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46B1 -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 Google Patents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46B1
KR101149846B1 KR1020120015624A KR20120015624A KR101149846B1 KR 101149846 B1 KR101149846 B1 KR 101149846B1 KR 1020120015624 A KR1020120015624 A KR 1020120015624A KR 20120015624 A KR20120015624 A KR 20120015624A KR 101149846 B1 KR101149846 B1 KR 10114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lood
flood wall
coupled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고수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2001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심지 하천에 설치하기 위한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에 관한 것으로,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와;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되, 전도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 콘크리트 중 하천 방향과 마주보는 측벽과 맞닿도록 전도되는 홍수벽과; 상기 회전체 및 홍수벽에 연결되어 있으며, 홍수벽이 기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발생수단과; 상기 홍수벽의 상단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부력체와 걸림축으로 구성된 부력수단과; 상기 기초 콘트리트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홍수벽에 결합되어 있는 부력수단의 걸림축과 결합하여 홍수벽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홍수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하천 사이의 기초 콘크리트 측면에 부력수단 및 걸림부에 의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홍수범람시에는 홍수벽을 고정하고 있던 부력수단이 하천수위의 상승에 의해 이동하여 홍수벽의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기립하도록 작용하여 홍수범람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도어클로져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발생수단에 의해 홍수벽이 기립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이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였을 때에는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여 홍수벽 및 홍수벽과 인접해 있는 구조물의 파손 방지 및 홍수벽 기립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홍수벽이 연결되는 회전체의 설치위치를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홍수벽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홍수벽 하측으로의 지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홍수벽 사이에는 지수판이 설치되어 홍수벽 사이로 범람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Moving wall}
본 발명은 제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심지 하천에 설치하기 위한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하천 사이의 기초 콘크리트 측면에 부력수단 및 걸림부에 의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홍수범람시에는 홍수벽을 고정하고 있던 부력수단이 하천수위의 상승에 의해 이동하여 홍수벽의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기립하도록 작용하여 홍수범람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도어클로져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발생수단에 의해 홍수벽이 기립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이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였을 때에는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여 홍수벽 및 홍수벽과 인접해 있는 구조물의 파손 방지 및 홍수벽 기립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홍수벽이 연결되는 회전체의 설치위치를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홍수벽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홍수벽 하측으로의 지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홍수벽 사이에는 지수판이 설치되어 홍수벽 사이로 범람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에는 물의 범람시 불어나는 하천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방을 설치한다.
하지만, 최근에 급격한 도시화와 이상기후 및 호우 강도가 커짐에 따라 제방의 높이를 최초 설계하였을 때보다 예상 강우량이 많아지게 되어 근래에는 제방에 별도의 홍수방지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홍수방지벽은 콘크리트 고정벽이나 부력에 의해 전도 및 기립할 수 있는 형태나 또는 지면 아래에 홈을 형성하여 하천수 유입시 부력을 이용하는 형태, 또는 수위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홍수방지벽이 기립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조의 콘크리트 고정벽은 하천 접근성이나 경관성이 좋지 않고, 제방 인근에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나 터파기 등의 공사를 할 수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제방 인근에 보도 또는 산책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를 설치하기 위한 여유공간 및 작업여건이 여의치 않음으로써 홍수방지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은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중 하천방향의 측벽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와;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회전체 결합홀을 하부에 형성하여, 전도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 콘크리트 중 하천 방향과 마주보는 측벽과 맞닿도록 전도되는 홍수벽과; 상기 홍수벽의 상단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부력체와 걸림축으로 구성된 부력수단과; 상기 기초 콘트리트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홍수벽에 결합되어 있는 부력수단의 걸림축과 결합하여 홍수벽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홍수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에 설치되되 홍수벽과 홍수벽 사이에 배치되며, 홍수벽 기립시 스토퍼 역할 및 지수를 위한 지수판과; 일측은 상기 홍수벽 중 지수판과 맞닿는 면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수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홍수벽이 기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홍수벽이 결합되는 회전체는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보다 낮은 위치의 측벽에 설치되어 홍수벽 기립시 홍수벽 하단이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발생수단은 홍수벽이 기립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되, 홍수벽이 기립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클로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홍수벽 상단에는 부력수단을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인 부력수단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부력수단 수납공간의 양 측면에는 부력수단에 형성된 걸림축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이동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홍수벽과 지수판에는 홍수벽의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보조 기립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보조 기립수단은 지수판 중 홍수벽과 맞닿는 면에 와이어 홀을 형성하고, 지수판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제1, 2 도르레를 형성하며, 상기 제1, 2 도르레 및 홍수벽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 중 제1, 2 도르레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에는 무게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홍수벽에는 홍수벽을 수동으로 기립하기 위한 수동기립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심 하천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하천 사이의 기초 콘크리트 측면에 부력수단 및 걸림부에 의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홍수범람시에는 홍수벽을 고정하고 있던 부력수단이 하천수위의 상승에 의해 이동하여 홍수벽의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기립하도록 작용하여 홍수범람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클로져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발생수단에 의해 홍수벽이 기립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이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였을 때에는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여 홍수벽 및 홍수벽과 인접해 있는 구조물의 파손 방지 및 홍수벽 기립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홍수벽이 연결되는 회전체의 설치위치를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홍수벽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홍수벽 하측으로의 지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홍수벽 사이에는 지수판이 설치되어 홍수벽 사이로 범람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이 저수위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이 고수위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10)는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도심지 하천 사이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를 이용하며, 이때에 상기 콘크리트의 상측면(12)과 측벽(11)을 고르게 하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체(20)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면(11)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20)는 기초 콘크리트(10)에 결합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축(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20)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10) 중 하천방향과 인접한 측벽(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홍수벽(30)은 상기 회전체(20)와 결합할 수 있는 회전체 결합홀(32)을 형성해 회전체(20)를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홍수벽(30)은 전도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벽(11)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체(20)의 힌지축(22)에 홍수벽(3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특히, 상시 회전체(20)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벽(11)에 설치시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20)와 결합하는 홍수벽(30)도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0)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홍수벽(30)이 기립하였을 때에 홍수벽(30) 하단의 끝단부가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홍수벽(30)이 홍수범람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에, 상기 홍수벽(30)의 하단부가 맞닿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벽(11)에 차수재(도면에 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물의 유입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다음으로, 부력수단(50)은 상기 홍수벽(30)의 상단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부력수단(50)은 수위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부력체(51)와 상기 부력체(51) 양단의 걸림축(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수단(50)이 홍수벽(30) 상단에 결합하기 위해 홍수벽(30) 에는 부력수단(50)이 삽입할 수 있는 부력부 수납공간(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 수납공간(31)은 홍수벽(3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부력부 수납공간(31)은 홍수벽(30) 내측을 모두 중공형태로 구성하거나, 일부분만을 구획하여 공간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력부 수납공간(31) 양 측면에는 부력수단(50)의 걸림축(52)이 결합하되, 부력체(51)가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결합홀(31a)을 양 단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걸림부(60)는 홍수벽(30)이 전도된 상태에 있을 때에, 홍수벽(3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벽(1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60)는 홍수벽(30)에 결합되어 있는 부력수단(50)의 걸림축(52)이 결합하여 홍수벽(30)의 전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에 지수판(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수판(70)은 다수의 홍수벽(30)과 홍수벽(30) 사이에 형성되어 홍수벽(30)의 기립 후 홍수벽(30) 사이에서 홍수범람시 물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조경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회전발생수단(40)은 상기 홍수벽(30)의 전면 및 지수판(70)의 측면에 결합되어, 홍수벽(30)이 기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발생수단(40)은 홍수벽(30)이 기립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작용하되, 홍수벽(30)이 기립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클로져 형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클로져는 이미 시중에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스프링 타입 또는 유압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도어클로져의 일측에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홍수벽(30)을 기립할 수 있도록 수동기립수단(80)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동기립수단(80)은 홍수벽(30) 일측에 바(bar)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수동기립수단(80)을 잡아당겨 홍수벽(30)을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보조 기립수단(90)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기립수단(90)은 도 4에서와 같이 홍수벽(30)과 지수판(7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수판(70) 중 홍수벽(30)의 기립시 맞닿는 면에 와이어 홀(h)을 형성하고, 상기 지수판(70) 내부에는 회전가능한 제1, 2 도르레(91, 9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홍수벽(30)의 일측과 제1, 2 도르레(91, 92)를 연결하는 와이어(93)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1, 2 도르레(91, 9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93)에는 무게추(94)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기립수단(90)은 홍수벽(3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제1, 2 도르레(91, 92) 이외에 추가로 더 도르레(도면에 미도시)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제방이나 기타 홍수벽을 설치하기 위한 여유고가 부족하거나, 또는, 홍수벽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공간이 부족한 도심지의 하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회전체(20) 및 홍수벽(30)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측면(11)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100)은 도심지의 하천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기초 콘크리트(10) 측벽(11)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기초 콘크리트(10) 측벽(11)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60)에 부력수단(50)이 결합되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회전발생수단(40)이 홍수벽(30)을 기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부력수단(50)의 걸림축(52)이 걸림부(60)에 결합되어 홍수벽(30)의 전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홍수범람에 의해 하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부력수단(50)의 부력체(51)가 수위상승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걸림부(60)와의 결합이 해제가 된다.
그러면, 회전발생수단(40)의 작용에 의해 홍수벽(30)이 서서히 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발생수단(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홍수벽(30)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지수판(70)의 측면에 결합된 도어클로져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홍수벽(30)은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홍수벽(30)의 전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력수단(50)의 결합이 해제되면, 홍수벽(30)이 회전하면서 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홍수벽(30)의 기립은 홍수벽(30)의 기립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구성되는 회전발생수단(40)에 의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어 홍수벽(30) 인근에 있는 구조물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조 기립수단(90)이 구성되어 홍수벽(30)의 기립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보조 기립수단(90)의 경우 제1, 2 도르레(91, 92) 및 와이어(93), 무게추(94)로 구성되어 홍수벽(30)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할 경우 무게추(94)의 중량에 의해 홍수벽(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높임으로써 홍수벽(30)이 원활히 회전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홍수벽(30)은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에 형성되어 있는 지수판(70)과 맞닿게 되면서 기립이 왼료된다.
이때에, 상기 홍수벽(30)과 홍수벽(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수판(70)과 홍수벽(30) 들이 맞닿게 되어 홍수벽(30) 사이로 홍수범람시의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홍수벽(30)의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벽(30)의 하단부에는 별도의 지수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지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 수위가 평상수위를 유지하게 되면 사람이 홍수벽(30) 상단에 끈과 같은 수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하천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홍수벽(30)이 전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홍수벽(30)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부력수단(50)의 걸립축(52)이 걸림부(60)에 결합되어 다시 홍수벽(30)의 전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홍수벽(30)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기립수단(80)을 통해 홍수벽(30)을 수동으로 기립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기초 콘크리트
11 : 측면 12 : 상측면
20 : 회전체
21 : 브라켓 22 : 힌지축
30 : 홍수벽
31 : 부력수단 수납공간 31a : 이동홀 32 : 회전체 결합홀
40 : 회전발생수단
50 : 부력수단
51 : 부력체 52 : 걸림축
60 : 걸림부
70 : 지수판
80 : 수동기립수단
90 : 보조 기립수단
91 : 제1 도르레 92 : 제2 도르레 93 : 와이어 94 : 무게추
100 :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Claims (7)

  1.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1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 중 하천방향의 측벽(11)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20);
    전도 및 기립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20)에 결합되는 회전체 결합홀(32)을 하부에 형성하여, 전도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 콘크리트(10) 중 하천 방향과 마주보는 측벽(11)과 맞닿도록 전도되는 홍수벽(30);
    상기 홍수벽(30)의 상단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부력체(51)와 걸림축(52)으로 구성된 부력수단(50);
    상기 기초 콘트리트(10)의 측벽(11)에 형성되어 있으며, 홍수벽(30)에 결합되어 있는 부력수단(50)의 걸림축(52)과 결합하여 홍수벽(30)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홍수벽(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6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에 설치되되 홍수벽(30)과 홍수벽(30) 사이에 배치되며, 홍수벽(30) 기립시 스토퍼 역할 및 지수를 위한 지수판(70);
    일측은 상기 홍수벽(30) 중 지수판(70)과 맞닿는 면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수판(7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홍수벽(30)이 기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발생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30)이 결합되는 회전체(20)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보다 낮은 위치의 측벽(11)에 설치되어 홍수벽(30) 기립시 홍수벽(30) 하단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면(12)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발생수단(40)은 홍수벽(30)이 기립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되, 홍수벽(30)이 기립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클로져 형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30) 상단에는 부력수단(50)을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인 부력수단 수납공간(31)을 형성하되, 상기 부력수단 수납공간(31)의 양 측면에는 부력수단(50)에 형성된 걸림축(52)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이동홀(31a)이 구비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30)과 지수판(70)에는 홍수벽(30)의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보조 기립수단(9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보조 기립수단(90)은 지수판(70) 중 홍수벽(30)과 맞닿는 면에 와이어 홀(h)을 형성하고, 지수판(70)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제1, 2 도르레(91, 92)를 형성하며, 상기 제1, 2 도르레(91, 92) 및 홍수벽(30)을 연결하는 와이어(93)를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93) 중 제1, 2 도르레(91, 92)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93)에는 무게추(94)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30)에는 홍수벽(30)을 수동으로 기립하기 위한 수동기립수단(8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20120015624A 2012-02-16 2012-02-16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14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24A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2-16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24A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2-16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846B1 true KR101149846B1 (ko) 2012-05-24

Family

ID=4627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24A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2-16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8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1B1 (ko) * 2013-08-27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전도식 방재 게이트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KR20150133526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619162B1 (ko) * 2015-11-13 2016-05-18 (주)리버앤텍 홍수방호벽
CN109680649A (zh) * 2018-12-19 2019-04-26 长安大学 一种防洪装置
CN109881631A (zh) * 2019-04-09 2019-06-14 济南栋源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洪墙
CN115059078A (zh) * 2022-05-19 2022-09-16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防漫顶溃坝的土工膜自铺展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76B1 (ko) 2003-11-13 2006-06-28 최영근 공기압력식 패커와 이를 이용한 압력식 쏘일네일링공법
KR100850295B1 (ko) 2007-03-28 2008-08-04 김용기 가압패커 및 가압식 쏘일네일링공법
KR100943939B1 (ko) 2009-02-26 2010-02-24 박태영 외부관을 이용한 가압식 쏘일 네일링장치
KR100978006B1 (ko) 2010-01-19 2010-08-25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더블밀폐 압력식 쏘일 네일링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76B1 (ko) 2003-11-13 2006-06-28 최영근 공기압력식 패커와 이를 이용한 압력식 쏘일네일링공법
KR100850295B1 (ko) 2007-03-28 2008-08-04 김용기 가압패커 및 가압식 쏘일네일링공법
KR100943939B1 (ko) 2009-02-26 2010-02-24 박태영 외부관을 이용한 가압식 쏘일 네일링장치
KR100978006B1 (ko) 2010-01-19 2010-08-25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더블밀폐 압력식 쏘일 네일링 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1B1 (ko) * 2013-08-27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전도식 방재 게이트
KR20150133526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KR101619162B1 (ko) * 2015-11-13 2016-05-18 (주)리버앤텍 홍수방호벽
CN109680649A (zh) * 2018-12-19 2019-04-26 长安大学 一种防洪装置
CN109881631A (zh) * 2019-04-09 2019-06-14 济南栋源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洪墙
CN109881631B (zh) * 2019-04-09 2024-04-05 山东栋源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洪墙
CN115059078A (zh) * 2022-05-19 2022-09-16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防漫顶溃坝的土工膜自铺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059078B (zh) * 2022-05-19 2024-04-12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防漫顶溃坝的土工膜自铺展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ES2845001T3 (es) Método y sistema para un sistema de muro de contención retráctil
US10174474B2 (en) Movable tsunami buffer dam
US9011042B2 (en) Floating body connection-type flap gate
KR101176067B1 (ko)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JP6625911B2 (ja) フラップゲート及びゲート設備
KR101949499B1 (ko)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KR101839094B1 (ko) 유압식 홍수벽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060610B1 (ko) 무빙 월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20120065306A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1019677B1 (ko) 친환경 가동식 홍수방지벽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TW201638433A (zh) 浮體式鉸鏈閘門
KR100932665B1 (ko) 하천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블록 시설물
CN204112290U (zh) 斜轴式水力自控闸门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JP2013253461A (ja) 津波防潮壁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JP5869059B2 (ja) 防潮堤
KR20120062578A (ko) 연안지역의 범람 방지용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185183A (ja) 簡易チェックゲート
CN111088780A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