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44Y1 - 승강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승강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44Y1
KR200464944Y1 KR2020100010603U KR20100010603U KR200464944Y1 KR 200464944 Y1 KR200464944 Y1 KR 200464944Y1 KR 2020100010603 U KR2020100010603 U KR 2020100010603U KR 20100010603 U KR20100010603 U KR 20100010603U KR 200464944 Y1 KR200464944 Y1 KR 200464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anel
panel
chamber
wate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826U (ko
Inventor
강종찬
박건철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제이씨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엔(주) filed Critical 제이씨엔(주)
Priority to KR2020100010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4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원의 하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마련된 방류구;와, 상기 각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문틀홈;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문틀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패널;과, 상기 보패널을 안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방류구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바닥면 고정되어 상기 보패널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구동수단; 및 상기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보패널이 챔버에 수용되면 보패널의 상단부를 덮고, 보패널이 상승하면 자중에 의해 보패널의 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토사유입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패널은 상승시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제 1저층수 배출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토사유입방지판는 토사의 배출은 방지하고, 저층수만을 방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저층수 배출공 및 방류구의 바닥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 2저층수 배출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식 가동보{UP AND DOWN TYPE MOVABLE WEIR}
본 고안은 승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개폐식 보패널을 마련하여 수압으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되, 상기 보패널은 양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하부로는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형성하여 담수된 저층수의 흐름을 활성화함에 따라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는 토사유입방지판을 힌지 결합시켜 저층수 배출시 토사 및 협잡물이 보패널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보패널을 수용하는 챔버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승강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계속적인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고품질의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팽배해 짐에 따라 하천을 이용한 공업용수 및 생활 용수의 소요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물이 풍부하다고 느껴왔던 우리나라도 지역적으로는 물부족 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이상 강우에 의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 가뭄 등의 자연재해가 빈발하면서 하천의 이수와 치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수량이 적은 하천에 용수 등의 취수를 위해 하천을 횡단하여 보를 설치하고 있다. 하천 등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보는 그 형식과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고 있는데, 주로 콘크리트고정보가 설치되었다.
콘크리트고정보는 설치비용이 적고 수명 또 한 영구적이어서 경제적인 반면 홍수시의 경우 고정보가 장애물이 되어 제방으로의 월류 등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더불어 물의 흐름의 정체를 유발시켜 토사 및 오니토가 축적되어 수질악화를 초래하여 하천을 파괴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콘크리트보를 설치하는 대신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보를 설치하여 갈수기 때는 수자원의 확보를 홍수시에는 홍수피해예방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가동보 역시 토사가 유입되어 작동의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승강 개폐식 보패널을 마련하여 수압으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되, 상기 보패널은 양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하부로는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형성하여 담수된 저층수의 흐름을 활성화함에 따라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승강식 가동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 토사유입방지판을 힌지 결합시켜 저층수 배출시 토사 및 협잡물이 보패널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보패널을 수용하는 챔버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구조의 승강식 가동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승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원의 하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마련된 방류구;와, 상기 각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문틀홈;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문틀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패널;과, 상기 보패널을 안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방류구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바닥면 고정되어 상기 보패널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구동수단; 및 상기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보패널이 챔버에 수용되면 보패널의 상단부를 덮고, 보패널이 상승하면 자중에 의해 보패널의 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토사유입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패널은 상승시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제 1저층수 배출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토사유입방지판는 토사의 배출은 방지하고, 저층수만을 방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저층수 배출공 및 방류구의 바닥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 2저층수 배출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패널은 구동수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홀의 상부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히고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문틀홈에는 높이방향으로 보패널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고안은, 제 2고안에서, 상기 보패널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는 면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문틀홈 및 챔버의 상부에는 보패널과의 실링을 위해 지수고무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제 6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브라켓의 저면에 링크 연결되어 보패널을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에 따르면, 승강 개폐식 보패널을 마련하여 수압으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되, 상기 보패널은 양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하부로는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형성하여 담수된 저층수의 흐름을 활성화함에 따라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는 토사유입방지판을 힌지 결합시켜 저층수 배출시 토사 및 협잡물이 보패널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구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여 담수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수시에 담수된 물을 전량 방류할 경우, 토사유입방지판이 보패널 전체를 덮어 토사가 보패널의 수용하는 챔버 내에 유입되는 방지하여 보패널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전방을 나타내는 제 1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후방을 나타내는 제 2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확대된 보패널 및 챔버를 부분 절개한 제 1절단사시도,
도 4는 보패널 하강시 보패널 및 챔버를 나타내는 제 2절단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전방을 나타내는 제 1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후방을 나타내는 제 2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확대된 보패널 및 챔버를 부분 절개한 제 1절단사시도이고, 도 4는 보패널 하강시 보패널 및 챔버를 나타내는 제 2절단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 개폐식 보패널을 마련하여 수압으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되, 상기 보패널은 양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하부로는 저층수 배출구를 형성하여 담수된 저층수의 흐름을 활성화함에 따라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보패널의 후방 방류구의 바닥면에 토사유입방지판을 힌지 결합시켜 저층수 배출시 토사가 하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승강식 가동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식 가동보(100)는 크게 5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데, 방류구(10)와, 상기 방류구(10)에 설치되는 보패널(30)과, 상기 보패널(30)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50)와, 상기 챔버(50)에 수용되고 보패널(30)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보패널(30)의 후방 방류구(10)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는 토사유입방지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류구(10)는 실질적으로 보패널(30)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수원(水源)의 하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20)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방류구(10)는 강이나 하천의 폭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구조물(20)의 측벽에는 방류구(10)을 개폐하여 담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보패널(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문틀홈(21)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문틀홈(21)에는 높이방향으로 보패널(3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11)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보패널(30)은 상기 문틀홈(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성인데,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홈(21)에 형성된 가이드홈(2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보패널(30) 역시 양측면에 상기 각 가이드홈(21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돌기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문틀홈(21)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보패널(30)은 결합된 가이드홈(211)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하기 위해 돌기부(31)의 면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롤러(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보패널(30)과 문틀홈(21)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작동의 신뢰성과 더불어 보패널(30)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40)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보패널(30)은 롤러(311)를 통해 문틀홈(21)에 형성된 가이드홈(211)을 따라 롤링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력과 작동성이 증대된다.
상기 챔버(50)는 보패널(30)을 안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방류구(10)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챔버(50)는 구동수단(40)을 내장시켜 고정하는 동시에, 보패널(30)을 수용하여 방류구(10)를 통해 담수된 물이 하류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0)은 챔버(5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 고정되는 유압실린더(40)이고,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로드(41)가 상기 보패널(30)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보패널(30)은 유압실린더(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홀(32)의 상부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로드(41)와 링크 연결되기 위한 브라켓(321)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연결홀(32)의 내부 크기는 도 4와 같이, 보패널(30)이 챔버(50)에 수용되면 챔버(50)의 내부에 고정된 유압실린더(40)를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상기 보패널(30)은 상승시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제 1저층수 배출공(33)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제 1저층수 배출공(33)은 유압실린더(40)가 결합되는 연결홀(32)의 사이에 다수 형성된 것으로, 담수된 저층수의 흐름을 활성화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토사유입방지판(70)은 장방형의 형태로 보패널(30)의 후방 방류구(10)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토사유입방지판(70)은 홍수시 담수된 물을 전량 방류하기 위해 보패널(30)이 하강하여 챔버(50)에 수용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보패널(30)의 상단부 전체를 덮어 토사 및 협잡물이 챔버(50) 및 보패널(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토사유입방지판(70)은 보패널(30)이 상승하여 제 1저층수 배출공을 통해 저층수 배출할 때 보패널(30)의 타면에 경사지게 지지되는데, 이 때 토사유입방지판(70)에는 토사 및 협잡물이 제 1저층수 배출공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저층수 배출공(33)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저층수 배출공(7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 2저층수 배출공(71)은 토사유입방지판(70)이 보패널(30)의 상승에 의해 비스듬이 경사지게 직립되면 방류구(10)의 바닥면과의 높이 차로 저층수는 배출하고, 토사 및 협잡물은 차단하여 보패널(30)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공(33)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토사가 보패널(30)을 수용하는 챔버(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에 도시)
한편 상기 문틀홈(21) 및 챔버(50)의 상부에는 보패널(30)과의 실링을 위해 지수고무(60)가 더 결합되어 챔버(5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패널(30)은 경량화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이며, 별로의 결합부재로 연결홀(32)과 제 1저층수 배출공(33)을 마련하여 보패널(30)의 내부에 결합시킨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에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가동보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먼저 도 5는 유압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보패널(30)을 상승시켜 물을 담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보패널(30)은 상승하되, 하부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공(33)은 방류구(10) 상으로 노출되지 않게 상승시켜 담수된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토사유입방지판(70)은 보패널(30)의 상승에 의해 비스듬이 경사지게 직립되어 보패널(30)의 타면에 지지되는데, 이 때 상기 보패널(30)의 제 1저층수 배출공(33)을 감싸게 된다.
도 6은 담수된 저층수역의 물이 정체되어 용존산소의 감소 등으로 수질오염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보패널(30)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공(33)이 방류구(10) 상으로 노출되도록 상승시킴으로써, 저층수역의 흐름을 유발시켜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보패널(30)의 타면에 지지되는 토사유입방지판(70)는 제 2저층수 배출공(71)이 방류구(10)의 바닥면 및 제 1저층수 배출공(33)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 형성되어 있어 토사 및 협잡물이 배출되는 것은 차단하고 저층수만을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사 및 협잡물이 보패널(30)에 형성된 제 1저층수 배출구(33)를 폐쇄하거나 보패널(30)을 수용하는 챔버(50)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홍수시 담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보패널(30)을 하강시켜 챔버(50)에 내부에 수용시킨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토사유입방지판(70)은 자중에 의해 상기 보패널(30)의 상단부 전체를 덮어 토사 및 협잡물이 챔버(50) 및 보패널(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류구
20: 콘크리트 구조물 21: 문틀홈 211: 가이드홈
30: 보패널 31: 돌기부 311: 롤러
32: 연결홀 321: 브라켓
33: 제 1저층수 배출공
40: 구동수단, 유압실린더 41: 로드
50: 챔버
60: 지수고무
70: 토사유입방지판 71: 제 2저층수 배출공
100: 승강식 가동보

Claims (6)

  1. 수원의 하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20)의 사이에 마련된 방류구(10);
    상기 각 콘크리트구조물(20)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문틀홈(21);
    상기 콘크리트구조물(20)의 문틀홈(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패널(30);
    상기 보패널(30)을 안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방류구(10)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챔버(50);
    상기 챔버(50) 내의 바닥면 고정되어 상기 보패널(30)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구동수단(40); 및
    상기 보패널(30)의 후방 방류구(10)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보패널(30)이 챔버(50)에 수용되면 보패널(30)의 상단부를 덮고, 보패널(30)이 상승하면 자중에 의해 보패널(30)의 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토사유입방지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패널(30)은 상승시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제 1저층수 배출공(3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토사유입방지판(70)는 토사의 배출은 방지하고, 저층수만을 방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저층수 배출공(33) 및 방류구의 바닥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 2저층수 배출공(71)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패널(30)은 구동수단(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홀(32)의 상부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히고 상기 구동수단(40)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321)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가동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홈(21)에는 높이방향으로 보패널(3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가동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패널(3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1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돌기부(3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31)는 면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롤러(311)가 구비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가동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홈(21) 및 챔버(50)의 상부에는 보패널(30)과의 실링을 위해 지수고무(6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가동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유압실린더(40)이고,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로드(41)는 상기 브라켓(321)의 저면에 링크 연결되어 보패널(30)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개폐식 가동보.
KR2020100010603U 2010-10-15 2010-10-15 승강식 가동보 KR200464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603U KR200464944Y1 (ko) 2010-10-15 2010-10-15 승강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603U KR200464944Y1 (ko) 2010-10-15 2010-10-15 승강식 가동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26U KR20120002826U (ko) 2012-04-25
KR200464944Y1 true KR200464944Y1 (ko) 2013-01-24

Family

ID=4660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603U KR200464944Y1 (ko) 2010-10-15 2010-10-15 승강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74B1 (ko) * 2014-05-16 2016-04-06 주식회사 수경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KR20180066595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040B (zh) * 2019-02-28 2023-12-29 黄芳 一种液压挡水闸门结构
KR102391090B1 (ko) * 2019-11-25 2022-04-27 (주)친환경산업 부유물 제거 및 수질 개선용 가동보
KR102481898B1 (ko) * 2022-10-04 2022-12-3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
KR102553678B1 (ko) * 2022-11-10 2023-07-1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담수 수위 조절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KR102655105B1 (ko) * 2023-10-26 2024-04-05 주하이엔씨 주식회사 자연 친화적 하천의 수질 정화 장치
KR102655104B1 (ko) * 2023-10-26 2024-04-05 주하이엔씨 주식회사 하천 제방과 수중보 연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28A (ko) * 1999-11-09 2000-02-07 한상관 역류방지용 칸막이 와 피스톤 보호대가 구성된 가동보
KR100681335B1 (ko) * 2005-12-12 2007-02-0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 수중보 및 댐용 연속형 수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28A (ko) * 1999-11-09 2000-02-07 한상관 역류방지용 칸막이 와 피스톤 보호대가 구성된 가동보
KR100681335B1 (ko) * 2005-12-12 2007-02-0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 수중보 및 댐용 연속형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74B1 (ko) * 2014-05-16 2016-04-06 주식회사 수경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KR20180066595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26U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NL1035546C2 (en) Self-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the same.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051983B1 (ko)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130096043A (ko) 게이트 복열 스크린 장치
KR101816815B1 (ko) 승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200382030Y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CN111088780A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CN113622372A (zh) 一种隐藏式防洪门
KR100990698B1 (ko) 잠수형 보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KR200263865Y1 (ko)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101121743B1 (ko) 어도겸 협잡물 제거용 전도 수문
KR101285341B1 (ko)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KR100831086B1 (ko) 이중 수문
KR101111241B1 (ko) 펌프 일체형 수문의 펌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