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128B1 -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 Google Patents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128B1
KR101132128B1 KR1020110110646A KR20110110646A KR101132128B1 KR 101132128 B1 KR101132128 B1 KR 101132128B1 KR 1020110110646 A KR1020110110646 A KR 1020110110646A KR 20110110646 A KR20110110646 A KR 20110110646A KR 101132128 B1 KR101132128 B1 KR 10113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divided
unit
fix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희
Original Assignee
(주)우림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림휀스 filed Critical (주)우림휀스
Priority to KR102011011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둔치가 집중호우, 태풍 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범람할 때 휀스가 물의 흐름에 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휀스의 하부가 상부로 개방되는 구성이 구현되고, 휀스의 개방이 최소의 힘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이 천변으로 범람하면 하부가 상승되어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을 최소화하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있어서, 지면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공간이 형성된 고정휀스부와; 상기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에 설치되며, 상, 하로 2이상으로 분할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에 의해 분할된 최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는 분할승강휀스부와; 상기 분할승강휀스부와 결합되고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시 분할승강휀스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Fence for Sports Facilities in a riverside}
본 발명은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둔치가 집중호우, 태풍 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범람할 때 휀스가 물의 흐름에 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휀스의 하부가 상부로 개방되는 구성이 구현되고, 휀스의 개방이 최소의 힘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망체가 고정되는 프레임의 폭을 최소로 유지시켜 휀스의 좌, 우로 진행되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과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의 둔치(이하, 천변)는 인근의 시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특히, 공원으로 조성된 천변에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야구장, 축구장 등의 체육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야구장, 축구장 등의 체육시설에는 인근 보행자 및 자건거 트레킹, 낚시 등의 여가를 즐기는 시민이 야구공, 축구공에 맞아 부상을 당하는 일을 예방하기 위해 휀스가 설치된다.
한편, 한국의 기후 특성상 집중호우나 태풍에 의해 강이나 하천의 물이 천변으로 범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이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물이 범람하면 천변공원에 설치된 휀스도 상당한 높이만큼 물에 침수되는데, 상기 휀스는 물의 흐름에 저항하는 상태가 되며 물살에 의해 떠내려오는 각종 부유물이 휀스에 걸리면 휀스자체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13558호(명칭: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하천둔치용 엘리베이팅 타입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이하 기출원발명)에는 천변이 상당한 높이로 침수된 경우 휀스(휀스와 동일한 명칭으로 원문을 기준하여 표기함)의 하부가 상측으로 상승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출원발명의 휀스는 지주에 메인휀스부가 목적하는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휀스부는 지면에서 특정의 높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휀스부의 지면과 이격된 공간에 보조휀스망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휀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휀스망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휀스가 설치된 천변으로 강이나 하천의 물이 범람할 우려가 발생되면, 작업자는 모터를 구동시켜 보조휀스부의 보조휀스망이 상승되며 이에따라 메인휀스부의 하부가 개방됨에 의해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 게이트 형태가 유지되어 물의 흐름의 저항요인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출원발명은 보조휀스망이 상승측으로 상승될 때 상승초기부터 상당한 하중의 보조휀스망을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구동력이 요구되며, 상기 상당한 하중의 보조휀스망은 단위 구동력에 대해 상승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기출원발명은 보조휀스망의 상승구성이 보조휀스망의 상부에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연결부재가 수평권취부에 권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휀스망은 메인휀스부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에따라 메인휀스부와 보조휀스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는 메인휀스부와 보조휀스부가 설치되기 위한 상당한 길이의 전, 후방 폭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휀스의 전, 후방 폭은 휀스의 좌, 우측으로 진행될 때 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뿐만아니라, 휀스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휀스의 하부가 상부로 개방되는 구성에서 휀스의 개방이 최소의 힘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망체가 고정되는 프레임의 폭을 최소로 유지시켜 휀스의 좌, 우로 진행되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과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이 천변으로 범람하면 하부가 상승되어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을 최소화하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있어서, 지면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공간이 형성된 고정휀스부와; 상기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에 설치되며, 상, 하로 2이상으로 분할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에 의해 분할된 최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는 분할승강휀스부와; 상기 분할승강휀스부와 결합되고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시 분할승강휀스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휀스부는, 하부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된 틀체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틀체형태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할승강휀스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통수공간 형성되도록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 망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승강휀스부는,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 상부에서 고정휀스부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휀스부와; 상기 제 1 승강휀스부의 하측에서 고정휀스부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구부와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어 구동기구부에 의해 상승될 때 제 1 승강휀스부 측으로 1차 상승된 후 제 1 승강휀스부를 견인하여 고정휀스부의 상부측으로 상승되는 제 2 승강휀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승강휀스부는, 양측이 고정휀스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틀체형태의 망체프레임과; 상기 망체프레임의 틀체형태 내측에 결합되어 메쉬구조를 형성하는 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구부는, 적어도 분할승강휀스부가 상승된 지점보다 상부의 고정휀스부에 설치되고, 분할승강휀스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좌, 우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분할승강휀스부의 최하측의 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분할승강휀스부를 견인하여 승강시키는 견인부재와; 상기 고정휀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휀스부는 좌, 우로 다수개 연접되어 배치되어 각각의 하단부에 기초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휀스부의 기초블록이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매설되도록 한 연결기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승강휀스부는, 고정휀스부의 통수공간 상부에서 고정휀스부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구동휀스부와; 상기 승강구동휀스부의 하단부에 각도회전되어 절첩될 수 있도록 결합된 절첩구동휀스부;와; 상기 절첩구동휀스부와 승강구동휀스부에 걸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첩구동휀스부가 절첩되면, 상기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착탈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도니다.
이때, 상기 착탈결합부는 승강구동휀스부와 절첩구동휀스부 중 어느 일측의 외주면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걸이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끝단부에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승강구동휀스부와 절첩구동휀스부 중 상기 걸이부재의 결합단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결합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부는, 회전축에 결합된 견인부재의 일측이 연장되며, 연장된 지점에 분할승강휀스부의 하중과 대응되는 하중의 추가 결합되어 최소한의 구동력으로 분할승강휀스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토크하중저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기구부는 분할승강휀스부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분할승강휀스부와 고정휀스부의 프레임 또는 분할승강휀스부와 견인부재에 걸쳐 체결유닛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휀스의 개방이 최소의 힘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수행되어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부하가 최소화되고 휀스를 개방시키는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휀스가 상호 연결된 기초구성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설치되며, 견고한 설치구성에 의해 휀스의 전, 후방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휀스의 좌, 우측으로 진행되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이 최소화됨에 따른 휀스의 훼손우려를 해소하고, 설치공간을 적게 점유하여 공간활용이 유리하도록 한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분할승강휀스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동기구부 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동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분할승강휀스부 확대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구동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분할승강휀스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동기구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는 천변공원에 형성된 야구장, 축구장 등의 경기장 외곽에 설치되어 야구공, 축구공 등이 경기장의 외부로 이탈되어 공원 이용자에게 피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휀스는 고정휀스부(10), 분할승강휀스부(20), 구동기구부(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구성은 단위체의 구성으로, 상기 휀스는 좌, 우로 다수개 연접되어 목적하는 구간에 걸쳐 울타리를 형성하는 구성임은 주지된 것과 같다.
상기 고정휀스부(10)는 지면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공간(S)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휀스부(10)는 프레임(11), 망체(1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은 하부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된 틀체형태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11)은 주로 철제의 빔을 대략 직사각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망체(12)는 프레임(11)의 틀체형태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망체(12)는 메쉬구조이며, 예로써 야구장에 적용되어 설치될 경우 상기 메쉬구조의 격자공간이 야구공보다 작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망체(12)는 전술된 통수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는 고정휀스부(10)의 망체(12) 하측에 형성된 통수공간(S)에 설치된다. 이와같은 분할승강휀스부(20)는 상, 하로 2이상 분할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에 의해 분할된 최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위해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승강휀스부(21), 제 2 승강휀스부(22)가 상, 하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 승강휀스부(21)는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승강휀스부(22)는 제 1 승강휀스부(21)의 하측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승강휀스부(22)는 전술된 구동기구부(30)와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 2 승강휀스부(22)는 구동기구부(30)에 의해 상승될 때 제 1 승강휀스부(21) 측으로 1차 상승된 후 제 1 승강휀스부(21)를 견인하여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승강휀스부(22)는 구동기구부(30)에 의해 제 1 승강휀스부(21)와 포개어지는 위치까지 상승한 후 제 1 승강휀스부(21)를 견인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위해 상기 제 2 승강휀스부(22)의 하단부에는 제 1 승강휀스부(21) 측으로 돌출된 견인돌기(23)가 형성되어 제 1 승강휀스부(21)의 하단부에 걸려져 견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승강휀스부(21, 22)는, 양측이 고정휀스부(10)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틀체형태의 망체프레임(24)의 내측에 전술한 고정휀스부(10)의 망체(12)와 같은 메쉬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망부재(25)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망체프레임(24)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기 위해 상기 망체프레임(24)의 양측에는 베어링, 롤러 등의 구름부재(26)가 결합되고, 구름부재(26)가 상, 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망체프레임(24)의 양측이 결합되는 고정휀스부(10)의 프레임(11)에는 구름부재(26)가 투입되어 이동되는 궤적의 슬릿(27)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구부(30)는 전술된 것과 같이 분할승강휀스부(20)와 결합되고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부(30)는 강이나 하천의 범람시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부재(31), 견인부재(32), 구동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재(31)는 적어도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될 경우, 그 지점보다 상부의 고정휀스부(10)에 설치된다. 특히, 이와 같은 설치부재(31)에는 분할승강휀스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축(34)이 좌, 우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견인부재(32)는 설치부재(31)의 회전축(34)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분할승강휀스부(20)의 최하측의 부재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견인부재(32)는 회전축(34)의 회전에 의해 분할승강휀스부(20)를 견인하여 승강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위해 상기 견인부재(32)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적용하고, 상기 설치부재(31)의 회전축(34)에 드럼이나 롤러 등을 결합하여 윈치를 구성하거나, 회전축(34)과 고정휀스부(10)의 프레임(11)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스프로킷을 장착하고 체인을 걸어 체인구동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는 고정휀스부(10)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4)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33)는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축(3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5)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3)는 휀스가 강이나 하천이 자주 범람하는 천변에 설치됨을 감안할 때 전기전원의 사용이 제한된다면, 상기 와이어를 직접 당기는 작업자가 주체가 되거나 보다 편리한 작업 수행을 위해 와이어의 권취 또는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윈치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동상태 예시도이다.
도 5a는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집중호우가 예상될 경우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구동부(33)를 구동시켜 회전축(34)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4)에 의해 와이어로 적용된 견인부재(32)가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의 상승은 먼저 도 5b에서와 같이 제 2 승강휀스부(22)가 상승하여 제 2 승강휀스부(22) 측으로 상승되어 흡사 제 2 승강휀스부(22)가 제 1 승강휀스부(21)에 포개어진 상태가 된 후, 도 5c에서와 같이 계속된 구동부(33)의 구동에 의해 제 1 승강휀스부(21)가 상승되면, 제 1 승강휀스부(21)에 형성된 견인돌기(23)에 의해 제 2 승강휀스부(22)가 제 1 승강휀스부(21)에 의해 견인되며 상승되어 고정휀스부(10) 측으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가 고정휀스부(10)로 상승되면, 통수공간(S)이 개방된 상태가 되며, 강이나 하천이 천변으로 범람할 경우 물과 물에 부유된 각종 이물질 등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수위가 낮아져 천변이 원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구동부(33)의 구동에 의해 분할승강휀스부(20)는 하강하여 도 5a와 같은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의 하강은 우선 포개어진 형태의 제 1 승강휀스부(21)와 제 2 승강휀스부(22)가 하강되어 도 5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최종적으로 제 2 승강휀스부(22)가 하강하여 초기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추가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추가 실시예의 휀스는 다수개 연접되어 야구장 또는 축구장 등의 경기장 울타리로 설치될 때 이들 다수개의 휀스간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한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위해, 상기 휀스는 고정휀스부(10)가 좌, 우로 다수개 연접되어 배치되어 각각의 하단부에 기초블록(41)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휀스부(10)의 기초블록(41)이 연결부재(42)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매설되도록 한 연결기초부(40)의 구성을 갖추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초블록(41)은 콘크리트 등을 대략 사다리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고, 그 기초블록(41) 상에 고정휀스부(10)의 프레임(11) 하단부가 기초볼트 등으로 타설되어 고정휀스부(10)의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고정휀스부(10)의 기초블록(41)은 특정개수의 기초블록(41)을 연결하여 일체화한 연결부재(42)에 의해 매설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며, 견고하게 지지된 기초에 의해 상기 고정휀스부(10)는 물살의 진행에 의한 대응응력이 높아져 보다 안정된 설치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분할승강휀스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1의 휀스는 분할승강휀스부(50)를 보다 신속하게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할승강휀스부(50)는 승강구동휀스부(51), 절첩구동휀스부(52), 착탈결합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휀스부(51)는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승강구동휀스부(51)는 양측이 고정휀스부(10)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틀체형태의 망체프레임(24)의 내측에 전술한 고정휀스부(10)의 망체(12)와 같은 메쉬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망부재(25)가 장착되어 구성됨은 원실시예에서와 같다.
상기 절첩구동휀스부(52)는 승강구동휀스부(51)의 하단부에 각도회전되어 절첩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절첩구동휀스부(52)는 승강구동휀스부(51)의 하단부에서 각도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경첩(53)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착탈결합부(60)는 절첩구동휀스부(52)와 승강구동휀스부(51)에 걸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첩구동휀스부(52)의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위해 상기 착탈결합부(60)는 걸이부재(61), 결합고정부(62)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재(61)는 승강구동휀스부(51)와 절첩구동휀스부(52) 중 어느 일측(도면에서는 절첩구동휀스부)의 외주면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61)의 끝단부에는 결합단부(6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고정부(62)는 승강구동휀스부(51)와 절첩구동휀스부(52) 중 상기 걸이부재(61)의 결합단부(63)와 대응하는 지점(도면에서는 승강구동휀스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고정부(62)는 결합단부(63)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돌기형태의 구성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구동상태 예시도이다.
도 10a는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집중호우가 예상될 경우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절첩구동휀스부(52)를 도 10b에서와 같이 각도회전시켜 승강구동휀스부(51) 측으로 절첩시킨 후, 원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부(33)를 구동시켜 회전축(34)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4)에 의해 와이어로 적용된 견인부재(32)가 도 10c에서와 같이 승강구동휀스부(51)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분할승강휀스부(20)는 작업자가 미리 절첩구동휀스부(52)를 절첩시켜 상승되어야 할 높이가 축소되기 때문에 분할승강휀스부(20)를 최대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첩구동휀스부(52)를 절첩시킨 후 전술된 착탈결합부(60)의 걸이부재(61)를 회전시켜 걸이부재(61)의 결합단부(63)가 결합고정부(62)에 걸려지도록 하면 절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2>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2의 휀스는 천변으로 전기전원을 연결하기 불편하고, 특히, 천변공원의 침수시 단선 등의 우려에 의해 전기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분할승강휀스부(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위해 구동기구부(70)는 원실시예의 구성에서 토크하중저감부(71)를 더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토크하중저감부(71)는 회전축(34)에 결합된 견인부재(32)의 일측이 연장형성되고, 연장된 지점에 분할승강휀스부(20)의 하중과 대응되는 하중의 추(7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추(72)는 적어도 분할승강휀스부(20) 보다 무겁지 않도록 형성되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되는 상태를 예방한다.
이와 같은 토크하중저감부(71)는 상기 추(72)의 하중에 의해 작업자가 분할승강휀스부(20)를 보다 손쉽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상기 추(72)의 하중에 의해 일정부분 감쇄되어 작업자가 추(72)의 하중에 의해 감쇄된 힘의 나머지 힘으로 견인부재(32)를 당겨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토크하중저감부(71)는 전술된 것과 같이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지만, 전기전원을 연결하여 모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때 모터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최소화하여 모터의 용량을 낮추어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크하중저감부(71)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적용할 경우 낮은 용량의 모터 사용에 따른 제작경비 감소 및 모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구동기구부(30)는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분할승강휀스부(20)와 고정휀스부(10)의 프레임(11) 또는 분할승강휀스부(20)와 견인부재(32)에 걸쳐 체결유닛(8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체결유닛(80)은 분할승강휀스부(20) 또는 프레임(11)에 힌지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걸고리(81)와,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된 후 걸고리(81)와 대응하는 지점에 걸고리(8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의해 고정지지되기 위한 고정돌기(82)가 형성된다.
10: 고정휀스부 20, 50: 분할승강휀스부
30, 70: 구동기구부 40: 연결기초부
60: 착탈결합부 80: 체결유닛

Claims (10)

  1. 강이나 하천이 천변으로 범람하면 하부가 상승되어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을 최소화하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있어서,
    지면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공간(S)이 형성된 고정휀스부(10)와;
    상기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에 설치되며, 상, 하로 2이상으로 분할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에 의해 분할된 최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는 분할승강휀스부(20)와;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와 결합되고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 설치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시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기구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는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휀스부(21)와;
    상기 제 1 승강휀스부(21)의 하측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구부(30)와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어 구동기구부(30)에 의해 상승될 때 제 1 승강휀스부(21) 측으로 1차 상승된 후 제 1 승강휀스부(21)를 견인하여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상승되는 제 2 승강휀스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승강휀스부(21, 22)는, 양측이 고정휀스부(10)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틀체형태의 망체프레임(24)과;
    상기 망체프레임(24)의 틀체형태 내측에 결합되어 메쉬구조를 형성하는 망부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휀스부(10)는
    하부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된 틀체형태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틀체형태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의 높이에 대응하여 통수공간(S)이 형성되도록 프레임(11)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 망체(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부(30)는
    적어도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된 지점보다 상부의 고정휀스부(10)에 설치되고, 분할승강휀스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축(34)이 좌, 우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설치부재(31)와;
    상기 설치부재(31)의 회전축(34)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분할승강휀스부(20)의 최하측의 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축(34)의 회전에 의해 분할승강휀스부(20)를 견인하여 승강시키는 견인부재(32)와;
    상기 고정휀스부(10)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4)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축(3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휀스부(10)는
    좌, 우로 다수개 연접되어 배치되어 각각의 하단부에 기초블록(41)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휀스부(10)의 기초블록(41)이 연결부재(42)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매설되도록 한 연결기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7. 강이나 하천이 천변으로 범람하면 하부가 상승되어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해요인을 최소화하도록 한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에 있어서,
    지면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수공간(S)이 형성된 고정휀스부(10)와;
    상기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에 설치되며, 상, 하로 2이상으로 분할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에 의해 분할된 최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는 분할승강휀스부(20)와;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와 결합되고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 설치되어 강이나 하천의 범람시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기구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승강휀스부(20)는, 고정휀스부(10)의 통수공간(S) 상부에서 고정휀스부(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구동휀스부(51)와;
    상기 승강구동휀스부(51)의 하단부에 각도회전되어 절첩될 수 있도록 결합된 절첩구동휀스부(52);와;
    상기 절첩구동휀스부(52)와 승강구동휀스부(51)에 걸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첩구동휀스부(52)가 절첩되면, 상기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착탈결합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60)는
    승강구동휀스부(51)와 절첩구동휀스부(52) 중 어느 일측의 외주면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걸이부재(61)가 결합되며, 상기 걸이부재(61)의 끝단부에는 결합단부(63)가 형성되어 승강구동휀스부(51)와 절첩구동휀스부(52) 중 상기 걸이부재(61)의 결합단부(63)와 대응하는 지점에 결합단부(63)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고정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부(30)는
    상기 회전축(34)에 결합된 견인부재(32)의 일측이 연장되며, 연장된 지점에 분할승강휀스부(20)의 하중과 대응되는 하중의 추(72)가 결합되어 최소한의 구동력으로 분할승강휀스부(2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토크하중저감부(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부(30)는
    분할승강휀스부(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분할승강휀스부(20)와 고정휀스부(10)의 프레임(11) 또는 분할승강휀스부(20)와 견인부재(32)에 걸쳐 체결유닛(8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KR1020110110646A 2011-10-27 2011-10-27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KR10113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646A KR101132128B1 (ko) 2011-10-27 2011-10-27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646A KR101132128B1 (ko) 2011-10-27 2011-10-27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128B1 true KR101132128B1 (ko) 2012-04-02

Family

ID=461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646A KR101132128B1 (ko) 2011-10-27 2011-10-27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62B1 (ko) * 2012-04-25 2013-04-23 김원일 승강펜스
KR101898924B1 (ko) * 2017-11-15 2018-09-17 송덕용 무동력 네트부재 자동 권취장치를 구비한 펜스
KR102211388B1 (ko)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승강 프레임형 그물망 승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12A (ko) * 2005-05-04 2006-11-08 이원섭 접철식 철망 지지 장치
KR100987506B1 (ko) * 2009-09-10 2010-10-12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하천둔치용 엘리베이팅 타입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KR20110126027A (ko) * 2010-09-06 2011-11-22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커튼식 하천둔치용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12A (ko) * 2005-05-04 2006-11-08 이원섭 접철식 철망 지지 장치
KR100987506B1 (ko) * 2009-09-10 2010-10-12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하천둔치용 엘리베이팅 타입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KR20110126027A (ko) * 2010-09-06 2011-11-22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커튼식 하천둔치용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62B1 (ko) * 2012-04-25 2013-04-23 김원일 승강펜스
KR101898924B1 (ko) * 2017-11-15 2018-09-17 송덕용 무동력 네트부재 자동 권취장치를 구비한 펜스
KR102211388B1 (ko)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승강 프레임형 그물망 승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4110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1132128B1 (ko) 천변 체육시설용 휀스
KR101423496B1 (ko)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CN105492694B (zh) 旋转废物移除设备
CN208183753U (zh) 一种用于软土地区的基坑围护结构
KR101060610B1 (ko) 무빙 월
KR101173221B1 (ko)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커튼식 하천둔치용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KR101336634B1 (ko) 통수 기능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계식 개폐가 가능한 천변 체육시설용 안전 펜스
KR20120029818A (ko)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
KR101248063B1 (ko) 부양형 야외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CN212295877U (zh) 一种市政工程用升降式围栏
KR101126781B1 (ko)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JP6884373B2 (ja) 高層ビルの解体工法
JP5914919B2 (ja) 風力発電設備の設置用構造
KR20170124883A (ko) 그물망 권취형 승하강 휀스
KR100987506B1 (ko)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하천둔치용 엘리베이팅 타입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JP2020529301A (ja) スポーツフィールドカバーシステム
CN113175240B (zh) 一种地坑院建筑
CN220458092U (zh) 一种伸缩式避雨棚
CN219033087U (zh) 一种防倒灌装置
CN117552546B (zh) 一种采用多层铝合金制作的抗震型篷房及其制作方法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