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740B1 -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 Google Patents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740B1
KR101121740B1 KR1020110109354A KR20110109354A KR101121740B1 KR 101121740 B1 KR101121740 B1 KR 101121740B1 KR 1020110109354 A KR1020110109354 A KR 1020110109354A KR 20110109354 A KR20110109354 A KR 20110109354A KR 101121740 B1 KR101121740 B1 KR 101121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uice
water gate
cylind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임식
정일수
Original Assignee
태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전도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의 조절을 위한 수문의 완전한 개폐와 어류나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한 어도 형성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며, 수문의 개폐 각도의 조절과 각도가 조절된 수문의 고정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11) 사이에 설치한 수문(10)의 하측 수문 회전축(10a)에 연결한 구동홀더(13)의 연결축(13a)에 개폐실린더(12)를 연결하고, 상기 수문 회전축(10a)이 연결된 수문 승강체(14)가 로울러(14a)로 수문 포스트(16)에 연결한 후 상기 수문 승강체(14)의 상측으로 수문실린더(17)가 연결되며, 상기 개폐실린더(12)가 연결된 안내 승강체(19)는 안내 포스트(18)에 로울러(14a)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수문(10)의 개폐와 어류의 이동을 위해 수문(10)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전도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에 각도조절 다수의 구멍(15a)이 형성된 수문조절 가이드(15)를 설치하며, 상기 각도조절 구멍(15a)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수문(10)을 고정하는 고정핀(22)과 상기 고정핀(22)을 제어하는 핀 구동체(21)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 승강체(19)의 하측으로 직립되게 안내실린더(20)를 설치하여 수문실린더(17)와 함께 수문(10)의 승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A floodgate}
본 발명은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전도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의 조절을 위한 수문의 완전한 개폐와 어류나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한 어도 형성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며, 수문의 개폐 각도의 조절과 각도가 조절된 수문의 고정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물의 저장과 방출을 통해 수위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수문의 개폐시 모두 어류나 수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은 불가능해 진다.
즉, 수문의 밀폐시에는 어도가 완전히 차단되어 어류나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하며, 수문의 개방시에는 수문의 방해는 받지 않으나 수문의 개방과 동시에 상류에서 하루로 흐르는 급류에 의해 어류 및 수생생물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수문은 저수량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어류 및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막아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번호 제0800564호(2008. 01. 28. 등록)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의 완전 개폐는 물론 어도의 형성 기능도 동시에 구비한 어도형 전도 수문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문을 승강체에 연결하여 홀더와 연결한 실린더의구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문은 포스트의 승강체에 연결되어 실린더로 상, 하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의 반대방향으로 연결한 승강체 역시 포스트에 연결하여 수문을 바닥에서 상승시켜 하측에서 어도의 형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린더의 반대방향으로 연결한 승강체는 포스트에 로울러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방에서의 상승에 따른 동일한 위치로의 상승과 하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수문을 필요한 각도로 구동시키면서 저장한 물의 장류를 조절하게 되지만 수문이 세워진 상태에서 저장한 물에서 제공하는 압력과 하중이 수문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수문과 그외 나머지 구성요소에 피로가 누적되어 변형을 초래하므로 고장의 원인이 되면서 필요한 시기에 구동 불가능 상태가 되어 보수 유지를 어렵게 하면서 다양한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었다.
1. 특허등록번호 제0800564호(2008. 01. 28. 등록)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12863호(2003. 04. 28. 등록) 3.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113615호(2006. 11. 02. 공개) 4. 특허등록번호 제800563호(2008. 01. 28.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의 완전 개폐는 물론 어도의 형성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수문 승강체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문의 작동 각도에서 따라서 수압에 견디도록 수문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수문의 하측 수문 회전축에 연결한 구동홀더의 연결축에 개폐실린더를 연결하고, 상기 수문 회전축이 연결된 수문 승강체가 로울러로 수문 포스트에 연결한 후 상기 수문 승강체의 상측으로 수문실린더가 연결되며, 상기 개폐실린더가 연결된 안내 승강체는 안내 포스트에 로울러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수문의 개폐와 어류의 이동을 위해 수문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전도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에 각도조절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수문조절 가이드를 설치하며, 상기 각도조절 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수문을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제어하는 핀 구동체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 승강체의 하측으로 직립되게 안내실린더를 설치하여 수문실린더와 함께 수문의 승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의 완전 개폐는 물론 수문을 전체적으로 승강시켜 하단에서 어도의 형성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저수량의 조절과 어류 및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수문의 높이 조절시에 전방과 후방에 설치한 승강체를 각각의 실린더로 동시에 승, 하강시켜 수문의 높이 조절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의 상측으로 물을 방류시킬 때 수문의 작동 각도에서 따라서 수문 조절 가이드로부터 각도의 조절에 따라 각각의 각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수압에 견디도록 수문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고장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문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수문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수문과 승강체가 연결된 부분의 상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수문과 수문조절 가이드에 대한 설치상태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의 수문과 수문조절 가이드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문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문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댐을 설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양쪽에 하우징(11)을 설치하여 공간 사이를 차단하는 수문(10)을 설치하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요소의 구동에 따라 수문(10)을 개폐하거나, 높이를 조절하여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의 개폐와 어도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문(10)의 양쪽에는 수문 회전축(10a)이 연결되어 수문 승강체(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수문 승강체(14)는 직립되게 세워진 수문 포스트(16)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수문 회전축(10a)에는 구동홀더(13)의 하측이 연결되고, 구동홀더(13)의 상측에는 연결축(13a)을 통하여 개폐실린더(12)를 도면상 가로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수문 승강체(14)는 상측으로 수문 실린더(17)가 연결되어 수문 승강체(14)를 통하여 수문(10)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개폐실린더(12)는 도면상 우측으로 안내 승강체(19)에 연결하고, 상기 안내 승강체(19)는 직립되게 세워진 안내 포스트(18)에 결합한다.
상기 안내 승강체(19)의 하측에는 안내실린더(20)를 직립되게 설치하여 안내 승강체(19)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문과 승강체가 연결된 부분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수문과 수문조절 가이드에 대한 설치상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문과 수문조절 가이드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문(10)에는 일정한 간격에 각도조절 구멍(15a)을 설치한 부채꼴 모양의 수문 조절 가이드(15)를 설치하여 수문 승강체(1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각도조절 구멍(15a)에는 수문 승강체(14)의 내부에 설치한 핀 구동체(21)에서 고정핀(22)이 돌출되어 수문(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끼워져 수문(10)의 설치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문 승강체(14)가 설치된 수문 포스트(16)와 안내 승강체(19)가 설치된 안내 포스트(18)에는 로울러(14a)가 설치되어 수문(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문 포스트(16)와 안내 포스트(18)는 'H' 형강을 설치하여 양쪽에서 로울러(14a)가 설치되어 수문(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문(10)의 개폐작동은 물론 어도를 형성하여 어류 및 수생생물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문(10)의 개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수문(10)의 밀폐작동시에는 개폐실린더(12)의 실린더로드가 신장된 상태로 수문(10)을 밀고 있기 때문에 수문(10)의 밀폐상태가 이루어지며, 수문(10)이 밀폐된 상태에서는 물에 의한 수압이 전체면에 작용되고 있으므로 핀 구동체(21)를 구동하여 구동핀(22)을 돌출시켜 수문조절 가이드(15)에 있는 각도조절 구멍(15a)에 결합하여 수문(10)에 전달되는 하중이 다른 구성요소로 절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수문(10)의 개방작동시 개폐실린더(12)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구동체(2)를 구동시켜 구동핀(22)이 각도조절 구멍(15a)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 개폐실린더(12)의 로드가 축소되면 연결축(13a)이 연결된 구동홀더(13)가 당겨지므로 회전이동 하면서 수문 회전축(10a)이 회전하며 수문(10)이 눕혀지게 되므로 개방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핀 구동체(21)는 구동하지 않고, 수문실린더(17)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있으며, 안내 실린더(20)는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문(10)이 어도를 형성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 실린더(17)와 안내실린더(20)가 동시에 구동하여 수문실린더(17)는 로드가 축소되면서 수문 승강체(14)를 상승시키게 되고, 안내실린더(20)는 로드가 신장되면서 안내 승강체(19)를 상승시켜 어도 형성의 적합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문실린더(17)의 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축소되면 수문 승강체(14)를 상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수문 승강체(14)에 설치한 로울러(14a)가 수문 포스트(16)의 양쪽에서 안내되어 수문 승강체(14)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수문 승강체(14)와 연결된 수문(10)이 상승되는 것이다.
수문실린더(17)의 로드가 축소되는 동시에 안내실린더(20)의 로드가 축소된 상태에서 신장되면 안내 승강체(19)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안내 승강체(19)에 설치한 로울러(14a)가 안내 포스트(18)의 양쪽에서 안내되어 안내 승강체(10)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수문 승강체(14)와 안내 승강체(19)는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문 승강체(14)와 안내 승강체(19)를 동시에 상승시키면서 수문(10)이 상승되므로 어도의 형성에 적합한 높이 또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로 수문(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문(10)을 상승시키게 되면 어도의 형성에 적합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문(10)이 완전하게 개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수압이 낮아져 어류나 수생생물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수문실린더(17)의 로드를 축소시키면서 수문 승강체(14)를 하강시키고, 안내실린더(20)의 로드를 신장시키면서 안내 승강체(19)를 수문 승강체(14)와 동시에 하강시켜 수문(10)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문실린더(17)와 안내실린더(20)를 동시에 구동시켜 수문 포스트(16)에서 수문 승강체(14)를, 안내 포스트(18)에서 안내 승강체(19)를 상승 및 하강시킴에 따라서 수문(10)의 승강에 따른 정확한 승강체(14, 1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은 수문의 개폐작동시에 개폐되는 각도에 따라 수문조절 가이드를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수압에 의한 압력이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되지 않아 고장의 원인을 해소하며, 수문의 하단을 어도 형성을 위해 들어올릴 때 승강체의 양쪽에 설치한 실린더를 통하여 동시에 구동시켜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0 : 수문 10a : 수문 회전축
11 : 하우징 12 : 개폐실린더
13 : 구동홀더 14 : 수문 승강체
14a : 로울러 15 : 수문조절 가이드
15a : 간격조절 구멍 16 : 수문 포스트
17 : 수문 실린더 18 : 안내 포스트
19 : 안내 승강체 20 : 안내실린더
21 : 핀 구동체 22 : 고정핀

Claims (3)

  1. 하우징(11) 사이에 설치한 수문(10)의 하측 수문 회전축(10a)에 연결한 구동홀더(13)의 연결축(13a)에 개폐실린더(12)를 연결하고, 상기 수문 회전축(10a)이 연결된 수문 승강체(14)가 로울러(14a)로 수문 포스트(16)에 연결한 후 상기 수문 승강체(14)의 상측으로 수문실린더(17)가 연결되며, 상기 개폐실린더(12)가 연결된 안내 승강체(19)는 안내 포스트(18)에 로울러(14a)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수문(10)의 개폐와 어류의 이동을 위해 수문(10)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전도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에 각도조절 다수의 구멍(15a)이 형성된 수문조절 가이드(15)를 설치하며, 상기 각도조절 구멍(15a)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수문(10)을 고정하는 고정핀(22)과 상기 고정핀(22)을 제어하는 핀 구동체(21)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 승강체(19)의 하측으로 직립되게 안내실린더(20)를 설치하여 수문실린더(17)와 함께 수문(10)의 승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핀 구동체(21)는 수문 승강체(14)의 내부에 설치하며, 고정핀(22)이 각도조절 구멍(15a)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조절하여 수문(10)의 각도를 고정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안내실린더(20)는 안내 승강체(19)의 하측에서 직립되게 설치되며 안내실린더(20)의 로드가 신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20110109354A 2011-10-25 2011-10-25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112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54A KR101121740B1 (ko) 2011-10-25 2011-10-25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54A KR101121740B1 (ko) 2011-10-25 2011-10-25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740B1 true KR101121740B1 (ko) 2012-03-07

Family

ID=4614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54A KR101121740B1 (ko) 2011-10-25 2011-10-25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95B1 (ko) * 2012-05-14 2013-01-21 태창산업 주식회사 어도형 전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보강 수문
KR101498948B1 (ko) * 2013-04-12 2015-03-10 홍순용 하단배출용 전도수문
KR102658623B1 (ko) * 2023-12-04 2024-04-17 정명숙 협잡물을 집진하는 메쉬 자동 스크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3B1 (ko) 2003-10-06 2006-12-15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100800563B1 (ko) 2007-02-06 2008-02-04 홍종렬 전도 수문
KR20090110282A (ko) * 2009-09-30 2009-10-21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생태 복원용 어도를 자연적으로 조성시켜주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보 수문을 이용한 친환경 공법
KR100940801B1 (ko) 2009-05-25 2010-02-04 유을순 장애물에 의한 수문의 파손이 방지되는 전도식 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3B1 (ko) 2003-10-06 2006-12-15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100800563B1 (ko) 2007-02-06 2008-02-04 홍종렬 전도 수문
KR100940801B1 (ko) 2009-05-25 2010-02-04 유을순 장애물에 의한 수문의 파손이 방지되는 전도식 수문
KR20090110282A (ko) * 2009-09-30 2009-10-21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생태 복원용 어도를 자연적으로 조성시켜주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보 수문을 이용한 친환경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95B1 (ko) * 2012-05-14 2013-01-21 태창산업 주식회사 어도형 전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보강 수문
KR101498948B1 (ko) * 2013-04-12 2015-03-10 홍순용 하단배출용 전도수문
KR102658623B1 (ko) * 2023-12-04 2024-04-17 정명숙 협잡물을 집진하는 메쉬 자동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CN202644491U (zh) 城市景观钢闸门
KR101147159B1 (ko) 어도형 전도 수문
CN106677139A (zh) 一种弧形升降生态闸门
CN103726478A (zh) 钢制双作用翻板闸门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101121743B1 (ko) 어도겸 협잡물 제거용 전도 수문
CN106906799B (zh) 水利水库升降式水闸及其控制方法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CN104775403B (zh) 一种先导式水力自动闸门结构
KR101223695B1 (ko) 어도형 전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보강 수문
CN104863254B (zh) C型水力自动闸门
KR20140031555A (ko) 유압식 권양기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0822400B1 (ko) 무동력 전도 게이트
KR20110000337U (ko) 인양수문
KR100684364B1 (ko) 셔터 수문
KR200449044Y1 (ko) 수문장치
KR100368742B1 (ko) 자동수문
KR200329971Y1 (ko)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승강식 유압식 수문
KR200398077Y1 (ko) 승강식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