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107B1 -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107B1
KR101099107B1 KR1020110072483A KR20110072483A KR101099107B1 KR 101099107 B1 KR101099107 B1 KR 101099107B1 KR 1020110072483 A KR1020110072483 A KR 1020110072483A KR 20110072483 A KR20110072483 A KR 20110072483A KR 101099107 B1 KR101099107 B1 KR 10109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ain gate
water
radia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11007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은, ⅰ)수압이 작용하는 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게이트와, ⅱ)메인 게이트의 상단부에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게이트와, ⅲ)메인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메인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들과, ⅳ)서브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서브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RADIAL FLOODGAT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대형 댐에서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한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 시스템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에 구성되는 것으로, 담수설비의 담수율 또는 저수설비의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수문 시스템은 게이트로서의 수문과, 그 수문을 개폐하는 권양장치를 채용하는데, 상기에서의 수문은 권양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하단 방류 방식의 인양식 수문과, 권양장치에 의해 수로의 바닥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도되는 상단 월류 방식의 전도식 수문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하단 방류 방식의 인양식 수문은 대형 댐에서 필요에 따라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주로 강한 수압을 견뎌낼 수 있도록 구면으로 이루어진 레이디얼 수문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댐이나 하천 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저수율 상승을 통한 효용성 증대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제방 덧쌓기 등의 보수 작업으로 저수위를 높이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저수위 증대 방법은 수위의 유기적인 대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수반되어 당 업계에서는 유기적으로 저수율을 조정할 수 있는 수문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단 방류형 레이디얼 게이트와 상단 월류형 전도식 게이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수위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은, ⅰ)수압이 작용하는 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게이트와, ⅱ)상기 메인 게이트의 상단부에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게이트와, ⅲ)상기 메인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들과, ⅳ)상기 서브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서브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는 레이디얼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게이트는 표층수를 방류하는 전도 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게이트와 서브 게이트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서브 게이트의 상단을 월류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바닥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의 양측으로 가이드 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상기 메인 게이트의 배면 하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직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후방 측에는 상기 수직 스크린을 거친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평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스크린은 상기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스크린은 상기 수직 스크린 보다 메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벽을 따라 제1 접근로와 난간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맨홀 뚜껑으로 덮힌 작업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작업 구멍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접근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은, 상기 메인 게이트의 개문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개도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도계는 상기 힌지축으로서의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회전암과,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암이 커플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도 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게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와, 수로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와, 상기 실린더 튜브와 실린더 로드를 각각 수용하며 이들 실린더 튜브 및 실린더 로드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호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호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은, 수압이 작용하는 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게이트와, 상기 메인 게이트의 상단부에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게이트와, 상기 메인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들과, 상기 서브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서브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서브 게이트의 상단을 월류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바닥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의 양측으로 가이드 벽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벽을 따라 제1 접근로와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상기 메인 게이트의 배면 하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와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직 스크린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접근로와 연결되며 맨홀 뚜껑으로 마감되는 작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스크린의 후방 측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을 거친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평 스크린이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디얼 게이트 타입의 메인 게이트와 전도 타입의 서브 게이트를 일체로 구성함에 따라, 수위 변화에 따라 메인 게이트를 통해 하층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고, 서브 게이트를 통해 표층수를 상단 월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게이트와 서브 게이트의 적절한 개폐 작동으로 수위 변화에 대해 유기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저수율 조정이 용이하며,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게이트를 통해 방류되는 표층수의 부유물을 수직 스크린 및 수평 스크린을 통해 걸러 낼 수 있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적용되는 서브 게이트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도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에 구성되는 것으로, 담수설비의 담수율 또는 저수설비의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대형 댐에서 필요에 따라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주로 강한 수압을 견뎌낼 수 있도록 한 댐용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수문(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문비" 또는 "게이트" 라고도 한다)을 유압으로서 수로의 바닥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층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는 수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수로의 양측에 설치된 측부 문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수문의 양 사이드부를 지지하고, 그 측부 문틀에 수문을 힌지 결합함으로써 유압을 이용하여 수문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수로의 바닥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단 방류 방식의 수문과, 이 하단 방류 방식의 수문에 상단 월류 방식의 수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하단 방류 방식의 수문을 통해 가두어진 물의 하층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고, 상단 월류 방식의 수문을 통해 물의 표층수를 상단 월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상단 월류 방식의 수문을 통해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방류된 표층수의 부유물을 걸러 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메인 게이트(10)와, 서브 게이트(40)와, 제1 유압 실린더들(70)과, 제2 유압 실린더들(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게이트(10)는 수로의 바닥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두어진 물의 하층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는 레이디얼 게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게이트(10)는 수로의 양측에 설치된 측부 문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양 사이드부가 지지되고, 그 측부 문틀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에 설치된 바닥 문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상하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게이트 본체(1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에 있어 수압이 작용하는 면을 전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쪽 면을 배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는 전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측부 문틀에 힌지축(13)을 통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그 힌지축(13)과 연결되는 연결 로드(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의 양 사이드부 가장자리단에는 그 양 사이드부와 측부 문틀 사이의 틈새로 물이 통과되지 않게 하는 고무 소재의 제1 지수부재(17)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의 하단부에는 그 하단부와 바닥 문틀 사이의 틈새로 물이 통과되지 않게 하는 고무 소재의 제2 지수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18은 제1 게이트 본체(11)의 양 사이드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사이드 롤러(18)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하 회전 시 측부 문틀에 접촉하며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게이트(40)는 제1 게이트 본체(11)에 의해 가두어진 물의 표층수를 필요에 따라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측으로 상단 월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브 게이트(40)는 메인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에서 물을 가로 막고,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며 물을 상단 월류시킬 수 있는 다단 전도 게이트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 게이트(40)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에 수로의 폭 방향을 따라 그 상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수로의 길이 방향 즉, 제1 게이트 본체(11)의 전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회전하는 제2 게이트 본체(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게이트 본체(41)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측부 문틀(1) 사이에서 제1 게이트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사이드부가 측부 문틀(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게이트 본체(41)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에 설치된 바닥 문틀(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게이트 본체(41)는 가로 및 세로 격벽에 의해 다수 개의 셀들이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셀들이 조합된 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에서는 제2 게이트 본체(41)가 셀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블록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게이트 본체(41)는 도 3에서와 같이, 이의 하단부가 바닥 문틀(3)에 힌지 결합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유압 실린더들(80)에 의해 제1 게이트 본체(11)의 전후 방향(도면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게이트 본체(41)의 하단부와 바닥 문틀(3)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틈새로 물이 통과되지 않게 하는 수밀 수단으로서 제3 지수부재(43)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지수부재(43)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2 게이트 본체(41)의 하단부와 바닥 문틀(3)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45는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을 넘어 낙하하는 이물질(고목, 잡석 등의 이물질)이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부 측과 바닥 문틀(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유닛을 나타낸다.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45)은 상판(46)과 하판(47)으로 이루어지는데, 상판(46)은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판(47)에 구름 접촉되고, 하판(47)은 제2 유압 실린더들(80)에 힌지 결합되며 바닥 문틀(3)에 구름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서브 게이트(40)의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0322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압 실린더들(7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 게이트 본체(11)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압 실린더들(70)은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제1 게이트 본체(11)의 양 사이드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수로의 양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며, 유압 발생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으로서 제1 게이트 본체(11)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압 실린더(70)는 제1 게이트 본체(11)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73: 도 1 참조)와, 수로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실린더 튜브(73)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75: 도 1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압 실린더(70)는 실린더 튜브(73)와 실린더 로드(75)를 각각 수용하며 이들 실린더 튜브(73) 및 실린더 로드(75)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호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호관(71)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보호관(71)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로드(75)의 전후진 작동 시 상호 간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압 실린더들(80)은 유압으로서 제2 게이트 본체(41)를 제1 게이트 본체(11)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유압 실린더(80)는 다수 개로서 제2 게이트 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 게이트 본체(41)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바닥 문틀(3)과 제2 게이트 본체(41)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압 실린더(80)는 바닥 문틀(3)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부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압 실린더들(80)은 실린더 튜브와 작동 로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사각형의 보호관(81) 내부에 각각 구성되며, 작동 로드의 전후진 작동 시 보호관(81)이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유압 실린더들(80)의 구성 및 결합 구조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0322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2 및 도 4에서와 같이, 서브 게이트(40)의 제2 게이트 본체(41) 상단으로 월류되는 표층수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바닥판(21)과, 가이드 벽(23)이 메인 게이트(10)의 제1 게이트 본체(11) 배면 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이드 바닥판(21)은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측에서 제2 게이트 본체(41)의 하측에 수평 방향에서 아래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벽(23)은 가이드 바닥판(21)의 양측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가이드 바닥판(21)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측에는 가이드 벽(23)을 따라 제1 접근로(27)와 난간(28)이 설치되는데, 제1 접근로(27)는 작업자가 가이드 바닥판(21)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를 형성하며, 난간(28)은 제1 접근로(27)를 따라 설치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21)에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하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5)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25)는 가이드 바닥판(21)의 경사 방향 아래쪽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닥판(21)에는 배수구(25)와 인접하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스크린(3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스크린(31)은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을 월류하며 방류되는 물의 각종 부유물, 예컨대 크기가 큰 고목 등의 부유물을 걸러 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31)의 후방 측에는 수직 스크린(31)을 거친 각종 부유물을 걸러 내기 위한 수평 스크린(33)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상기 수평 스크린(33)은 가이드 바닥판(21)의 배수구(25)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 스크린(33)은 수직 스크린(3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매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 스크린(33)은 수직 스크린(31)에서 걸러지지 않고 통과한 각종 부유물을 걸러 내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닥판(21)에는 맨홀 뚜껑(35)으로 덮힌 작업 구멍(37)이 형성되는 바, 맨홀 뚜껑(35)은 제2 게이트 본체(41)의 상단을 월류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작업 구멍(37)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측에는 작업자가 작업 구멍(37)을 통해 가이드 바닥판(21)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 작업 구멍(37)과 연결되는 제2 접근로(39)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은 메인 게이트(10)의 개방(개문)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개도계(90)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도계(90)는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암(91)과, 고정 브라켓(92)과, 센서 케이스(9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회전암(91)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힌지축(13)으로서의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연결 로드(15)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암(91)은 회전축(94)을 통해 힌지축(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92)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센서 케이스(93)가 설치되는 것으로, 힌지축(13)이 설치된 고정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케이스(93)는 커플러(95)를 통해 회전암(9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제1 케이스(96)와 제2 케이스(97)가 조립된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케이스(97)에는 커플러(95)를 통해 회전암(9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96, 97)가 조립된 센서 케이스(93)의 내부에는 각도 센서(98)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 센서(98)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회전에 따른 회전암(9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할 수 있는 이른 바 엔코더 방식의 각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센서(98)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각도 센서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의 작동 및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게이트(10)의 제1 게이트 본체(11)는 제1 유압 실린더(7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수로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게이트(40)의 제2 게이트 본체(41)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에서 제2 유압 실린더(80)에 의해 제1 게이트 본체(11)의 전방 측으로 기립되게 회전된 상태로 일정 수위의 물을 가둘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의 상단부와 제2 게이트 본체(41)의 하단부 사이에는 제3 지수부재(4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게이트 본체(11, 41) 사이의 틈새로 물이 통과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는 제1 유압 실린더(70)에 의해 제2 게이트 본체(41)와 함께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두어진 물의 하층수를 방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1 게이트 본체(11)가 회전하므로, 개도계(90)의 회전암(91) 또한 회전하게 되고, 각도 센서(98)는 제1 게이트 본체(11)의 회전에 따른 회전암(9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도계(90)를 통해 제1 게이트 본체(1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제어기를 통하여 제1 게이트 본체(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게이트 본체(11)가 수로를 가로막고 제2 게이트 본체(41)가 기립된 상태로 일정 수위의 물을 가두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유압 실린더(80)를 통해 제2 게이트 본체(41)를 유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가두어진 물의 표층수가 제2 게이트 본체(41)를 월류하여 가이드 바닥판(21)과 가이드 벽(23)을 따라 흐르며 배수구(25)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 수직 스크린(31)은 크기가 큰 나무 등과 같은 각종 부유물을 걸러 내고, 수평 스크린(33)은 수직 스크린(31)에서 걸러지지 않은 크기가 작은 각종 부유물을 걸러 낸다.
이렇게 수직 스크린(31)과 수평 스크린(33)을 거치며 각종 부유물이 걸러진 물은 배수구(25)를 통해 제1 게이트 본체(11)의 배면 하측으로 배출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유압 실린더(80)를 통해 제2 게이트 본체(41)를 유수 방향으로 기립시키면서 제2 게이트 본체(41)를 월류하는 물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게이트 본체(41)를 기립시킨 상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제1 접근로(27)를 따라 가이드 바닥판(21) 쪽으로 진입함으로써 수직 스크린(31)과 수평 스크린(33)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을 버킷(B: 도 1 참조) 등에 담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킷(B)에 담겨진 부유물은 크레인(C)에 의해 수로 외측으로 옮겨질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 접근로(39)를 이용하여 가이드 바닥판(21) 쪽으로 진입할 수 있는데, 맨홀 뚜껑(35)으로 덮힌 작업 구멍(37)을 통하여 가이드 바닥판(21)으로 진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100)에 의하면, 레이디얼 게이트 타입의 메인 게이트(10)와 전도 타입의 서브 게이트(40)를 일체로 구성함에 따라, 수위 변화에 따라 메인 게이트(10)를 통해 하층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고, 서브 게이트(40)를 통해 표층수를 상단 월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게이트(10)와 서브 게이트(40)의 적절한 개폐 작동으로 수위 변화에 대해 유기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저수율 조정이 용이하며,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게이트(40)를 통해 방류되는 물의 부유물을 수직 스크린(31) 및 수평 스크린(33)을 통해 걸러 낼 수 있고, 크레인(C)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메인 게이트 11... 제1 게이트 본체
13... 힌지축 15... 연결 로드
17... 제1 지수부재 18... 사이드 롤러
19... 제2 지수부재 21... 가이드 바닥판
23... 가이드 벽 25... 배수구
27... 제1 접근로 28... 난간
31... 수직 스크린 33... 수평 스크린
35... 맨홀 뚜껑 37... 작업 구멍
39... 제2 접근로 40... 서브 게이트
41... 제2 게이트 본체 43... 제3 지수부재
45... 이물질 제거유닛 70... 제1 유압 실린더
80... 제2 유압 실린더 90...개도계
91... 회전암 92... 고정 브라켓
93... 센서 케이스 98... 각도 센서

Claims (12)

  1. 수압이 작용하는 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게이트;
    상기 메인 게이트의 상단부에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게이트;
    상기 메인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들; 및
    상기 서브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서브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들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서브 게이트의 상단을 월류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바닥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의 양측으로 가이드 벽이 설치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는 레이디얼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게이트는 표층수를 방류하는 전도 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게이트와 서브 게이트가 일체로 구성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상기 메인 게이트의 배면 하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직 스크린이 설치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후방 측에는 상기 수직 스크린을 거친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평 스크린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 스크린은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스크린은 상기 수직 스크린 보다 메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벽을 따라 제1 접근로와 난간이 설치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맨홀 뚜껑으로 덮힌 작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작업 구멍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접근로가 설치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의 개문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개도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도계는:
    상기 힌지축으로서의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회전암과,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암이 커플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도 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를 포함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게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와,
    수로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와,
    상기 실린더 튜브와 실린더 로드를 각각 수용하며 이들 실린더 튜브 및 실린더 로드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호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호관
    을 포함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12. 수압이 작용하는 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로 양측의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게이트;
    상기 메인 게이트의 상단부에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게이트;
    상기 메인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들; 및
    상기 서브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서브 게이트를 유압으로서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게이트에는 상기 서브 게이트의 상단을 월류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바닥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의 양측으로 가이드 벽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벽을 따라 제1 접근로와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닥판에는 상기 메인 게이트의 배면 하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와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직 스크린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게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접근로와 연결되며 맨홀 뚜껑으로 마감되는 작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스크린의 후방 측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을 거친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평 스크린이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1020110072483A 2011-07-21 2011-07-21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10109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83A KR101099107B1 (ko) 2011-07-21 2011-07-21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83A KR101099107B1 (ko) 2011-07-21 2011-07-21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107B1 true KR101099107B1 (ko) 2011-12-26

Family

ID=4550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483A KR101099107B1 (ko) 2011-07-21 2011-07-21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1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8281A (zh) * 2017-05-08 2017-07-28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窄大孔口主纵梁潜孔弧门的制作方法及结构
EP3798364A1 (en) * 2019-09-24 2021-03-31 Earthfront S.r.l. Machinery for the recovery and removal of waste or floating debris from watercourses
CN114855715A (zh) * 2022-06-17 2022-08-05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超大规模潜孔弧形闸门的布置方法
CN116716854A (zh) * 2023-05-06 2023-09-08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水面检修通道及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13B1 (ko) * 2009-08-17 2009-12-03 장찬철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0969584B1 (ko) * 2008-06-18 2010-07-12 한국기계연구원 대형 실린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84B1 (ko) * 2008-06-18 2010-07-12 한국기계연구원 대형 실린더 지지장치
KR100929613B1 (ko) * 2009-08-17 2009-12-03 장찬철 복합게이트 수문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8281A (zh) * 2017-05-08 2017-07-28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窄大孔口主纵梁潜孔弧门的制作方法及结构
EP3798364A1 (en) * 2019-09-24 2021-03-31 Earthfront S.r.l. Machinery for the recovery and removal of waste or floating debris from watercourses
CN114855715A (zh) * 2022-06-17 2022-08-05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超大规模潜孔弧形闸门的布置方法
CN116716854A (zh) * 2023-05-06 2023-09-08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水面检修通道及安装方法
CN116716854B (zh) * 2023-05-06 2024-03-29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水面检修通道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107B1 (ko)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20120093131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이물질제거용 권양기 수문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801678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KR20090000991A (ko) 수문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0647352B1 (ko) 다단 전도식 수문시스템
KR100640012B1 (ko) 배수관 내 오니 제거형 맨홀
KR101285928B1 (ko)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1167147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시스템
KR20040062356A (ko)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CN109267540A (zh) 一种河道防汛监测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JP3979868B2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KR20010109058A (ko) 전면부 개폐식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CN218779555U (zh) 一种河底清淤装置
KR100937200B1 (ko) 환경정화용 제방구조물
KR100645331B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CN215165205U (zh) 一种排沙坝
CN216304563U (zh) 一种水利工程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