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613B1 - 복합게이트 수문비 - Google Patents

복합게이트 수문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613B1
KR100929613B1 KR1020090075575A KR20090075575A KR100929613B1 KR 100929613 B1 KR100929613 B1 KR 100929613B1 KR 1020090075575 A KR1020090075575 A KR 1020090075575A KR 20090075575 A KR20090075575 A KR 20090075575A KR 100929613 B1 KR100929613 B1 KR 10092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ell structure
structure roller
hydraulic cylinder
roll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찬철
Original Assignee
장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찬철 filed Critical 장찬철
Priority to KR10200900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급 하천, 저수지 또는 해안 배수갑문에 설치하여 내, 외수위조절, 하단방류 또는 상단방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水門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 일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의 플리트각도가 2°이내인 수문비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다단 회동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유압실린더와;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전 및 비상시에도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게이트 수문비에 관한 것이다.
셀구조롤러게이트,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

Description

복합게이트 수문비{omitted}
본 발명은 각급 하천, 저수지 또는 해안 배수갑문에 설치하여 내, 외수위조절, 하단방류 또는 상단방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水門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 일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의 플리트각도가 2°이내인 수문비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다단 회동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유압실린더와;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전 및 비상시에도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게이트 수문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급 하천, 저수지 또는 해안 배수갑문에 설치된 롤러게이트는 수위변동에 따라 유압, 모터 또는 수동 동력으로 승, 하강 작동하여 내수위가 하단방류되고 있으나, 수계별로 설치된 수많은 롤러게이트 중 한 곳의 롤러게이트라도 작동하지 않으면 내수위의 월류 또는 외수위의 역류로 인한 침수로 대형 인명피해와 재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롤러게이트는 그 위치가 제방의 높이 보다 낮게 배치되어 내수위가 한 계를 초과할 경우 내수위 물을 하단 방류함으로써, 제방 및 구조물의 훼손을 방지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나, 최근에 들어서는 저수율 극대화를 위해 내수위 상승을 통한 수자원 효용성 증대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종래의 제방 및 구조물 보수 작업으로 저수위를 높이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수위 증대 방법은, 제방과 구조물이 콘크리트나 석축재로 이루어진 고정식 보로 구성됨에 따라 수위의 유기적인 대처가 어렵고, 제방 및 구조물을 변경, 보수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수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제방 및 구조물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저수율을 조정할 수 있는 수문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국특허공개번호 특2000-0036764에는 하천 및 해안가에 설치되는 게이트의 구조를 롤러게이트 단면 속에 작은 단면의 플랩게이트를 부착한 일체식의 구조로서 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각각의 고유 기능을 복합한 것으로서 내·외수위가 변동될 때마다 게이트를 열고 닫아야 하는 유지관리 인력이 필요 없고 동력이 절감되며, 필요시 플랩게이트가 달려있는 롤러게이트를 열어줌으로써 외수위가 상승되는 시간 동안 내수위의 다량 방류로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플랩게이트 시트 속에 이물질이 끼여 외수위가 역류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짧은 시간 내에 롤러게이트를 내외수위에 의한 작용압력이 동일한 위치까지 열었다가 시트 속의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탈락시킨 후 닫음으로써 비상시의 경우에도 외수위 누수에 의한 침수피해를 차단시키며, 인명의 피해 및 재산손실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내·외수위 자동조절수문을 부착한 롤러게이트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내·외수위 자동조절수문을 부착한 롤러게이트는 플랩게이트가 롤러게이트 중간부위에 다수 설치되고 내수위가 외수위보다 높은 경우 내수위의 압력 작용에 의해 플랩게이트를 밀어내면서 내수를 자동적으로 방류하고 외수위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홍수조절기능은 가능하지만 저수기능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0832126에는 수로 양측의 지지 구조체에 지지되는 롤러 게이트 타입의 제1게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제1게이트와 일체로 구성되는 다단 전도 타입의 제2게이트를 수로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구조체의 상부에 각각 축조된 제1설치대 및 제2설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게이트를 제1와이어 로프로서 승강시키기 위한 제1권양부와, 상기 제1설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게이트를 제2와이어로프로서 회동시키기 위한 제2권양부를 포함하는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수문(400)이 수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이중수문(400)을 상측 방향으로 인양코자 하는 경우 제1와이어드럼(421)은 제1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면서 제1와이어로프(404)를 감는다.
이에 따라 제1와이어로프(404)가 제1이동시브(411) 및 고정시브(429)에 감긴 후 와이어 고정유닛(4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와이어로프(404)의 당겨지는 힘이 고정시브(429)를 통해 제1이동시브(411)에 그대로 작용되면서 제1게이 트(410)는 제1와이어드럼(421)에 감기는 길이만큼 제2게이트(470)와 함께 위로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와이어고정유닛(43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게이트(410)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도중 제1와이어로프(404)는 제1게이트(410)가 안정되고 원활하게 인양될 수 있도록 플리트각도(fleet angle)를 댐원시설기준 및 호이스트 설계기준에 따라 1줄감기에서는 4°이내로 하여야 한다.
반대로, 이중수문(400)을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와이어(421)에 감긴 제1와이어로프(404)를 풀어 주게 되면, 제1게이트(410)는 제2게이트(470)와 함께 하강한다.
그러나 상기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는, 수문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고정시브 및 이동시브의 수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이에 따라 설비비가 증가하며 과도한 설치공간의 차지로 인해 주위경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1가닥의 제1와이어로프에만 의존하여 수문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려됨과 아울러 통상 와이어로프 한 가닥의 파단강도가 25톤이므로 250톤의 수문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10가닥의 와이어로프와 20개의 시브(sheave)가 필요하며, 500톤의 수문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20가닥의 와이어로프와 40개의 시브가 필요하나 현재 국내의 와이어로프 제작업체에서 제작가능한 와이어로프의 최대 길이는 200m로 그 이상의 길이는 제작이 불가능하여 200m 이상의 와이어로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200m 이상의 와이어로프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비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1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와이어드럼에 감는 1줄 감기의 경우 중심선에서의 허용 이탈 각도(플리트각도)가 4°이내이나, 종래의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와 같이 다수의 고정시브 및 이동시브를 사용할 경우 제1와이어로프의 플리트각도 변화가 심해져 제1게이트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인양할 수 있는 4°의 플리트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와이어로프가 시브에서 이탈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수문의 인양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와이어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로프의 증가로 인해 와이어로프끼리 간섭이 발생하고 결국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단 방류형 롤러 게이트와 상단 월류형 다단 전도식 게이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지만, 롤러게이트 승, 하강 및 전도식 게이트의 회동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기적 결함 또는 모터의 결함 발생시에는 대체 구동이 불가능함에 따라 이중 수문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2게이트를 회동시키는 제2와이어로프 및 제2권양부가 제2게이트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만 설치되어 있어 제2게이트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제2게이트의 회동력이 게이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으므로 수압에 의하여 제2게이트가 휘거나 뒤틀어져 수문비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승, 하강 하단 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설치된 상단 월류식 플랩게이트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하여 고정시브 및 이동시브와 같은 장치가 전혀 필요없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대폭 향상된 승강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수문비는 각급 하천, 저수지 또는 해안 배수갑문에 설치하여 내외수위조절, 하단방류 또는 상단방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승, 하강 하단 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설치된 상단 월류식 플랩게이트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과; 일단은 수문비의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체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는, 작동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상기 수문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유압실린더와;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좌, 우 양측이 작동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와이어드럼과;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고정된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로드가 위를 향하도록 수문비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승강유압실린더와;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문비 상측의 좌, 우 가장자리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에 고정된 복수의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체인을 당기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비의 양측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과; 일단은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상기 무게추와 연결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체인과; 상기 복수의 체인스프로킷 중 어느 한 체인스프로킷의 양측에 연결설치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한 체인스프로킷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인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비는,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 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회동개폐시키고 기립폐쇄 지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플랩게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개폐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게이트를 기복하는 개폐유압실린더는, 정전시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비상작동버튼과 같은 비상작동수단을 마련하여 정전시에도 개폐유압실린더를 기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의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회동개폐시키고 기립폐쇄 지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플랩게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개폐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게이트를 기복하는 개폐유압실린더는, 정전시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비상작동버튼과 같은 비상작동수단을 마련하여 정전시에도 개폐유압실린더를 기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문비의 승강장치는, 승, 하강 하단 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설치된 상단 월류식 플랩게이트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한 수문비의 승강장치로서, 고정시브 및 이동시브와 같은 장치가 전혀 필요없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대폭 향상된 승강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하구 둑에서처럼 볼 수 있는 큰 토목구조물과 개폐장치하우스가 필요없게되어 경관성이 매우 우수하고 토목공사비를 2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는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의한 하단 방류로 인해 내수위 및 수로 저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집중 호우시 저수지의 담수량을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플랩게이트에 의한 상단방류로 인해 담수측 수위 변화에 대해 유기적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방 및 구조물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유기적인 저수율 조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수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로부터 플랩게이트 상부까지의 수량에 대해서는 플랩게이트 만을 운용하여 물을 흘려보냄으로써 셀구조롤러게이트 전체를 운용할 때보다 소모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흘러가는 물속에 부유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경우 언더플로우(underflow) 일 때보다 오버플로우(overflow) 일 때 게이트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셀구조롤러게이트가 조작 불능이 된 경우, 플랩게이트 조작용 유압장치의 비상버튼을 눌러 플랩게이트를 다운시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비상전원이 확보되지 않은 어떠한 상태에서도 비상대처가 가능하고 수위 상승을 저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문비 보다 전체 중량 감소로 인해 수문비 제작비용과 설치비용을 약 30%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양 하중도 감소되어 개폐장치 제작비용과 설치비용을 50%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특유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과; 일단은 수문비의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 일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의 플리트각도가 2°이내인 수문비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다단 회동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유압실린더와;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전 및 비상시에도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체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는, 작동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상기 수문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유압실린더와;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좌, 우 양측이 작동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와이어드럼과;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고정된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로드가 위를 향하도록 수문비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승강유압실린더와; 일단은 수문비 양측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문비 상측의 좌, 우 가장자리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에 고정된 복수의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체인을 당기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를 승강하기 위해 수문비의 양측부에 대향 설치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비의 양측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과; 일단은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비의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상기 무게추와 연결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체인과; 상기 복수의 체인스프로킷 중 어느 한 체인스프로킷의 양측에 연결설치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한 체인스프로킷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인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수문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비는,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 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회동개폐시키고 기립폐쇄 지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플랩게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개폐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게이트를 기복하는 개폐유압실린더는, 정전시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비상작동버튼과 같은 비상작동수단을 마련하여 정전시에도 개폐유압실린더를 기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의 승강장치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비의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회동개폐시키고 기립폐쇄 지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플랩게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개폐유압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게이트를 기복하는 개폐유압실린더는, 정전시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비상작동버튼과 같은 비상작동수단을 마련하여 정전시에도 개폐 유압실린더를 기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비를 그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제1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어감속기(202)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을 전달하는 모터(201)와, 상기 모터(201)와 연결되어 모터(201)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되는 기어감속기(202)와, 상기 기어감속기(202)와 연결되는 와이어드럼(203)과, 일단은 수문비(100)의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드럼(203)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10)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일단이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모터(201) 및 기어감속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203)과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201)와 이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기어감속기(202)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드럼(203)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210)을 감거나 풀어주는 작동에 의해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승강(昇降)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드럼(203)과 기어감속기(202)의 축을 바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와이어드럼(203)의 축단과 기어감속기(202)의 축단에 서로 대응하여 맞물림 되는 제1, 2기어(204, 205)를 각각 설치하여 연결하는 기어연결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203)에는 와이어로프(210)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감을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210)에 대응하는 와이어로프 안치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로프(210)를 대신하여 체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1)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일단과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연결시 연결이 용이하도록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의 좌, 우 가장자리에 고정브래킷(105)을 설치한 다음 이 고정브래킷(105)과 와이어로프(21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수문비(100)의 중량을 감안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당업계에서는 1가닥의 와이어로프(210)의 파단강도가 통상 25톤이므로 중량이 250톤인 수문비(100)를 승강하기 위해서는 10가닥 이상의 와이어로프(210)를 와이어드럼(203)에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량이 500톤인 수문비(100)를 승강하기 위해서는 20가닥 이상의 와이어로프(210)를 와이어드럼(203)에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200)에 의해 승강되는 수문비(100)는, 지지구조체(300)에 가이드 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수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게이트(102)와, 상기 플랩게이트(10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유압실린더(104)로 구성된다.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101)는, 그 단면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인 상자 타입으로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셀(cell)타입" 이라고 하며, 담수된 물을 하단 방류시킬 수 있도록 수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셀구조롤러게이트(101)는 그 양단부가 롤러에 의해 지지구조체(3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되는 롤러 게이트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좌, 우 측면에 설치되는 롤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 작동시 지지구조체(3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01)을 따라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셀 타입의 롤러 게이트로 이 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블록 타입의 롤러 게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랩게이트(102)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103)된다.
즉, 상기 플랩게이트(102)의 선단과 이와 대응하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힌지브래킷을 설치하여 힌지축으로 연결함으로써 플랩게이트(10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다.
물론, 상기 플랩게이트(102)의 좌, 우 폭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좌, 우 폭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유압실린더(104)의 선단 로드는 플랩게이트(102)의 저면 부위와 연결되고 개폐유압실린더(104)의 하단부위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마련된 복수의 내부공간에 대응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개폐유압실린더(104)는 평상시에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위치해 있다가 플랩게이트(102)를 들어올릴 때는 로드가 신장되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플랩게이트(102)를 상향으로 밀어올린다.
물론, 개폐유압실린더(104) 역시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마련된 복수의 내부공간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개폐유압실린더(104)는 플랩게이트(102)의 무게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유압실린더(104)의 하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마련된 내부공간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설치하여 개폐유압실린더(104) 로드의 축소시 개폐유압실린더(104)가 자연스럽게 굽혀지면서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내부공간 속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플랩게이트(102)에 1개 이상 개폐유압실린더(104)가 설치되므로 종래 플랩게이트(102) 양측에만 설치된 와이어로프식 또는 유압실린더식보다 플랩게이트 지지력이 균일하게 됨으로써, 플랩게이트(102)의 뒤틀림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압실린더(104)는 정전시를 대비하여 개폐유압실린더(104)의 작동을 수동작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비상버튼과 같은 비상작동수단을 마련하여 정전시에도 개폐유압실린더(104)를 기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전시를 대비한 개폐유압실린더(104)의 비상작동 수단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내, 외수위조절, 하단방류 또는 상단방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셀구조롤러게이트 및 플랩게이트 복합 다기능 수문비(水門扉)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모든 수문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어감속기(202)에 연결설치되는 작동유압실린더(206)의 구성만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기어감속기(202)의 축단에 모터(201)를 대신하여 기어감속기(202)를 회전시키는 작동유압실린더(206)의 선단 로드를 연결하여 작동유압실린더(206) 로드의 신, 축 작동에 의한 직선운동이 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기어감속기(202)에 전달되면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기어감속기(202)와 연결된 와이어드럼(203)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로프(210)을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기어감속기(202)를 회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동유압실린더(206)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모터(201)의 구성은 필요 없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유압실린더(207)의 선단 로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210)와, 상기 승강유압실린더(207)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8)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압실린더(207)는, 로드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208)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와이어로프(210)가 당겨지지 않으므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닫힌 상태가 되며,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가 축소되면 와이어로프(210)가 위로 끌어올려 지면서 와이어로프(210)와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되어 열린 상태가 된다.
참고로 종래의 승강장치에 설치된 승강유압실린더(207)는 로드 부위가 수문비의 상단과 직접연결되어 로드가 물에 노출된 상태로 작동되기 때문에 로드가 부식되거나 로드에 물이끼 같은 이물질이 들러붙어 승강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악영향을 주었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가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를 수문비(100)와 직접연결하지 않고 복수의 와이어로프(210)로서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승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무게에 따라 적어도 1가닥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로프(210)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연결시 연결이 용이하도록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상부에 고정브래킷(105)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브래킷(105)에 와이어로프(21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 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수문비(100)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드럼(203) 좌, 우 양측에 작동유압실린더(206)를 설치하여 와이어드럼(203)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로프(210)을 감거나 풀어주어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상측 좌우 가장자리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로프(210)을 감거나 풀어주는 와이어드럼(203)과, 상기 와이어드럼(203)의 좌, 우 축단에 연결설치되는 작동유압실린더(206)와, 일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 좌, 우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드럼(203)과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21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유압실린더(206)는, 선단의 로드 부분이 와이어드럼(203)의 좌, 우 양측 축단과 열결되어 선단 로드의 신축에 의한 직선운동이 와이어드럼(203)에 전달되면 와이어드럼(203)의 회전운동으로 바뀌어 와이어로프(210)을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승강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측 좌, 우 가장자리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211)을 경유하여 승강유압실린더(207)의 선단 로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209)으로 구성된다.
한편, 체인(209)의 일단과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연결시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고정브래킷(105)을 설치하여 이 고정브래킷(105)과 체인(209)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승강유압실린더(207)는 로드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유압실린더(207) 로드의 신장시에는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와 체인(209)에 의해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닫힌 상태가 이루어지고, 승강유압실린더(207) 로드의 축소시에는 로드가 축소되면서 체인(209)이 아래로 당겨져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된 열린 상태가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무게추(212)와,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211)과, 일단은 수문비(100)의 상부 좌, 우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05)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문비(100)의 좌, 우 양측 상,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인스프로킷(211)를 경유하여 무게추(212)에 연결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체인(2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스프로킷(211)은, 수문비(100) 좌, 우 양측에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2와 같이 수문비(100)의 양측 상부에 2개의 체인스프로킷(211)이 설치 되고 양측 상부에 설치된 2개의 체인스프로킷(211) 사이의 아래에 1개의 체인스프로킷(211)이 설치된다.
상기 체인(209)은, 일단이 수문비(100)의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05)과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로 설치된 체인스프로킷(211)을 경유하여 무게추(212)와 연결되는데 이때, 복수로 설치되는 체인스프로킷(211) 중 어느 하나의 체인스프로킷(211)의 좌, 우 양측 축단에는 유압모터(206)를 연결설치하여 유압모터(206)의 작동에 의해 체인스프로킷(211)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체인(209)을 끌어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수문비(100)의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승강시킨다.
상기 무게추(212)는, 체인(209)의 타단과 연결되어 체인(209)을 하향으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에 체인(209)을 당기거나 푸는 작동에 관계없이 항상 체인(209)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승강장치의 작동 중 체인(209)의 처짐을 방지한다.
물론, 무게추(212)는 승강장치의 작동시 체인(209)에 전달되는 장력에 충분히 부합하는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급 하천, 저수지 또는 해안 배수갑문에 설치하여 내외수위조절, 하단방류 또는 상단방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 및 플랩게이트(102) 복합 다기능 수문비(100)를 승강하기 위한 승장장치로서, 와이어로프(210)가 가장 안정적인 플리트각도를 유지하면서 와이어드럼(203)에 감기도록 하여 수문비(100)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비(100)의 플랩게이트(102)를 기립하고 싶을 경우에는 플랩게이트(102) 개폐용 개폐유압실린더(104)를 구동하여 플랩게이트(102)를 들어올리면 된다.
즉, 개폐유압실린더(104)의 로드를 신장하면 개폐유압실린더(104) 로드가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103)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게이트(102)가 힌지축을 중심을 회전하여 기립된 상태가 이루어져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부로부터 플랩게이트(102) 상부까지의 수위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전체를 들어올리지 않고 플랩게이트(102) 만을 운용함에 따라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전체를 들어올릴 때보다 소모전력이 절감되어 수문비(100)의 운용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흘러가는 물속에 부유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경우 언더플로우(underflow) 일 때보다 오버플로우(overflow) 일 때 수문비(100)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조작이 불가능할 경우, 개폐유압실린더(104)를 구동시켜 기립상태의 플랩게이트(102)를 눕히면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상단부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물을 흘려보낼 수 있는 등 셀구조롤러게이 트(101)를 구동할 수 있는 비상전원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도 플랩게이트(102)를 기복할 수 있어 비상대처가 가능하다.
한편, 수위가 낮아져 플랩게이트(102)를 눕히고 싶을 경우에는 개폐유압실린더(104) 로드를 축소하면 되는데 이때 개폐유압실린더(104)의 하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내부공간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로드가 축소됨과 동시에 개폐유압실린더(104)는 셀구조롤러게이트(101) 내부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된다.
또한, 셀구조롤러게이트(101) 전체를 들어올리고 싶을 경우에는 승강장치(200)를 이용하여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들어올리면 된다.
즉, 모터(201)를 작동시키면 모터(201)의 회전이 축을 따라 기어감속기(202)로 전달되고 기어감속기(202)로 전달된 회전은 다시 제1기어(204)를 거쳐 와이어드럼(203)의 제2기어(205)로 전달되어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와이어드럼(203)의 정, 역회전방향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로프(210)가 와이어드럼(203)에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승강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201) 및 기어감속기(202)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드럼(203)이 와이어로프(210)를 감을 경우 셀구조롤러게이트(101)는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좌우 측면에 설치된 롤러는 지지구조체(30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301)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므로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 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210)의 일단이 셀구조롤러게이트(101)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05)에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210)의 연결작업이 매우 쉽고 교체작업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드럼(203)에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로프(210)는, 3가닥 이상, 통상 10가닥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어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수문비의 승강장치와 같이 복수의 시브(sheave)를 이용하여 1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와이어드럼에 감는 방식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복수의 와이어로프(210)를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하여 와이어드럼(203)에 감는 방식이므로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가장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는 2°이내의 플리트각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압실린더(206)를 구동하여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킴으로써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승강한다.
즉,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을 위해 작동유압실린더(206)를 작동시키면 작동유압실린더(206)의 로드가 신축을 하면서 기어감속기(202)의 축을 회전시키고 기어감속기(202)에 전달된 회전은 다시 제1기어(204) 및 이와 맞물림 된 제2기어(205)로 전달되어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어드럼(203)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로프(210)가 와이어드럼(203)에 감기게 되고 따라서 와이어로프(210)와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작동유압실린더(206)를 구동하여 와어어드럼(203)을 셀구조롤러게이트(101)를 상승시킬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로프(210)가 풀리면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하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압실린더(207)를 구동하면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승강유압실린더(207)를 작동시켜 로드를 축소하면 로드의 축소된 거리만큼 와이어로프(210)를 끌어당기고 상기 와이어로프(210)와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들어 올려져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승강유압실린더(207)를 구동하여 로드를 신장하면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드럼(203)의 양측에 설치된 작동유압실린더(206)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켜 와이어로프(210)를 감거나 풀어주면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즉, 와이어드럼(203)의 양측에 설치된 작동유압실린더(206)를 작동하면 작동유압실린더(206)의 로드가 신축되면서 와이어드럼(203)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와 이어로프(210)가 와이어드럼(203)에 감기며, 와이어로프(210)와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들어 올려져 상승한다.
반대로 와이어로프(210)가 와이어드럼(203)에서 풀어지면 와이어로프(210)와 연결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하강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압실린더(207)를 구동하여 체인(209)을 끌어당기면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하게 된다.
즉, 승강유압실린더(207)를 작동하여 신장된 상태의 로드를 축소하면 체인(209)의 일단은 승강유압실린더(207)의 로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고정브래킷(105)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유압실린더(207) 로드의 축소된 거리만큼 체인(209)이 당겨지면서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하게 된다.
셀구조롤러게이트(101)의 승강 작동시 체인(209)의 선단은 체인스플로킷(211)을 따라 당겨지므로 당김 작동이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스프로킷(211)의 양측으로 설치된 유압모터(206)를 구동하여 체인(209)을 끌어당기면 수문비(100)의 셀구조롤러게이트(101)가 상승하게 된다.
즉, 체인스프로킷(211)의 양측으로 설치된 유압모터(206)를 구동하여 체인스프로킷(211)을 끌어당기면 체인(209)이 무게추(212) 쪽으로 끌어 당겨지고 무게추(212)는 체인(209)이 당겨진 만큼 아래로 하강하여 처진 상태가 되며 이때 셀구조롤러게이트(101)는 상승하여 열린 상태가 된다.
반대로 유압모터(206)를 구동하여 체인스프로킷(2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209)을 풀어주면 무게추(212)는 상승하고 셀구조롤러게이트(101)는 하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랩게이트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문비 101:셀구조롤러게이트 102:플랩게이트
103:힌지결합 104:개폐유압실린더 105:고정브래킷
200:승강장치 201:모터 202:기어감속기
203:와이어드럼 204:제1기어 205:제2기어
206:작동유압실린더 207:승강유압실린더 208:지지프레임
209:체인 210:와이어로프 211:체인스프로킷
212:무게추 300:지지구조체 301:가이드레일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모터 및 기어감속기와 연결되어 모터와 기어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드럼; 일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3가닥 이상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의 플리트각도가 2°이내인 수문비 승강장치와;
    수로 양측의 지지구조체 및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상, 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하단방류식 셀구조롤러게이트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브래킷과;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 상부에 셀구조롤러게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 및 힌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다단 회동 상단방류식 플랩게이트와;
    상기 플랩게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셀구조롤러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랩게이트를 수로방향으로 다단 회동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유압실린더와;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수동작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전 및 비상시에도 상기 개폐유압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게이트 수문비
  12. 삭제
KR1020090075575A 2009-08-17 2009-08-17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092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75A KR100929613B1 (ko) 2009-08-17 2009-08-17 복합게이트 수문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75A KR100929613B1 (ko) 2009-08-17 2009-08-17 복합게이트 수문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613B1 true KR100929613B1 (ko) 2009-12-03

Family

ID=4168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575A KR100929613B1 (ko) 2009-08-17 2009-08-17 복합게이트 수문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61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107B1 (ko) * 2011-07-21 2011-12-26 주식회사 삼안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101199472B1 (ko) 2012-08-24 2012-11-09 주식회사 삼안 방호벽용 방수문
KR101317313B1 (ko) 2013-05-20 2013-10-10 주식회사 우진산업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130136576A (ko) * 2011-05-20 2013-12-12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1348350B1 (ko) * 2011-11-10 2014-01-07 이명우 수로 개폐장치
KR20150106716A (ko)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의 구동 장치
WO2017000568A1 (zh) * 2015-06-30 2017-01-05 北京世纪合兴起重科技有限公司 液压启闭机应急操作装置
KR20170099717A (ko) * 2016-02-24 2017-09-01 (주)거도 수문 시스템
KR101775853B1 (ko) * 2016-12-30 2017-09-19 동근한 점검대가 구성되어 있는 다단제어식 가동보
CN109537249A (zh) * 2019-01-24 2019-03-29 浙江勇辉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绳收线机
CN114808867A (zh) * 2022-05-18 2022-07-29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一种闸门固定泻流装置的建造方法
KR102484663B1 (ko) 2022-04-25 2023-01-03 김성태 부력과 하중을 이용한 수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50A (ja) * 1995-02-16 1996-08-27 Kyowa Seisakusho:Kk ゲート開閉装置
KR200246809Y1 (ko) * 2001-06-04 2001-10-29 한상열 수문의 개폐장치
KR100685863B1 (ko) * 2006-05-03 2007-02-22 오재욱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KR100851860B1 (ko) * 2006-11-24 2008-08-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유압모터구동식 와이어드럼 수문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50A (ja) * 1995-02-16 1996-08-27 Kyowa Seisakusho:Kk ゲート開閉装置
KR200246809Y1 (ko) * 2001-06-04 2001-10-29 한상열 수문의 개폐장치
KR100685863B1 (ko) * 2006-05-03 2007-02-22 오재욱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KR100851860B1 (ko) * 2006-11-24 2008-08-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유압모터구동식 와이어드럼 수문구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576A (ko) * 2011-05-20 2013-12-12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1581193B1 (ko) * 2011-05-20 2015-12-30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1099107B1 (ko) * 2011-07-21 2011-12-26 주식회사 삼안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101348350B1 (ko) * 2011-11-10 2014-01-07 이명우 수로 개폐장치
KR101199472B1 (ko) 2012-08-24 2012-11-09 주식회사 삼안 방호벽용 방수문
KR101317313B1 (ko) 2013-05-20 2013-10-10 주식회사 우진산업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150106716A (ko)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의 구동 장치
WO2017000568A1 (zh) * 2015-06-30 2017-01-05 北京世纪合兴起重科技有限公司 液压启闭机应急操作装置
KR20170099717A (ko) * 2016-02-24 2017-09-01 (주)거도 수문 시스템
KR101885903B1 (ko) * 2016-02-24 2018-08-06 (주)거도 수문 시스템
KR101775853B1 (ko) * 2016-12-30 2017-09-19 동근한 점검대가 구성되어 있는 다단제어식 가동보
CN109537249A (zh) * 2019-01-24 2019-03-29 浙江勇辉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绳收线机
CN109537249B (zh) * 2019-01-24 2024-05-10 浙江勇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绳收线机
KR102484663B1 (ko) 2022-04-25 2023-01-03 김성태 부력과 하중을 이용한 수문 장치
CN114808867A (zh) * 2022-05-18 2022-07-29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一种闸门固定泻流装置的建造方法
CN114808867B (zh) * 2022-05-18 2024-01-09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一种闸门固定泻流装置的建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JP2007126862A (ja) 建築物用の水害・雪害および土砂災害対策構造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CN101886375B (zh) 圆筒滚动钢闸门
KR100995969B1 (ko) 수문 시스템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100820136B1 (ko) 수문구조물의 수문 탈거장치
CN109385983A (zh) 设置有泄洪表孔的重力坝
KR101458582B1 (ko) 유압식 권양기
KR101132128B1 (ko)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KR1008911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CN209603076U (zh) 设置有泄洪表孔的重力坝
CN209066393U (zh) 一种可倾式闸门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KR101250232B1 (ko) 로프식 유압수문
JP5699888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200286182Y1 (ko) 와이어로프식 수문장치
KR100752305B1 (ko) 가동수문의 유압 권양기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CN114086517B (zh) 适于挡潮闸的弧形链式闸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