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186B1 - 유압식 랙크 게이트 - Google Patents

유압식 랙크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186B1
KR100731186B1 KR1020060103373A KR20060103373A KR100731186B1 KR 100731186 B1 KR100731186 B1 KR 100731186B1 KR 1020060103373 A KR1020060103373 A KR 1020060103373A KR 20060103373 A KR20060103373 A KR 20060103373A KR 100731186 B1 KR100731186 B1 KR 10073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ate
hydraulic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영
Original Assignee
장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영 filed Critical 장태영
Priority to KR102006010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0Vertical-lift gates with guide wheels or rollers for th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15B15/065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the motor being of the rack-and-pin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결합용 문틀에 수문의 양측을 결합하고, 상기 수문과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상기 수문을 상,하로 승강시켜 개폐시키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에 결합된 제1랙크(41)와, 상기 제1랙크(41)에 치합된 제1치차(431)와, 상기 제1치차(431)와 동일한 축에 설치된 제2치차(432)로 구성되며,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4)와; 상기 제2치차(432)에 치합되는 제2랙크(22)가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문(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를 수문결합용 문틀의 상부에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동부가 설치됨으로써 침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문, 유압실린더, 랙크, 치차, 제동

Description

유압식 랙크 게이트 {oil pressure rack g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대한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수문 4 : 구동부
5 : 제동장치 22 : 제2랙크
41 : 제1랙크 42 : 유압실린더
53 : 스프링
54 : 안내핀 55 : 제동자
56 : 회전대 57 : 마찰판
224, 412 : 핀 422 : 실린더로드
424 : 고정부 554 : 선단부
556 : 축핀 572 : 돌기
본 발명은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와 그에 종동되는 구동부에 의해 수문을 양쪽에서 개폐함으로써, 개폐조작의 정확성을 기하고, 아울러 수문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댐이나 저수지에는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하여 수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문은 기계식이나 유압식으로 된 수문개폐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문개폐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상기한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수문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3111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323111호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슬라브가 전혀 없는 문틀(10')을 구성하여, 상기 문틀(10')에 양측단과 하측단에 지수고무(21')를 장착한 수문(20')의 양측을 슬라이드되도록 결합하되 이의 양측단에 각각 유압발생장치(100')에 의해 동시에 상,하 작동하는 유압실린더(30')의 제1실린더로드(31')를 결합하여서, 유압발생장치(100')로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서 수문(20')의 개방시 수문(20')이 슬라브가 없는 문틀(10')의 끝부분에 다다를 때까지 개방되도록 구성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유압실린더가 직접 수문을 개폐시켜야 하므로, 수문의 개폐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개폐높이만큼 커야하며, 유압실린더를 개폐높이보다 아래에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시공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자재 및 인력 소비가 많아 초기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수문의 규격증가에 비례하여 유압실린더의 크기도 증가되어야 하고, 이에 비례하여 중량이 증가된 수문을 작동시켜야 하는 하중부담으로 인해 실린더가 파손될 위험이 상존하였고, 실린더로드가 수중에 항상 침수되어 있어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수문에 실린더의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충격발생시 곧바로 실린더에 전달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장시간 수문동작을 하지 않을시 유압누수현상으로 수문이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실린더에 종동되는 랙크와 치차로 양쪽으로 구성된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압실린더를 하부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면서 기어비에 따라 실린더의 작은 작동으로도 수문의 개폐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원가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초기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수로보다 위에 실린더가 위치하여 실린더로드가 침수되지 않도록 설치됨으로써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랙크 게이트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동력이 기어비에 의한 구동부를 거쳐 수문에 전달되는 간접방식을 취함으로써, 유압실린더도 작아지고 작동시의 충격이 직접 유압실린더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랙크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결합용 문틀에 설치되는 수문; 상기 수문을 상,하로 승강시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의 상단에 수직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 상기 수문의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제 2랙크; 상기 제 2랙크에 치합되는 제 2치차;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하단이 결합되어 수직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핀이 수직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랙크; 및 상기 제1랙크의 핀에 치합되며, 상기 제 2치차와 동일한 축에 의해 결합 설치된 제 1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대한 일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랙크 게이트(A)은, 수로에 설치된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수문(2)의 양측을 결합하고, 상기 수문(2)과 연결된 유압실린더(42)를 포함하는 구동부(4)가 설치되어 상기 수문(2)을 상,하로 승강시켜 개폐시키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에 결합된 제1랙크(41)와, 상기 제1랙크(41)에 치합된 제1치차(431)와, 상기 제1치차(431)와 동일한 축에 설치된 제2치차(432)로 구성된 구동부(4)와; 상기 제2치차(432)에 치합되는 제2랙크(22)가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문(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은, 수문(2)의 폭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수문(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0)이 대향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문(2)은 통상의 장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으로써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의 가이드레일(110)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수문(2)의 양측단에는 후술될 구동부(4)와 연결되는 제2랙크(22)가 설치된다.
상기 제2랙크(22)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빔을 프레임으로 사용하며, 전기한 프레임이 수문(2)의 측면에 고정설치되고, 프레임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핀(224)을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핀(224)은 수문(2)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철재의 봉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가 프레임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거나 또는 끼움결합에 의해 설치되는데, 핀(224)들의 간격은 후술될 제2치차(432)의 치형 및 이 간격을 고려하 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에 결합된 제1랙크(41)와, 상기 제1랙크(41)에 치합된 제1치차(431)와, 상기 제1치차(431)와 동일한 축(430)에 설치된 제2치차(432)로 구성된 것으로, 수문결합용 문틀(1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구동부(4)의 외부에는 보호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커버(1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2)는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실린더로드(422)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로드(422)의 하단에는 고정부(424)가 힌지결합되고, 전기한 고정부(424)에 제1랙크(41)가 수직되게 설치된다.
제1랙크(41)는 전술한 제2랙크(2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제2랙크(22)와 상이한 점은 핀(412)과 그에 인접한 핀(412)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랙크(41)는,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40)에 설치된 사각틀형상으로 된 가이드(142)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1랙크(41)의 승강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치차(431)는 상기 제1랙크(41)의 핀(412)들에 치합되는 것으로, 후술될 제2치차(4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제1치차(431)는 기어비를 고려하여 제2치차(432)보다 기어의 외경(Addendum circle)이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랙크(41)의 핀(412)과 핀(412) 사이의 간격도 좁게 형성된다.
제2치차(432)는 상기 제2랙크(22)에 치합되게 설치되는데, 제2랙크(22)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520)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30)으로 결합되며, 회전축(430)의 타단에는 제1치차(431)가 결합됨으로써, 제1치차(431)와 제2치차(432)는 동일한 축(430)에 설치된다.
상기한 제1치차(431)와 제2치차(432)의 기어비는 약 1: 2 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한 구동부(4)에는 수문(2)을 사용하지 않을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동장치(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동장치(5)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40)에 일단이 이격되게 설치되며, 장공(5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52)과; 상기 브라켓(52) 사이에 개재되며 일단이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지지되는 스프링(53)과; 상기 장공(522)에 삽입되어 횡으로 개재된 안내핀(54)과; 상기 안내핀(54)이 관통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1랙크(41)의 핀(412)에 접촉되는 제동자(55)와; 상기 제동자(55)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52)에 축결합된 회전대(56)와; 상기 회전대(56)의 일단에 설치된 마찰판(57)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52)은,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된 판재로서, 상부에는 수평으로 소정 길이의 장공(5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이 고정프레임(140)에 용접된다.
상기 제동자(55)는, 제1랙크(41)의 핀(412)에 접촉되는 일단에는 상하에 경 사면이 형성되어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부(554)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스프링(53)이 끼워지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대(56)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제동자(55)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마찰판(57)이 형성된 것으로, 그 꺽임부에 형성된 축핀(556)을 상기 브라켓(52)의 통공에 끼워 결합됨으로서 제동자(55)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찰판(57)은 회전대(56)의 회전에 연동하여 고정프레임(140)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제동력이 발휘되는 것으로, 정확한 제동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면에 다수의 돌기(57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로에 수문결합용 문틀(100)을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수문(2)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10)을 설치하며, 구동부(4)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140)을 설치한다.
한편, 수문(2)의 양측면에는 제2랙크(22)를 설치하되, 제2랙크(22)의 길이는 수문(2)의 개폐높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길이로 설정하고, 제2랙크(22)가 설치된 수문(2)을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후, 유압실린더(42)를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설치하되 실린더로드(422)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422)의 하단에 고정부(424)를 설치하고, 고정부(424)에는 제1랙크(41)를 수직되게 설치하되, 제1랙크(41)는 전술한 고정프레 임(140)에 설치된 가이드(142)에 끼워져 결합시킨다.
이후, 제1 및 제2치차(431,432)를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설치하되, 제1치차(431)는 제1랙크(41)에 치합되도록 하고, 제2치차(432)는 제2랙크(22)에 치합되도록 하여 구동부(4)와 수문(2)을 연결시킨 후, 구동부(4)의 보호를 위해 커버(120)를 씌워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한 작동과 향상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수문(2)의 양측면에 제2랙크(22)를 각기 설치하고, 이를 제2랙크(22)에 연결되는 구동부(4)를 수문(2)의 양측에 각기 설치한다.
이후, 수문(2)의 개폐조작은 센서(미도시)를 이용한 자동식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는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데, 하기에서는 센서에 의한 자동식 제어를 설명하기로 하며, 수위가 상승하면 수문(2)이 개방되고, 수위가 하강하면 수문(2)이 폐쇄되도록 설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위가 상승하면,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받은 제어부(미도시)가 수문(2)의 개방을 명령하면,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가 인출되고, 이에 결합된 제1랙크(41)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랙크(41)의 하강에 의해 제1 및 제2치차(431,4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치차(432)의 회전에 의해 제2랙크(22)가 상승함으로써 수문(2)이 개방된다.
역으로, 제어부로부터 수문(2)의 폐쇄명령이 전달되면,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가 인입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1랙크(41)가 상승하면, 제1 및 제2치 차(431,4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랙크(22)가 하강함으로써 수문(2)이 폐쇄된다.
한편, 상기 제동장치(5)의 작동을 살펴보면, 수문(2)이 상하로 승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제 1랙크(41)가 상승 및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3a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자(55)는 유압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한 제 1랙크(41)의 상승 및 하강과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수의 핀(412)들 사이의 공간을 연속적으로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도 3a 참조). 이때, 마찰판(57)은 상기 제동자(55)의 연속적인 전후진 동작 때문에 고정프레임(140)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제동력을 발생시키질 않는다.
그러나, 유압실린더(42)가 정지되어 수문(2)이 정지된 상태에 놓여 지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미는 힘)에 의해 제동자(55)가 전진하여, 그 선단부(554)가 제1랙크(41)의 핀(412)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도 3b의 화살표 참조).
이렇게 제동자(55)가 전진하여 튀어나온 상태에서는, 회전대(5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마찰판(57)이 고정프레임(140)에 밀착됨으로써 제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문(2)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수문(2)을 승강시키기 위해 유압실린더(4)의 실린더로드(422)가 인입 또는 인출되면, 제1랙크(41)가 승강되므로, 전술했듯이 핀(412)에 제동자(55)의 선단부(554)가 닿게 되면 제동자(55)가 후진하면서 스프링(53)은 압축되고, 핀(412)과 핀(412) 사이에 제동자(55)의 선단부(554)가 위치되면 제동자(55)는 자유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때 스프링(53)의 인장에 의한 미는 힘에 의해 제동자(55)가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자(55)는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후진되고, 이에 연동되어 회전대(56)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마찰판(57)이 고정프레임(140)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제동력이 해제될 수 있어, 제1랙크(41)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수문(2)의 정지상태를 제공하는 주된 제동력은 유압실린더(42)가 정지상태에 놓여짐으로써 구현되지만,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유압실린더(42)의 미세한 누설에 의해 수문(2)이 오작동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동장치(5)를 마련한 것이고, 제동장치(5)의 보조적인 제동력에 의해 유압실린더(42)의 미세한 누설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수문(2)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와, 치차 및 랙크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통해 수문을 개폐시키되, 구동부를 수문결합용 문틀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유압실린더를 매설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동부가 설치됨으로써 침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구동부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미관상 아름답고 반영구적이며 유압실린더 및 각종 부품을 보호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할수 있고, 제품 이상시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1)

  1.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결합용 문틀(100)에 설치되는 수문(2);
    상기 수문을 상,하로 승강시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의 상단에 수직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42);
    상기 수문(2)의 양측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핀(224)이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랙크(22);
    상기 제 2랙크(22)에 치합되는 제 2치차(432);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에 하단이 결합되어 수직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핀(412)이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제1랙크(41); 및
    상기 제1랙크(41)의 핀(412)에 치합되며, 상기 제 2치차(432)와 동일한 축(430)에 의해 결합 설치된 제 1치차(4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22)는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는 고정부(424)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424)에 상기 제1랙크(41)가 수직되게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결합용 문틀(100)에는 상기 제1랙크(41)의 외측에 결합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가이드(142)를 갖는 고정프레임(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치차(432)는 제1치차(431) 보다 기어비가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40)과 상기 제 1랙크(41) 사이에는 상기 수문(2)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동장치(5)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5)는,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일단이 이격되게 설치되며, 장공(5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52)과;
    상기 브라켓(52) 사이에 개재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지지되는 스프링(53)과;
    상기 장공(522)에 삽입되어 횡으로 개재된 안내핀(54)과;
    상기 안내핀(54)이 관통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1랙크(41)의 핀(412)에 접촉되는 제동자(55)와;
    상기 제동자(55)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52)에 축결합된 회전대(56)와;
    상기 회전대(56)의 일단에 설치된 마찰판(5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2)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ㄱ"자 형상으로 된 판재이며, 상부에는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5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수평부의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자(55)는, 상기 제1랙크(41)의 핀(412)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선단부(554)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53)이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56)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제동자(55)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마찰판(57)이 형성된 것으로, 꺽임부에 형성된 축핀(556)을 상기 브라켓(52)의 통공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동자(55)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57)은, 전면에 다수의 돌기(57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대(56)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마찰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20060103373A 2006-10-24 2006-10-24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073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373A KR100731186B1 (ko) 2006-10-24 2006-10-24 유압식 랙크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373A KR100731186B1 (ko) 2006-10-24 2006-10-24 유압식 랙크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186B1 true KR100731186B1 (ko) 2007-06-20

Family

ID=3837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373A KR100731186B1 (ko) 2006-10-24 2006-10-24 유압식 랙크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1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04B1 (ko) 2009-04-30 2011-07-04 전동수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057150B1 (ko) 2010-12-30 2011-08-17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유압식 수문 개폐 장치
CN103671807A (zh) * 2013-12-31 2014-03-26 一重集团大连设计研究院有限公司 楔齿传力机构
KR101421228B1 (ko) * 2014-03-27 2014-07-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458582B1 (ko) * 2012-09-04 2014-11-10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유압식 권양기
KR101744140B1 (ko) * 2016-12-09 2017-06-07 심왕섭 용수 조절 게이트
AT520206A4 (de) * 2017-12-21 2019-02-15 Tromayer Michael Verfahren zum Auswechseln eines in einer Schieberkammer von Wasserleitungen befindlichen Schiebers
CN113605346A (zh) * 2021-08-04 2021-11-05 中交三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疏水阀门不停航检修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50A (ja) * 1995-02-16 1996-08-27 Kyowa Seisakusho:Kk ゲート開閉装置
JPH08232246A (ja) * 1994-12-27 1996-09-10 Kyowa Seisakusho:Kk ダブルピニオンシリンダー式開閉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246A (ja) * 1994-12-27 1996-09-10 Kyowa Seisakusho:Kk ダブルピニオンシリンダー式開閉機
JPH08218350A (ja) * 1995-02-16 1996-08-27 Kyowa Seisakusho:Kk ゲート開閉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04B1 (ko) 2009-04-30 2011-07-04 전동수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057150B1 (ko) 2010-12-30 2011-08-17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유압식 수문 개폐 장치
KR101458582B1 (ko) * 2012-09-04 2014-11-10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유압식 권양기
CN103671807A (zh) * 2013-12-31 2014-03-26 一重集团大连设计研究院有限公司 楔齿传力机构
KR101421228B1 (ko) * 2014-03-27 2014-07-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744140B1 (ko) * 2016-12-09 2017-06-07 심왕섭 용수 조절 게이트
AT520206A4 (de) * 2017-12-21 2019-02-15 Tromayer Michael Verfahren zum Auswechseln eines in einer Schieberkammer von Wasserleitungen befindlichen Schiebers
AT520206B1 (de) * 2017-12-21 2019-02-15 Tromayer Michael Verfahren zum Auswechseln eines in einer Schieberkammer von Wasserleitungen befindlichen Schiebers
CN113605346A (zh) * 2021-08-04 2021-11-05 中交三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疏水阀门不停航检修方法
CN113605346B (zh) * 2021-08-04 2022-08-12 中交三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疏水阀门不停航检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186B1 (ko)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1057150B1 (ko) 유압식 수문 개폐 장치
KR100693310B1 (ko)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1348308B1 (ko) 게이트 복열 스크린 장치
KR100848186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100733290B1 (ko) 수문 개폐장치
KR101065780B1 (ko)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KR20090097825A (ko) 다단 전도식 수문장치
JP4451823B2 (ja) ゲート設備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CN215720910U (zh) 密封电动插板阀
KR200434748Y1 (ko) 가동 보의 유압식 전도수문
KR102463799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100573812B1 (ko) 롤러 위치 변경형 수문
CN113605821A (zh) 一种隐藏式地下拦水坝
CN218233366U (zh) 一种密封性好高强度的渠道闸门
KR101163496B1 (ko) 반달형 회전식 자동수문장치
JP2573624Y2 (ja) 水門用開閉機
KR20100038509A (ko) 인양 수문
JP5069966B2 (ja) 除塵機
CN219772906U (zh) 一种河道拦河用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3