은 도 12의 (a), (b)에서와 같이 전도방지 체결판(51)과 결합부재(B)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도방지밴드(50)는 부력부(20)의 차수벽(22)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홈(24)과 가이드봉(25) 사이에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도방지밴드(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조물(10) 상단에 제2 홈(17)을 형성하여, 평상수위시에는 제2 홈(17)에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차수판(40)과 전도방지밴드(50)는 부력부(20)의 최고 상승시 전도방지밴드(50)에 의해 차수판(40)과 전도방지밴드(50)에서 장력이 발생하여 부력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플로팅월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평상시, 다시 말해, 평상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력부(20)가 구조물(10)의 부력실(11)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수벽(40)은 구조물(10)의 부력실(11) 및 부력부(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조물(10)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믈론, 상기 부력부(20)의 차수벽(22)의 측면에는 승하강 유도장치(30)의 롤러(33)가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홍수 등의 이유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하천수가 구조물(10)의 부력실(11)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로(12)를 통해 부력실(11) 내부로 하천수가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로(12)의 끝단에는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12a)이 설치되어 있어, 하천에 포함되는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입된 하천수는 부력실(11)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내부에 발포스치로폴이 내장되어 있는 부력부(20)가 부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채워지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10)에 형성된 부력실(11) 바닥면에 다수의 받침부(13)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력부(20)의 걸림턱(21) 하측면으로 하천수가 유입되어 부력부(20)의 부력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10)의 부력실(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 유도장치(30)의 롤러(33)가 부력부(20)의 차수벽(22)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부력부(20)의 가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롤러(33)가 회전하여 부력부(20)를 가이드하면서 가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부력부(20)의 가동에 의해 부력부(20)의 상단을 덮고 있던 차수판(40) 및 전도방지밴드(50)가 가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에서와 같이 부력부(20)의 상승에 의해 차수판(4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차수판(40)과 연결되어 있던 측벽차수판(40a)도 작동하여 접혀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지속적인 수위상승에 의해 가동된 부력부(20)는 승하강 유도장치(30)에 형성된 롤러 브라켓(34)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게 되어 하천수가 월류하지 못하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부력부(20)에 차수판(40) 및 전도방지밴드(50)가 직접 결합되지 않고, 차수판(40)과 전도방지밴드(50)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력부(2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력부(2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24)이 형성된 위치에 전도방지밴드(5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배치는 전도방지밴드(50)와 부력부(20) 간의 간섭을 없애 전도방지밴드(50)로 인한 편하중 다시 말해, 전도방지밴드(50)가 부력부(20)의 상측 모서리를 누르면서 발생하는 측면의 압력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작용하여 부력부(20) 및 전도방지밴드(50)의 파손 및 부력부(20)의 가동을 저해하는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수의 수위가 낮아져 평상수위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부력부(2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25)이 전도방지밴드(50)를 가이드하여 흐트러짐 없이 정리될 수 있도록 작용하여 관리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보행자가 흐트러져 있는 전도방지밴드(50)에 의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구조물(10)에 형성되어 있는 수로(12)는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12a)이 형성된 끝단이 하향되도록 경사각(a)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구조물(10)의 부력실(11) 내부에 있는 잔여의 하천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10 : 구조물
11 : 부력실 12 : 수로 a : 경사각 12a :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
13 : 받침부 14 : 이형철근 15 : 콘크리트 16 : 제1 홈 17 : 제2 홈
20 : 부력부
21 : 걸림턱 22 : 차수벽 23 : 발포스치로폴 24 : 경사홈 25 : 가이드봉
F : 프레임 S : 철판
30 : 승하강 유도장치
31 : 결합판 32 : 안착면 33 : 롤러 34 : 롤러 브라켓
40 : 차수판
41 : 체결판 42 : 지수고무
50 : 전도방지밴드
51 : 전도방지 체결판
100 : 플로팅월

Claims (7)

  1. 내부에 부력실(11)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상기 부력실(11)에 하천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물(10);
    상기 구조물의 부력실에 수납되며, 하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측으로는 차수벽이 구성되되, 전체적인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발포스치로폴이 구성된 부력부(20);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결합되며, 부력부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일정높이까지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하강 유도장치(30);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수를 차단하기 위해 구성되며, 부력부의 가동에 의해 가동하는 차수판(40);
    일측은 상기 차수판과 결합되어 있고, 구조물의 부력실을 기준으로 차수판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나머지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전도방지밴드(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력부(20)의 상측에는 전도방지밴드(50)가 결합되는 위치에 전도방지밴드(50)에 의한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홈(24)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의 수로(12)는 경사각(a)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수로(12)의 끝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 스크린(12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의 부력실(11) 바닥면에는 부력부(20)가 부력실(11) 바닥면과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받침부(1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20)의 하강시 전도방지밴드(50)의 흐트러짐을 정리할 수 있는 가이드봉(2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도장치(3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측에 결합부재(B)에 의해 결합하는 결합판(3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31)의 일측으로는 구조물(10)의 부력실(11) 상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면(32)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면(32)에는 부력부(20)의 차수벽(22)을 가이드하는 롤러(33)를 고정하면서 부력부(20)의 걸림턱(21)의 상단면과 맞닿아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롤러 브라켓(34)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도장치(30)의 롤러(33)와 롤러 브라켓(34)은 안착면(33)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부력부(20)의 차수벽(22)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서로 높이차를 두고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월.
KR1020100100174A 2010-10-14 2010-10-14 플로팅월 KR10102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74A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0-10-14 플로팅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74A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0-10-14 플로팅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253B1 true KR101026253B1 (ko) 2011-03-31

Family

ID=4393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74A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0-10-14 플로팅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2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8-24 (주)에스엔비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1391932B1 (ko) * 2011-12-09 2014-05-27 김동현 재난대비용 물 저지 펜스
KR20150133526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KR20210068691A (ko) * 2019-12-02 2021-06-10 영어조합법인 바다캉(BaDa Kang) 해상 부유오물 처리장치
KR102548870B1 (ko) * 2023-03-15 2023-06-28 (주)리버앤텍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KR102551791B1 (ko) * 2022-11-22 2023-07-05 (주)대도엔텍 야생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865Y1 (ko) * 2001-11-21 2002-02-1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JP2003253912A (ja) *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KR100923147B1 (ko) * 2009-04-17 2009-10-2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865Y1 (ko) * 2001-11-21 2002-02-1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JP2003253912A (ja) *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KR100923147B1 (ko) * 2009-04-17 2009-10-2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32B1 (ko) * 2011-12-09 2014-05-27 김동현 재난대비용 물 저지 펜스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8-24 (주)에스엔비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20150133526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658067B1 (ko) * 2014-05-20 2016-09-30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KR20210068691A (ko) * 2019-12-02 2021-06-10 영어조합법인 바다캉(BaDa Kang) 해상 부유오물 처리장치
KR102329200B1 (ko) * 2019-12-02 2021-11-22 영어조합법인 바다캉(BaDa Kang) 해상 부유오물 처리장치
KR102551791B1 (ko) * 2022-11-22 2023-07-05 (주)대도엔텍 야생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48870B1 (ko) * 2023-03-15 2023-06-28 (주)리버앤텍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253B1 (ko) 플로팅월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KR101001342B1 (ko) 친환경 사방댐 설치공법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EP2820193A2 (en) Floatable constructions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JP5416292B1 (ja) フロート式止水扉
JP4838395B1 (ja) 構造物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176060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0932660B1 (ko)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 이동 통로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580996B1 (ko)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JP2016503467A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1010661B1 (ko)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JP2619605B2 (ja) 防潮装置
KR100706643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KR20100006261A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101257798B1 (ko) 화단형 홍수벽
JP2016211337A (ja) 河床に設置される魚道
KR101740960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02299B1 (ko) 부유식 수상수영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