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47B1 - 투명 홍수벽 - Google Patents

투명 홍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47B1
KR101565147B1 KR1020150035969A KR20150035969A KR101565147B1 KR 101565147 B1 KR101565147 B1 KR 101565147B1 KR 1020150035969 A KR1020150035969 A KR 1020150035969A KR 20150035969 A KR20150035969 A KR 20150035969A KR 101565147 B1 KR101565147 B1 KR 10156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transparent
strut
cap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5003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발명은 평상시 하천 경관을 볼 수 있으면서 홍수위시 완벽한 지수 및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홍수벽에 관한 것으로, 지주 자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 구조물 위에 수평 레벨을 맞추기 위한 레벨 조정 플레이트와 지주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수평 지수부재 및 수직 지수부재를 투명 차수부재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부재 및 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투명 차수부를 통해 하천 등의 경관을 감상하다가 물의 범람시에는 투명 차수부를 통해 물의 범람을 방지하면서 완벽한 지수를 실시할 수 있고, 결합부재를 기초 구조물에 고정 결합한 후 이 결합부재에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크기의 지주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투명 차수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홍수벽{A transparent flood wall}
본 발명은 평상시 하천 경관을 볼 수 있으면서 홍수위시 완벽한 지수 및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홍수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에는 평상시 보행자의 통행로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홍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홍수벽이 설치된다.
상술한 홍수벽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2530호(2011.03.24), "플로팅월"과 같이 내부에 부력실을 형성해 수위 상승시 부력부가 상승하여 하천수가 제내지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0670호(2012.08.16), "경관 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과 같이 평상시 산책로로 이용하다가 홍수 범람시 기립하여 홍수벽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들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였다.
(특허문헌 1) KR10-10262530 B1, "플로팅월"
하지만, 상술한 등록특허인 플로팅월의 경우 평상시에는 하부에 매립되어 있다가 홍수위시에만 상승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평상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인 경관 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의 경우 전술한 플로팅월과 달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형태이긴 하나 홍수벽의 기립이 늦게 이루어질 경우 범람하는 하천수가 제내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홍수벽은 하천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면 물의 범람 방지 및 물의 범람 방지시 완벽한 지수를 실시할 수 있는 투명 홍수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지주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투명 차수부를 통해 하천 등의 경관을 감상하다가 물의 범람시에는 투명 차수부를 통해 물의 범람을 방지하면서 완벽한 지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를 기초 구조물에 고정 결합한 후 이 결합부재에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크기의 지주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방향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캡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기초 구조물(10)은 하천과 제내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기존에 형성된 것으로 통상 기존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고, 기존 구조물이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초 구조물(10)은 상측의 평탄작업은 필수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동일한 크기의 지주 자리홈(1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는 상술한 기초 구조물(10)의 상측에 배치되어 기초 구조물(10) 상측의 수평을 맞춰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틸 재질,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는 기초 구조물(10)에 형성되어 있는 지주 자리홈(11)에 배치되는 지주 레벨부(21)와 기초 구조물(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초 구조물 레벨부(2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 레벨부(21)는 상측이 개방되어 홈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공간에는 지주용 지수부재(E1)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용 지수부재(E1)는 지주 자리홈(11)의 깊이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결합부재(30)는 기초 구조물(10)의 상측에 배치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 상측,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가 배치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기초 구조물(1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 브라켓(31)과 이 결합 브라켓(31)에 형성되는 지주 결합 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
우선, 결합 브라켓(31)은 기초 구조물(10)의 전면과 맞닿는 전면판(31a), 기초 구조물(10)의 후면과 맞닿는 후면판(31b) 및 전, 후면판(31a, 31b)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되,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 상측면에 배치된 지주용 지수부재(E1)의 상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측판(31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후면판(31a, 31b)에는 기초 구조물(10) 내에 형성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2 결합홀(h1, h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주 결합 브라켓(32)은 상기 결합 브라켓(31)의 상측면(31c)에 형성되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제3 결합홀(h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주(40)는 기초 구조물(10)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30)의 지주 결합 브라켓(32)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지주 결합 브라켓(32)과 끼움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내측에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41)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지주 결합 브라켓(32)에 형성된 제3 결합홀(h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결합홀(h4)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해 지주(40)가 결합부재(30)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주(40)의 전면에는 제5 결합홀(h5)이 포함되어 있는 가압부재 결합면(42)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재 결합면(42) 양 단에는 수직 지수부재(E3)가 배치될 수 있수직 지수부재 결합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지수부재(E3)는 지수부재 결합턱(43)의 단턱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수평 지수부재(E2)는 상술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투명 차수부(50)는 양 단부의 후면이 수직 지수부재(E3)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하측면은 수평 지수부재(E2)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투명 차수부(5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차수판(51)과 이 투명 차수판(51)의 외측으로 프레임(52)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부재(60)는 투명 차수부(50)를 가압하여 투명 차수부(50)와 수직 지수부재(E3)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40)의 가압부재 결합면(42)에 볼트(B)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6 결합홀(h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캡(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캡(7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지주(40)의 상단에 끼울 수 있도록 캡 수납부(7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캡(70)의 캡 수납부(71)에 형성되는 캠 수납부 상측(71a)에는 탄성부재(72)가 부착되어 있으며, 캡 수납부 측면(71b)에는 홈 또는 턱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7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지주(40) 상단에는 홈 또는 턱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투명 홍수벽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초 구조물(10) 상측에는 지주(40)가 설치될 위치에 지주 자리홈(1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기초 구조물(10)의 전, 후면에는 다수의 볼트(10)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볼트(10)는 매커니컬 앵커 또는 케미컬 앵커 등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앵커링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 기초 구조물(10) 상측 중 지주 자리홈(11)을 제외한 투명 차수부(50)가 배치되는 위치의 상측에는 면처리 작업을 통해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기초 구조물(10)의 지주 자리홈(11)에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기초 구조물(10)에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를 안착시키고,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 상측면에 지주용 지수부재(E1)를 안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 자리홈(11)에 결합하는 지주용 지수부재(E1)는 홍수위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와 후술할 결합부재(30)의 기초 구조물 결합 브라켓(3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고, 상술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는 기초 구조물(10) 상부의 수평방향 레벨 조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를 이용해 수평방향의 레벨링이 완료되면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지주 레벨부(21)의 상측면에 결합부재(30) 및 지주(40)를 볼트(B)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그런 후,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기초 구조물 결합 브라켓(31)의 상측면에는 수평 지수부재(E2)를 배치하고, 지주(4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 지수부재 결합턱(43)에는 수직 지수부재(E3)를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수부재들의 배치가 완료되면 투명 차수부(50)를 결합한다.
즉, 상기 투명 차수부(50)의 양 단부의 후면이 수직 지수부재(E3)와 맞닿도록 배치하고, 투명 차수부(50)의 하측면은 수평 지수부재(E2)의 상측면과 맞닿도록 배치하면 된다.
그런 후, 가압부재(60)와 지주(40)는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투명 차수부(50)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60)를 이용하여 투명 차수부(50)를 고정하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가압부재(60)에 의해 투명 차수부(50)가 지주(40)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수직 지수부재(E3)와 밀착되어 지수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 차수부(50)와 이 투명 차수부(50)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 지수부재(E2)간의 밀착력은 투명 차수부(50)의 자중에 의한 힘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밀착력 향상을 위한 과정 없이도 밀실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캡(70)을 이용해 추가로 투명 차수부(50)와 수평 지수부재(E2)간의 밀착력을 향상시켰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캡(70)에는 캡 수납부(71)의 캡 수납부 상측면(71a)에 탄성부재(72)가 결합되어 있고, 캡 수납부(71)의 캡 수납부 측면(71b)에는 제1 결합부(73)가 지주(40)의 상단에는 제1 결합부(7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44)가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캡(70)을 끼움결합하였을 때에 캡(70)의 하측면이 투명 차수부(5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투명 차수부(50)와 수평 지수부재(E2) 간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투명 홍수벽(100)은 하천의 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보행자가 투명 차수부(50)를 통해 하천 등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경관의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투명 홍수벽(100)은 기초 구조물(10)에 결합부재(30)를 결합한 후 이 결합부재(30)에 다양한 디자인 또는 다양한 규격의 지주(4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상의 비용 절감할 수 있으며, 해마다 홍수위의 높이가 달라질 경우 지주(40) 및 이에 결합하는 투명 차수부(50)의 규격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홍수위시에는 투명 차수부(50)에 의해 하천 등에서 발생하는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은 레벨 조정 플레이트(20)를 이용해 수평방향의 레벨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직 지수부재(E3)와 투명 차수부(50)가 가압부재(60)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투명 차수부(50)와 수평 지수부재(E2)는 캡(70)에 형성된 탄성부재(72)에 의해 투명 차수부(50)가 가압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향상된 지수력에 의해 물의 범람시 제내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E1 : 지주용 지수부재 E2 : 수평 지수부재 E3 : 수직 지수부재
10 : 기초 구조물
11 : 지주 자리홈
20 : 레벨 조정 플레이트
21 : 지주 레벨부 22 : 기초 구조물 레벨부
30 : 결합부재
31 : 결합 브라켓
31a : 전면판 h1 :제1 결합홀 31b : 후면판 h2 : 제2 결합홀
31c : 상측판
32 : 지주 결합 브라켓 h3 : 제3 결합홀
40 : 지주
41 : 결합홈 h4 : 제4 결합홀
42 : 가압부재 결합면 h5 : 제5 결합홀
43 : 수직 지수부재 결합턱
44 : 제2 결합부
50 : 투명 차수부
51 : 투명 차수판 52 : 프레임
60 : 가압부재
h6 : 제6 결합홀
70 : 캡
71 : 캡 수납부 71a : 수납부 상측 71b : 수납부 측면
72 : 탄성부재 73 : 제1 결합부
100 : 투명 홍수벽

Claims (2)

  1. 상측으로 지주 자리홈(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기초 구조물(10);
    상기 기초 구조물(10)의 상측에 형성된 지주 자리홈(11)에 배치되며 양 측면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 및 전, 후면이 개방된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지주 레벨부(21) 및 상기 지주 레벨부(21)에 연결되어 기초 구조물(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초 구조물 레벨부(22)로 구성된 레벨 조정 플레이트(20);
    상기 기초 구조물(10)의 지주 자리홈(11)에 배치되는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 상측면에 안착되는 지주용 지수부재(E1);
    상기 기초 구조물(10)의 전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되 제1 결합홀(h1)을 형성한 전면판(31a)과 기초 구조물(10)의 후면에 배치되되 제2 결합홀(h2)을 형성한 후면판(31b) 및 상기 전, 후면판(31a, 31b)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되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지주 레벨부(21)의 상측면에 안착된 지주용 지수부재(E1) 상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측판(31c)으로 이루어진 기초 구조물 결합 브라켓(31)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 구조물 결합 브라켓(31)의 상측면에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결합홀(h3)을 포함하고 있는 지주 결합 브라켓(32)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
    상기 결합부재(30)의 지주 결합 브라켓(32)이 끼움결합하되 볼트(B)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3 결합홀(h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결합홀(h4)이 포함되어 있는 결합홈(41)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제5 결합홀(h5)이 포함되어 있는 가압부재 결합면(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 결합면(42)의 양 단부에는 수직 지수부재 결합턱(43)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주(40);
    상기 레벨 조정 플레이트(20)의 기초 구조물 레벨부(22)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 지수부재(E2);
    상기 지주(40)의 수직 지수부재 결합턱(42)에 배치되는 수직 지수부재(E3);
    상기 지주(40))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부의 후면은 각각의 지주(40)의 수직 지수부재 결합턱(42)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 지수부재(E3)와 맞닿고, 하측면은 수평 지수부재(E2)에 맞닿는 투명 차수부(50);
    상기 지주(40)의 가압부재 결합면(42)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제6 결합홀(h6)이 형성되어 투명 차수부(50)를 가압해 투명 차수부(50)와 수직 지수부재(E3)를 밀착시키는 가압부재(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투명 홍수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40)의 상단을 마감처리 할 수 있도록 하측면이 개방되어 지주(40) 상단에 결합하는 캡 수납부(71)가 형성된 캡(7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캡(70)에 형성된 캡 수납부(71)의 캡 수납부 상측(71a)에는 탄성부재(72)가 더 포함되고, 캡 수납부 측면(71b))에는 홈 또는 턱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73)가 형성되며,
    상기 캡의 수납부 측면(71b)에 형성된 제1 결합부(73)와 대응하는 위치의 지주(40) 상단에는 홈 또는 턱 형태의 제2 결합부(44)가 형성되어 캡(70)의 하측면이 지주)40) 사이에 결합된 투명 차수부(50)를 가압해 투명 차수부(50)와 수평 지수부재(E2)가 밀착되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투명 홍수벽.
KR1020150035969A 2015-03-16 2015-03-16 투명 홍수벽 KR10156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69A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03-16 투명 홍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69A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03-16 투명 홍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147B1 true KR101565147B1 (ko) 2015-11-06

Family

ID=5460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969A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03-16 투명 홍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74B1 (ko) * 2016-07-20 2017-02-22 (주)태평양기술산업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1715144B1 (ko) * 2016-12-02 2017-03-22 주식회사 이도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25221B1 (ko) * 2017-09-08 2018-12-04 주식회사 그린월 조류 충돌방지 기능이 구비된 투명 홍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8105B1 (ko) 2019-03-05 2019-07-09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08471B1 (ko) * 2018-11-27 2019-08-0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
KR102225166B1 (ko) * 2020-11-11 2021-03-09 (주)대도엔텍 투명 침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0368B1 (ko) 2020-09-01 2021-04-20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 및 홍수방지 투명 방어벽
KR102385735B1 (ko) * 2022-02-18 2022-04-14 일성보산업(주) 다목적 투명 방재벽 조립체
KR102620952B1 (ko) 2023-07-13 2024-01-08 (주)에스엔비 월파방지용 투명 방어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525B1 (ko) 2008-01-24 2008-09-12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수평 탈부착이 가능한 방음벽 구조체
JP2009019410A (ja) 2007-07-11 2009-01-29 Bridgestone Corp 防音装置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5-24 (주)에스엔비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186612B1 (ko) 2012-05-23 2012-09-27 상지엔지니어링(주) 차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410A (ja) 2007-07-11 2009-01-29 Bridgestone Corp 防音装置
KR100858525B1 (ko) 2008-01-24 2008-09-12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수평 탈부착이 가능한 방음벽 구조체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5-24 (주)에스엔비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186612B1 (ko) 2012-05-23 2012-09-27 상지엔지니어링(주) 차수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74B1 (ko) * 2016-07-20 2017-02-22 (주)태평양기술산업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1715144B1 (ko) * 2016-12-02 2017-03-22 주식회사 이도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25221B1 (ko) * 2017-09-08 2018-12-04 주식회사 그린월 조류 충돌방지 기능이 구비된 투명 홍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8471B1 (ko) * 2018-11-27 2019-08-0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
KR101998105B1 (ko) 2019-03-05 2019-07-09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40368B1 (ko) 2020-09-01 2021-04-20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 및 홍수방지 투명 방어벽
KR102225166B1 (ko) * 2020-11-11 2021-03-09 (주)대도엔텍 투명 침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85735B1 (ko) * 2022-02-18 2022-04-14 일성보산업(주) 다목적 투명 방재벽 조립체
KR102620952B1 (ko) 2023-07-13 2024-01-08 (주)에스엔비 월파방지용 투명 방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47B1 (ko) 투명 홍수벽
KR101715144B1 (ko)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UA97385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JP5681321B1 (ja) 止水壁構成体の支柱、止水壁構成体及び構造物の出入口の止水構造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06807354U (zh) 光伏组件的安装支架及安装总成
US20190068115A1 (en) Solar module mounting and support system
ZA200606926B (en) Loosely laid natural stone panel floor
KR101313668B1 (ko) 3방향 폐쇄형 차수판
JP2012092552A (ja) 構築物および構築物を用いた雨水等の流出抑制施設
KR101176836B1 (ko) 보도블록 시공용 받침판
JP6539857B2 (ja) 止水面材の連結方法
US9687119B2 (en) Frameless shower implement having grooved surfacing
EP2210995B1 (en) Covering system for covering surfaces by tiling
WO2016102452A1 (en) A roof or wall covering system, a panel and method for installing panels
KR101741211B1 (ko) 타일형 바닥재 시공용 균일성 유지장치
JP6796102B2 (ja) 柱端部の接合構造
CN214832422U (zh) 一种拼装式急流槽
JP2007191986A (ja) フェンス
CN204146582U (zh) 一种可拼接式纸桌凳
KR20130029168A (ko)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101337279B1 (ko) 조립식 맨홀
EP2262003A1 (fr) Dispositif d'assemblage entre un panneau photovoltaïque et un corps de tuile que comprend un élément de couverture d'un bâtiment
JP2017179924A (ja) 屋根設置パネル
JP2015169034A (ja) 浴室床パン、これを用いた分割床パンの製造方法及びこの分割床パン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