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526A -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526A
KR20150133526A KR1020140060417A KR20140060417A KR20150133526A KR 20150133526 A KR20150133526 A KR 20150133526A KR 1020140060417 A KR1020140060417 A KR 1020140060417A KR 20140060417 A KR20140060417 A KR 20140060417A KR 20150133526 A KR20150133526 A KR 2015013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l
panel
flood wall
f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067B1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경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경, 주식회사 유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경
Priority to KR102014006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2Cylindrical or tubula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2수밀부에 의해 기초구조체의 좁은 설치공간으로 부터 홍수벽 및 유압실린더의 설치/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 또는 하천주변에 매립설치되고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기초구조체와,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로 삽입되고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홍수벽과, 홍수벽의 전면패널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 상단에 설치되는 제1수밀부와, 상기 홍수벽의 후면패널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 상단에 설치되는 제2수밀부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에 하단이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홍수벽의 상단패널에 접촉지지되는 유압실린더부와, 상기 기초구조체내 또는 기초구조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부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Flood pretect wall with easy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방 또는 하천변을 따라 설치되는 홍수벽 및 이를 가동하는 유압실린더를 제1,2수밀부의 분리에 의해 기초구조체의 좁은 설치공간으로부터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하도로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마철의 강우 추세는 비가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많이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단시간 안에 기습적으로 퍼붓는 게릴라성 호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폭우 추세는 지대가 낮은 곳에서 상습적인 침수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도심하천의 하류 지역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 또는 게릴라성 호우에 의해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하천주변지역에 대한 침수 및 이재민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피해 방지를 위하여, 하천변을 따라 제방이 축조되고 있으나, 하천 주변의 토지 즉, 제방축조를 위하여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이 발생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제방이 하천 전체에 설치될 경우,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생활거주민들의 하천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등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하천주변의 주거환경 여건에 의해 필요로 하는 높이만큼의 제방을 축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수피해가 잦은 도심지 저지대나 하천과 인접한 제방에는 외수가 범람하여 침수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홍수벽은 고정식과 가동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식 홍수벽의 경우에는 제방에 터파기 등의 공사를 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제방 인근에 보도 또는 산책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홍수벽을 설치하기 위한 제방여유고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제방여유고가 부족한 제방에서는 작업여건이 여의치 않아 홍수벽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홍수벽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할 경우, 충분한 제방여유고를 필요로 하며, 홍수벽으로 인해 주변경관을 해치게 되어 쾌적공간을 조성할 수 없게 되며, 하천과의 접근이 어려워 조망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식 홍수벽의 경우에는 고정식 홍수벽에서 제방여유고가 부족한 제방에서의 홍수벽 설치의 문제점과 홍수벽 및 지지대의 설치로 인한 경관 및 조망을 해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차량이나 통행자의 통로로 제공하며 외수위 상승시에는 홍수벽이 상승하여 물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가동식 홍수벽은 대부분 하천 수위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에 의해 구동되는 부력식 차수벽 즉, 내측에 부력실을 구비하고, 하천방향으로는 상기 부력실과 연통된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부력실에 결합되며, 하천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유입구로 유입된 수위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부력체로 구성되어 하천 등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기초구조물의 유입구를 통해 하천수가 부력실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하천수에 의해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된 부력체가 기초구조물의 가이드홀을 통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여 제방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동식 홍수벽은 기초구조물내의 부력실내로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물질이 삽입될 경우, 하천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의 가동에 간섭이 발생되어, 실제 수위가 높아질 경우, 이에 따라 부력체가 상승하지 못하며, 홍수 후 끼움잠김 발생으로 부력체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로 부력체를 내릴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력을 이용하는 홍수벽은 부력실내에 위치하는 부력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부력체가 설치된 기초구조물 전체에 대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설치된 홍수벽에 대한 실질적인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보수 비용 및 보수기간이 증가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0152(2013.02.2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59482(2014.01.2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49846(2012.05.1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26253(2011.03.24)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수밀부에 의해 기초구조체의 좁은 설치공간으로 부터 홍수벽 및 유압실린더의 설치/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밀성을 구비하고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어 하천범람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홍수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킨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 또는 하천주변에 매립설치되고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기초구조체와,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로 삽입되고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홍수벽과, 홍수벽의 전면패널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 상단에 설치되는 제1수밀부와, 상기 홍수벽의 후면패널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 상단에 설치되는 제2수밀부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에 하단이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홍수벽의 상단패널에 접촉지지되는 유압실린더부와, 상기 기초구조체내 또는 기초구조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부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방 또는 하천변에 홍수벽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어, 홍수벽에 대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서 유압실린더를 설치고정할 수 있어, 홍수벽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홍수벽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은 제1,2수밀부에 의해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또한 수밀이 유지되도록 조립설치되고, 설치공간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는 설치플레이트의 지지레일내로 하부가 끼움설치되어 고정되므로, 약 30∼50㎝ 정도의 좁은 폭을 구비하는 설치공간내로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도 유압실린더 및 홍수벽의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유압실린더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설치공간외부에서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수벽이 하천수위의 감지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기초구조체로부터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되어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한 하천범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명 및 사유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수벽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에 전·후단슬릿수밀홈이 각각 형성되고, 홍수벽이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내로 하강되어 삽입될 시, 전·후단슬릿수밀홈내로 제1,2수밀부의 상단수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기초구조체에 접촉되므로, 유압실린더부에 의한 홍수벽의 하강력에 의해 상단차수대를 받침으로하여 홍수벽의 상단패널이 상단수밀재를 압박하게 되므로, 홍수벽과 설치공간의 사이에 대한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부의 설치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로울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부의 설치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로울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벽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방 또는 하천변을 따라 설치되는 홍수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 장치(100)는 제방 또는 하천주변에 매립설치되고 설치공간(11)을 구비하는 기초구조체(10)와,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내로 삽입되고 전면패널(21)과 후면패널(22)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부(25)를 구비하는 홍수벽(20)과, 홍수벽의 전면패널(21)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 상단에 설치되는 제1수밀부(30)와, 상기 홍수벽의 후면패널(22)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 상단에 설치되는 제2수밀부(40)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내에 하단이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홍수벽(20)의 상단패널(23)에 접촉지지되는 유압실린더부(60)와, 상기 기초구조체(10)내 또는 기초구조체(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부(60)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부(7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구조체(10)는 제방 또는 하천변을 따라 매립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11)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공간(11)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벽(20)이 삽입설치되는 벽공간부(12)와, 상기 벽공간부(12)와 단차를 구비하고 제1,2수밀부(30,40)가 설치되는 수밀공간부(1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초구조체(1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철판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 하부 즉, 벽공간부(12)의 바닥면(14)은 하천측(R)으로 소정각도의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14)의 가장 낮은 위치에는 저수조(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5)는 설치공간내로 유입된 물 또는 슬러지 등이 모이는 곳으로, 상기 저수조(15)내에는 수중펌프(16)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조(15)내로 유입된 물 및 슬러지는 수중펌프(16)에 의해 저수조(15)와 연결된 배수로(15`)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벽공간부(12)의 하부에는 바닥면(14)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17)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노즐(17)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14)의 최상단(가장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벽공간부(12)내에 설치되어, 바닥면(14)으로 세척수(물)을 분사함으로써, 바닥면(14)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저수조(15)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홍수벽(2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측(B)에 위치하고 상단에 전단슬릿수밀홈(21a)이 형성된 전면패널(21)과, 상기 전면패널(21)과 서로 평행하면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후단슬릿수밀홈(22a)이 형성된 후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양끝단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측면패널(24)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상단패널(23)과, 상기 전면패널, 후면패널, 측면패널 및 상단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25)와,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하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텐션로울러(27)를 포함한다.
상기 홍수벽(20)의 전면패널(21), 후면패널(22), 측면패널(24) 및 상단패널(23)은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는 철판 또는, 고강도를 구비하는 엔지니어 플라스틱 등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패널에 의한 절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개별제작되어 수밀을 구비하도록 용접 또는 볼트조립 등에 의해 연결설치된다. 이와 같은 홍수벽(20)은 약 30∼50㎝ 정도의 좁은 폭(W)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패널(21) 및 후면패널(22)은 상단에 전·후단슬릿수밀홈(21a,22a)이 각각 길이방향(X)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텐션로울러(27)가 설치되는 걸림단(28)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단슬릿수밀홈(21a,22a)은 홍수벽(20)이 하강되어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내로 삽입될 때, 제1수밀부(30) 및 제2수밀부(40)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어 하강되는 홍수벽(20)에 압박접촉됨으로써 수밀성을 증진시킨다.
상기 텐션로울러(27)는 걸림단(28)에 형성된 롤러홀(29)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홍수벽(20)의 승하강시, 구조물 설치공간 즉, 벽공간부의 내벽(18)에 접촉되면서 회전구동되어, 승하강되는 홍수벽(20)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것으로, 걸림단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로울러(27)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28)에 형성된 지지홀(28a)내로 삽입설치되는 스프링(27a)과, 상기 지지홀(28a)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고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나사(27b)와, 상기 롤러홀(29)과 지지홀(28a)이 연통되도록 걸림단(28)에 형성된 가이드홀(27c)과,상기 가이드홀(27c)을 관통하도록 또한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롤러축(27d)과, 상기 롤러홀(29)내에 위치하도록 롤러축(27d)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27e)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로울러(27)의 롤러(27e)는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걸림단에 형성된 롤러홀(29)에 각각 설치되어, 홍수벽의 승하강시 내벽(18)을 따라 이동하여 홍수벽(20)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유압실린더부(60)에 의한 승하강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홍수벽의 전면패널(21) 및 후면패널(22)을 내벽(18)에 밀착지지하여 홍수벽(20)이 전/후로 기울어짐 없이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텐셜로울러(27)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나, 본 발명이 텐션로울러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설치공간의 내벽에 롤러가 밀착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25)는 전면패널(21), 후면패널(22), 측면패널(24) 및, 상단패널(23)에 의해 하부가 개방되도록 홍수벽(20)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내부에 유압실린더부(6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25)에는 전면패널(21)과 후면패널(22)의 사이간격을 유지 및 지지하고 홍수벽(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패널(도시없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홍수벽(20)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벽을 지지하는 벽지지부(8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지지부(80)는 홍수벽(20)의 상승작동 후, 하천수의 수압에 대한 홍수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홍수벽 전면패널의 외부면(21b)으로부터 소정깊이를 구비하도록 전면패널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경사면(86)을 구비하는 지지홈(81)과, 상기 지지홈(81)내에 위치하도록 지지홈(81) 상단에 실린더 몸체가 힌지결합되는 지지실린더(82)와,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끝단에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지지대(83)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84)와, 상기 지지홈(81)에 볼트결합되어 지지홈(81)의 상단일부를 폐쇄시키는 지지커버(8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홈(81)은 홍수벽 전면패널의 외부면(21b)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지지실린더(82)가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경사면(86)을 구비하는 실린더홈(87)과, 상기 실린더홈(87)과 단차를 구비하며 전면패널 외부면(21b)측으로 형성되어 지지커버(85)가 체결되는 커버홈(88)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86)은 실린더홈(87) 하부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실린더의 구동시, 지지롤러(84)가 접촉회전되어, 기초구조체(10)의 상단면으로 지지롤러(84)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지지실린더(82)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며, 하부방향으로 로드가 확장구동되도록 지지홈(81)의 실린더홈(87)내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83)는 상단이 지지실린더(82)의 로드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지지롤러(84)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83)의 상단에는 지지커버(85) 및 지지홈의 실린더홈(87)에 접촉 회전되는 회전롤러(89)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89)는 벽지지부(80)의 작동시, 지지커버(85)에 접촉지지되어 지지대(83)와 지지실린더(82)의 연결부위를 지지 및 보호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롤러(89)는 지지실린더(82)의 로드가 하향 구동될 시, 지지커버(85) 또는 실린더홈(87)에 접촉되면서 회전이동되어, 수압이 홍수벽(20)에 가해질 경우, 실린더홈(87)에 접촉지지되어 대각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지지대(83)로 인한 지지실린더 로드의 휘어짐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롤러(84)는 지지실린더(82)의 구동에 의해 경사면(86)을 따라 기초구조체의 상단면(10a)으로 이동되어, 기초구조체 상단면(10a)에 설치된 스토퍼(10b)에 접촉되는 것으로, 지지대(83)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0b)는 기초구조체 상단면(10a)으로 부터 돌출형성되거나, 상단면(10a)에 홈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85)는 지지실린더(82)의 외부노출 및 지지홈(81)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지실린더(82)의 작동시, 확장된 로드의 끝단이 지지커버(85)내에 위치하도록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지지홈의 커버홈(88)에 볼트체결된다.
즉, 상기 지지커버(85)는 지지대(83)의 작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또한, 지지실린더의 미작동시, 지지대(83)가 지지홈(81)내로 안전하게 수납보관될 수 있도록 지지홈(81)의 상단일부만 폐쇄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홈의 경사면(86)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커버(85)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미관 및 홍수벽 작동시 지지홈(81)내로의 이물질 침입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벽지지부(80)는 지지실린더(82)가 하향으로 구동되면, 지지실린더(82)에 연결된 지지대(83)가 하향이동되고, 상기 지지대(83)의 하향이동에 의해 지지대(83)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롤러(84)가 지지홈의 경사면(86)을 타고 기초구조체 상단면(10a)에 설치된 스토퍼(10b)에 접촉지지될 때까지 구름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83)의 상단(실린더 로드와의 연결부분)은 지지실린더에 의해 지지홈의 실린더홈(87)내에서 수직하향이동되고, 지지대의 하단(지지롤러와의 연결부분)은 지지롤러에 의해 기초구조체의 상단면(10a)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되므로, 지지실린더(82)와 지지롤러(84) 사이에 설치된 지지대(83)는 홍수벽(2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홍수벽(2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83)의 상단에 회전롤러(89)가 더 설치되어 있을 경우, 지지실린더의 수직 하향작동에 의해 회전롤러(89)가 지지커버 또는 실린더홈에 접촉되면서 지지홈의 실린더홈(87)을 따라 하향이동되고,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롤러는 기초구조체의 상단면(10a)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어, 홍수벽에 접촉지지되는 회전롤러(89)와 기초구조체의 스토퍼(10b)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롤러(84)에 의해 지지대(83)은 홍수벽(2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수밀부(30)는 홍수벽의 제방측(B)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2수밀부(40)는 홍수벽의 하천측(R)에 위치하도록 설치공간의 수밀공간부(13)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밀부(30)와 제2수밀부(4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1,2수밀부(30,4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공간부의 단차면(19)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차수대(31,41)와, 상기 하단차수대(31,4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단차수대(32,42)와, 상기 상단차수대(32,42)의 끝단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단수밀재(33,43)와, 상기 상단차수대(32,42)의 끝단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단수밀재(34,44)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차수대(31,41)는 그 끝단이 벽공간부의 내벽(18)과 일치하도록 수밀공간부의 단차면(19)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단차수대(32,42)는 하단차수대(31,4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벽공간부의 내벽(1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단차수대(32,42)는 수밀공간부(13)의 내벽(18)내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차수대(31,41)는 수밀공간부의 내벽(18)과 일치하여 내벽(18)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단차수대(31,41)와 상단차수대(32,42)는 수밀공간부의 단차면(19)에 볼트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상단차수대(32,42)는 유압실린더부(60)에 의한 홍수벽의 수직이동시 걸림단(28)이 접촉되어 홍수벽의 외부이탈을 방지 및 유압실린더부(60)의 구동을 조절하는 스토퍼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하단수밀재(33,43)는 상단차수대(32,42)에 볼트고정설치되는 하단수밀고정재(33a,43a)와, 상기 하단수밀고정재(33a,43a)와 일체로 형성되고 홍수벽의 패널(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과 상단차수대(32,42) 및 홍수벽의 걸림단(28)에 접촉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하단원통수밀재(33b,43b)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단수밀재(31,41)는 유압실린더부(60)에 의한 홍수벽의 수직이동되어 걸림단(28)이 상단차수대(32,42)에 접촉될 때, 이를 완충하는 기능 및 이들 사이에 접촉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상단수밀재(32,42)는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하는 수밀재로, 끝단이 상단차수대(32,42)로부터 수밀공간부(13)내로 돌출되도록 상단차수대(32,42)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단수밀재(32,42)는 홍수벽이 설치공간(11)내로 하강이동하게 될 경우, 끝단이 홍수벽의 전·후단슬릿수밀홈(21a,22a)내로 각각 삽입되며, 전·후단슬릿수밀홈(21a,22a)내로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홍수벽(20)에 의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슬릿수밀홈(21a,22a)의 상측면(21c,22c)과 상단차수대(32,42) 사이에 끼움되어 수밀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상기 상단수밀재(34,44) 및 하단수밀재(33,43)는 고무, 우레탄 등등 탄성 및 수밀성을 구비하는 공지의 수밀재(또는 차수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부(60)는 홍수벽(20)을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초구조체 벽공간부의 바닥면(14)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61)와, 상기 설치플레이트(61)에 실린더몸체(65)의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끼움설치되고 홍수벽 상단패널(23)에 밀착접촉되는 밀착대(62)가 실린더로드(64)에 연결설치된 유압실린더(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감지부(70)의 하천수 수위감지에 의해 유압실린더(63)의 실린더로드(64)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홍수벽(20)을 수직이동시킨다.
상기 설치플레이트(61)는 바닥면에 수평을 구비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판(66)과 상기 베이스판(66)의 양측 상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지지레일(67)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61)는 지지레일(67)이 기초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바닥면(14)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홍수벽의 상단패널(23)에는 유압실린더의 밀착대(62)가 삽입되는 밀착대 이탈방지홈(26)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밀착대(62)는 이탈방지홈(26)내로 삽입설치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실린더부(60)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플레이트(61)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61)의 지지레일(67) 사이 공간으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몸체(65) 하부가 끼움설치되어 고정되며, 유압실린더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기초구조체(10)의 좁은 설치공간(11)내로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 유압실린더(63)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설치플레이트(61)에 끼움결합된 실린더몸체(65)의 하부를 분리시킨 후, 설치공간 외부로 이동시켜 또다른 유압실린더를 교체설치한다.
상기 수위감지부(70)는,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입실린더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통로(76)에 의해 내부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수위감지몸체(71)와, 상기 수위감지몸체(71)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물유입구(77)가 형성된 수위감지관(72)과, 상기 수위감지관(72)내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73)와, 상기 가이드바(73)가 삽입관통되고 부력에 의해 가이드바(73)를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74)와, 상기 가이드바(73)의 상단 및 하단을 수위감지관(72)내에 고정하는 고정스토퍼(75)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위감지몸체(71)는 유입통로(76)에 의해 내부의 감지공간(71a)이 하천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통로(76)를 통해 하천수가 감지공간(71a)내로 유입된다.
상기 수위감지관(72)은 수위감지몸체(7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수위감지몸체의 감지공간(71a)내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즉, 감지공간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공간(71a)내로 유입된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에 하향 개방된 물유입구(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73)는 수위감지관의 감지공간(71a)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력체(74)는 가이드바(73)가 끼움설치되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위감지관의 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에 의해 부유하여 가이드바(73)를 따라 수위감지관(72)내에서 상하이동된다.
상기 부력체(74)에 의한 수위감지는 가이드바(73)와 부력체(74)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을 구비하는 자석을 설치하여 감지하거나, 부력체(74)의 상하이동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어 수위를 감지하거나, 부력체(74)의 이동을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등 공지의 기술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는 하천수위가 상승하게 될 경우, 유입구를 통해 수위감지몸체내로 하천수가 유입되고, 상기 수위감지몸체내로 유입된 하천수는 다시 수위감지관내로 유입되며, 상기 수위감지관내로 유입된 하천수의 수위에 의해 부력체가 가이드바를 따라 부유하여 상승하게 되면, 부력체내의 접점부와 가이드바내의 접점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장의 갯수(서로 다른 극을 구비하는 접점(자석)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갯수)를 측정하여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는 수위감지몸체내에 수위감지관이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관내에 가이드바 및 부력체가 설치되는 2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부력체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하천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부력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수위측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집중폭우 또는 홍수등에 의해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될 경우, 상승되는 하천수가 유입통로를 통해 수위감지부내로 유입되어, 하천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하천수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제어부(도시없음)에서 홍수벽의 걸림단이 제1,2수밀부에 접촉될 때까지 유압실린더부를 구동시켜 기초구조체로부터 홍수벽을 수직기립시킴과 동시에, 벽지지부의 지지롤러가 기초구조체의 스토퍼에 접촉되도록 벽지지부의 지지실린더를 작동시켜 지지대에 의해 홍수벽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홍수벽이 기초구조체로부터 솟아오르게 될 경우, 홍수벽의 높이에 해당되는 만큼 하천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하천의 범람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수벽 또는 기초구조체내의 유압실린더 이상발생시, 기초구조체의 수밀공간부로부터 제1,2수밀부를 분리하여 벽공간부로부터 홍수벽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한 후, 벽공간부로부터 홍수벽을 빼내고 설치공간내의 유압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플레이트로부터 유압실린더의 하부를 분리한 다음, 설치공간 외부로 유압실린더를 이동시켜 유압실린더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기초구조체 (10a) : 상단면
(10b) : 스토퍼 (11) : 설치공간
(12) : 벽공간부 (13) : 수밀공간부
(14) : 바닥면 (15) : 저수조
(15`) : 배수로 (16) : 수중펌프
(17) : 세척노즐 (18) : 내벽
(19) : 단차면 (20) : 홍수벽
(21) : 전면패널 (21a) : 전단슬릿수밀홈
(21c) : 상측면 (22) : 후면패널
(22a) : 후단슬릿수밀홈 (22b) : 외부면
(21c) : 상측면 (23) : 상단패널
(24) : 측면패널 (25) : 공간부
(26) : 밀착대 이탈방지홈 (27) : 텐션로울러
(27a) : 스프링지지체 (27b) : 가이드홀
(27c) : 롤러축 (27d) : 스프링
(27e) : 롤러 (28) : 걸림단
(28a) : 지지홀 (29) : 롤러홀
(30) : 제1수밀부 (40) : 제2수밀부
(31,41): 하단차수대 (32,42): 상단차수대
(33,43): 하단수밀재 (34,44): 상단수밀재
(33a,43a): 하단수밀고정재 (33b,43b): 하단원통수밀재
(60) : 유압실린더부 (61) : 설치플레이트
(62) : 밀착대 (63) : 유압실린더
(64) : 실린더로드 (65) : 실린더몸체
(66) : 베이스판 (67) : 지지레일
(70) : 수위감지부 (71) : 수위감지몸체
(71a) : 감지공간 (72) : 수위감지관
(73) : 가이드바 (74) : 부력체
(75) : 고정스토퍼 (76) : 유입통로
(77) : 물유입구 (80) : 벽지지부
(81) : 지지홈 (82) : 지지실린더
(83) : 지지대 (84) : 지지롤러
(85) : 지지커버 (86) : 경사면
(87) : 실린더홈 (88) : 커버홈
(89) : 회전롤러 (100) : 수직이동형 홍수벽 장치

Claims (15)

  1. 제방 또는 하천주변에 매립설치되고 설치공간(11)을 구비하는 기초구조체(10)와,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내로 삽입되고 전면패널(21)과 후면패널(22)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부(25)를 구비하는 홍수벽(20)과,
    홍수벽의 전면패널(21)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 상단에 설치되는 제1수밀부(30)와,
    상기 홍수벽의 후면패널(22)에 일측이 끼움접촉되도록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 상단에 설치되는 제2수밀부(40)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설치공간(11)내에 하단이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홍수벽(20)의 상단패널(23)에 접촉지지되는 유압실린더부(60)와,
    상기 기초구조체(10)내 또는 기초구조체(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부(60)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설치공간(11)은 홍수벽(20)이 삽입설치되는 벽공간부(12)와, 상기 벽공간부(12)와 단차를 구비하고 제1,2수밀부(30,40)가 설치되는 수밀공간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벽공간부(12)의 바닥면(14)은 하천측(R)으로 소정각도의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바닥면(14)의 가장 낮은 위치에는 저수조(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벽공간부(12)의 하부에는 바닥면(14)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8)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20)은 하천측(R)에 위치하고 상단에 전단슬릿수밀홈(21a)이 형성된 전면패널(21)과, 상기 전면패널(21)과 서로 평행하면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후단슬릿수밀홈(22a)이 형성된 후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양끝단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측면패널(24)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상단패널(23)과, 상기 전면패널, 후면패널, 측면패널 및 상단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25)와,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하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텐션로울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텐션로울러(27)는 걸림단(28)에 형성된 지지홀(28a)내로 삽입설치되는 스프링(27a)과, 상기 지지홀(28a)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고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나사(27b)와, 상기 롤러홀(29)과 지지홀(28a)이 연통되도록 걸림단(28)에 형성된 가이드홀(27c)과,상기 가이드홀(27c)을 관통하도록 또한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롤러축(27d)과, 상기 롤러홀(29)내에 위치하도록 롤러축(27d)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2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홍수벽(20)에는 홍수벽을 지지하는 벽지지부(8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지지부(80)는, 홍수벽 후면패널의 외부면(22b)으로부터 소정깊이를 구비하도록 후면패널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경사면(86)을 구비하는 지지홈(81)과, 상기 지지홈(81)내에 위치하도록 지지홈(81) 상단에 실린더 몸체가 힌지결합되는 지지실린더(82)와,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끝단에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지지대(83)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81)은 지지실린더(82)가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경사면(86)을 구비하는 실린더홈(87)과, 상기 실린더홈(87)과 단차를 구비하며 후면패널 외부면(22b)측으로 형성되는 커버홈(88)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면(86)은 실린더홈(87) 하부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88)에는 지지홈(81)의 상단일부를 폐쇄시키는 지지커버(85)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9. 청구항 7 에 있어서;
    지지대(83)의 상단에는 지지커버(85) 및 지지홈의 실린더홈(87)에 접촉 회전되는 회전롤러(89)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수밀부(30,40)는 수밀공간부의 단차면(19)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차수대(31,41)와, 상기 하단차수대(31,4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단차수대(32,42)와, 상기 상단차수대(32,42)의 끝단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단수밀재(33,43)와, 상기 상단차수대(32,42)의 끝단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단수밀재(34,44)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차수대(31,41)는 끝단이 벽공간부의 내벽(18)과 일치하도록 수밀공간부의 단차면(19)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단차수대(32,42)는 하단차수대(31,4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벽공간부의 내벽(1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밀재(33,43)는 상단차수대(32,42)에 볼트고정설치되는 하단수밀고정재(33a,43a)와, 상기 하단수밀고정재(33a,43a)와 일체로 형성되고 홍수벽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과 상단차수대(32,42) 및 가동수문의 걸림단(28)에 접촉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하단원통수밀재(33b,43b)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수밀재(32,42)는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2. 청구항 1 에 있어서;
    유압실린더부(6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초구조체 벽공간부의 바닥면(14)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61)와, 상기 설치플레이트(61)에 실린더몸체(65)의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끼움설치되고 홍수벽 상단패널(23)에 밀착접촉되는 밀착대(62)가 실린더로드(64)에 연결설치된 유압실린더(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감지부(70)의 하천수 수위감지에 의해 유압실린더(63)의 실린더로드(64)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홍수벽(20)을 수직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설치플레이트(61)는 바닥면에 수평을 구비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판(66)과 상기 베이스판(66)의 양측 상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지지레일(67)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61)는 지지레일(67)이 기초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바닥면(1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4. 청구항 12 에 있어서;
    홍수벽의 상단패널(23)에는 유압실린더의 밀착대(62)가 삽입되는 밀착대 이탈방지홈(26)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70)는, 유입통로(76)에 의해 내부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수위감지몸체(71)와, 상기 수위감지몸체(71)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물유입구(77)가 형성된 수위감지관(72)과, 상기 수위감지관(72)내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73)와, 상기 가이드바(73)가 삽입관통되고 부력에 의해 가이드바(73)를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74)와, 상기 가이드바(73)의 상단 및 하단을 수위감지관(72)내에 고정하는 고정스토퍼(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20140060417A 2014-05-20 2014-05-20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658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17A KR101658067B1 (ko) 2014-05-20 2014-05-20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17A KR101658067B1 (ko) 2014-05-20 2014-05-20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26A true KR20150133526A (ko) 2015-11-30
KR101658067B1 KR101658067B1 (ko) 2016-09-30

Family

ID=5486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17A KR101658067B1 (ko) 2014-05-20 2014-05-20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094A (zh) * 2019-02-28 2019-07-02 华北水利水电大学 水流冲击式自动升降防洪墙
KR102390168B1 (ko) * 2021-08-04 2022-04-25 주식회사 어스 차수판이 구비된 옹벽
KR102484676B1 (ko) * 2021-11-18 2023-01-18 주식회사 한강산업 매립식 유동 지지대가 구비된 월파 및 홍수 방어벽
KR20230065515A (ko) * 2021-11-05 2023-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2598176B1 (ko) * 2023-07-18 2023-11-02 박수웅 수해방지용 차수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17B1 (ko) * 2020-05-14 2022-02-08 주식회사 이도 스마트 맨홀 덮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051983B1 (ko)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5-24 (주)에스엔비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240152B1 (ko)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1286623B1 (ko) * 2013-01-18 2013-07-15 김재호 세정형 하향식 수문
KR101359482B1 (ko) 2013-07-22 2014-02-24 (주)에스엔비 승하강식 다단 홍수 방지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53B1 (ko)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051983B1 (ko)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1149846B1 (ko) 2012-02-16 2012-05-24 (주)에스엔비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240152B1 (ko)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1286623B1 (ko) * 2013-01-18 2013-07-15 김재호 세정형 하향식 수문
KR101359482B1 (ko) 2013-07-22 2014-02-24 (주)에스엔비 승하강식 다단 홍수 방지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094A (zh) * 2019-02-28 2019-07-02 华北水利水电大学 水流冲击式自动升降防洪墙
CN109958094B (zh) * 2019-02-28 2024-03-22 华北水利水电大学 水流冲击式自动升降防洪墙
KR102390168B1 (ko) * 2021-08-04 2022-04-25 주식회사 어스 차수판이 구비된 옹벽
KR20230065515A (ko) * 2021-11-05 2023-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2484676B1 (ko) * 2021-11-18 2023-01-18 주식회사 한강산업 매립식 유동 지지대가 구비된 월파 및 홍수 방어벽
KR102598176B1 (ko) * 2023-07-18 2023-11-02 박수웅 수해방지용 차수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67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101348308B1 (ko) 게이트 복열 스크린 장치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140127058A (ko) 일체식 수문 시스템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20130107816A (ko) 3단 완충 밀폐구조를 갖는 펌프 게이트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101609774B1 (ko)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KR100487997B1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101023798B1 (ko) 다목적 이중 수문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1926810B1 (ko)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JP3854600B2 (ja) 取水設備
CN205577088U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21217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KR100895898B1 (ko) 부력식 차수판
CN220486377U (zh) 穿堤防洪闸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