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74B1 -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 Google Patents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74B1
KR101709274B1 KR1020160092188A KR20160092188A KR101709274B1 KR 101709274 B1 KR101709274 B1 KR 101709274B1 KR 1020160092188 A KR1020160092188 A KR 1020160092188A KR 20160092188 A KR20160092188 A KR 20160092188A KR 101709274 B1 KR101709274 B1 KR 10170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plate
water
retaining wall
buoyanc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태평양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평양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태평양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6009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단이 지상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기초 옹벽; 상기 기초 옹벽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직 지주; 상기 수직 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 상기 수직 지주의 하천측면에 연결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식 보강판;을 포함하는 차수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WATERPROOF WALL STRUCTURE HAVING BUOYANCY REINFORCE PLATE}
본 발명은 수변(水邊) 지역에 설치되어 홍수가 하천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고정식 차수판과, 차수판을 보호하는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도심 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 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도심 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 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에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 축조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 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을 해치는 흉물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투명재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차수벽을 형성함으로써,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홍수시에는 차수벽의 내측의 보강판이 상승하여 부유물 등에 의한 차수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 경관을 해치지 않으며, 홍수시에는 하천의 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투명한 고정식 차수판과 부력식 보강판을 포함하는 복합 차수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수시 수위의 상승과 함께 보강판이 상승함으로써 부유물 등에 의하여 차수벽의 투명외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수시 보강판이 수평방향으로 전개되어 부유물이 투명재질의 차수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단이 지상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기초 옹벽; 상기 기초 옹벽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직 지주; 상기 수직 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 상기 수직 지주의 하천측면에 연결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식 보강판;을 포함하는 차수벽을 제공한다.
상기 차수판은 투명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판은 전체 비중이 1 미만으로 형성되어, 홍수시 상기 보강판이 수위의 상승과 함께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옹벽의 배면으로 연장형성되어, 평상시 상기 보강판이 상기 옹벽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레일은 서로 마주하는 ㄷ자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에 상기 안내 레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보강판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력식 보강판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천의 중앙부를 향하여 전개되는 보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비중이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은 하천변을 따라 노출되는 차수판을 투명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홍수시가 아닌 평상시에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은 하천의 수위와 함께 상승하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홍수시에 부유물 등에 의하여 투명재질의 차수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의 홍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식 보강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의 홍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100)은 기초옹벽(110)과, 수직지주(120)와, 차수판(130)과, 안내 레일(140)과, 부력식 보강판(150)을 포함한다.
기초 옹벽(110)은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단이 지상에 수집으로 입설되도록 설치된다. 기초 옹벽(110)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초 옹벽(110)의 상면에는 수직지주(120)가 설치된다. 수직지주(120)는 금속 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주(120)는 홍수시 수변측면에 물이 차오르게 되는 것으로,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짐이 바람직하다.직지주(120)는 경량화를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지주(120)는 간격을 가지고, 상기 기초 옹벽(1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지주(120)는 하단이 기초 옹벽(110)에 매립되는 형태가 될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기초 옹벽(110)의 상면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차수판(130)은 수직지주(120)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홍수시 물이 도로나 인도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차수판(130)을 홍수위에 대비하는 높이로 설치하게 되면, 자연경관을 해치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므로, 상기 차수판(130)은 투명플라스틱 재질 또는 강화유리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수판(130)은 수직지주(120)의 결합을 위해서, 테두리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테(132)를 구비할 수 있다.
차수판(130)의 측면과 수직지주(120)의 사이와, 그리고 차수판(130)의 하면과 기초옹벽(110)의 상면의 사이는 홍수시 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기밀하게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레일(140)은 수직 지주(120)의 하천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부력식 보강판(15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안내 레일(140)은 상기 기초 옹벽의 배면(하천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부력식 보강판(150)이 평상시(수위가 낮을 때)에는 기초 옹벽(11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레일(140)은 수직 지주(120)와 일체로 시공될 수 있으며, 수직 지주(120)의 시공 완료후 안내 레일(140)을 수직 지주에 결합할 수도 있다.
안내 레일(140)은 홍수시 물속여 잠기게 되므로, 수직 지주와 마찬가지로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 레일(140)은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부력식 보강판(150)의 승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식 보강판(140)의 양측면을 감쌀수 있도록 ㄷ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ㄷ자 홈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안내 레일(140)의 사이에서 부력식 보강판(150)이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식 보강판(150)은 전체 비중이 1미만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가진다. 부력식 보강판(150)은 상술한 안내 레일(140)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수위가 낮을 때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기초 옹벽(1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수위가 증가하여 부력식 보강판(150)이 물에 잠기게 되는데, 부력식 보강판(150)은 비중이 1미만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게 된다. 이후 다시 수위가 감소하게 되면, 부력식 보강판(150)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기초 옹벽(1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부력식 보강판(150)은 홍수시에 수면상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들로부터 차수판(13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홍수시에는 각종 쓰레기, 나무 토막 등의 부유물이 거센 유속과 함께 떠 내려가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물들이 투명 플라스틱 또는 강화 유리 재질의 차수판(130)에 충돌하게 되면, 차수판(13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부력식 보강판(150)은 차수판(130)의 수변측 면에서 부유물이 차수판(13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기초 옹벽(110)이 지중에 매립되는 형태로 시공된 것이나, 수변 지역의 지형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수변 지역에 말뚝(115)을 박아 넣은 후, 상기 말뚝(115)의 상단을 매립하도록 기초 옹벽(110)을 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의 홍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안내 레일(140)의 사이에 끼워져있는 부력식 보강판(150)이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어, 차수판(130)의 배면으로 부유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식 보강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차수벽의 홍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보강판(150)은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플레이트(152)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천의 중앙부를 향하여 전개되는 보조플레이트(154)를 포함한다. 한편 보조플레이트(154)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5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플레이트(154)의 파손시 보조플레이트(154)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보조플레이트(154)의 상단이 메인플레이트(15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수위가 상승하에 상기 보조플레이트(154)가 물에 잠기게되면, 상기 보조플레이트(154)가 하천의 중앙부를 향하여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조 플레이트(154)의 판면이 수면과 나란하게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이 보조플레이트(154)에 충돌하더라도 보조 플레이트(154)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조 플레이트(154)는 비중이 1미만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플레이트(152)의 경우에는 비중이 1을 초과 하더라도 전체 부력식 보강판의 비중이 1미만이면 부력에 의하여 메인 플레이트(152)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154)가 수면에 나란하게 전개되고, 메인 플레이트(152)는 수직방향이 될 수 있도록 보조 플레이트(154)와 메인 플레이트(152)의 비중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플레이트(152)는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인 발포 콘크리트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조 플레이트(154)는 경량의 합성수지 재질인 폴레에틸렌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재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중에서 내구성을 가지며 부력에 의하여 부유할 수 있는 재질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력식 보강판(150) 구조는 메인 플레이트(152)에 고강도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파손시 메인 플레이트(152)는 그대로 안내 레일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 플레이트(154)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차수벽
110 : 기초 옹벽
112 : 말뚝
120 : 수직 지주
130 : 차수판
140 : 안내 레일
150 : 부력식 보강판
152 : 메인플레이트
154 : 보조플레이트

Claims (7)

  1.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단이 지상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기초 옹벽;
    상기 기초 옹벽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직 지주;
    상기 수직 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
    상기 수직 지주의 하천측면에 연결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식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식 보강판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천의 수위가 증가하여 메인플레이트의 상단에 이르게 되면 하천의 중앙부를 향하여 수면에 나란하게 전개되어 수면과 함께 상승하도록 비중 1 미만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차수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은 투명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차수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식 보강판은 전체 비중이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차수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옹벽의 배면으로 연장형성되어,
    평상시 상기 보강판이 상기 옹벽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차수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서로 마주하는 ㄷ자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에 상기 안내 레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보강판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차수벽.
  6. 삭제
  7. 삭제
KR1020160092188A 2016-07-20 2016-07-20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170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88A KR101709274B1 (ko) 2016-07-20 2016-07-20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88A KR101709274B1 (ko) 2016-07-20 2016-07-20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74B1 true KR101709274B1 (ko) 2017-02-22

Family

ID=5831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88A KR101709274B1 (ko) 2016-07-20 2016-07-20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2371A (zh) * 2021-04-23 2021-07-23 四川鑫博大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14601B1 (ko) * 2021-07-01 2021-10-19 주식회사 윤창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6976B1 (ko) * 2022-06-22 2023-04-03 박흥식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KR102544456B1 (ko) * 2022-12-14 2023-06-20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유목차단기능을 갖는 홍수 방어벽
CN116427349A (zh) * 2023-05-16 2023-07-14 郑州大学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2657481B1 (ko) 2024-01-29 2024-04-12 이로란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952A (ja) * 1997-04-23 1998-11-10 Taisei Corp 防波堤および波エネルギーの減衰方法
KR200288844Y1 (ko) * 2002-05-21 2002-09-10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수문의 충격방지장치
JP2008133602A (ja) * 2006-11-27 2008-06-12 Shimizu Corp 昇降式波浪防護構造物
KR101565147B1 (ko) *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952A (ja) * 1997-04-23 1998-11-10 Taisei Corp 防波堤および波エネルギーの減衰方法
KR200288844Y1 (ko) * 2002-05-21 2002-09-10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수문의 충격방지장치
JP2008133602A (ja) * 2006-11-27 2008-06-12 Shimizu Corp 昇降式波浪防護構造物
KR101565147B1 (ko) *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2371A (zh) * 2021-04-23 2021-07-23 四川鑫博大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152371B (zh) * 2021-04-23 2022-12-27 四川鑫博大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14601B1 (ko) * 2021-07-01 2021-10-19 주식회사 윤창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6976B1 (ko) * 2022-06-22 2023-04-03 박흥식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KR102544456B1 (ko) * 2022-12-14 2023-06-20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유목차단기능을 갖는 홍수 방어벽
CN116427349A (zh) * 2023-05-16 2023-07-14 郑州大学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及施工方法
CN116427349B (zh) * 2023-05-16 2024-01-05 郑州大学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2657481B1 (ko) 2024-01-29 2024-04-12 이로란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US9915048B2 (en) Method for river/lake level regulation and water conservancy system
KR101001342B1 (ko) 친환경 사방댐 설치공법
KR101809686B1 (ko) 승강식 수차단 벽체형 호안 구조물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US3538710A (en) Breakwater structure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GB2426026A (en) Automatic buoyant flood barrier
US20090252555A1 (en) Protective wall, dyke and method of producing a dyke
KR101176060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JPH04504151A (ja) 透水形防波堤
JP5725464B1 (ja) 水害時浮上建築物及びその建築方法
JP2016503467A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CN212865773U (zh) 一种亲水平台结构
KR20060098723A (ko) 해안선 침식 방지 흡파제와 반사파의 제어 방법
JP4000513B2 (ja) 高潮防止用水門
EP3144452A1 (en) Building system
KR20100069061A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CN216074962U (zh) 一种用于河道生态修复的复式河道
KR102577773B1 (ko) 부력식 어도
KR102417163B1 (ko) 외부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혼합형구조체
KR102399536B1 (ko) 수면 부상형 시설물
CN210315392U (zh) 一种航道整治用的生态护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