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555A - 유압식 권양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555A
KR20140031555A KR1020120097802A KR20120097802A KR20140031555A KR 20140031555 A KR20140031555 A KR 20140031555A KR 1020120097802 A KR1020120097802 A KR 1020120097802A KR 20120097802 A KR20120097802 A KR 20120097802A KR 20140031555 A KR20140031555 A KR 2014003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gate
cylinder
pinion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582B1 (ko
Inventor
서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2009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유압식 권양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수조(貯水槽) 및 배수로(排水路)에 상부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하는 수문; 상기 수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과 구동실린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으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식 권양기{Floodgate Apparatus}
본 발명은 유압식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유압식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관개수로 및 하천 등의 이수 및 취수 관련시설은 식수, 농지관리 또는 관개용수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수 및 취수 관련시설에는 관개용 물을 관리(예를 들어, 가뭄 때에는 물을 저장하여 두고 내리는 비의 양이 많을 때에는 이를 방출하는 등)하기 위한 수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문은 통상 유압을 통한 가동식 구조를 채용하여 개폐하도록 함으로서 제방의 저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모든 유압식 권양기는 하기 문헌들의 표시와 같이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번호 제10-0685863호,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0360호, 유압식 수문 권양기.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유압식 권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조(貯水槽) 및 배수로(排水路)에 상부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하는 수문; 상기 수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과 구동실린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으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래크와 상기 제1래크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에 수직하게 설치된 제2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제2래크가 피니언에 직접 맞물리게 설치되어 승강되거나 혹은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는 제2피니언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2피니언에 제2래크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승강되게 된 것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는 동력전달체인과 상기 동력전달체인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진 되는 동력전달체인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체인을 안내할 수 있게 설치한 동력전달체인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의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어느 일측이 펼쳐지면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1단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X자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다단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단 링크부재는 구동실린더의 연결 부위에 안내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러가 안내될 수 있게 안내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수문의 상부에는 상기 수문이 안내될 수 있게 수문가이드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문에는 수문가이드에 안내될 수 있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문을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에 의해 수리가 편리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로서,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 구비되는 구동실린더 및 구동력전달수단의 제1래크와 피니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 구비되는 구동력전달수단의 제2래크와 피니언이 수문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의 변형예로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 구비되는 구동력전달수단의 제2래크와 피니언 및 제2피니언이 수문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로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의 정면도로서, 구동실린더 대신에 회전식실린더를 이용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의 정면도로서, 구동실린더 대신에 회전식실린더를 이용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로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의 변형예로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표시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는 수문(100)과 구동실린더(200) 및 구동력전달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문(100)은 저수조(貯水槽) 및 배수로(排水路)에 상부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200)는 수문(1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은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수문(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100)과 구동실린더(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구동력으로 수문(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압식 권양기에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은 구동실린더(20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승강되게 제1래크(3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래크(312)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게 피니언(316)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318)의 회전에 의해 수문(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제2래크(314)가 상기 수문(10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수문(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동력전달수단(300)은 도 2표시와 같이, 상기 제2래크(314)는 피니언(316)에 직접 맞물리게 설치하여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작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수문(100)이 개폐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로드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래크(312)가 상승되면서 피니언(316)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316)의 회전에 의해 수문(100)에 설치된 제2래크(314)가 하강되면서 수문(100)을 닫게 되며(도 1참조), 상기 수문(100)의 개방은 반대로 작동된다(도 3참조).
또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은 도 7표시와 같이, 상기 피니언(316)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게 제2피니언(318)을 설치하고, 상기 제2피니언(318)에 제2래크(314)가 맞물리게 설치하여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작동 방향으로 수문(100)이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로드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래크(312)가 상승되면서 피니언(316)을 회전시키고, 그 피니언(316)의 회전에 의해 제2피니언(318)이 회전되면서 상기 수문(100)에 설치된 제2래크(314)가 승강되어 수문(10)을 개방하게 되며(도 8 참조), 수문(100)의 폐쇄는 반대로 작동된다(도 6참조).
또한,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에 설치되는 제2래크(314)는 수문의 양측부로 위치되게 설치함이 좋고, 그 제2래크(314)에 각각 맞물리게 피니언(316)이 설치함이 좋은데, 이때 상기 수문(100)의 일측으로 제2래크(314)를 더 설치하여 그 제2래크(314)와 맞물리게 제1래크(312)를 설치함이 좋다. 이는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제1래크(312)가 승강되면서 상기 피니언(316)을 회전시켜 안정적으로 수문이 승강되어 개폐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0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는 위 설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력전달수단(300)은 구동실린더(200)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200)에 동력전달체인(322)의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체인(322)의 다른 일단은 수문(1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동력전달체인(322)이 전후진 되게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체인(322)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스프라켓(324)이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켓(324)에 의해 전후진 되는 동력전달체인(3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프라켓(32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체인(322)을 안내할 수 있게 동력전달체인가이드(326)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2 ~도 13표시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00) 대신에 스프라켓(324)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게 회전식실린더(202)를 설치하여 동력전달체인(322)을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즉, 회전식실린더(202)를 이용하여 스프라켓(324)을 회전시키면, 그 스프라켓(324)의 회전에 의해 동력전달체인(322)이 작동된다.
이러한 구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로드가 전진되면 상기 동력전달체인(322)이 전진되면서 상기 스프라켓(324)에 의해 동력전달체인(322)의 선단부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수문(100)을 상승시켜 개방한다(도 11, 도 13참조). 이후, 수문(100)의 폐쇄는 반대로 작동된다(도 10, 도 12참조).
도 14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는 위 설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구동실린더(200)와 수문(100)을 링크부재(332,334)로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 14 ~도 15표시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00)는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실린더(200)에 1단 링크부재(332)의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1단 링크부재(332)의 다른 일단이 수문(1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수문(100)에 결합되는 1단 링크부제(332)가 펼쳐지면서 수문(100)을 상승시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도 17표시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0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실린더(200)에 다단 링크부재(334)의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1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다단 링크부재(334)가 X자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수문(100)을 상승시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 링크부재(334)는 구동실린더(200)의 연결 부위에 안내롤러(336)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러(336)가 안내될 수 있게 안내레일(338)이 설치됨이 좋다. 상기 안내롤러(336)가 안내레일(338)을 따라 안내되면서 다단 링크부재(334)가 용이하게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구동실린더(200)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1단 링크부재(332) 혹은 다단 링크부재(334)가 펼쳐지면서 수문(100)을 상승시켜 개방하고(도 15, 도 17참조), 상기 수문(100)의 폐쇄는 반대로 작동된다(도 14, 도 16참조).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권양기에 대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문(100)이 승강될 때 그 수문(100)을 안내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수문(100)의 양측부로 그 수문(100)이 안내될 수 있는 수문가이드(102)가 설치됨이 좋고, 상기 수문가이드(102)에 안내될 수 있게 상기 수문(100)에는 롤러(104)가 설치됨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수문(100)과 구동실린더(200)를 구동력전달수단(300)으로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구동력전달수단(300)에 의해 수문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문가이드(102)와 롤러(104)에 의해 수문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100 - 수문
200 - 구동실린더
300 - 구동력전달수단

Claims (8)

  1. 저수조(貯水槽) 및 배수로(排水路)에 상부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하는 수문;
    상기 수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과 구동실린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량 및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으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래크와 상기 제1래크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상기 수문에 수직하게 설치된 제2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제2래크가 피니언에 직접 맞물리게 설치되어 승강되거나 혹은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되는 제2피니언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2피니언에 제2래크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승강되게 된 것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는 동력전달체인과 상기 동력전달체인에 맞물려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진 되는 동력전달체인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체인을 안내할 수 있게 설치한 동력전달체인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의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어느 일측이 펼쳐지면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1단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구동실린더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구동실린더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X자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수문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다단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링크부재는 구동실린더의 연결 부위에 안내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러가 안내될 수 있게 안내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수문의 상부에는 상기 수문이 안내될 수 있게 수문가이드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문에는 수문가이드에 안내될 수 있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권양기.
KR1020120097802A 2012-09-04 2012-09-04 유압식 권양기 KR10145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02A KR101458582B1 (ko) 2012-09-04 2012-09-04 유압식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02A KR101458582B1 (ko) 2012-09-04 2012-09-04 유압식 권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55A true KR20140031555A (ko) 2014-03-13
KR101458582B1 KR101458582B1 (ko) 2014-11-10

Family

ID=5064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02A KR101458582B1 (ko) 2012-09-04 2012-09-04 유압식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383A (zh) * 2018-11-26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用闸门提升装置
CN112093712A (zh) * 2020-09-14 2020-12-18 湖州拓锐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机械的节能空压机
CN114508080A (zh) * 2022-02-17 2022-05-17 陈羡兰 一种水利工程用闸门水草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98A (ko) * 2001-01-12 2001-05-07 한상관 연결대를 이용한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380463Y1 (ko) * 2004-12-17 2005-03-30 김수태 링크 개폐식 수문장치
KR100731186B1 (ko) * 2006-10-24 2007-06-20 장태영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1065780B1 (ko) * 2008-12-29 2011-09-20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383A (zh) * 2018-11-26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用闸门提升装置
CN112093712A (zh) * 2020-09-14 2020-12-18 湖州拓锐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机械的节能空压机
CN112093712B (zh) * 2020-09-14 2022-09-23 江苏新凯晟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机械的节能空压机
CN114508080A (zh) * 2022-02-17 2022-05-17 陈羡兰 一种水利工程用闸门水草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582B1 (ko)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10B1 (ko)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1458582B1 (ko) 유압식 권양기
CN202543867U (zh) 一种自控式防洪闸门
CN104790354A (zh) 上开式堰门
KR101010045B1 (ko) 유압 승강식 수문장치
KR101358299B1 (ko) 수문용 체인식 개폐장치
CN202644491U (zh) 城市景观钢闸门
KR20060109710A (ko) 유압식 전도 수문
CN210238449U (zh) 一种分体式闸门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CN100543236C (zh) 防淤闸门
CN107869178A (zh) 一种建筑用地下设施自动隔水系统
CN215053806U (zh) 一种带电动维修平台的预制泵站
CN206635925U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KR101306219B1 (ko) 저동력 발란싱 레디얼 게이트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KR20150128272A (ko) 유압 매립형 인양 수문
CN203834435U (zh) 便于控制的底孔放水闸门
KR10164622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전도수문
CN202440801U (zh) 顶铰下旋式钢闸门
CN210797458U (zh) 一种新型铸铁镶铜型闸门
KR101339154B1 (ko)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CN202416267U (zh) 翻板式索控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